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經營學科 / Department of Business경영학을 가르치는 학과.
학과/학부/단과대학 등 학교에 따라 영어 표기가 다르다. 보통 Business, Business Management, Business Administration을 자주 사용한다.[1]
2. 역사
2.1. 탄생
※ 경영학의 역사는 해당 문서 참조.경영 기법을 가르친 최초의 독립 기관은 1759년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에 있었던 아울라 두 코메르시우(Aula do Comercio)인데, 여기서는 회계 부기를 가르쳤다고 한다. 최초의 경영 대학은 1819년 프랑스에 설립된 ESCP(École supérieure de commerce de Paris)이다.ESCP유럽은 파리, 런던, 마드리드 등에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1881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개설된 와튼 스쿨(Wharton School)이고 이는 미국 최초의 경영 대학이며 세계 최초로 학부 과정에 개설된 경영학과이다. 참고로 학부 과정 경제학과가 최초로 설립된 연도보다도 시기가 이르다.
2.2. 거대화
취업난이 심해질수록 다른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이 경영학과나 경제학과로 몰리는 현상이 심화되었다. 그래서 취업난 속에서 조금이라도 우수한 학생을 끌어들이기 위해 대한민국 거의 모든 대학들은 경영학과를 가지게 되었다. 심지어 전문대학에도 경영과는 존재하기 때문에, 경영학과에서 배출하는 인원은 전국적으로는 포화상태이다. 한 학년에 450명이 넘는 학교가 있을 정도이다.[2] 거기다 복수전공자까지 합치면 경영학을 배우는 학생은 어마어마하다! 심지어 경영학과 전공 과목에는 다전공 전용 분반도 있을 정도다. 그러다보니 수강신청 때 가장 많이 전쟁을 치르는 학과이기도 하다.또한 순수 경영학과 이외에도 각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경영학의 학문 일부를 포함시킨 학과를 개설하기도 한다. 예를들어 호텔관광'경영'학부라던가 레저스포츠'경영'학부 등등. 물론 이 경우 경영대학 하위 학부로 개설된 게 아닌 이상은 당연히 본래 학과의 성질이 좀 더 강한 편이지만 어쨌든 학부 과정에 보통 기본적인 조직관리, 기초적인 회계학, 중급 이상의 마케팅이 포함되어 있다.
기존에 남성들 위주였던 성비 역시 여성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규모도 커져갔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경영학과에는 행정학과에서처럼 여학생의 수가 거의 0에 가까웠다. 아예 '여학생 제로'인 학번도 있었을 수준이다. 1980년대에는 어쩌다 경영학과에 여학생이 1명 들어오면, 그 여학생은 홍일점이 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4:6~3:7 성비를 보이는 대학까지 있을 정도로 여학생들이 꽤 많아졌다. 본전공으로 입학한 여학생들도 많이 늘어났지만, 타과생의 전과, 복수전공, 부전공으로 여학생들이 꽤 많아졌다. 영어영문학과 같은 어문계열은 태생부터 여학생들이 많은데, 이 학생들 대부분이 경영학 또는 경제학 복전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한국에는 작은 경우는 그냥 경영학과나 학부로 상경대학/상과대학, 사회과학대학 등의 부속대학이다.
과거 어느 정도 규모가 되는 학교의 경영학과는 보통 상경대학 혹은 상과대학, 통칭 ' 상대'에 속해 있었다. 상대에는 보통 경제학과, 경영학과, 통계학과가 포함되어 있다.[3] 그런데 경영학과의 규모가 큰 대학이면 단독으로 경영대학 단과대 1개 전체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미국의 비즈니스 스쿨의 영향[4]으로 받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영학과도 대부분 처음에 상과대학 소속으로 설립되어 나중에 경영대학으로 분리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제 대부분의 경영학과는 경영대학에 소속되는 형태가 일반화되었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경영학과의 규모가 작은 대학의 경영학과는 사회과학대학이나 상경대학의 한 학과로서 속해 있다. 경영대학에 소속되지 않더라도, 보통은 해당 단과대에서 독보적으로 몸집 큰게 경영학과이다. 2019년 기준으로 4년제 대학에 개설된 학과 수 총 1만2,595개 중에서 경영학 계열이 809개로 가장 많이 개설된 학과인 것으로 분석됐다. 총 6,230개 학과가 개설된 전문대에서도 경영·경제 계열 학과가 479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규모도 크고 취업률도 준수하기에 학과 통폐합에선 다른 학과(특히 인문대)를 받아주는 입장이고 수강신청 빡세지는 것 말곤 걱정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 경영학과가 통폐합당하는 사례도 있다. 예를들면 KC대학교가 2019년부로 경영학과를 통폐합했고 그 전에도 경영학과가 학번당 학생수가 한자리수라는, 다른 학교에선 보기 힘든 진풍경이 있었다.
2.3. 세분화
배우는 사람들은 잘 알겠지만 경영학과의 분과들은 서로 이질적이다. 그래서 다양한 분과로 세분화시키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다.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독립되는 과는 Finance 계열이다. 경제학, 수학, 통계학, 컴퓨터과학에서 finance에 가까운 것들을 묶어서 독립시킨다. 명칭도 금융공학, 금융학과, 재무학과, 회계학과, 세무학과 등 다양하다. 석사나 MBA에는 경제학의 Financial Economics과 함께 기본적으로 있는 과정이고, 점차 학사 과정에서도 생기고 있다. 한국에선 다양한 분야들과 합쳐져서 파생되는 학부과정들도 존재한다.
외국 경영대에선 마케팅, 미디어학, 소비자학, 커뮤니케이션학이 묶여서 Marketing and Communication으로 독립되기도 한다.
미국같이 IT나 드론 관련 벤처기업이 활발한 곳에선 IT 비즈니스, IT 벤처기업론 등으로 분리독립시킨다. 숭실대학교에는 벤처중소기업학과가 경영학부와 별개로 설치되어있고, 이외 학교는 경영정보학과로 독립시키는 경우가 많다. 동국대학교 를 포함한 전국 각 대학에 30여개의 경영정보학과가 있다.
관광산업, 호텔 산업이 어느정도 규모가 있을 경우 관광학, 지리학, 호텔 경영 등과 융합하여 관련 분과가 탄생하기도 한다. 경희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등에는 관광학과와 융합하여 탄생한 관광경영학과, 세종대학교 호텔경영학과 등의 학과가 있다. 호텔경영학과는 세종대학교가, 관광경영학과는 경기대학교가 국내 최초로 설치하였다. 미국의 명문 MBA에선 명문 스포츠구단의 후원을 받아 스포츠 행정가, 세이버메트릭션 등을 양성하는 과정을 만들기도 한다. 요식업계에서도 요리사 양성 과정에서 경영학을 끼워넣기도 한다.
비의료인의 의료산업 투자가 활성화된 곳에선 병원경영자 과정이 많다. 한국의 경우 보건의료정보관리사를 양성하는 의료경영학과도 의대나 의대 부속으로 개설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분야 빅데이터 연구를 하는 데이터경영학과도 차병원그룹의 차의과학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다.
다국적 기업 관련 과정이 유행을 타면서 글로벌경영학과[5], 무역학과 등도 많이 창설된다.
3. 진로, 취업률 분석
취업/문과 문서도 참조.상경계열 복수전공이 취업 확률 높여
그리고 한국 노동 연구원의 2015년 대졸 청년층의 전공계열별 노동시장 이행실태 보고서를 참고할 것.
취업할 때 제일 필요없는 스펙 '어학연수' 제일 필요한 스펙 '나이'
경영계열은 경제학과 및 유사전공들과 함께 취업률 최상위권이다.
인문사회계열과 사회과학계열에서는 (유사) 상경계에 속하는 경영, 경제, 행정이 아니면 전공을 살려서 취업하기가 상당히 힘들다. 상경계에서도 명문대 여부에 따라 취업률에 어느 정도 차이가 나지만, 비명문대라 해도 인서울의 경우 대개 60% 중후반대의 취업률을 기록하는 편.[6] 명문대 경영학과 졸업이라면 대기업 인사총무, 기획, 경영지원 파트 등 일종 브레인으로의 취업이나 MBA 해외 유학을 생각해 볼 수도 있고, 명문대가 아니라고 해도 7급 이상 공무원이나 전문직 시험 등을 준비하는 등 갈 수 있는 길은 많다.
사람인에서 대/중견/공공/외국계 등 주요 상장기업에 취업한 경영학과 졸업자들 중 2,428명의 스펙을 추출하여 출신대학을 조사하였는데, 대다수가 인서울/지거국 출신으로 나타났다. 지방사립대 출신은 15% 정도이며, 직렬도 영업 쪽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영업은 사실 어느 학과를 나와도 취업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공을 살린 취업이라고 말하기에는 거리가 멀다. 수도권에 소재한 어지간한 규모 이상의 공/사기업 내에서 전략&기획/금융&재무&회계&총무/구매&홍보&마케팅 등 사무직렬은 인서울 출신이 다수이며, 최소한 수도권 내 대도시에 소재한 대학 몇개나 지역 이름이 붙은 국립대학 출신이 아닌 이상 그 예외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게다가 비수도권이라는 지역범위 속에서 출신 대학의 쏠림 현상이 오히려 수도권에 비해 크게 나타난다. 특히 지방사립대 내에서는 이런 현상이 매우 심해서 과거에 '지방 4대 사학'이라고 불렸던 4개 학교 출신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그 외에는 단 한명의 취업자도 배출하지 못한 학교들이 수두룩할 정도로 아웃풋이 매우 처참한 수준이다. 인서울 역시 상위권 대학 출신 비율이 높긴 하지만 지방에 비해 비율이 꽤나 고르게 분포해 있다.
지방사립대 경영학과의 경우엔 기타 스펙 없이 일반적인 스펙(학점)만 가지고 대기업 공채를 합격하기 쉽지 않다. 대부분은 학교를 다니면서 전산회계나 유통 관련 자격증 두어개 정도 따서 중소기업 사무직/관리직으로 취직하거나 영업 쪽을 노릴 수도 있고, 9급 공무원(경찰, 소방, 교정, 교행 등 직렬)을 준비하거나 한다. 간혹 언론에서 발표하는 취업률을 보고 세간에서 말하는 것보다 의외로 취업률이 높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사실 이 취업률은 전공을 살려 취업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예를 들자면 PC방 하나 차리는 장사를 시작해도 취업률에 반영되며, 경영과 아무 상관 없는 자동차 딜러나 택배기사, 관광가이드, 심지어 음식점/마트/영화관 알바생도 취업으로 기록된다. 지방대학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취업률을 올리려고 애를 쓰지만, 아무리 영혼까지 끌어모은다 해도 시험 준비나 대학원 진학 비중이 높은 인서울/지거국의 것보다도 취업률이 낮은 형편이다. 그나마 위에 언급된 것처럼 전산회계 같은 분야를 개인적으로 공부하여 기타 스펙으로 자격증 몇개쯤이 있으면 성공한 취업이 가능하다. 서류 전형 합격부터 인적성, 최종 면접까지 대기업 취업문을 뚫은 지방사립대 졸업자들은 스펙보다 차별화를 강조한다. 얼어붙은 경제 상황과 취업난으로 ‘헬조선’이라는 말이 당연해져 버린 시대, 남들과 비슷한 스펙으로는 취업 시장에서 자신을 차별화할 수 없다. 학점, 학벌 등의 스펙이 취업을 좌우하는 것보다도 힘든 취업 시장에서 본인을 차별화할 수 있는 ‘나만의 경험’이 있으면 불리한 조건을 극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취업준비기간에 슬럼프에 빠지지 않고 멘탈 가다듬는 법부터 자기소개서 쓰는 법, 면접 팁까지 체계적으로 준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수도권은 다른가 하면, 인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대학의 경우 인천이나 수원을 위시로 한 인구 100만 이상의, 대기업이 위치한 대도시에 소재한 특정 몇 개의 대학을 제외하면 그 외 나머지 대학의 경영학과 출신은 리스트에서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오히려 지방사립대 출신은 지방의 대기업 지사나 출장소/공공기관이 많다보니 지역인재라는 별도 전형의 수혜를 받을 수 있고[7], 지방 소재 토박이 기업같은 경우는 이직이 잦은 수도권 출신 사람보다 해당 지역 대학 출신을 더 우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소 출신대학 지역의 기업으로 취직할 길이 있기 때문이며 흔히 말하는 '그 지방에서 평생 살거면 그 대학 가도 괜찮다'고 하는 게 이 이유. 사실 수도권 소재 일부 사립대들은 지방사립대의 악명에 가려져서 그렇지 인식과 평판이 지방사립대 못지 않게 저조한 곳도 있다.
심지어 이런 경향은 일정 수준의 시험을 요건으로 하는 특수전문직, 예컨대 변호사나 회계사 같은 직종에서도 나타난다. 폐지되기 전까지 문과의 꽃이라 불렸던 사법시험만 하더라도 그 사람이 몇 기수냐, 어느 대학을 나왔느냐가 조직 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 연유로 사법연수원 성적이 매우 좋았다 하더라도, 자기가 나온 대학이 사시 합격자가 너무 적어서 선배들 중에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해서 하는 수 없이 판검사 임용을 그만두고 변호사로 빠진 사람이 있을 정도. 회계사 같은 직종도 크게 다르지 않아 일정수준 이상, 예를 들어 법인의 파트너 급으로 올라가려면, 수석을 했냐는 것보다 어느 대학을 나왔느냐가 더 중요하다. 전문직은 정치/경제/사회계로부터 일거리(수임)를 따오기 위해서 수많고 복잡한 로비과정을 거쳐 치열한 경쟁을 해야하는, 소위 인맥 파워가 밥벌이에 매우 중요한 바닥이다보니 승진을 위해서는 학벌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다. 실제로 비명문대 학사출신 전문직 종사자는 이런 단점을 커버하기 위해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최종학력을 명문대 석/박사출신으로 바꿔놓는 경우가 많다.
반면 이공계열은 학벌의 영향력이 없는건 아니지만 간판보다는 기술을 중요시 여기는 풍토가 강하기 때문에, 취업자의 대학 편중 경향이 타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다.
3.1. 학사
이렇게 각 학교별로 나눈 자료는 신뢰성이 전체 집계 자료보다 높은 편이다.학사라면 다음과 같은 진로가 존재한다.
- 만약 자신이 명문대가 아니라 '일반 인서울 대학교, 지거국'이라면 명문대 졸업자보다 조금 눈을 낮춘 취업 전략을 세워야 한다. 일단 증권가, 재경, 경영지원(전략기획, 인사 등)에 뽑힐 확률은 명문대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경영지원 직무는 명문대 출신만으로도 채울 수 있을 만큼 사람을 적게 뽑고 지원자도 많다. 따라서 은행, 영업, 물류, 매장관리 등의 전공 유관 직무를 선택해 집중하는 것이 취업 확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방향성 없이 이것저것 듣거나 명문대 졸업자들과 주로 경쟁해야 하는 전공/직무인 전략기획, 인사, 재무 등에 도전하는 경쟁자에 비해 합격 확률이 올라간다.
- 자신이 전술한 '인서울, 지거국, 기타 동급 몇 군데' 미만이라면 대부분의 대기업에서 학벌로 필터링을 하니 그에 맞춘 계획을 세워야 한다. 서울 소재 중견급 이상의 회사의 사무직(인사, 기획, 재무 등)은, 경력이 없고 지방사립대 학사를 이제 막 취득한 신입으로서 입사하기 힘든 건 사실이다. 필기시험을 치르고 블라인드 면접을 보는 회사를 하는 게 좋다. 공공기관이나 지방소재 기업은 학벌을 보지 않고 지역인재 전형을 실시하는 곳이 많으니, 한국사나 컴활1급 같은 포괄적인 자격증과 가고자 하는 직무와 관련된 전문자격증을 여러 개 취득해 놓았다면 도전할만 하다. 물론 문과 직무는 TO가 애초에 적은데다가 그나마 지방할당인재로 뽑히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이 지거국 출신인만큼 취업이 쉽지는 않다.
-
공인회계사, 세무사, 공인노무사 등 전문직 시험에 도전한다.
합격만 한다면 제일 좋은 루트.
대학원까지 간다면 선택지가 더 생긴다.
- 명문대 마케팅 석사라면 대기업 마케팅 리서치 직무에 지원할 기회가 생긴다.
- 그 이외의 경우 학문 탐구 목적이 아니라면 전일제 대학원은 사기업 취업에 불리할 수 있다. 기업에서는 취업 공백기간을 메꾸기 위해 억지로 석사를 딴 것이라고 생각한다.
- 독학사로 1년만에 학사 학위를 딴 뒤 일반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딴 경우라면 석사 학벌을 학사 학벌로 비슷하게 쳐 줄 수도 있다. 하지만 4년 이상 시간이 걸릴 경우 지방사립대와 동등하게 평가한다.
여담으로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경영학과가 취업시장에서 이상하리만치 떴었다. 심지어 전화기보다 훨씬 더[9] 떴던 적도 있지만 현재는 조금 사그라들었다. 즉 기술 위주의 한국 기업 문화에서 경영학과는 여전히 주류가 아니라는 것이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해 입증[10]되어 이후 경영학과와 공대 최상위 학과의 인기도 차이가 다시 따라잡혔다. 특히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해 금융권의 가혹한 구조조정으로 취업이 쉽지 않아진 점도 크다(이것은 10년째 현재진행형이다). 수학 교육 과정이 이상해서 수포자가 양산되다보니 공대나 경제학과에 대한 두려움에 경영대를 선택하는 경우는 많다.
현 시점에서는 이과생이 경영학과를 선택할 이유는 거의 없으나, 그래도 문과 취업 최강자임은 지금도 유효하다. 문과 가운데 취업이 잘되는 4대장이 경영, 경제, 통계, 사회복지 외 나머지 학과들은 심하게 말한다면 쩌리라고 말할 정도로 취업률이 낮기 때문이다. 굳이 따지면 행정학과가 공직 접근성 면에서 이 넷을 상회하고 문헌정보학과 정도가 이 넷과 비교되지는 않을지언정 취업 현황이 양호하다. 요컨대 경영학과 등 상경계 학과가 비상경계 학과에 비해서 전공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큰 것은 맞다. 하지만 공대와 같이 충분한 전문성을 제공해주지는 못한다. 그렇기에 양질의 취업을 위해서 여러 방향을 따져봐야 함으로 요약이 가능하다.
4. 경영학 관련 인증제도
4.1. KABEA 경영교육인증
자세한 내용은 경영교육인증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광운대학교 | 명지대학교 |
부산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연세대학교 | |
영남대학교 | 원광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전북대학교 | |
충남대학교 | 충북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양대학교 | |
홍익대학교 | }}}}}}}}} |
경영교육인증 문서에서 경영학과가 받아야 하는 KABEA 인증의 목적과 필요성, 장단점, 요구하는 학생수행평가기준(SPC)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4.2. AACSB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자세한 내용은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8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인증 현황 # | |||||
건국대학교 | 경북대학교 | 고려대학교 | 동국대학교 | 서강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
세종대학교 | 우송대학교 | 연세대학교 | 울산과학기술원 | 이화여자대학교 | 인하대학교 | |
중앙대학교 | 전남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양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
* 본교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로 캠퍼스명을 기재하지 아니함. | }}}}}}}}} |
AACSB(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라는 미국의 국제 경영인증이 있다. 외국어, 국제 인증을 취득한 모든 기관은 매 3년 또는 5년마다 유지 관리에 관한 추가 심사를 받은 이후 재인증의 절차를 밟게 된다. 이후 소극적인 교육 운영으로 재인증을 통과하지 못하면 다시 탈락하게 된다.
- 건국대, 경북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성균관대, 세종대, 연세대, 우송대, 울산과학기술원,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전남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외대, 한양대, 한양대 에리카
EQUIS 유럽 경영인증이 있다.
5. 과 분위기, 대학생활 팁
5.1. 경영학과는 경영지식만 겉핥기로 제공한다
경영학과는 경영 지식만 겉핥기로 제공한다. 경영학과를 나와서 배운 건 재무와 회계 밖에 없는 것 같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경영학과 학위를 가졌다고 해서 그 사람이 인사 능력이나 리더십, 금융경제적 감각, 조직정치적 감각, 사회문화에 대한 마케팅적 감각을 가졌다는 보장을 해주지 않는다. 일단 경영학계에서는 수많은 범위의 학문을 가르쳐야 하기 때문에 하나하나 깊이 들어가지 않는다. 하지만 경영학과에서 수박 겉 핥기로 배우는 그런 이론들은 모두 경제학과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통계학, 수학의 두터운 기반을 가지고 있다. 마케팅만 해도 소비자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통계적 기법들,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경제학적 기법들, 유통경로를 최적화하기 위한 수학적 기법들, 소비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심리학적 기법들, 소비자의 거시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정치학과 사회학적 기법들 등 수많은 기초 학문적 지식들이 압축되어 있다. 그래서 경영학을 심도있게 배우기 위해선 석사를 하거나 의대생 수준으로 방학도 반납하고 공부해야 한다.5.2. 과제
과제가 진짜 없어서 펑펑 논다는 뜬소문이 있는데, 그냥 헛소리. 물론 같은 메이저 과인 공대, 의대, 법대에 비해서는 그래도 공부량이 적긴 하다. 하지만 이것도 1학년 한정. 보통은 1학년 때는 학교에서 교양과목을 배치를 많이 하고 경영은 1학년때부터 전공을 빡세게 들어가지는 않기 때문에 좀 여유있는 편이다. 하지만, 2학년 때부터 전공을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시작하면 웬만한 공대생 못지 않게 공부를 해야되고 과제도 엄청나게 많다. 경제학과가 시험도 어렵고 과제도 많아서 반대급부로 경영학과는 좀 쉽다는 인식이 생겼는데, 세부 과목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경영학과는 조별과제가 매우 많은 학과이다.[11] 이 외에도 비록 조별과제는 아닐지라도 직접 기업을 조사, 취재, 심지어는 그를 바탕으로 향후의 전망까지 도출하는 과제도 있고, 아예 본인이 창업한다는 가정 하에 사업계획서를 만들어 내야 하기도 한다.특히 넓게 봐야 문과고 실상은 이과랑 다름없다라는 말인 광문의 유래가 경제학과와 경영학과일 정도로, 과목에 따라서는 인문계 학과 최대의 아킬레스건인 수학과 통계학도 동원된다.[12] 물론 문과 수학이 그렇듯이 수학은 문제를 해결할 여러 가지 수단 중 하나일 뿐이고 수학은 과의 핵심 키가 아니라 보조 키일 뿐이다. 하나의 프로그램 일지언정 수학이 컴퓨터 OS는 아니라는 이야기.
무엇보다 이런 일을 1학년 때부터 체험하게 된다. 경영학과 학생들이 널널하게 친목을 다지는 것처럼 비춰지는 모습은 사실 조별과제를 하는 모습을 여러사람이 어울려서 노는 걸로 착각한 경우가 많다. 학기 초부터 생판 남과 조를 짜서 조별과제를 하고, 방학하면 흩어져 대부분 남이 되는 과정을 학기당 몇 과목씩, 몇 학년씩 반복하는 것이 거의 일상이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에 큰 스트레스를 받고 타과로 전과해버리는 경우도 은근히 많다.
그래서 ' 인싸면 경영학과, 아싸면 경제학과 가라'라는 조언을 해주기도 한다. 물론 정확히 들어맞는 것은 아니지만, 경영학과는 PT 발표, 기업체 (현장) 조사, 창의적인 주제 선정, 조원 관리 등 고학점을 위해서는 고등학교 공부까지와는 다른 능력이 많이 요구되는데 반해, 경제학과는 '앉아서 진득히 공부하면' 학점 딸 수 있는 과목이 많기 때문이다. 그만큼 경영학과에서 과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는 소리다.
5.3. 경영대 인프라
경영대학이 사용하는 건물은 보통 웅장하고 화려한 편이다.[13] 사회에서 경영학과 출신에 대한 수요가 크기 때문에 대학 측에서도 경영학과 정원을 늘려서 대규모 학과로 편제해 놓아서 자연스레 경영대 건물도 커지게 된 경우가 많다. 게다가 MBA 운영 등으로 교내에서도 돈을 잘 버는 단과대이고, 동문 중에서도 기업인이 많아 펀딩이 수월한 등 타 단과대보다 인프라 확보를 위한 재원 조달이 쉽다.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의 경우 크고 으리으리한 건물을 3개나 보유하고 있는데 고려대학교 정경대학이나 문과대학은 경영대학보다 훨씬 정원도 많고 학과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작고 오래된 건물 하나씩만 갖고 있다. 물론 이것은 경영대 교수들의 적극적인 후원금 유치와 고려대 출신 기업인들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이 크다.
5.4. 교수들의 정치적 입장
교수들의 전반적인 성향은 우파에 가까운 편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게 최소 비용으로 최대의 이윤을 뽑아내는 것을 지향하는 학문인데다,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에 철저히 영합하여 '살아남는 법'을 연구하도록 구축된 학문이기도 하기 때문. 물론 단물을 뽑아먹을 찬스라는 점에서는 급격한 변화에도 잘 '적응'할 것을 주문하는 학문이기도 하다. 이 분야에서 노동 조건 개선의 계기로 잘 알려진 호손공장 실험도 절대 노동자의 권익 증진 따위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능률적으로 노동자의 생산량을 최대 효율로 늘릴까에 초점이 있었다. 운동권 출신 교수도 "설마 내가 자본주의의 첨병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며 자학드립을 하는 사례도 흔하다. 이것이 취업 전쟁에서 각 기업의 인사담당들에게 우대(?)받는 하나의 이유.특히 친미 성향을 가진 교수가 많다. 당연히 이들 대부분이 미국을 위시한 서구권으로 유학을 다녀왔기 때문이다. 경영학 유학을 소련이나 중국으로 갈 수는 없었으니까.
물론 이들은 경영학 연구자들이다 보니 경제적으로 친자본주의, 친미 성향을 가진 사람이 많다는 것일 뿐이다. 개인의 정치적 성향은 이와 별개로 진보적, 개혁적 성향을 띄는 이들도 얼마든지 많다. 아이러니하게도 자본주의의 선두주자로 여겨지는 미국 대학들이 경영학 교수들이 전체적으로 진보 성향이 조금 더 강한 편이라고 한다. 미국 전 대학들의 소속 교수들의 이념 성향을 연구한 사례에서 스텐리 로스맨(스미스대), 로버트 리히터(조지메이슨대), 나일 네비트(토론토대) 등 3명의 교수가 북아메리카학문연구조사(NAASS)를 근거로 경영학(진보 49 : 보수 39) 교수들의 연구성향을 발표했다.
5.5. 복수전공과 수강신청
문과 계열에서는 경제학과와 함께 취업의 숨통이 트이는 얼마 안 되는 길이다 보니 경영학과를 복수 전공하는 타과생들이 많다. 이 때문에 수강신청에서 타과생들이 경영학과 과목을 다 차지해 버리고 정작 경영학이 본전공인 학생들은 과목을 수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수학의 부담이 있어 비교적 인기가 덜한 경제학과보다는 경영학과에서 이런 현상이 심하다. 복수전공 제도를 운영할 때 적어도 본전공생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아야 하는데 주객이 전도되어 버렸다는 비판이 많다. 이 때문인지, 아니면 복수전공 자체의 인기가 높아서인지는 몰라도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경영대학 복수전공에 학점(평점)제한을 두는 경우가 매우 많다.몇몇 대학에서는 본전공생과 타과생의 TO를 분리하여 본전공생의 수강신청 전쟁을 덜어주기도 한다.
6. 교육과정
6.1. 학부 과정
경영학 학부 과정에서 가르치는 과목은 지역/학교/세부전공에 따라 최대 100개가 넘을 수 있으므로, 과목 이름만 다루고 자세한 내용은 경영학의 각 세부분야에서 소개하기로 한다.구분 | 세부 과목[14] |
전공기초 | 경영학원론, 경제학원론, 경영수학, 경영 통계학 |
재무관리 |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 투자론(Investments), 금융기관론(Financial Institution), 기업재무론(Corporate Finance), 선물옵션시장론(Option and Future Market), 벤처투자론(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증권시장론(Securities Markets), 기업가치평가(경영분석) |
회계학 | 회계학원론( 회계원리), 중급재무회계(Intermediate Accounting)/연습, 고급재무회계(Advanced Accounting), 원가회계(Cost Accounting),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고급, 세법개론(Taxation), 소득세법(Income Taxation), 법인세(Corporate Taxation)/연습, 회계감사(Auditing), 회계정보론(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기업법(Business Laws) |
경영과학- 운영관리 영역 | 경영과학[15], 생산관리+ 서비스운영관리[16], 공급사슬관리( SCM), 품질관리 |
마케팅 | 마케팅(Principles of Marketing), 소비자행동론(Consumer Behaviour), 마케팅조사론(Marketing Research), 촉진관리(Promotion Management),마케팅전략(Marketing Strategy), 유통채널관리(Marketing Channel Management), 제품관리(Product Management) |
인사조직관리 | 조직구조론/경영조직론(Organization Theory), 조직행동론(Organizational Behavior), 인사관리[17], 임금관리(Compensation Management), 노사관계론(Industrial Relations) |
Management[18] | 경영전략(Strategic Management), 벤처경영론(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Management),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 Social Responsibility and Business Ethics), 국제경영론 |
구분 | 세부 과목[19] |
영어 | Debate in Business, Business Communication, 무역영어(International Trade English)/고급 |
국제경제학 | 거시경제학(Macro Economics), 국제금융론(International Finance and Economics)+국제무역론(International Trade Theory)[20] |
전자무역 영역 | 무역학개론(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Trade), 국제상학(International Commerce), 사이버무역론(Global Cyber Trading Practice), 무역계약 및 관습론(International Contract and Mercantile Customs), 무역클레임론(International Business Claims), 무역관계법(International Trade Law), 국제운송론(International Transportation), 무역결제론(International Trade Settlements), 해상보험론(Marine Cargo Insurance), 글로벌무역 공급망 관리(Global trade supply chain management) etc |
6.2. 석사 과정
경영학 석사에는 크게 MBA와 MA/MS의 두 종류가 있다.6.2.1. MB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MBA 문서 참조. 실용적인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대학원의 일종이다. MBA는 대부분 수년간의 직장 경력이 있는 이들이 지원하며 학부를 졸업하고 바로 지원하기는 힘들다. 많은 학비가 요구된다.
강의, 사례연구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학부 수업과 유사하다.[21][22] 특정 세부전공에 치우치지 않고 경영학의 제반 분야를 모두 배운다. 졸업 논문을 쓰지 않고 졸업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6.2.2. M.Sc / M.A.
Master of Science/Master of Arts똑같은 이름이라도 크게 두 종류가 있다. 첫번째는 한 과목에 대해 논문을 쓰기 위한 학문에 대한 학술 석사이다. 두 번째는 사실상 취업 목적으로 운영하되 한 부분에 특화시킨 석사이다.
학문 연구를 위한 학술 석사
경영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하고 박사과정에 진학하기 위한 공부를 하는 일반 석사과정이다. 교과서를 가지고 공부하는 학부나 MBA와 달리 거의 모든 수업이 일정한 교과서 없이 논문 중심으로 돌아간다. 당연히 졸업논문이 필수적이다. 경영학 제분야를 모두 배우는 MBA와 달리 자신의 세부 전공만 선택해서 배우고 연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 경영대학에는 이 부류의 M.Sc./M.A. 과정이 없고 MBA, 경영학 박사(PhD)과정만 있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MS/MA 과정 자체가 최종적으로 박사학위 취득을 목표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이쪽 석사는 대학을 졸업하고 바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회계학(Accounting), 재무(Finance), 매니지먼트(Management), 마케팅(Marketing), 생산운영관리(Operations Management),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tems), 국제경영론(International Management), 조직관리 등의 세부전공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공부하게 된다.
MBA를 변형해 취업에 특화된 석사
최근 미국 경영대학에서는 MBA의 실용적인 목적을 유지하면서 세부 전공에 특화시킨 형태의 석사(Master) 학위과정이 개설되고 있다. 이런 과정은 1년짜리 단기 석사과정으로도 많이 개설되고 있다. 다만, 'M.Sc. in Business'와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은 전혀 다른 것이므로 구별에 주의를 요한다.
- 회계학 Accounting
- 재무 Finance
- 금융공학 Financial Engineering (Quantitative Finance, Risk management 등)
- 마케팅 Marketing
- 매니지먼트, Management
- 공급망 관리 Supply Chain Management
- 기타
6.3. 박사 과정
6.3.1. Ph.D.
Doctor of Philosophy경영학 PhD 과정은 경영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경영학의 특징상 분야별로 학문이 너무 달라 PhD 과정의 특징을 한곳에 서술하기는 사실 무리인 부분이 있다. 마케팅은 통계학이나 심리학과 연계되며, 재무는 경제학에서 나온 학문이다. 생산관리 등은 통계학 또는 산업공학과 밀접하다. 따러서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베이스가 너무 다르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영어, 통계학, 해당 분야에 대한 학부 지식이 필수적이다.[23]
일반인들이 ' 경영학'이라 생각하는 것과는 너무나 다른 것을 공부한다. 경영학 박사과정을 Super MBA로 생각하고 있던 지원자는 애초에 대학에서 뽑아주지도 않는다. SOP랑 writing sample에서 티가 다 난다.
경영학 박사 지원 (미국 기준) 시 유의사항은 선발 인원이 매우 적다는 것이다. 학교마다 상이하나 매년 대략적으로 0명에서 3명 정도 선발하고 있다. 물론, 많이 선발하는 과정 또한 있으나, 보통 5명을 넘어가지 않는다. 즉, 다른 전공 학생이 1곳 지원할 때, 경영학은 5-10곳 이상은 지원해야 인터뷰 오퍼 확률이 비슷해진다. 그런만큼,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물론, 박사 과정을 들어가서 전공 수업의 경우 혼자서 교수와 1대1로 듣는 경우가 태반이다.
명문대 회계학 박사의 경우 회계사를 하다가 회계법인에서 몇 년 일하다 다시 학계로 돌아오는 케이스가 종종 있다.[24] 다만 학문으로서의 회계학과 실무에서의 회계학은 많이 다르다. 학문으로서의 회계학은 사실상 미시경제학으로, 실무 경험이 있으면 좋지만 수학을 잘하느냐가 중요하다.
교수 임용의 경우, 회계학은 대한민국 공인회계사 소지자가 유리하다. 그리고 MBA가 점점 증가하면서 직장생활, 연구원 경력이 있는 사람을 선호하는 추세다. 해외 대학 교수 경험자( 조교, 포닥 제외)도 강력한 스펙이다.
전략-국제경영, 인사조직 쪽 분야는 박사 졸업자가 SSCI 없이 졸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수한 신입 박사는 AOM proceeding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논문 없이 AOM proceeding 실적 가지고 해외에 자리잡는 경우도 종종 있다. 주저자로 탑저널을 들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 이런 경우 대개 미국에 남는다.
재무, 회계의 경우는 해외 박사 졸업자가 출판된 논문 없이 졸업하는 경우도 많다. 논문 출판에 시간도 오래걸릴 뿐 아니라, 기초를 쌓는데만도 오랜시간이 걸린다. 해외 교수 임용시 보통 잠재력만을 보고 뽑는다.
하지만 한국에 임용되려면 우수한 저널 1편만으로는 안 되고, 정량평가 점수 자체가 다른 지원자들과 경쟁될 정도는 맞춰 놓은 상태에서야 우수 논문이 의미가 있다. 반대로, 우수한 저널 없이 KCI만 무더기로 들고 있는 것도 임용에서 거리가 멀다.
해외 대학에서는 다른 대륙 학자와 협동해서 논문을 쓰는 것도 임용에 반영한다.
6.3.2. DBA
Doctor of Business Administration"학술적 목적의 경영학과 박사를 부르는 다른 표현"과 "실용적 목적의 별도의 경영학과 박사를 부르는 표현"의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첫번째 뜻으로 쓰이는 곳이 하버드 대학교이다. 입학과정에서 학사 졸업 무경력자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대학의 Ph.D와 동등한 의미를 가진다. 하버드 DBA는 DBA라는 이름에서 오는 저평가와 그래도 명색이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박사라는 고평가가 혼재되어 여러 모로 포지션이 복잡한 학위이다. 일전에는 피츠버그 대학교가 이 학위를 부여했으나 이제는 폐지되었다. DBA 학위로 한국에서 교수를 하기도 했다.
두번째 뜻으로 쓰이는 곳은 많은 미국 대학들이다. 지원자격이 아래와 같이 되어서 학사 졸업 무경력자는 지원 불가능하다.
- 5~6년 이상의 직업 경력 필수 (석사 전이든 후든 상관없음)
- 경영학 분야의 석사 학위 소지 필수. (MBA-MA/MSc 무방)
6.4. 기타
경영학과의 장점을 잘 살리고 어필할 수 있는 공모전을 참가하면 좋다.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이나 직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분야인가가 더 중요하다. 공모전을 통해 이력서에서 본인의 도전경험이나 입상과정을 통해 현장의 문제해결 능력이나 조직에 필요한 팀워크, 창의적인 인재임을 증명해 보일 수 있다. 기획, 팀워크, 문제해결, 완성된 작품 등 하나의 완전한 프로젝트를 훌륭하게 소화해낸 현장경험이 풍부한 인재라는 점을 어필할 수 있다.7. 개설 교육기관
7.1. 대학
7.1.1. 수도권
국공립대학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술경영융합대학 경영학과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한경국립대학교 법경영학부 경영학전공
*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 철도경영·물류학과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술경영융합대학 경영학과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한경국립대학교 법경영학부 경영학전공
*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 철도경영·물류학과
사립대학
* 가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가톨릭대학교 *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경기대학교 소프트웨어경영대학 경영학부
* 경동대학교 경영학과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단국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대진대학교 글로벌산업통상대학 경영학과
*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명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삼육대학교 창의융합대학 경영학과
* 상명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글로벌경영학과, 융합경영학과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글로벌경영학과
* 서울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세종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수원대학교 경영공학대학 경영학부
* 숭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중부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부 경영학전공
*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청운대학교 경영학과
*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
*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항공경영학과
* 한신대학교 경영미디어대학 경영학전공
* 한성대학교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기업경영트랙/벤처경영트랙
*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가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가톨릭대학교 *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경기대학교 소프트웨어경영대학 경영학부
* 경동대학교 경영학과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단국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대진대학교 글로벌산업통상대학 경영학과
*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명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삼육대학교 창의융합대학 경영학과
* 상명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글로벌경영학과, 융합경영학과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글로벌경영학과
* 서울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세종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수원대학교 경영공학대학 경영학부
* 숭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중부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부 경영학전공
*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청운대학교 경영학과
*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
*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항공경영학과
* 한신대학교 경영미디어대학 경영학전공
* 한성대학교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기업경영트랙/벤처경영트랙
*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7.1.2. 관동권
7.1.3. 호서권
국립대학
* 국립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 충북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국제경영학과
* 한국교통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융합경영학과
* 한밭대학교 융합경영학과
* 국립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 충북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국제경영학과
* 한국교통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융합경영학과
* 한밭대학교 융합경영학과
사립대학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인문사회융합대학 경영학과
* 건양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융합경영학부
* 나사렛대학교 경영학과
* 남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 목원대학교 경영학과
* 배재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서원대학교 경영학부
* 선문대학교 경영학과
* 세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 순천향대학교 경영학과
* 우송대학교
*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 호서대학교 경영학부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인문사회융합대학 경영학과
* 건양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융합경영학부
* 나사렛대학교 경영학과
* 남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 목원대학교 경영학과
* 배재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서원대학교 경영학부
* 선문대학교 경영학과
* 세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 순천향대학교 경영학과
* 우송대학교
*
솔브릿지국제경영대학 솔브릿지경영학부
* 앤디컷국제대학 융합경영학부
*
청주대학교 경영학부* 앤디컷국제대학 융합경영학부
*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 호서대학교 경영학부
7.1.4. 영남권
국립대학
*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경상국립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부
* 국립안동대학교 경영회계학부 경영학전공
* 국립창원대학교 경영학과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영경제학부 해운경영전공
*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경상국립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부
* 국립안동대학교 경영회계학부 경영학전공
* 국립창원대학교 경영학과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영경제학부 해운경영전공
*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사립대학
* 경성대학교 경영학과
* 경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계명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 대구대학교 경영학부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융합경영학부
* 동명대학교 경영학과
*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동의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과
*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영학부
* 신라대학교 경영학과
* 울산대학교 경영학부
* 영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영산대학교 경영학과
* 인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경영학전공
* 경성대학교 경영학과
* 경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계명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 대구대학교 경영학부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융합경영학부
* 동명대학교 경영학과
*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동의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과
*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영학부
* 신라대학교 경영학과
* 울산대학교 경영학부
* 영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영산대학교 경영학과
* 인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경영학전공
7.1.5. 호남권
사립대학
* 광주대학교 경영학과
* 광주여자대학교 서비스경영학과
* 세한대학교 휴먼서비스학과 경영학전공
* 우석대학교 경영학부
* 원광대학교 경영학부
* 전주대학교 경영학과
* 조선대학교 경영학부
* 초당대학교 경영학과
* 호남대학교 경영학부
* 호원대학교 경영학과
* 광주대학교 경영학과
* 광주여자대학교 서비스경영학과
* 세한대학교 휴먼서비스학과 경영학전공
* 우석대학교 경영학부
* 원광대학교 경영학부
* 전주대학교 경영학과
* 조선대학교 경영학부
* 초당대학교 경영학과
* 호남대학교 경영학부
* 호원대학교 경영학과
7.1.6. 제주권
사립대학
* 제주국제대학교 융합경영학부
* 제주국제대학교 융합경영학부
7.2. 원격대학
국립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영학과
사립대학
- 경희사이버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고려사이버대학교 경영학과
- 국제사이버대학교 경영학과
- 부산디지털대학교 경영학과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마케팅·경영학과 경영학전공
-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영학과
- 서울사이버대학교 경영학과
- 세종사이버대학교 경영학과
- 숭실사이버대학교 경영학과
- 영진사이버대학교 산업경영학과
- 태재대학교 비즈니스혁신학부 글로벌경영전략트랙
-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학부
- 화신사이버대학교 복지경영학과
7.3. 과학기술원
7.4. 각종학교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예술경영전공
8. 출신 인물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들만 가나다 순으로 등재한다.8.1. 내국인
- 권해봄 -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 구본능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김광석 - 명지대학교 경영학과
- 김선우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김성용 - 공주대학교 경영학과
- 노재헌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박용택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박지원 - 단국대학교 경영학과
- 방상훈 - 오하이오 대학교 경영학과
- 방우영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 선동열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성완종 - 퍼시픽 웨스턴 대학 경영학과
- 성일종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경영학과
- 송중기 -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 신선우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 안정환 - 아주대학교 경영학과
- Young K -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 오상진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 유재학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 이건희 - 와세다대학 경영학과
- 이명박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이서진 - 뉴욕 대학교 경영학과
- 이선영 -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이주열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 임현서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장하성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전창진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정의선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조성민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조승연 - 뉴욕 대학교 경영학과
- 최정훈 - 경희대학교 경영학과
- 황환철 - 공주대학교 경영학과
8.2. 외국인
[1]
이 중 Management나 Administration은 공무원, 관료, 수동적인 뉘앙스가 있어 마케팅과 같이 적극적으로 시장을 개척하는
기업가정신을 중요시 여기는 학교에서는 해당 용어를 선호하지 않기도 한다.
MBA? 그 외에 Commerce도 쓰지만, 무역과 상업에 특정적인 단어라 드물다.
[2]
중앙대학교의 경우는 한 학년에 450명이 넘는다. 참고로 정시모집 다군의 몇 안되는 대학이다보니 경영학과 하나에만 지원자가 네 자리수를 넘는다.
[3]
무역학과가 독립하여 상대에 포함된 경우도 있다. 과거 고려대, 부산대 등. 현재 무역학과는 경영학과에 흡수통합되는 추세다.
[4]
미국의 경영학과는 학부에 설치된 경우가 드물며 주로 MBA 교육에 중점을 두는 독립된 단과대학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5]
국제경영과 다국적 기업을 중심으로 한다
[6]
당연히 명문대의 경우 이보다도 훨씬 더 높은 취업률을 기록한다. 게다가 명문대 상경계 학사들은 스펙을 높이기 위해
로스쿨에 진학하거나, 고위 공무원을 노리기 위해 장기적인 전략을 짜고 고시 공부에 임하는 점 등을 생각하면, 명문대의 실질적인 백수 비율은 더욱 낮아진다.
[7]
물론 지역인재우대 전형을 통과한 취업자의 출신대학은 대부분 지거국이다.
[8]
예: 제약이나 화학계 회사면 화학공학 관련 과목을 수강해두고, 전자제품계 회사라면 전자공학 관련 과목을 수강해두면 좋다.
[9]
IMF 당시 연구직을 우선 줄였고, 그래서 "
공대가 아닌 경영학과로 가야 임원 승진에 유리하다"는 속설이 퍼졌다.
[10]
문과 TO를 우선 줄였으나,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공대 출신 TO는 오히려 늘렸고, 재벌기업 상무이상급 임원진의 공대 TO가 급증했다.
[11]
물론 모든 수업에 있다는 것은 아니고 학교 by 학교, 교수 by 교수이지만 대체로 회계나 재무 과목에는 조별과제가 없고 다른 분야 과목에는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마케팅 과목은 무조건 조별과제가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때문에 수학 좀 한다는 학생들은 재무, 회계 과목 위주로 듣는 경향이 있는 편.
[12]
경영대생들은 어디까지나 문과인데다 수학 외에도
심리학,
인문학, 사회학, 광고학 등 다방면의 멀티플레이어여야 한다는 점을 생각하자.
생산운영관리나
MIS 같은 과목은 공학과 결합되기도 한다.
[13]
대표적으로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학생들이 사용하는 310관은 대학 건물 중 단일 건물로 국내 1위이다. 연면적이 자그마치 73,889제곱미터(!)이며 여의도 IFC몰이 76,021제곱미터인걸 고려해보면 엄청난 수준이다.
[14]
참조:
https://www.cau.ac.kr/02_univ/university/economy/business01.php
[15]
Management Science 또는 Operation Research
[16]
생산관리와 서비스운영관리를 합쳐 운영관리(Operation Management)로 개설되기도 함.
[17]
인적자원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
[18]
'경영일반'.
경영전략과
국제경영론을 포함하는 분야.
[19]
참조:
https://www.cau.ac.kr/02_univ/university/economy/business01.php
[20]
국제금융론과 국제무역론을 합쳐
국제경제학으로 개설하기도 함
[21]
사실 미국에서는 경영학과 자체가 MBA로 시작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아이비리그 등 전통있는 학교에는 학부에 경영학과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 MBA 커리큘럼을 학부로 가져와 경영학과로 만든 것이 우리나라다. 우리나라 경영학과에서 쓰이는 교재들 상당수가 MBA용으로 제작된 것이다.
[22]
실제로 MBA 수업과 학부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다. 특히 원서 종류.
[23]
그 외에 자기 분야 지식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회계학, 재무관리 분야는 수학이 많이 필요하다.
[24]
실무 경험도 없고 회계사도 아닌 사람이 지원에서 이런 지원자와 맞부딪히면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