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5:55:37

일본인 캐릭터

국가별 캐릭터
[[한국인 캐릭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일본인 캐릭터|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중국인 캐릭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미국인 캐릭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인도인 캐릭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유대인 캐릭터|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유대인]]
[[영국인 캐릭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인 캐릭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독일인 캐릭터|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러시아인 캐릭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아랍인 캐릭터|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이집트인 캐릭터|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1. 개요2. 상세3. 목록
3.1. 한국 작품3.2. 일본 작품3.3. 미국 작품3.4. 기타 국가 작품
4. 설정상 일본과 관련이 있는 캐릭터

1. 개요

일본이 아닌 다른 국가의 창작물에 등장하는, 일본 국적을 가진 캐릭터에 관한 문서.

2. 상세

서브컬처 시장이 미국과 일본 둘이서 쌍두마차를 달리다 보니 타국 매체에서 나오는 일본인 캐릭터는 거진 미국 콘텐츠를 봐야 나오지만 그마저도 자주 나오는 편은 아니며 일부는 중국인 캐릭터와 크게 다를 게 없이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우선, 미국 등 콘텐츠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은 이미지는 평소에는 친절하게 다가가더라도 뒤에서 몰래 뒷통수칠 생각을 하는[1] 음흉하거나 성진국(...)이란 인식으로 변태 캐릭터로 묘사된다. 일본인 여캐는 전통 기모노를 입는 야마토 나데시코인 경우가 많다.

그밖에 닌자 사무라이, 게이샤 설정을 갖고 신비하게 등장하는 경우도 많으며 가라테 고수라는 설정도 자주 나오는 클리셰다.[2]

일반적으로 일본인의 이름을 지을 때에는 대표적인 성씨로 \' 나카무라'와 \' 야마모토'가 자주 사용된다.[3]

3. 목록

당연히 일본에서 제작된 일본 배경 작품의 캐릭터는 제외한다. 일본에서 제작된 작품이라도 작중 배경이 일본이 아닌 다른 나라가 되거나[4] 일본 국적의 캐릭터가 적어서 캐릭터의 특징이 일본인인 경우를 작성한다. 이 경우 이름 옆에 ★로 표시했다.

배우 및 성우가 일본인인 경우 ☆표시.

3.1. 한국 작품

3.2. 일본 작품

일본에서 만들었지만 극중 배경이 일본이 아니거나 일본인인 것이 캐릭터의 특징일 경우 기재.

3.3. 미국 작품

3.4. 기타 국가 작품

4. 설정상 일본과 관련이 있는 캐릭터



[1] 진주만 공습과 버블 경제당시 일본의 경제성장때문에 이런 이미지가 생겼다. [2] 그나미 이 정도도 예전에 비하면 서양 창작물에서 일본풍과 중국풍이 많이 구별되는 거라고 볼 수 있다. 예전에는 서양 창작물에서 일본인 캐릭터가 중국풍으로 또는 중국인 캐릭터가 일본풍으로 싸잡힌 오류가 엄청 많이 반영되었다. 내 이름은 상하이 조가 후자의 대표적 사례다. [3] 일본 국내에서는 ' 야마다'가 대표적이다. 관공서나 은행의 서식 예시에 한국에서 ' 홍길동'/'성춘향'이 널리 쓰이듯, 일본에서는 '야마다 타로(山田太郎)'/'야마다 하나코(山田花子)'가 많이 쓰인다. [4] 단, 가상의 국가라도 분위기를 비롯한 특징이 일본풍이라면 마찬가지로 제외한다. [5] 재일 한국인이다. [6] 한일 합작이며, 작중 배경은 미국 서부 개척 시대를 콘셉트로 하였다. [7] 일본어 더빙판 설정에서 '오밍 키사라기'라는 풀네임이 설정되었다. [8] 엄밀히 말해 야마토 민족이다. 당시 기준으로 일본인이 아닌 아이누, 류큐인은 제외. [9] 73화 등장으로 우에하라 아이를 모티브로 했다. [10] 닌자+사무라이 콘셉트로서 영화 설정으로는 재일교포로 설정되어 있다. G.I. Joe의 콜라보 캐릭터로 2014년 8월에 6개월간 등장하고 2015년 2월에 하차했다. [11] 일본인 어머니 밑에서 태어난 일본계+스페인계 혼혈아로 출신지가 아르헨티나다. [12] 이상기후에서 살아남기, 고층 건물에서 살아남기 편에 등장한다. [13] 미스터 초밥왕》 작가 데라사와 다이스케가 모델. 그 밖에도 초반부분의 밥관련 에피소드에서나 복어 관련 에피소드에서 동명이인 스즈끼들이 등장한다. [14] 이쪽은 애매하긴 하지만 셰리의 유물인 신편귀독주의 원래 주인이 슈텐도지를 죽인 설화로 유명한 미나모토노 요리미츠다. [15] 정확히는 아이누족. [16] 신연예인지옥 외전2나 신연예인 지옥 외전6 모나크 1부에 등장한다. 정지혁 병장은 그를 딸딸이 부대라 부른다. [17] 666부대 113~114편 등장 [18] 아버지가 일본인, 어머니가 한국인인 혼혈이다. [19] 작품 내 본명은 '세이이치'. [20] 작품 내 본명은 '카츠히로'. [21] 민수호 시장의 가정부인데 비서도 겸하는 듯하다. [22] 126화, 127화, 130화, 131화에 재익이랑 주희랑 일본을 방문할 때 재일 교포 학생이나 야쿠자 두목이 등장한다. [23] 일본에서 알비온 왕국(가상의 국가로, 산업 혁명 직후의 영국 분위기가 난다)으로 스파이 교육을 받으러 유학 온 일본인 소녀로, 일본도를 잘 다루어 일본도로 못 베는 것이 없는 강력한 사무라이 캐릭터다. [24] 대놓고 일본인이라고 나오지는 않았지만 이름 및 그 밖의 캐릭터 특징은 일본인에 가깝다. [25] 그나마 모니카는 유일하게 영미권 이름을 가졌다. [26] 다른 캐릭터들은 닌자, 사무라이, 요괴 등 스테레오타입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는데, 혼자 슈퍼전대, 가면라이더 등의 특촬물과 기타 일본 애니메이션을 짬뽕시킨 특이한 컨셉을 가지고 있다. [27] 몸만... 자세한 건 문서 참고. [28] 본명 '오야마 켄지'. 오야마 유리코 아버지. [29] 오야마 유리코 남매, 오야마 켄지 아들, 본명 '오아먀'. [30] 스파이더맨 페이크 레드 편에서 출연하는 주인공. [31] 이시야마와 켄코는 벤이 하는 스모왕 게임에 나오는 캐릭터들이다. [32] 일본계 미국인 [33] 둘 다 설정상 일본계 미국인 캐릭터다. 그리고 원판 이름은 '히로 하마다', '타다시 하마다'이지만, 한국판만 왜색을 이유로 개명되었다. [34] 실존하는 일본의 J팝 락큰롤 밴드 퍼피 아미유미의 동명 듀오를 모티브로 한다. 또한 잊을 만하면 이들이 일본인이라는 언급이 직간접적으로 나온다. [35] 이 문서로 들어가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원작에서는 본인의 아버지의 이름이 일본인이며 본인 또한 설정상 일본인이다. 다만 애니메이션 접지전사에서는 본인이 일본인이라는 언급이 없으며 심지어 애니메이션 기준 본인의 아버지가 맹주임이 드러나는데 맹주가 일본인이라는 언급 또한 없다. [36] 이쪽은 따지고 보면 검은늑대라는 뜻의 ‘헤이랑(黒狼)’이라는 중국어 성씨랑 ‘로우’는 중국어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중국과 관련이 있거나 중국인이라고 생각될 수 있기 때문에 애매하지만 늑대 속성의 캐릭터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늑대 랑(狼)' 한자의 일본어 독음인 ‘ろう(로우)’가 모티브일 것으로도 보여 대략 일본인(정확히는 중국계 일본인)이라고 볼 여지가 있다. 즉, 원작에 없었고 배경은 일본이 아니며 일본인이 거의 없는 애니메이션에만 있는 캐릭터이니 적어도 설정상 유일하게 일본과 관련이 있는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37] 프랑스 애니메이션. 한국에서는 애니맥스에서 잠시 방영되었다. [38] 서양권의 여러 나라에서 만들었다. 다만 제목과 캐릭터 기본 설정을 잡은 사람은 일본인이다. [39] 작중 배경이 일본으로 설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학원도시 등 일본 창작물의 세계관으로 짜여 있다. 외국 모티브의 캐릭터 역시 일본식 인명으로 통일된건 걸즈 앤 판처의 영향으로도 추정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의 이름과 표기가 일본식이다. 이처럼 국산 게임임에도 작중 배경과 분위기가 애초에 완전히 일본색으로 만들어진 것은 사실상 이 게임이 최초이다. [40] 키보토스의 학원들중에서도 대놓고 일본풍이다. [41] 석류맛 쿠키의 고향인 석류마을의 무녀들이 민간신앙에 의존한다는 점, 들고 있는 핑크 나무막대기의 생김새가 고헤이와 비슷한 점, 빨간색과 흰색을 테마로 한 소매가 긴 무녀복 등으로 인해 석류마을의 모티브가 일본이라는 말이 있다. [42] 원작이 실제로 일본이 등장하는 작품이다 보니 고지라 vs 킹콩 에피소드는 일본 관련 단어가 많이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0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0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