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곡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afafa,#000> 곡류 | 강아지풀 ( 조) · 귀리 · 기장 · 밀 ( 듀럼 · 호라산밀) · 벼 - 쌀 ( 자포니카 · 인디카) · 보리 · 사탕수수 · 수수 · 옥수수 · 율무 · 줄 · 테프 · 포니오 · 피 · 호밀 |
협과 | 강낭콩 · 녹두 · 대두 · 동부 · 땅콩 · 렌틸 · 병아리콩 · 서리태 · 완두 · 작두콩 · 콩 · 팥 | |
아곡류 | 메밀 · 아마란스 · 치아 · 퀴노아 | |
그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
기장 Proso millet / common millet |
|
|
|
학명 |
Panicum miliaceum L.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 Plantae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
외떡잎식물군(Monocots) | |
닭의장풀군(Commelinids) | |
목 | 벼목(Poales) |
과 | 볏과(Poaceae) |
속 | 기장속(Panicum) |
종 | 기장(P. miliaceum) |
[clearfix]
1. 개요
기장\ [黍\]은 곡류로 분류되는 식물의 일종이다. 급식 등의 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노란 낱알이 섞여 있는 밥이 바로 이 기장을 섞은 기장밥이다.
2. 특징
높이는 50~120 cm이고 잎은 어긋나고 이삭은 가을에 익는데 아래로 늘어진다. 여름에 작은 이삭꽃이 원추(圓錐) 꽃차례로 피고 이삭은 9~10월에 익는다. 열매는 ‘황실(黃實)’이라고도 하는데 엷은 누런색으로 밥과 함께 넣어 기장밥을 해 먹거나 떡, 술, 엿, 빵 따위의 원료나 가축의 사료로 쓴다. 선사 시대부터 이집트,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서 재배했으며 강원, 경북 등지에 분포한다. 구황작물이기도 하다. 곡물 가운데서 가장 강인한 편이라 극심한 가뭄, 열, 척박한 토양에도 잘 견디고 두세 달 만에 수확할 수 있기 때문. 이런 특징 덕분에 아프리카에서는 오래 전부터 주식으로 사용했다. 조와 매우 닮았다. 그래서 메조와 혼동하는 사람도 있다. 부산 동삼동 신석기시대 패총에서 발견된 토기에서 기장의 흔적이 나왔는데, 이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곡물자료이다. 가장 오래 전부터 농사지어 먹어온 곡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셈.3. 도량형으로서의 사용
고대 중국의 도량형은 이 기장이 기준이 되었다.- 길이는 검은 기장(거서; 秬黍) 1알의 세로 길이가 1푼에 해당하고, 기장 10알을 세로로 쭉 늘어놓은 길이가 10푼, 즉 1치가 되었다. 한치 앞도 모른다고 하고 할 때의 그 치이다.
- 당시 중국 음악의 기본음은 황종음인데, 이건 기장 90알을 새로로 늘어놓은 길이(9치)의 기장 120알이 들어갈만한 원통이 황종음의 기준이었다.
- 무게에 있어서는 기장의 일정한 양을 기준으로 삼은 최소 단위가 천泉이고, 이 천의 1000배가 관이었다.
4. 기타
고대 중국에서도 가장 먼저 기른 작물이 기장이었다. 이른바 오곡중에서도 수위를 차지한 것이 기장이었으며 시경에 등장한 백여번의 농작물 관련 언급에서도 21번이 기장이었다. 기장이 쇠퇴한 이후 춘추전국시대 들어서는 조가 그 자리를 차지하여 당나라 시절까지 납세의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모모타로가 오니가시마에 원정가면서 파티 모을 때 퀘템으로 썼던 수수경단은 사실 기장으로 만든 경단이다. 일본어로 수수는 모로코시고 기장은 키비인데, 지방에 따라 수수를 키비라고 읽는 경우도 있고 기장경단이라고 말하면 와닿지도 않을 것이고 따지고 들면 변명거리가 산더미처럼 쌓여있지만 어쨌든 진실은 이쪽이다. 일본에서는 기장이 오곡 중 하나고 경단이나 죽, 떡 등을 만들어 먹는다. 일본에는 수수가 더 나중에 들어왔다. 한자로는 기장을 서黍, 수수를 촉서蜀黍라고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