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0:47:25

미군/편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미합중국 육군|육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미합중국 해군|해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미합중국 공군|공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 파일:미합중국 해안경비대 인장.svg 파일:미합중국 우주군 마크.svg
[[미합중국 해병대|해병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미합중국 해안경비대|해안경비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미합중국 우주군|우주군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
미군 편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131230><tablealign=center><tablebgcolor=#13123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px -34px"
파일:미국 국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재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
국무부 재무부 국방부
파일:미합중국 육군부 마크.svg
육군부
파일:미합중국 해군부 마크.svg
해군부
파일:미합중국 공군부 마크.svg
공군부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법무부 마크.svg 파일:미국 내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농무부 휘장.svg
법무부 내무부 농무부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상무부 마크.svg 파일:미국 노동부 휘장.svg 파일:미국 보건사회복지부 휘장.svg
상무부 노동부 보건사회복지부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주택도시개발부 휘장.svg 파일:미국 운수부 휘장.svg 파일:미국 에너지부 휘장.svg
주택도시개발부 운수부 에너지부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교육부 로고.svg 파일:미국 제대군인부 휘장.svg 파일:미국 국토안보부 마크.svg
교육부 제대군인부 국토안보부
}}}}}}}}}}}}

파일:미합중국 육군전력사령부.svg
FORSCOM
육군전력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육군미래사령부.png
AFC
육군미래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육군물자사령부.svg
AMC
육군물자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육군훈련교리사령부.png
TRADOC
육군훈련교리사령부
파일: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육군.svg
USAREUR-AF
유럽-아프리카육군
파일:미합중국 태평양육군.png
USARPAC
태평양육군

파일:미합중국 태평양함대.svg
USPACFLT
태평양함대
파일: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해군.png
CNE-CNA
유럽-아프리카해군
파일: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부.png
USFF
함대전력사령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태평양 서대서양 동태평양 남아메리카
제1함대 파일:second fleet.png
제2함대
파일:external/www.trophyexpress.com/3rdfleet.jpg
제3함대
파일:4th fleet.jpg
제4함대
인도양 동대서양 서태평양 함대사이버사령부
파일:5th fleet.png
제5함대
파일:6th fleet.jpg
제6함대
파일:United_States_Seventh_Fleet_insignia,_2016.png
제7함대
파일:1920px-United_States_Tenth_Fleet.png
제10함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41483><tablebgcolor=#041483>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미합중국 공군 주요 사령부
Major Command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파일:2514px-US-O10_insignia_svg.png
파일:미합중국 공군전투사령부.png
ACC
공군전투사령부
파일:미합중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svg
AFGSC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파일:미합중국 공군물자사령부.png
AFMC
공군물자사령부
파일:미합중국 공군기동사령부.svg
AMC
공군기동사령부
파일:미합중국 태평양공군.png
PACAF
태평양공군
파일:미합중국 유럽 공군.svg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 공군.svg
USAFE-AFAFRICA
유럽-아프리카공군
파일:1892px-US-O9_insignia_svg.png
파일:공군교육훈련사령부 휘장.svg
AETC
공군교육훈련사령부
파일:공군특수작전사령부 휘장.svg
AFSOC
공군특수작전사령부
파일:공군예비군사령부 휘장.svg
AFRC
공군예비군사령부
}}}}}}}}}}}}}}} ||

파일:external/blackshieldgroup.com/USIC.png
미국의 정보공동체
United States Intelligence Community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214A; 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214A> 독립기관 국가정보장실(ODNI) 중앙정보국(CIA)
에너지부 정보방첩국(OICI)
국토안보부 정보분석국(I&A) 해안경비대 정보부(CGI)
국무부 정보조사국(INR)
재무부 테러금융정보국(TFI)
국방부 국방정보국(DIA) 국가안보국(NSA)
제16공군
제18우주델타(NSIC)
육군정보보안사령부(INSCOM)
국가지상정보센터(NGIC)
국가지리정보국(NGA) 국가정찰국(NRO)
해병대정보국(MCIA) 해군정보부(ONI)
법무부 연방수사국(FBI) 마약단속국(DEA)
국가안보부(NSB), 정보부(IB) 국가안보정보부(ONSI) }}}}}}}}}


||<-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height=70><width=45%>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 || 미군 통합전투사령부
Unified Combatant Command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파일:미합중국 북부사령부 휘장.svg
NORTHCOM
북부사령부

(2002.10.01. ~)
파일:미합중국 유럽사령부 휘장.svg
EUCOM
유럽사령부

(1947.03.15. ~)
파일:미합중국 중부사령부 휘장.svg
CENTCOM
중부사령부

(1983.01.01. ~)
파일:미합중국 남부사령부 휘장.svg
SOUTHCOM
남부사령부

(1963.06.06. ~)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 휘장.svg
AFRICOM
아프리카사령부

(2007.10.01. ~)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
INDOPACOM
인도태평양사령부

(1947.01.01. ~)
파일:미합중국 우주사령부 휘장.svg
SPACECOM
우주사령부

(1985.09.23. ~ 2002.10.01)
(2019.12.20. ~)
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SOCOM
특수작전사령부

(1987.02.16. ~)
파일:미합중국 수송사령부 휘장.svg
TRANSCOM
수송사령부

(1987.06.01. ~)
파일:미합중국 전략사령부 휘장.svg
STRATCOM
전략사령부

(1992.06.01. ~)
파일:미합중국 사이버사령부 휘장.svg
CYBERCOM
사이버사령부

(2010.05.21. ~)
※ 둘러보기: 통합전투사령관
}}}}}}}}}}}} ||

||<tablebordercolor=#00518f><tablewidth=100%><bgcolor=#00518f>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특수작전부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SOC.png
합동특수작전사령부
JSOC / ✯✯✯
]]
<colbgcolor=#fcfaf5,#2d2f34> 파일:1sfod-d_emblem 0.png 1st SFOD-D | 파일: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 마크.svg DEVGRU | 파일:24th_Special_Tactics_Squadron logo.png 24th STS | 파일:이사로고.png ISA
[[미합중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
파일:usasoc_emblem 0.png
육군특수작전사령부
ARSOC / ✯✯✯
]]
파일:녹색베레.png 그린 베레 | 파일:75thRR.png 육군 레인저 | 파일: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엠블럼.svg SOAR
파일:attachment/네이비 씰/US_Navy_SEALs_insignia.png 해군특전단 | 파일:nswg-4_emblem 0.png 제4해군특전단
파일:제24특수작전비행단 마크.png 제24특수작전비행단
파일:msor_emblem 0.png 레이더연대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연방 사관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웨스트포인트 아나폴리스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육군사관학교 문장.svg 파일:미국해군사관학교 문장.svg 파일:미국공군사관학교 문장.svg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뉴런던 킹스포인트 베데스다
파일:USCGA_seal.svg 파일:USMMA_seal.svg 파일:USUHS-seal.svg
해안경비대사관학교 상선단사관학교 국립군의관의과대학
연방 사관학교 | 고등 군사대학 }}}}}}}}}

1. 개요

미군 편제를 설명하는 항목이다. 각 직제는 최대한 한국의 직제와 유사하게 맞춘다. 자세한 정보는 이 곳 영문 위키백과를 참조하면 좋다.

미군은 2차 대전 당시 서류상 118개 사단[1]을 보유했으나, 현재는 10개 현역사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방위군 병력이 존재한다.

미군은 전부 미국 국방부(DOD, Department of Defense) 하에 속하지만 해안 경비대(United States Coast Guard, USCG)는 평시에는 미국 국토안보부(DH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소속이며 전시에 지시가 있을 경우 해군에 서류상 파견되는 형식으로 해군의 지휘를 받게 된다. 또 특기할 점은 한국군이 각 군의 참모부를 운영하는 것과는 달리 미군의 각 군은 민간인 출신이 장관을 맡는 각 군부에서 군대의 운영과 관리를 담당한다. 일단 군 관련 기관이니 당연히 군인도 각 군부에 배속되는데, 이들 중 가장 계급이 높은 장교가 참모총장을 맡는다.

지휘 계통도

2. 미국 국방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국방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국방부 장관실(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 국방장관 Secretary of Defense
  • 부장관 Deputy Secretary of Defense
    • 재무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Comptroller/Chief Financial Officer
      • 감사부차관 Principal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Comptroller)
      • 분석평가국장 Director for Program Analysis and Evaluation
    • 군수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Acquisition, Technology and Logistics
      • 국방연구기술국장 Director of Defense Research and Engineering
      • 획득기술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Acquisition and Technology)
      • 수송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Logistics and Material Readiness)
      • 화생방보좌관 Assistant to the Secretary of Defense (Nuclear and Chemical and Biological Defense Programs)
      • 군소사업국장 Director of Small and Disadvantaged Business Utilization
      • 획득개조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Acquisition Reform)
      • 물류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Advanced Systems and Concepts)
      • 환경안보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Environmental Security)
      • 산업분야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Industrial Affairs)
      • 시설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Installations)
      • 과학기술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 인사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Personnel and Readiness
      • 관리정책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ce Management Policy)
      • 의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Health Affairs)
      • 예비군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Reserve Affairs)
      • 전투준비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Readiness)
      • 프로그램통합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Program Integration)
      • 계획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Planning)
    • 정책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Policy
      • 선임정책부차관 Principal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Policy)
      • 국제안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International Security Affairs)
      • 전략/기획/역량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Strategy, Plans, and Capabilities)
      • 특수작전/저강도분쟁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Special Operations and Low-Intensity Conflict)
      • 인도태평양안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Indo-Pacific Security Affairs)
      • 국토방어/글로벌안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Homeland Defense and Global Security)
      • NATO보좌관 Defense Advisor, U.S. Mission NATO
    • 정보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intelligence
      • 작전/통제/소통/정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and Intelligence)
      • 법무감사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Legislative Affairs)
      • 공공정책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Public Affairs
      • 국방부법무자문위원 General Counsel of the Department of Defense
      • 작전평가국장 Director of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 정보감독보좌관 Assistant to the Secretary of Defense (Intelligence Oversight)
      • 행정관리국장 Director of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 실질평가국장 Director of Net Assessment
    • 감사실 Office of the Inspector General

2.2. 합동참모본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합동참모본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합동참모의장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 합동참모차장 Vic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 참모장 Director, Joint Staff
    • 인사본부 Manpower and Personnel (J-1)
    • 정보본부 Joint Staff Intelligence (J-2)
    • 작전본부 Operations (J-3)
    • 군수본부 Logistics (J-4)
    • 전략/정책본부 Strategic Plans and Policy (J-5)
    • 지휘통신시스템본부 C4 Systems (J-6)
    • 전략기획/합동성강화본부 Operational Plans and Interoperability (J-7)
    • 전력구조/자원/평가본부 Force Structure Resources and Assessment (J-8)
    • 행정국 Directorate of Management
  • 육군참모총장 Chief of Staff of the Army
  • 해군참모총장 Chief of Naval Operations
  • 해병대사령관 Commandant of the Marine Corps
  • 공군참모총장 Chief of Staff of the Air Force
  • 주방위군총감 Chief of the National Guard Bureau

2.3. 육군부(Department of the Arm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육군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1. 미 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육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해군부(Department of the Nav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군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해군부 장관 사무실(Office of the Secretary of the Navy)
  • 참모본부(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 해병 총사령부(Headquarters Marine Corps)

2.4.1. 미 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2. 미 해병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해병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공군부(Department of the Air Forc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군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공군부 장관 사무실(Office of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 버지니아 주
  • 공군참모본부(The Air Staff) - 버지니아
  • 우주군 참모본부(Office of the Chief of Space Operations)

2.5.1. 미 공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공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2. 미 우주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우주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통합전투사령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합전투사령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름 본부위치 담당지역
USAFRICOM United States Africa Command 아프리카사령부 독일 슈투트가르트[2] Kelley Barracks 이집트를 제외한 아프리카
USCENTCOM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중부사령부 플로리다 탐파, 맥딜 공군기지[3] 튀르키예를 제외한 중동/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이집트
USEUCOM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 유럽사령부 독일 슈투트가르트 Patch Barracks 유럽 & 튀르키예 & 러시아( 아시아에 속한 지역도 포함)
USNORTHCOM United States Northern Command 북부사령부 콜로라도 주, 콜로라도 스프링스, 피터슨 공군기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쿠바, 푸에르토 리코 포함
USINDOPACOM United States Indo-Pacific Command 인도-태평양사령부 하와이 호놀룰루, 캠프 H.M.스미스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인도까지), 오세아니아
USSOUTHCOM United States Southern Command 남부사령부 플로리다 마이애미 과테말라 이남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이름 본부위치 임무
USSPACECOM United States Space Command 우주사령부 콜로라도 콜로라도스프링스, 피터슨 우주군기지 우주전
USSOCOM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특수작전사령부 플로리다 탐파, 맥딜 공군기지 특수작전
USSTRATCOM United States Strategic Command 전략사령부 네브래스카 오마하 Offutt 공군기지 전략전
USTRANSCOM United States Transportation Command 수송사령부 일리노이 세인트 클레어 카운티, 스콧 공군기지 수송작전

2.6.1.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산하 정보기관

모두 미국의 정보공동체에 속했으며 동시에 국방부 소속이다.

2.7.1. 독립 기관

2.7.1.1. 국방정보본부(DI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국방정보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1.2. 국가안보국(NS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국가안보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1.3. 국가지리정보국(NG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국가지리정보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1.4. 국가정찰국(NR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국가정찰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2. 각 군 산하 정보기관

  • 공군
    • 제25공군 국가항공우주정보센터(NASIC)
  • 육군
    • 육군정보보안사령부(INSCOM)
    • 국가지상정보센터(NGIC)
  • 해병대
    • 해병대정보국(MCIA)
  • 해군

2.8. 기타 주요사령부

2.8.1. 미국 내

  • 국방보건국

2.8.2. 해외

2.9. 연구/개발/교육기관

2.9.1. 연구/개발기관

  • 미국 국방과학연구소
  • 육군 고등연구개발국
  • 해군 연구개발국
  • 공군 개발 연구소 (U.S. Air Force Research Laboratory.AERL)
  • 해병대 전투연구소

2.9.2. 보수교육기관

합동군사대학과 같은 통합 보수교육기관도 있고, 각 군별로 설치된 교육기관도 있는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통합 교육기관
    • 국방대학교
    • 합동참모대학
    • 국방언어교육원
    • 지휘참모대학
    • 고등군사학교
    • 합동특수작전대학
    • 합동군사대학
  • 개별 교육기관
    • 해병대학교
    • 해병전쟁대학
    • 해전대학
    • 해군대학원
    • 항공대학교
    • 항공지휘참모대학
    • 항공전대학
    • 공군기술원
    • 공군전문대학
    • 육군준사관교육원

2.10. 주방위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방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방위군(USNG, United States National Guard)은 각 주별로 편성된 기간제 군복무를 하는 병력으로 편성된 부대이다.[4] 예비군와 동일한 복무제도이나 예비군은 연방정부에서, 주방위군은 주정부에서 동원한다. 전시에는 일정 기간 별도의 훈련을 받고 전선에 투입된다. 주방위군 부대는 전투 준비 태세에 대한 등급이 매겨지며, 이 등급은 군사 기밀로 분류된다. 주방위군에는 육군과 공군만 있으나, 예비군에는 육군, 해군, 해병대와 공군이 모두 있다. 예비군 병력은 2020년 기준 855,600명이다.

특히 주방위군 육군은 10개 사단에 불과한 육군 현역 사단을 뒷받침하는, 어떻게 보면 미군의 또 다른 주력이라고 할 수 있다. 총 8개 사단에 이르며, 각 사단은 비록 장비는 조금 떨어질지언정 역시 미군이란 소리가 나올 정도의 전투력을 갖추고 있음은 분명하다. 진짜 없는 병과 없이 다 갖추고 있고, 이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미 육군은 큰 전력 공백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단적인 예로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전력순환의 일환으로 파병되는 부대들이 바로 이 주방위군 부대들이었다.

육군 주방위군은 대략 35만 명, 공군은 10만 명가량으로 총 45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미국의 전직 대통령인 조지 부시 주니어( 조지 부시의 아들)는 공군 주방위군에서 중위로 복무한 적이 있으며,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베트남 전쟁 시기에 육군 주방위군의 소속이었으나 소집은 되지 않았다.

2.11. 주방위대

3. 미국 국토안보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국토안보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해안 경비대는 평시에 국토안보부 소속이다. 국토 안보부는 해안 경비대 뿐만 아니라 미 시크릿 서비스, 정보분석국 등의 강력한 정보기관을 산하에 두고 있다.

3.1. 해안경비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해안경비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해안 경비대는 평시에 국토안보부 소속이나 전시에 미 해군 산하로 소속이 바뀐다.

산하에 정보공동체 소속의 해안경비대정보국(Coast Guard Intelligence and Criminal Investigations Program)이 있다.

4. 예비군

매달 한 번에 2일 씩 받는 12회의 소집훈련과 15일짜리 동원훈련으로 연 39일의 훈련을 받는 예비군들. 현역에 준하는 훈련수당을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장비도 현역들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으며, 방탄복 등의 기본 장비들도 현역들과 비슷한 수준.

현역에서 전역한 경우와, 처음부터 예비군으로 입대하는 경우가 있다. 연 39일의 훈련이며, 동원훈련빼고 소집훈련은 주말 한번 나가는 수준인지라 생업과 겸할수 있다.

그리고 예비군 예산이 전체 국방비의 9%가량으로, 2010 년 기준으로는 571억 달러. [5]

어쨌든 이 예비군도 미군에게 중요한 전력이다.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된 병력에도 예비군과 주방위군이 포함되어 있다.

주방위군에는 육군과 공군만 있으나, 예비군에는 육군, 해군, 해병대와 공군이 모두 있다. 예비군 병력은 2020년 기준 855,600명이다.

5. 해외 주둔 미군 기지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외 주둔 미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중 5개사단은 서류에만 존재하는 유령사단. [2] 아프리카 사령부임에도 독일에 있는 이유는 아프리카 지역에 고급 장교단(가족 포함)과 지휘통신 체계를 장기적으로 유지할만한 군기지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해당국가가 친미적이면서 정치가 안정되어 있고, 배후도시가 기지를 지원해줄만한 교통/통신/의료/전력 등 인프라가 있어야 하는데, 아프리카에 그런 도시가... 게다가 아프리카 지역에 무슨 일이 벌어지면 어차피 유럽 주둔 미군을 동원한다는 점도 하나의 요인. [3] 이라크전쟁과 아프가니스탄전쟁으로 야전본부는 카타르 도하로 옮겨졌음. [4] 대한민국의 상근예비역 제도와 유사하다. [5] 1달러 당 1,200원으로 계산하면 68 조원 쯤 된다. 한국 국방비 전체보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