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12:52:00

식물계 생물 목록

식물계 생물목록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식물에 대한 내용은 식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생물 분류
Classification of Lif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세포성 생물 네오무라​상역 진핵생물​역 ( 목록 · 문서 분류) 단편모​생물역 동물계 ( 목록 · 문서 분류)
계 ( 목록 · 문서 분류)
원생생물​계 ( 문서 분류) 엑스카바타​계 ( 문서 분류)
쌍편모​생물역
SAR 상군 ( 문서 분류)
식물계 ( 목록 · 문서 분류)
고균역 ( 목록 · 문서 분류)
세균역 ( 목록 · 문서 분류) 그람 양성균( 문서 분류)
그람 음성균 ( 문서 분류)
비세포성 생물 바이러스 ( 목록 · 문서 분류)
바이로이드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원시색소체생물
넓은 의미
녹색식물
좁은 의미
스트렙토식물 유배식물
아주 좁은 의미
차축조류 조류
녹조류
스피로타이니아속
클로로키부스 아트모티쿠스
메소스티그마강
회청조류
피코조아
홍조류
식물/목록 식물계 생물 목록 식물 문서 분류 }}}}}}}}}
  • 이름순으로 나열한 식물의 종류는 식물/목록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균류(버섯, 곰팡이 등)는 과거에는 식물계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균계라는 별도의 계통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균류에 대해서는 균계 생물 목록 참고하십시오.
  • 뒤에 '(☠)'가 붙은 항목은 독을 가진 종류.
1. 녹조식물문(Chlorophyta)
1.1. 갈파래강(Ulvophyceae)1.2. 녹조강(Chlorophyceae)1.3. 담녹조강(Prasinophyceae)1.4. 청각강(Bryopsidophyceae)1.5. 트레보욱시아강(Trebouxiophyceae)
2. 윤조식물문(Charophyta)
2.1. 윤조강(Charophyceae)
2.1.1. 차축조목
2.2. 접합조강(Conjugatophyceae)
3. 태류이끼문(Marchantiophyta)
3.1. 우산이끼강(Marchantiopsida)
4. 뿔이끼문(Anthocerotophyta)
4.1. 뿔이끼강(Anthocerotopsida)
5. 선류식물문(Bryophyta)
5.1. 물이끼강(Sphagnopsida)5.2. 검정이끼강(Andreaeopsida)5.3. 네삭치이끼강(Tetraphidopsida)5.4. 솔이끼강(Polytrichopsida)5.5. 참이끼강(Bryopsida)
6. † 폴리스포란기오피타문(Polysporangiophyta)
6.1. 호르네오피톤강(Horneophytopsida)6.2. 라이니아강(Rhyniopsida)
7. 관다발식물
7.1. 속씨식물 (APG Ⅳ)7.2. 속씨식물 - 기존분류법
7.2.1.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7.2.1.1. 갈래꽃(이판화) 무리(Archichlamydeae)7.2.1.2. 통꽃(합판화) 무리(Metachlamydeae)
7.2.2. 외떡잎식물(Liliopsida)


식물계(植物界, Plantae)는 진핵생물 중에서 세포벽이 있고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하는 생물을 포함한다.

1. 녹조식물문(Chlorophyta)

원생생물계라는 분류군이 해체되어 녹조류는 식물로, 나머지는 각자 많은 계통으로 흩어졌다. 다만 현재는 식물계가 오히려 녹색식물의 하위에 속하므로 홍조식물과 회청조식물은 제외한다. #

1.1. 갈파래강(Ulvophyceae)

  • 갈파래목(Ulvales)
    • 갈파래과
    • 파래과
  • 대마디말목(Cladophorales)
  • 우산파래목(Dasycladales)

1.2. 녹조강(Chlorophyceae)

1.3. 담녹조강(Prasinophyceae)

1.4. 청각강(Bryopsidophyceae)

  • 청각목(Bryopsidales)

1.5. 트레보욱시아강(Trebouxiophyceae)

2. 윤조식물문(Charophyta)

2.1. 윤조강(Charophyceae)

2.1.1. 차축조목

2.2. 접합조강(Conjugatophyceae)

  • 접합조목(Zygnematales)

3. 태류이끼문(Marchantiophyta)

3.1. 우산이끼강(Marchantiopsida)

4. 뿔이끼문(Anthocerotophyta)

4.1. 뿔이끼강(Anthocerotopsida)

5. 선류식물문(Bryophyta)

일반적인 내용은 이끼 참고.

5.1. 물이끼강(Sphagnopsida)

5.2. 검정이끼강(Andreaeopsida)

5.3. 네삭치이끼강(Tetraphidopsida)

  • 네삭치이끼목(Tetraphidales)
    • 네삭치이끼과
      • 네삭치이끼

5.4. 솔이끼강(Polytrichopsida)

  • 솔이끼목(Polytrichales)

5.5. 참이끼강(Bryopsida)

6. † 폴리스포란기오피타문(Polysporangiophyta)

6.1. 호르네오피톤강(Horneophytopsida)

  • 호르네오피톤

6.2. 라이니아강(Rhyniopsida)

7. 관다발식물

식물기관에서 관다발의 형태와 기능을 갖는 세포 조직이 있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관다발식물에는 양치식물, 종자식물(겉시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뉜다)등이 있다. 한편 관다발식물 중에서도 특히 꽃을 개화할 수 있는 기능과 형태를 갖춘 식물을 현화식물이라고 부른다.
석송문(Lycopodiophyta) 물부추강(Isoetopsida) 물부추목
석송강(Lycopodiopsida) 부처손목
 • 부처손과 - 부처손
석송목(Lycopodiales)
 • 석송과 - 석송
양치식물문(Pteridophyta) 용비늘고사리강(Marattiopsida) 용비늘고사리목
속새강(Equisetopsida) 속새목
 • 속새과 - 쇠뜨기
솔잎란강(Psilotopsida) 고사리삼목
솔잎란목
 • 솔잎란과 - 솔잎란
고사리강(Pteropsida) 고비목
 • 고비과 - 고비
처녀이끼목
풀고사리목
실고사리목
생이가래목
나무고사리목
고사리목
 • 고란초과 - 석위
 • 고사리과 - 고사리
소철문(Cycadophyta) 소철강(Cycadopsida) 소철목
 • 소철과 - 소철
은행나무문(Ginkgophyta) 은행나무강(Ginkgoopsida) 은행나무목
 • 은행나무과 - 은행나무
구과식물문(Pinophyta) 구과식물강(Pinopsida) 구과목
 • 소나무과 - 가문비나무· 개잎갈나무· 구상나무· 소나무· 솔송나무·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전나무· 종비나무· 히말라야시다
 • 나한송과 - 나한송
 • 측백나무과 - 메타세콰이아· 삼나무· 율마· 노간주나무· 눈측백· 세쿼이아· 연필향나무· 측백나무· 편백나무· 향나무
 • 주목과 - 비자나무· 주목
마황문(Gnetophyta) 마황강(Gnetophyta) 네타목
 • 네타과 - 네타
웰위치아목
 • 웰위치아과 - 웰위치아 미라빌리스
마황목
 • 마황과 - 마황
속씨식물문(Magnoliophyta) [이하 표 참고]

7.1. 속씨식물 (APG Ⅳ)

APG IV 체계에 따른 속씨식물의 분류
속씨식물군
(Angiosperms/Magnoliophyta)
기저속씨식물군(Basal angiosperms) 암보렐라목(Amborellales)
수련목(Nymphaeales)
 • 수련과 - 수련· 순채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Austrobaileyales)
 • 오미자과 - 오미자
메스속씨식물군(Mesangiospermae) - 홀아비꽃대목(Chloranthales)
붕어마름목(Ceratophyllales)
목련군(Magnoliids) 카넬라목(Canellales)
녹나무목(Laurales)
 • 녹나무과 - 그린 하트
목련목(Magnoliales)
 • 빌레나무과 - 빌레나무
 • 육두구과 - 육두구
 • 목련과 - 목련· 튤립나무
 • 포포나무과 - 포포나무
후추목(Piperales)
 • 후추과 - 후추
외떡잎식물군(Monocots) 창포목(Acorales)
택사목(Alismatales)
종려목(Arecales)
비짜루목(Asparagales)
 • 난초과 - 바닐라· 천마· 풍란
 • 붓꽃과 - 창포· 붓꽃
 • 비짜루과 - 둥굴레· 은방울꽃· 맥문동· 무릇· 아스파라거스· 용설란
 • 수선화과 - 상사화· 석산· 눈풀꽃· 수선화· 달래· 대파(식물)· 쪽파· 락교· 리크· 마늘· 부추· 산마늘· 샬롯· 양파
 • 아스포델루스과 - 알로에· 원추리· 하월시아
닭의장풀목(Commelinales)
 • 닭의장풀과 - 닭의장풀
마목(Dioscoreales)
백합목(Liliales)
판다누스목(Pandanales)
페트로사비아목(Petrosaviales)
벼목(Poales)
 • 파인애플과 - 파인애플· 틸란시아
 • 부들과 - 부들
 • 벼과 - · 대나무·· 보리· 호밀· 귀리· 큰조아재비· 기장· 강아지풀·· 피(식물)· 레몬그라스· 옥수수· 율무· 수수· 사탕수수
생강목(Zingiberales)
쌍떡잎식물군(Eudicots) - 회양목목(Buxales)
프로테아목(Proteales)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 인동과 - 댕댕이나무
수레나무목(Trochodendrales)
딜레니아목(Dilleniales)
군네라목(Gunnerales)
초장미군(Superrosids) - 범의귀목(Saxifragales)
장미군(Rosids) - 포도목(Vitales)
콩군(Fabids) 박목(Cucurbitales)
콩목(Fabales)
참나무목(Fagales)
장미목(Rosales)
남가새목(Zygophyllales)
노박덩굴목(Celastrales)
말피기아목(Malpighiales)
괭이밥목(Oxalidales)
아욱군(Malvids) 십자화목(Brassicales)
크로소소마목(Crossosomatales)
쥐손이풀목(Geraniales)
후에르테아목(Huerteales)
아욱목(Malvales)
도금양목(Myrtales)
피크람니아목(Picramniales)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초국화군(Superasterids) - 베르베리돕시스목(Berberidopsidales)
석죽목(Caryophyllales)
단향목(Santalales)
국화군(Asterids) - 층층나무목(Cornales)
진달래목(Ericales)
꿀풀군(Lamiids) 이카키나목(Icacinales)
멧테니우사목(Metteniusales)
가리아목(Garryales)
용담목(Gentianales)
지치목(Boraginales)
발리아목(Vahliales)
가지목(Solanales)
꿀풀목(Lamiales)
캄파눌라군(Campanulids) 미나리목(Apiales)
감탕나무목(Aquifoliales)
국화목(Asterales)
브루니아목(Bruniales)
산토끼꽃목(Dipsacales)
에스칼로니아목(Escalloniales)
파라크리피아목(Paracryphiales)

7.2. 속씨식물 - 기존분류법

7.2.1.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7.2.1.1. 갈래꽃(이판화) 무리(Archichlamydeae)
7.2.1.2. 통꽃(합판화) 무리(Metachlamydeae)

7.2.2. 외떡잎식물(Liliopsida)



[1] 일부 종이 독을 가지고 있다. [2] 잎에는 독이 있다. [3] 매우 쓴 오이의 경우. 애초에 강한 쓴맛이 난다는 것이 독이 있다는 신호 중 하나다. [4] 오래되면 농익어서 발효되는데, 이때는 독소가 생긴다. [5] 생식하면 중독된다. [6] 반드시 익혀서 먹어야 한다. [7]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은 엄연히 사람에게도 치명적일 수 있는 독이다. [8] 이쪽도 소량의 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