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8:23:55

PokéRogue

<colbgcolor=#2471a7><colcolor=#fff> 파일:pokerogue_logo.png
개발 Pagefault Games
장르 RPG, 로그라이크
플랫폼 ( TypeScript)
릴리즈 2024년 3월
언어 영어, 한국어[1]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위키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
2.1. 모드
2.1.1. 클래식 모드2.1.2. 데일리 런2.1.3. 엔들리스 모드2.1.4. 스플라이스드 엔들리스 모드
2.2. 바이옴2.3. 진화
2.3.1. 진화의돌2.3.2. 바이옴 진화2.3.3. 아이템 진화2.3.4. 통신 진화2.3.5. 친밀도 진화2.3.6. 레벨 업 진화2.3.7. 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2.4. 알
2.4.1. 알 뽑기2.4.2. 알 바우처
2.5. 배틀 기믹

[clearfix]

1. 개요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의 대전을 기반으로 한 로그라이트 팬 게임이다. 공식적으로 Risk of Rain 2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게임 메인 페이지에서 밝히고 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 가능한 웹게임이며, 공식 깃허브에서 PC나 모바일에서 실행 가능한 오프라인 버전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2] 24년 5월 30일 공식으로 온라인 한국어 버전이 나와 한국 기기로 접속 시 기본적으로 한국어로 실행된다.

2. 특징

일반적인 포켓몬 시리즈와 달리 맵 등 탐험 요소가 전혀 없는 PvE 게임이며, 로그라이트의 게임 방식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 웨이브마다 랜덤하게 아이템이 지급된다. 많은 로그라이크 게임처럼 어떤 아이템이 등장하는지에 따라 게임 난이도 차이가 크다.

포켓몬 본가 방식의 배틀만 등장하며, 배틀은 야생 배틀, 트레이너 배틀, 보스 배틀 같은 웨이브(wave)로 나뉜다. 본가와 마찬가지로 최대 6마리까지 데리고 있을 수 있고, 6마리가 모두 기절하는 경우 게임 오버 처리가 되어 해당 저장 데이터는 사라진다.[3]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는 1~9세대의 스타팅 포켓몬만 선택할 수 있으나,[4] 게임을 진행하며 포켓몬을 잡거나 알을 부화하면 새로 하기(New Game)를 할 때 잡거나 부화한 포켓몬을 고를 수 있게 된다.

포켓몬은 9세대까지 전부 등장하며, 메가진화 리전폼 등 배틀 기믹도 존재한다. 레벨 100이 한도인 포켓몬 본가와는 달리 레벨 제한이 없기 때문에 수백, 수천 레벨의 포켓몬도 볼 수 있다.

이미지는 모두 5세대 도트 그래픽 기반이며, 공식 도트 그래픽이 없는 6세대부터는 팬메이드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게임 기본 그래픽 설정은 5세대 포켓몬까지만 움직이고 6세대 포켓몬부터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설정 메뉴의 'Sprite Set'에서 'Mixed Animated'를 선택하면 6~9세대 포켓몬도 움직이는 도트 스프라이트를 볼 수 있다.

2.1. 모드

포켓로그에는 총 4개의 게임 모드가 있다.
  • 클래식 모드(Classic Mode)
  • 데일리 런(Daily Run)
  • 엔들리스 모드(Endless Mode)
  • 스플라이스드 엔들리스 모드(Spliced Endless Mode)

2.1.1. 클래식 모드

클래식 모드는 가장 기본적인 모드로,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바뀐다.[5] 총 200개의 웨이브까지 존재하며, 웨이브 200에서 승리하면 엔들리스 모드가 해금된다.

일반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 이외에 야생 보스 포켓몬, 일반 트레이너, 라이벌, 체육관 관장, 사천왕, 챔피언과의 배틀이 존재한다.

첫 체육관 관장은 웨이브 20 혹은 웨이브 30에 등장하며,[6] 첫 관장을 기준으로 30웨이브마다 새로운 관장이 등장한다. 관장 및 관장의 소지 포켓몬은 어느 바이옴에서 조우하냐에 따라 달라진다. 첫 체육관 관장이 20웨이브에서 나오든 30웨이브에서 나오든 총 6명의 체육관 관장을 상대하게된다.

사천왕은 웨이브 182, 184, 186, 188에, 챔피언은 웨이브 190에 등장하며, 사천왕-챔피언은 같은 지역 출신으로 통일된다.[7]

라이벌의 경우 플레이어의 선택 성별의 반대 성별 라이벌이 등장하며 정해진 웨이브에서만 등장한다. 웨이브 8에서 처음 고정으로 등장하고, 이후 웨이브 25, 55, 95, 145, 195에서 재등장한다. 라이벌의 소지 포켓몬은 전부 랜덤이지만, 정해진 규칙은 존재한다.
  • 우선 1~9세대의 스타팅 포켓몬[8] 및 초반 새 포켓몬[9]을 무조건 하나씩 데리고 있으며, 첫 전투인 8웨이브에서 이 2마리 포켓몬으로 싸운다.
  • 이후 만날 때마다 1마리씩 늘어나는데, 3번째 포켓몬으로는 전설의 포켓몬 혹은 환상의 포켓몬이 아닌, 종족값 450 이상의 1단 진화 포켓몬을 랜덤하게 소지한다.[10] 나머지 2마리는 종족값 540 이상의 2단 진화 포켓몬을 랜덤하게 사용하며, 소지 포켓몬의 타입이 겹치지 않게 등장한다. .
  • 그리고 145웨이브부터 등장하는 라이벌의 마지막 포켓몬은 이로치 레쿠쟈로 고정되며, 마지막 배틀에서 이 레쿠쟈는 메가진화한다.

체육관 관장 및 챔피언 배틀이 아닌 10의 배수 웨이브에서는 야생 보스 포켓몬이 등장한다. 보스 포켓몬은 해당 바이옴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중에서 랜덤하게 나타나고, 실드와 패시브가 있어 일반 포켓몬보다 체력을 깎기 어렵다. 그렇지만 상태이상은 그대로 적용되며, 실드를 전부 깨트린 경우 포획도 가능하다.[11]

웨이브 191 부터는 페러독스 포켓몬들로 고정되며 이들을 잡을 순 없고 만일 이들의 원종이 도감에 등록되어 있다면 잡을 수 있게 되지만 원종의 중복 포획 취급이 된다. 마지막인 웨이브 200에서는 무한다이노가 고정으로 등장하며[12] 체력을 1/4 까지 깍으면 무한 다이맥스로 변신해 2 대 1 구도로 싸우게 된다.

트레이너 배틀 시 AI가 교체 플레이를 적극적으로 하기 때문에, 스텔스록이나 압정류 스킬의 가치가 매우 높다.

2.1.2. 데일리 런

클래식 모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부터 플레이 가능한 모드이다. 총 웨이브 50까지 존재하며, 클래식 모드처럼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바뀐다.

본인이 선택한 5레벨 포켓몬으로 시작하는 클래식 모드와는 달리, 랜덤한 20레벨 포켓몬 3마리를 데리고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랜덤한 클래식 모드와는 다르게 데일리 런에서는 24시간 동안 난수값이 고정되어 있어 항상 같은 개체값의 포켓몬과 같은 포켓몬을 지닌 트레이너가 같은 웨이브에서 등장한다. 데일리 런에서 잡은 포켓몬도 클래식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13]

데일리 런은 한국 시간 오전 9시에 리셋되며, 알 바우처 같은 보상 아이템은 24시간에 1번씩만 얻을 수 있다. 상술하듯 모든 사람에게 난수값이 고정이기 때문에 그날그날 확실한 공략법이 존재하며, 보통 유튜브에 일일 공략법이 올라온다.

2.1.3. 엔들리스 모드

처음에는 해금되어 있지 않으나, 클래식 모드를 한 번이라도 깼다면 진입할 수 있는 모드다. 문자 그대로 '엔들리스' 모드이나, 2024년 5월 기준 웨이브 5850이 마지막 웨이브로 설정되어 있다.

첫 소지 포켓몬을 10포인트 한도에서 고를 수 있는 클래식 모드와 달리 15포인트 한도로 포켓몬을 고를 수 있다. 바이옴은 1~4웨이브마다 변경되고, 지도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50웨이브마다 랜덤한 보스 패러독스 포켓몬이 등장하고, 250웨이브마다 무한다이노가 등장하며, 1000웨이브마다는 무한다이맥스 무한다이노가 등장한다.

2.1.4. 스플라이스드 엔들리스 모드

융합체 포켓몬을 지닌 상태에서 클래식 모드를 클리어하면 해금되는 모드이다.[14] 이 모드에선 스타팅 포켓몬을 포함한 모든 포켓몬이 융합체 상태로 등장하여 랜덤성이 일반 모드보다 훨씬 커진다. 이외의 진행 방식은 일반 엔들리스 모드와 같다.

2.2. 바이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kéRogue/바이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진화

포켓몬 본가 게임을 바탕으로 한 게임이기 때문에, 레벨 업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레벨에 도달하면 진화할 수 있다. 본가 게임에서는 더블 배틀이나 트레이너 배틀 중 진화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는 배틀이 종료되었을 때 기절하지 않은 상태여야 진화가 이루어지지만, 포켓로그에서는 배틀 도중이더라도 조건이 충족되면 즉시 진화한다.

게임 특성상 조건 없는 레벨 업이 아닌 다른 진화 방식은 조금 변경되었다.

2.3.1. 진화의돌

진화의돌을 통한 진화의 경우, 웨이브를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아이템으로 진화할 수 있다. 소지한 포켓몬 중 진화의돌로 진화하는 포켓몬이 있다면,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진화의돌이 등장한다. 보통 진화의돌 진화의 경우 기술 되살리기가 아니라면 기술을 새로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포켓로그에서는 진화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타이밍 계산을 잘 해야 한다.[15]

엘레이드 눈여아는 가디안, 얼음귀신과 같은 레벨 업 진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진화의돌 진화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포켓몬도 있다.

2.3.2. 바이옴 진화

일부 리전폼 포켓몬은 특정 바이옴에서만 진화할 수 있다.
  • 파일:icon0105_f01_s0.png 알로라 텅구리: 탕구리가 섬이나 해변 바이옴에서 진화.
  • 파일:icon0110_f01_s0.png 가라르 또도가스: 또가스가 메트로폴리스(metropolis)나 슬럼(slum) 바이옴에서 진화.
  • 파일:icon0122_f01_s0.png 가라르 마임맨: 흉내내가 얼음동굴(ice cave)나 눈 덮인 숲(snowy forest) 바이옴에서 진화.

2.3.3. 아이템 진화

진화의돌과 마찬가지로 아이템을 사용하여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을 때 웨이브 클리어 보상으로 일정 확률로 진화 아이템이 등장한다.

이 방식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은 애프룡, 단지래플, 과미르, 카디나르마, 파라블레이즈, 브리두라스, 가라르 야도란, 가라르 야도킹, 우라오스, 마휘핑[17], 포트데스, 사마자르, 그우린차, 다투곰이다.

2.3.4. 통신 진화

포켓로그는 싱글플레이 게임이기 때문에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처럼 '연결의끈(Linking Cord)'이라는 아이템이 있어야 통신 진화 포켓몬을 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아이템 진화처럼, 통신 진화하는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연결의끈이 등장한다.

대부분 아이템을 사용하면 즉시 진화하지만, 특정 조건하에서 통신 교환을 해야 진화하던 포켓몬은 진화 조건이 일부 변경되었다. 왕구리 야도킹 왕의징표석 없이 연결의끈만 사용해도 진화한다.[18]
  • 파일:icon0208_f00_s0.png 강철톤: 강철 타입 기술을 배운 상태에서 연결의끈 사용.
  • 파일:icon0212_f00_s0.png 핫삼: 강철 타입 기술을 배운 상태에서 연결의끈 사용.
  • 파일:icon0589_f00_s0.png 슈바르고: 쪼마리를 한 번이라도 잡거나 부화한 후 연결의끈 사용.
  • 파일:icon0617_f00_s0.png 어지리더: 딱정곤을 한 번이라도 잡거나 부화한 후 연결의끈 사용.

2.3.5. 친밀도 진화

게임 특성상 친밀도를 올리기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친밀도 진화의 필요 친밀도 수치가 매우 낮아졌다. 아래 펼치기는 친밀도 진화 조건이며, 괄호 안은 진화 이전 포켓몬의 초기 친밀도이다. 타부자고는 원래 친밀도 진화 포켓몬이 아니지만, 본 게임에서는 친밀도 진화로 변경되었다.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025_f00_s0.png 피카츄: 90 (70)


친밀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황은 3가지가 있다.
  • 배틀[19] : 클래식 모드 +4, 이외 모드 +2
  • 이상한사탕[20] : 클래식 모드 +10, 이외 모드 +5
  • 기절[21] : 클래식 모드 -20, 이외 모드 -10

2.3.6. 레벨 업 진화

원래는 특정 진화 조건이 있던 일부 포켓몬의 경우, 레벨 업 방식의 진화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진화였지만 다른 진화 형태와 진화 방식을 구분하기 위해 조건이 추가된 경우도 있다.

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475_f00_s0.png 엘레이드: 수컷 킬리아 레벨 30 진화[22]


특정 시간대에 레벨 업[24]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157_f00_s0.png 블레이범: 새벽이나 낮에 레벨 36 진화


기타 조건 레벨 업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226_f00_s0.png 만타인: 총어를 잡거나 부화한 적이 있는 상태에서 레벨 32 진화

2.3.7. 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엄밀히 따지면 진화가 아닌 폼 체인지로 분류되지만, 시스템의 한계상 진화의 돌처럼 상점에서 아이템을 구매하여 항시 진화시키는 형식으로 구현되어있다.

상점에서 메가링/다이맥스밴드를 구매하면 이후 나이트/다이버섯이 등장하며, 이를 사용가능한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진화의돌을 사용하는 진화처럼 진화하게 되며, 이후 인벤토리에서 변화를 되돌릴 수 있다.

다만 거다이맥스의 경우 원본과 같이 다이맥스기술 없이 단순 스탯의 증가만 있어, 팬텀처럼 메가진화와 다이맥스가 모두 있는 포켓몬의 경우 메가진화가 조금 더 선호되는 편이다.

큐레무, 네크로즈마등 다른 포켓몬과 합체해서 폼 체인지를 하는 전설의 포켓몬의 경우, 다른 포켓몬 없이 원본이 되는 포켓몬만 있어도 상점에서 폼 체인지에 사용되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합체시킬 수 있다.

2.4.

포켓로그에는 본가 게임과는 달리 맵이 없기 때문에, 교배로 알을 얻을 수는 없다. 그 대신 여러 경로로 얻은 알 교환 바우처(voucher)를 알 뽑기(Egg Gacha)에 사용하여 알을 얻을 수 있다. 한마디로 가챠권을 모아 가챠하는 것. 알의 종류는 총 6개가 있으며 알을 얻은 뒤 게임을 하면 특정 웨이브 수 이후 자동으로 부화한다.
  • 일반(Common): 203/256의 확률로 획득.[28] 1~3 코스트 포켓몬이 10웨이브 후 부화.
  • 희귀(Rare): 44/256의 확률로 획득. 4~5 코스트 포켓몬이 25웨이브 후 부화.
  • 에픽(Epic): 7/256의 확률로 획득. 6~7 코스트 포켓몬이 50웨이브 후 부화. 주로 준전설이나 환상의 포켓몬이 나온다.
  • 전설(Legendary): 1/256의 확률로 획득. 8~10 코스트 포켓몬이 100웨이브 후 부화. 주로 전설의 포켓몬이 나온다
  • 확정 전설(Legendary Gacha Target): 일반 뽑기에서는 얻을 수 없고, 전설 업! 뽑기에서만 1/256 확률로 획득. 100웨이브 후 뽑기에 표시되었던 전설의 포켓몬이 나온다.
  • 마나피(Manaphy): 1/256의 확률로 획득. 50웨이브 후 부화하며, 1/8 확률로 마나피가 태어나고, 7/8 확률로 피오네가 태어남.

알에서 부화한 포켓몬은 개체치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고, 랜덤한 알 기술 하나가 해금된다. 부화할 때 알 기술 4개 중 하나가 골라지고 잠겨있는 기술이었으면 해금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미 해금된 기술이 골라졌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2.4.1. 알 뽑기

  • 기술 업! 뽑기(Move UP! gacha)
    부화한 포켓몬이 희귀 알 기술(알 기술에서 4번째에 배정된 기술)을 배울 가능성이 높다. 이 알 기술들은 본가의 알 기술이 아닌 기술머신으로 배우는 기술이나 원래 못 배우는 기술들이 들어가 있으며 4번째 기술은 아예 다른 포켓몬의 전용기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통해 포켓몬의 견제폭과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다.
  • 전설 업! 뽑기(Legendary UP! gacha)
    흔히 픽업 가챠라고 말하는 그것. 1/256 확률로 뽑기에 표시된 픽업 전설의 포켓몬이 부화하는 알을 얻을 수 있다. 픽업 포켓몬은 한국 시간 오전 9시에 바뀐다. 참고로 오프라인 모드에서 기기의 날짜를 조작하면 다른 날짜의 픽업을 볼 수 있다.
  • 다른 색 업! 뽑기(Shiny UP! gacha)
    1/64 확률로 색이 다른 포켓몬이 부화하는 알을 얻을 수 있다. 다른 뽑기의 알에서는 1/128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이로치는 일반 이로치 - 희귀 이로치 - 에픽 이로치가 존재하며 기절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각각 행운을 1 - 2 - 3 올려주며 행운이 높을수록 상점에 나온 아이템의 티어가 올라갈 확률이 높아진다.

2.4.2. 알 바우처

  • 일반 바우처(Regular Egg Voucher): 알 1개를 뽑는 바우처. 10개로 10연챠를 하면 희귀 알 하나가 확정으로 나온다.
    획득처: 클래식 모드에서 이미 승리한 적이 있는 체육관 관장이나 사천왕, 챔피언에게 승리.
  • 플러스 바우처(Egg Voucher Plus): 알 5개를 뽑는 바우처.
    획득처 : 클래식 모드 클리어 기록이 없는 포켓몬으로 클래식 모드 클리어. (기록 없는 포켓몬 당 하나씩 획득) / 클래식 모드에서 승리한 적이 없는 체육관 관장이나 사천왕에게 승리. / 무한 모드에서 50의 배수 라운드를 클리어. (250의 배수 라운드는 제외)
  • 프리미엄 바우처(Egg Voucher Premium): 알 10개를 뽑는 바우처. 희귀 알 하나가 확정으로 나온다.
    획득처 : 클래식 모드에서 승리한 적이 없는 챔피언에게 승리. / 클래식 모드(2번째 이후)나 데일리 런(하루에 한 번만) 클리어. / 무한 모드에서 250의 배수 라운드를 클리어.
  • 황금 바우처(Egg Voucher Gold): 알 25개를 뽑는 바우처. 에픽 알 하나가 확정으로 나온다.
    획득처: 클래식 모드를 최초로 클리어.

2.5. 배틀 기믹

메가진화, 다이맥스, 테라스탈이 모두 존재하며 각각의 기믹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29]를 얻고 해당 기믹을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을 엔트리에 소지하고 있다면 관련 도구가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메가진화의 경우 진화의돌과 비슷하게 ~나이트를 고르면 해당 포켓몬에게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진화와 동일한 판정이라 메가진화 상태가 쭉 유지된 채로 앤트리에 존재할 수 있다. 쓰러져도 풀리지 않으며 앤트리 내에 여러 메가몬을 중복해서 소지할 수도 있으며, 상태창에서 임의로 메가진화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이맥스의 경우 거다이맥스 형태가 존재하는 포켓몬만 거다이맥스 할 수 있으며 공용아이템인 다이버섯을 사용하면 된다. 판정은 메가진화와 동일하게 상태를 쭉 유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임의로 해제할 수 있다. 다만 체력이 2배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메가진화처럼 총합이 100 늘어난 새로운 종족값을 가지게 되며 다이맥스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에 원작에 비하면 다소 소소하지만 무게관련 기술, 앙코르, 사슬묶기, 풀죽음에 면역인 점은 구현되었다.

테라스탈의 경우 테라스탈오브를 획득한 이후 특정 타입으로 변화시켜주는 피스들이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피스를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배틀 참가 여부와 상관없이 10경기 동안 해당 타입으로 변하며 포켓몬 모습에 해당 타입의 색깔이 입혀진다. 클래식모드 중에 네임드 npc들이 절찬리에 애용중이며[30] 마찬가지로 파티 내 중복 적용이 가능하다.


[1] 현재 영어 외에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중국어(간체), 한국어를 지원한다. [2] 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하던 정보를 다운받아 오프라인에서 이어서 할 수는 있으나, 오프라인 플레이 정보를 공식 홈페이지로 불러올 수는 없다. [3] 하지만 체력 회복이나 부활 아이템을 게임 중 얻을 수 있고, 일정 웨이브마다 전체 포켓몬의 체력과 상태이상을 회복해 주기 때문에 너즐록 챌린지처럼 포켓몬이 기절했다고 더 이상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4] 모든 개체값이 10으로 고정되어 있다. [5] 지도 아이템을 얻은 경우 일정 확률로 다음 바이옴을 선택할 수 있다. [6] 웨이브 20에 등장할 확률과 웨이브 30에 등장할 확률은 각기 50%이다. [7] 예를 들어 칸나가 등장하는 경우, 다른 사천왕과 챔피언은 시바, 국화, 목호, 그린으로 고정되고, 다른 지방 사천왕이나 챔피언이 등장하지 않는 것이다. 단, 석영리그에서 성도 사천왕이 나올 경우, 챔피언이 목호 대신 레드가 등장하며 테라스탈을 가진 라이츄를 들고온다. [8] 이상해꽃, 리자몽, 거북왕, 메가니움, 블레이범, 장크로다일, 나무킹, 번치코, 대짱이, 토대부기, 초염몽, 엠페르트, 샤로다, 염무왕, 대검귀, 브리가론, 마폭시, 개굴닌자, 모크나이퍼, 어흥염, 누리레느, 고릴타, 에이스번, 인텔리레온, 마스카나, 라우드본, 웨이니발 계열 중 하나. [9] 피죤투, 야부엉, 스왈로, 찌르호크, 켄호로우, 파이어로, 왕큰부리, 아머까오, 찌리비크 계열 중 하나. [10] 영원의 꽃 플라엣테나 붉은 달 다투곰은 전설의 포켓몬은 아니지만 라이벌이 소지하지 않는다. [11] 단, 마스터볼은 다른 볼과는 달리 체력이 전부 차 있는 상태에서도 던질 수 있다. [12] 작중에서 유일하게 포켓몬 임에도 말을 한다. 타이틀 화면에서 무작위로 나오는 스플래시등 중에서 ' RoR2에 강하게 영감을 받았어요!'는 바로 무한다이노의 대사를 가르킨다. [13] 단, 개체값이 모두 고정이기 때문에 같은 웨이브에 등장하는 포켓몬을 여러 번 잡아도 의미가 없다. [14] 게임 중 등장하는 유전자쐐기(DNA Splicers) 아이템을 사용하면 지니고 있는 포켓몬 두 마리를 선택하여 융합할 수 있다. 융합체 포켓몬의 능력치는 두 포켓몬의 평균값으로 변하고, 두 포켓몬의 기술 배치를 이어받는다. 레벨과 개체값, 성격, 제1 타입, 패시브는 첫 번째 포켓몬을 따라가며, 제2 타입 및 특성은 두 번째 포켓몬을 따라간다. 두 번째 포켓몬이 단일 타입 포켓몬인 경우, 첫 번째 포켓몬의 제1 타입과 두 번째 포켓몬의 제2 타입을 이어받는다. [15] 기술 되살리기용 아이템도 존재하나, 등장 확률이 아주 높지는 않다. [16] 포켓로그에서는 40웨이브가 하루에 해당하며, 낮(day)이 15웨이브, 황혼(dusk)이 5웨이브, 밤(night)이 15웨이브, 새벽(dawn)이 5웨이브인 사이클로 돌아간다. [17] 마휘핑은 진화 시점의 바이옴에 따라 폼이 달라진다. [18] 원래는 왕의징표석을 지닌 상태에서 연결의끈을 사용해야 했으나, 패치로 왕의징표석 없이 진화할 수 있게 바뀌었다. [19] 선두로 나가서 포켓몬을 쓰러트리거나, 선두로 나가서 야생 포켓몬을 포획하거나, 교체되어 잠깐이라도 배틀에 참여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처리된다. 배틀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경험치만 얻는 경우에는 오르지 않는다. [20] 파티 전원의 레벨을 올려주는 더이상한사탕도 동일한 수치의 친밀도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파티 전원의 친밀도가 동시에 오르게 된다. [21] 부활의씨앗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밀도가 감소하지 않는다. [22] 암컷이면 가디안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수컷 가디안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암컷 킬리아만 가디안으로 진화할 수 있다. [23] 수컷이면 얼음귀신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암컷 얼음귀신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수컷 눈꼬마만 얼음귀신으로 진화할 수 있다. [24] 라란티스는 본가와 진화 조건이 같다. [!]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28] 전설 업! 뽑기에서는 202/256 확률. [29] 메가링, 다이맥스밴드, 테라스탈오브 [30] 팔데아지방 사천왕처럼 기존 타입을 가진 포켓몬을 테라스탈시키는 소위 자속테라로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