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536349><colcolor=#FFF> 전개 | 원인 |
연표 · 전선 ( 전체 전투 목록분류 ·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투목록틀 · 유럽·아프리카 지역 전투목록틀 · 연표틀) | ||
참전국 | 연합국 · 추축국 ( 참전국틀 · 연합국틀 · 추축국틀) | |
피해 | 피해와 전쟁 범죄 ( 홀로코스트 · 독일의 전쟁범죄 · 일본의 전쟁범죄) | |
인물 및 어록 | 관련 인물 · 관련 어록 | |
기타 | 이야깃거리 | |
미디어 | 창작물 · 게임 · 전쟁 영화 |
제2차 세계 대전의 전개 |
1. 개요
이 문서는 6년 동안 진행된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전후 사건들을 일목요연하게 분류한 항목이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간기의 라인란트 재무장과 스페인 내전부터 시작하고 있다.2. 1936년
제2차 세계 대전 전간기 주요 사건 1936년 |
||||||||||||
기간 | 사건 | |||||||||||
3월 | 라인란트 재무장 | |||||||||||
7월 | 스페인 내전 발발 | |||||||||||
12월 | 방공 협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스페인 내전의 전개 |
1936년에는 두가지 중대한 사건이 일어났다. 나치 독일이 베르사유 조약을 명백히 위반하고 비무장지대인 라인란트로 군대를 진출시켰으며 스페인에서는 스페인 제2공화국 선포 이래 극심한 좌우대립이 터져 스페인 내전이 발발했다.
라인란트 재무장은 독일이 1935년 3월 16일 베르사유 조약 파기 및 재군비 선언을 한 이후 실제로 가시적인 군사력 투사를 가한 사건으로 의미가 컸으며, 스페인 내전은 당대 주류 이념들의 격전장이 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초전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2.1. 유럽
3. 1937년
제2차 세계 대전 전간기 주요 사건 1937년 |
||||||||||||
기간 | 사건 | |||||||||||
7월 |
루거우차오 사건 ( 중일전쟁 발발) |
|||||||||||
8월 | 상하이 전투 | |||||||||||
12월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
파나이 호 사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British Pathé에서 보도한 상하이 전투 |
Shanghai has fallen to Japan. Before the final terrific onslaught of Japan's mechanized army, China is forced to withdraw beyond the suchow creek and Japan's army commander controls all the native sections of the world sixth largest city.
상하이가 일본에게 함락되었습니다. 일본군 기계화 부대가 마지막 맹공격을 가하기 전에 중국은 쑤저우 만으로 후퇴했고 일본군 사령관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거대한 도시의 모든 핵심 지역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British Pathé 1937년 뉴스
상하이가 일본에게 함락되었습니다. 일본군 기계화 부대가 마지막 맹공격을 가하기 전에 중국은 쑤저우 만으로 후퇴했고 일본군 사령관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거대한 도시의 모든 핵심 지역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British Pathé 1937년 뉴스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생하여 중일전쟁이 발발하였다. 중국군은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패착을 거듭하였으며 일본군은 난징 전투에서 승리하여 난징을 확보한 뒤 난징 대학살이라는 반인륜적 전쟁 범죄를 행하고 말았다.
3.1. 유럽
-
녹색 작전(Fall Grün, 1937년 계획 수립. 이후 취소됨) - 독일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계획. -
차얀코프 막사 전투 (Battle of Chayankov Barracks - 1939년 3월 14일) - 프리데크미스데크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로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 접수 과정에서 여기에 반발한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제8 실레지아 보병연대 예하 3대대 소속 4개중대와 타 기갑연대 소속인 탱켓소대가 일으켰다. '잊혀진 2차대전 최초의 전투'라는 별명을 갖고있다.
당시 체코슬로바키아군은 Vz. 33 탱켓을 보유하고 있었고 제8보병사단 예하 84보병연대 정찰대 소속이던 독일군은 체코슬로바키아군을 무장해제하러 접근하다가 배치되어 있던 기관총의 기습에 놀라 황급히 자세를 낮추고 응사한 뒤 대전차포와 81mm 박격포, 하노마크를 끌고왔다. 이후 수십분간 체코슬로바키아군과 독일군 간의 교전이 벌어졌으며 체코슬로바키아군이 막사 코앞까지 돌격해온 독일군에게 수류탄 세례를 선사하고 거기에 당한 독일군이 엎어진 동료들을 끌고 퇴각할 정도였다고 한다. 당일 피해는 독일군 24명 전사 및 부상, 체코슬로바키아군 6명 부상(2명 중상)으로 체코군이 교환비에서 우위였으나 체코슬로바키아군 사령부의 투항명령과 탄약 부족이 겹쳐 결국 투항하며 전투 종료.
3.2. 아시아 전선
-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 발생, 중일전쟁 발발(~1945년 8월 15일) - 일반적으로는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략을 전쟁의 시작으로 보지만, 일부 시각에서는 중일전쟁부터 이미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스페인 내전 등은 2차 세계대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2차 세계대전의 촉발만을 했을 뿐이지만, 중일전쟁은 터진 시점에 '이미 세계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고 평가하는 학자들이 상당히 많다. 2000년대까지는 중국 계열의 민족주의 학자들만이 이렇게 주장했지만, 2010년대 후반에 들어 중일전쟁을 2차 세계대전의 시작, 못해도 2차 세계대전의 직접적인 전초전이라고 보는 학자들이 많이 늘어났다. 이전까지는 서방 사학계에서 동아시아 전선의 2차 세계대전에서의 역할이 매우 과소평가되었기 때문이다.[2] 그러나 한국의 학계를 포함한 세계적으로는 여전히 1939년 폴란드 침공을 2차대전의 시작으로 보는 쪽이 훨씬 보편적이며, 무엇보다 정작 중국에서는 중일전쟁이 아니라 1931년 9월 18일( 만주사변)을 2차대전의 시각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3] 중국이 연합국에 가입한 것은 진주만 공습 뒤인 1941년 12월 9일이다.
- 베이징-톈진 전투(1937년 7월 25일 ~ 1937년 7월 30일)
- 베이징 탈환전(1937년 8월 6일 ~ 1937년 8월 26일)
- 평형관 전투(1937년 9월 25일)
- 상하이 전투(1937년 8월 13일 ~ 1937년 11월 12일)
- 트라우트만 공작(1937년 11월 5일 ~ 1938년 1월 13일)
- 난징 전투(1937년 12월 3일 ~ 1937년 12월 13일)
4. 1938년
제2차 세계 대전 전간기 주요 사건 1938년 |
||||||||||||
기간 | 사건 | |||||||||||
4월~6월 | 오스트리아 병합 | |||||||||||
1938년 황허 홍수 | ||||||||||||
7~11월 | 하산 호 전투 | |||||||||||
뮌헨 협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네빌 체임벌린, 뮌헨 협정 이후 영국으로 복귀한 뒤 공항에서의 연설 |
1938년은 나치 독일이 유럽에서 크나큰 성과를 거둔 해였다. 안슐루스를 통해 오스트리아를 병합하고 뮌헨 협정을 통해 주데텐란트 지역을 확보하여 큰 희생 없이 국토와 인구를 상당수 확충할 수 있었다. 이 시기까지도 영국과 프랑스는 아직 독일과의 전쟁을 감당할 의지와 능력도 없는 상태였기에 뮌헨 협정에서 독일 측이 주데텐란트를 확보하는 대신 더 이상의 영토 병합을 하지 않기로 합의를 보고자 하였으나, 독일이 약속을 어기고 체코를 완전히 병합한 뒤 슬로바키아를 괴뢰국으로 만듦으로써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아시아에서는 일본 제국이 난징을 점령한 후 중국 내륙으로 진군하자 중국이 고의적으로 홍수를 발생시켜 일본군을 저지하려는 시도가 일어났으나 이는 실패로 끝나 수많은 중국인들이 죽거나 난민이 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한반도-러시아 국경의 하산 호에서 일본과 소련 간의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4.1. 유럽
4.2. 남극
- 1938년 12월 17일 노이슈바벤란트 탐사[4]
4.3. 아시아 전선
- 중일전쟁
- 1938년 2월 ~ 1940년 3월 30일 왕징웨이 공작
- 1938년 6월 9일 1938년 황허 홍수
- 소련-일본 국경 분쟁
- 1938년 7월 29일 하산 호 전투
5.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 1939년 |
||||||||||||
기간 | 사건 | |||||||||||
5월 | 할힌골 전투 | |||||||||||
8월 | 독소 불가침조약 | |||||||||||
9월 |
폴란드 침공 (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
가짜 전쟁 | ||||||||||||
11월 | 겨울전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폴란드 침공 직후 네빌 체임벌린 영국 총리의 대독일 선전포고[5] |
I am speaking to you from the Cabinet Room at 10, Downing Street. This morning the British Ambassador in Berlin handed the German Government a final Note stating that unless we heard from them by 11 0'clock that they were prepared at once to withdraw their troops from Poland a state of war would exist between us. I have to tell you now that no such undertaking has been received, and that consequently this country is at war with Germany.
다우닝가 10번지[6] 내각실에서 전해드립니다. 오늘 아침 베를린 주재 영국 대사는 독일 정부에게 11시까지 그들의 군대가 폴란드에서 후퇴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소식이 없을 시, 양국 간의 전시 상태가 있을 것임을 알리는 최후 통첩을 전달하였습니다. 저는 지금 이 통첩에 대한 그 어떠한 답신은 없었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가 독일과의 전쟁에 돌입했음을 말씀드려야겠습니다.
네빌 체임벌린 영국 총리의 대독일 선전포고.
다우닝가 10번지[6] 내각실에서 전해드립니다. 오늘 아침 베를린 주재 영국 대사는 독일 정부에게 11시까지 그들의 군대가 폴란드에서 후퇴할 준비가 되어있다는 소식이 없을 시, 양국 간의 전시 상태가 있을 것임을 알리는 최후 통첩을 전달하였습니다. 저는 지금 이 통첩에 대한 그 어떠한 답신은 없었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가 독일과의 전쟁에 돌입했음을 말씀드려야겠습니다.
네빌 체임벌린 영국 총리의 대독일 선전포고.
독소 불가침 조약을 맺은 뒤 9일 후인 1939년 9월 1일, 나치 독일이 단치히 자유시 문제를 빌미로 폴란드를 침공하자 영국과 프랑스가 그동안 고수하던 미온적인 태도를 버리고 독일에게 선전포고를 함으로써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다. 폴란드는 격렬히 저항했으나 독일에 이어 소련이 독소 불가침 조약에 따라 침공해오자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두 강대국에게 찢겨져 버렸다.
소련은 이어서 핀란드를 침공해 겨울전쟁을 발발시켰으며,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에게 선전포고를 하기는 하였으나 연합국과 독일 양측 모두 아직까지도 전쟁 준비가 미흡하였기 때문에 가짜 전쟁이라는 독특한 시기가 있었다. 아시아에서는 할힌골 전투를 통해 소련-일본 국경 분쟁의 최종 승자가 소련으로 결정나게 되었다.
5.1. 유럽
- 1939년 3월 15일 나치 독일의 체코 완전 병합 및 슬로바키아의 괴뢰화
- 1939년 8월 23일 독소 불가침조약
- 1939년 9월 1일 폴란드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가짜 전쟁 (Phoney War, 1939년 9월~1940년 5월)
- 독일 본토 항공전 (Defence of the Reich, 1939년 9월 4일~1945년 5월 8일)
- 1939년 11월 30일 겨울전쟁(~ 1940년 3월 13일)
- 수오무살미 전투 (1939.12.7. ~ )
- 만네르헤임 선 전투
5.2. 폴란드 침공
- 폴란드 국경 전투 (Battle of the Border, 1939년 9월 1일) - 폴란드 침공 1일차부터 시작한 전투
- 호이니체 전투 (Battle of Chojnice, 1939년 9월 1일~2일) - 폴란드군의 호이니체 방어 작전
- 단치히 폴란드 우체국 방어전 (Defense of the Polish Post Office in Danzig, 1939년 9월 1일) - 단치히 지금의 그단스크에 있는 우체국에서 파르티잔과 나치 독일군 간의 공방전
- 크로얀티 전투 (Charge at Krojanty, 1939년 9월 1일) - 크로얀티에서 일어난 기병간의 회전.
- 라시 크룰레프스키 전투 (Battle of Lasy Królewskie, 1939년 9월 1일) - 야노보- 라시크롤레프스키 지역에서 일어난 기병 간의 회전.
- 모크라 전투 (Battle of Mokra, 1939년 9월 1일) - 모크라의 폴란드군 방어전. 폴란드군의 승리.
- 프쉬치나 전투 (Battle of Pszczyna, 1939년 9월 1일~4일) - 프쉬치나에서의 나치 독일군의 일련의 공세 작전.
- 그루지옹츠 전투 (Battle of Grudziądz, 1939년 9월 1일~4일) - 그로비옹츠에서의 전투. 나치 독일의 승리.
- 므와바 전투 (Battle of Mława, 1939년 9월 1일~3일) - 므와바에서의 독일군 공세. 나치 독일의 승리.
- 요르다누프 전투 (Battle of Jordanów, 1939년 9월 1일~3일) - 요르다누프의 폴란드군 지연 작전. 폴란드의 승리.
- 프라우슈타트 기습 (Raid on Fraustadt, 1939년 9월 2일) - 폴란드군의 독일 영내 프라우츠아트 기습 작전. 폴란드군의 승리.
- 벵기에르스카 구르카 전투 (Battle of Węgierska Górka, 1939년 9월 1일~3일) - 벵기에르스카구르카의 전투. 폴란드군은 벙커 5개로 3일간 방어해냄.
- 투홀라 숲 전투 (Battle of Tuchola Forest, 1939년 9월 1일~5일) - 투홀라 숲에서의 폴란드군 방어전.
- 쳉스토호바 전투 (Battle of Częstochowa, 1939년 9월 2일~3일)
- 미코우프 전투 (Battle of Mikołów, 1939년 9월 1일~2일)
- 부코비에츠 전투 (Battle of Bukowiec, 1939년 9월 3일)
- 슬로바키아의 폴란드 침공 (Slovak invasion of Poland, 1939년 9월 1일~16일)
- 발트해 전역
-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Battle of Westerplatte, 1939년 9월 1일~7일) - 제2차 세계 대전 최초의 전투.
- 단치히 만 전투 (Battle of the Danzig Bay, 1939년 9월 1일) - 폴란드 해군과 독일 공군과의 전투.
- 그디니아 전투 (Battle of Gdynia, 1939년 9월 8일~14일)
- 헬 반도 전투 (Battle of Hel, 1939년 9월 9일~10월 2일) - 폴란드 북부지역 최후의 전투.
- 켕파 오크시브스카 전투 (Battle of Kępa Oksywska, 1939년 9월 10일~19일)
- 9월 4일~10일 중부전선/남부전선
- 토마슈프 마조비에츠키 전투 (Battle of Tomaszów Mazowiecki, 1939년 9월 6일)
- 비즈나 전투 (Battle of Wizna, 1939년 9월 7일~10일) - 폴란드의 테르모필레 전투.
- 우치 전투 (Battle of Łódź, 1939년 9월 6일~8일)
- 보로바 구라 전투 (Battle of Borowa Góra, 1939년 9월 2일~6일)
- 피오트르쿠프 트리부날스키 전투 (Battle of Piotrków Trybunalski, 1939년 9월 4일~6일)
- 루잔 전투 (Battle of Różan, 1939년 9월 4일~6일)
- 푸우투스크 전투 (Battle of Pułtusk, 1939년 9월 6일~7일)
- 라돔 전투 (Battle of Radom, 1939년 9월 8일~9일)
- 웜자 전투 (Battle of Łomża, 1939년 9월 7일~10일)
- 바라크 전투 (Battle of Barak, 1939년 9월 8일)
- 볼라 치루소바 전투 (Battle of Wola Cyrusowa, 1939년 9월 8일)
- 폴란드 북부 전선
- 바르샤뱌 전투 -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를 놓고 벌인 폴란드 침공 최장의 전투. 나치 독일의 승리.
- 브주라 전투 - 폴란드 침공 최대의 전투. 나치 독일의 승리.
- 카우쉰 전투 (Battle of Kałuszyn, 1939년 9월 11일~12일)
- 벵그루프 전투 (Battle of Węgrów)
- 빌노 전투 (Battle of Wilno, 1939년 9월 18일~19일)
- 모들린 전투 (Battle of Modlin, 1939년 9월 13일~29일)
- 코브린 전투 (Battle of Kobryń, 1939년 9월 14일~18일)
- 브제시치 리테브스키 전투 (Battle of Brześć Litewski, 1939년 9월 14일~17일)
- 2차 토마슈프 루벨스키 전투 (Battle of Tomaszów Lubelski, 1939년 9월 20일~26일)
- 불카 벵글로바 전투 (Battle of Wólka Węglowa, 1939년 9월 19일)
- 캄피노스 숲 전투 (Battle of Kampinos Forest, 1939년 9월 9일~20일)
- 크라스니스타프 전투 (Battle of Krasnystaw, 1939년 9월 17일~18일)
- 워미안키 전투 (Battle of Łomianki, 1939년 9월 22일)
- 크라스노브루트 전투 (Battle of Krasnobród, 1939년 9월 23일)
- 코츠크 전투 (Battle of Kock, 1939년 10월 2일~5일) - 폴란드 침공 최후의 전투. 전투 자체는 폴란드군의 승리로 끝났으나 직후 군수품 고갈로 독일군에 항복.
- 폴란드 남부 전선
- 프셰미실 전투 (1939년) (Battle of Przemyśl, 1939년 9월 11일~14일)
- 야로스와브 전투 (Battle of Jarosław, 1939년 9월 10일~11일)
- 1차 토마슈프 루벨스키 전투 (Battle of Tomaszów Lubelski, 1939년 9월 17일~20일)
- 야보루프 전투 (Battle of Jaworów, 1939년 9월 14일~16일)
- 야누프 숲 전투 (Battles of Janów, Wereszyca, and Hołosko, 야누프-베레쉬차-호워스코 전투라고도 함)
- 체시니키 전투 (Battle of Cześniki, 1939년 9월 21일~22일)
- 르부프 전투 (1939년) (Battle of Lwów, 1939년 9월 12일~22일)
- 소련의 폴란드 침공 (1939년 9월 17일~10월 6일)
- 사르니 요새 전투 (Battle of Sarny Fortified Area, 1939년 9월 17일~9월 25일)
- 빌노 전투 (Battle of Wilno, 1939년 9월 18일~19일)
- 후신네 전투 (Battle of Husynne, 1939년 9월 24일)
- 그로드노 전투 (1939년) (Battle of Grodno, 1939년 9월 20일~24일)
- 브와디폴 전투 (Battle of Władypol, 1939년 9월 27일)
- 샤츠크 전투 (Battle of Szack, 1939년 9월 28일)
- 비티츠노 전투 (Battle of Wytyczno, 1939년 10월 1일)
- 파르체프-야브원-밀라누프 전투 (Battles of Parczew, Jabłoń and Milanów, 1939년 9월 29일~30일)
5.3. 아시아 전선
- 중일전쟁
- 1939년 동계공세작전(1939년 12월 ~ 1940년 2월)
- 소련-일본 국경 분쟁
- 1939년 5월 11일 할힌골 전투
6.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 1940년 |
||||||||||||
기간 | 사건 | |||||||||||
4월 | 노르웨이 침공 | |||||||||||
5월 | 프랑스 침공 | |||||||||||
됭케르크 철수작전 | ||||||||||||
7월 | 영국 본토 항공전 | |||||||||||
10월 | 그리스 침공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OverSimplified에서 설명한 프랑스 침공 |
1940년 5월 10일 독일군이 벨기에와 네덜란드를 통해 프랑스로 진격하기 시작하면서 가짜전쟁이 끝나고 프랑스 침공이 시작되었다. 이 전투에서 독일군은 전격전이라는 독특한 전술을 구사해 연합군 상당수를 포위 섬멸하고[7] 프랑스를 6주 만에 함락시켰다. 독일은 영국과의 협상을 진행할 생각이었으나 영국 측의 완고한 태도로 인해 실패했다. 1940년 7월 10일 영국 본토 항공전이 벌어졌으며 영국이 승리함에 따라 바다 사자 작전이 중단되었다.
뿐만 아니라 독일은 덴마크 침공과 노르웨이 침공을 일으켜 이들 국가들을 확보했으며, 발칸반도에서는 이탈리아 왕국이 그리스를 침공해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이 발발하였다.
6.1. 서부 전선
- 프랑스 침공 (1940년 5월 10일~6월 25일)
- 룩셈부르크 침공 (Invasion of Luxembourg, 1940년 5월 10일)
- 네덜란드 전투 (Battle of the Netherlands, 1940년 5월 10일~14일(본토), 10일~27일(제일란트)[8])
- 마스트리흐트 전투 (Battle of Maastricht, 1940년 5월 10일)
- 헤이그 전투 (Battle for The Hague, 1940년 5월 10일) - 네덜란드군의 승리.
- 로테르담 전투 (Battle of Rotterdam, 1940년 5월 10일~14일)
- 제일란트 전투 (Battle of Zeeland, 1940년 5월 10일~18일)
- 그레베베르크 전투 (Battle of the Grebbeberg, 1940년 5월 11일~13일)
- 아프스루이트디크 전투 (Battle of the Afsluitdijk, 1940년 5월 12일~14일)
- 로테르담 폭격 (Rotterdam Blitz, 1940년 5월 14일)
- 벨기에 전투 (Battle of Belgium, 1940년 5월 10일~28일)
- 에방에말요새 전투 (Battle of Fort Eben-Emael, 1940년 5월 10일~11일)
- 하뉘트 전투 (Battle of Hannut, 1940년 5월 12일~14일)
- 젬블롱 전투 (Battle of Gembloux, 1940년 5월 14일~15일)
- 리스 전투 (Battle of the Lys, 1940년 5월 23일~28일)
- 프랑스 지역 전투 (1940년 5월 10일~6월 25일)
- 스당 전투 (Battle of Sedan, 1940년 5월 12일~15일)
- 몬트코렛 전투 (Battle of Montcornet, 1940년 5월 17일)
- 아라스 전차전 (Battle of Arras, 1940년 5월 21일)
- 볼로뉴쉬르메르 전투 (Battle of Boulogne, 1940년 5월 22일~25일)
- 칼레 전투 (Siege of Calais, 1940년 5월 22일~26일)
- 됭케르크 전투 (Battle of Dunkirk, 1940년 5월 26일~6월 4일)
- 됭케르크 철수작전 (Dunkirk evacuation, 1940년 5월 26일~6월 3일)
- 릴 전투 (Siege of Lille, 1940년 5월 28일~31일)
- 이프 레스-코미네스 운하 전투 (battle of Ypres-Comines Canal, 1940년 5월 26일~28일)
- 아브빌 전투 (Battle of Abbeville, 1940년 5월 28일~6월 4일)
- 파울라 작전 (Operation Paula, 1940년 6월 3일)
-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Italian invasion of France, 1940년 6월 10일~25일)
- 사이클 작전 (Operation Cycle, 1940년 6월 10일~13일)
- 애리얼 작전 (Operation Ariel, 1940년 6월 15일~25일)
- 소뮈르 전투 (Battle of Saumur, 1940년 6월 18일~20일)
- 콜라르 작전 (Operation Collar, 1940년 6월 24일~25일)
- 엠바사도르 작전 (Operation Ambassador, 1940년 7월 14일~15일)
- 영국 본토 항공전 (Battle of Britain, 1940년 7월 10일~10월 31일[9])
- 카날캄프 (Kanalkampf, 1940년 7월 4일~8월 11일)
- 독수리의 날 (Adlertag, 1940년 8월 13일)
- 가장 어려운 날 (The Hardest Day, 1940년 8월 18일)
- 브리튼의 날 전투 (Battle of Britain Day, 1940년 9월 15일)
-
바다사자 작전(취소됨, 1940년 9월 계획)
6.2. 발칸반도 전선
- 그리스-이탈리아 전쟁 (Greco-Italian War, 1940년 10월 28일~1941년 4월 23일)
- 핀두스 전투 (Battle of Pindus, 1940년 10월 28일~11월 13일)
- 엘라이아-칼라마스 전투 (Battle of Elaia–Kalamas, 1940년 11월 2일~8일)
- 코르차 전투 (Battle of Korytsa, 1940년 11월 16일~22일)
- 사란다 전투 (Battle of Saranda, 1940년 12월)
- 모라바-이반 전투 (Battle of Morava–Ivan, 1940년 11월 14일~23일)
- 히마라 전투 (Battle of Himara, 1940년 12월 13일~22일)
- 킬수라 패스 전투 (Capture of Klisura Pass, 1941년 1월 6일~11일)
- 트레베신나 전투 (Battle of Trebeshina, 1941년 1월 29일~2월 17일)
- 이탈리아 춘계 공세 (Italian Spring Offensive, 1941년 3월 9일~16일)
6.3. 스칸디나비아/발트 전선
- 노르웨이 침공(1940년 4월 8일 ~ 1940년 6월 10일)
- 릴레함메르 전투
- 나르빅 해전
- 노르웨이 중수 사건(1940년 ~ 1944년)
- 덴마크 침공(1940년 4월 9일)
-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6.4. 아시아 전선
6.5. 지중해-아프리카 전선
- 북아프리카 전역 개시(1940년 6월 10일 ~)
- 몰타 항공전(1940년 6월 11일 ~ 1942년 11월 20일)
- 캐터펄트 작전(1940년 7월 3일 ~)
- 칼라브리아 해전(1940년 7월 8일 ~ 1940년 7월 9일)
- 다카르 전투 (Battle of Dakar 또는 Operation Menace라고도 불림, 1940년 9월 23일~25일) - 자유 프랑스의 다카르 상륙작전. 자유 프랑스의 패배.
- 가봉 전투 (Battle of Gabon, 1940년 11월 8일~12일) - 자유 프랑스의 비시 프랑스령 적도아프리카 점령 작전. 연합국의 승리.
- 타란토 공습(1940년 11월 11일)
7.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 1941년 |
||||||||||||
기간 | 사건 | |||||||||||
5월 | 비스마르크 추격전 | |||||||||||
6월 |
바르바로사 작전 ( 독소전쟁 발발) |
|||||||||||
계속전쟁 | ||||||||||||
10월 | 모스크바 공방전 | |||||||||||
12월 |
진주만 공습 ( 태평양 전쟁 발발) |
|||||||||||
말레이 해전 | ||||||||||||
남방작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독소전쟁 개전 당시 소련 측의 긴급 방송 |
Внимание, говорит Москва! Передаем важн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енное сообщение, граждане и гражданк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сегодня в 4 часа утра без всякого объявления войны германские вооруженные силы атаковали границы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ачалась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советского народа против немецко-фашистских захватчиков. Наше дело правое! Враг будет разбит! Победа будет за нами!
주목하십시오, 모스크바에서 전해 드립니다. 정부의 중요한 성명을 알려 드립니다. 소비에트 연방의 시민들이여! 오늘 오전 네 시에 선전포고도 하지 않은 채 독일군이 소비에트 연방의 국토를 침범해 왔습니다. 파시스트 침략자들에 대한 소련 인민들의 대조국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우리의 대의는 정당하며, 적들은 괴멸할 것이고, 승리는 우리의 것이 될 것입니다!
1941년 6월 22일 소련 아나운서 유리 레비탄
주목하십시오, 모스크바에서 전해 드립니다. 정부의 중요한 성명을 알려 드립니다. 소비에트 연방의 시민들이여! 오늘 오전 네 시에 선전포고도 하지 않은 채 독일군이 소비에트 연방의 국토를 침범해 왔습니다. 파시스트 침략자들에 대한 소련 인민들의 대조국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우리의 대의는 정당하며, 적들은 괴멸할 것이고, 승리는 우리의 것이 될 것입니다!
1941년 6월 22일 소련 아나운서 유리 레비탄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2년차였던 1941년에는 주요 사건 두가지가 발생하였다. 나치 독일이 발칸반도 전선을 정리한 후 6월 22일, 선전포고도 없이 소련을 침공하여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단일 전쟁인 독소전쟁이 발발하였으며, 12월 7일에는 일본 제국이 진주만 공습을 행하여 태평양 전쟁이 발발해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독일군은 바르바로사 작전을 통해 파죽지세로 소비에트 연방의 수도인 모스크바로 진격해나갔으나 라스푸티차와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 그리고 소련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의해 모스크바 공방전에서 패퇴하였다. 1941년 말에는 일본 제국의 남방작전이 전개되어 동남아시아의 상당수가 일본에게 점령되기 시작했으며 말레이 해전에서 크게 패배한 영국은 태평양에서의 재해권을 상실하고 말았다.
7.1. 동부 전선
- 바르바로사 작전 (06. 22 ~ 12. 05)
- 북부 전구
- 라세이냐이 전투(06. 23 ~ 06. 27)
- 루가 전투(07. 10 ~ 08. 24)
- 탈린 전투(08. 05 ~ 08. 28)
- 레닌그라드 공세(08. 25 ~ 09. 21)
- 레닌그라드 공방전(09. 08 ~ 1944. 01. 18)
- 제1차 시냐비노 공세(09. 10 ~ 09. 26)
- 티흐빈 전투(10. 16 ~ 12. 30)
- 제2차 시냐비노 공세(10. 20 ~ 10. 28)
- 중부 전구
-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06. 22 ~ 06. 29)
-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06. 22 ~ 07. 09)
- 비텝스크 전투(07. 06 ~ 07. 16)
-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07. 10 ~ 09. 10)
- 옐냐 전투(08. 30 ~ 09. 08)
- 모스크바 공방전[10](09. 30 ~ 1942. 01. 07)
- 모스크바 폭격
-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09. 30 ~ 10. 21)
- 모자이스크 전투(10. 10 ~ 10. 30)
- 칼리닌 전투(10. 10 ~ 12. 04)
- 툴라 전투(10. 24 ~ 12. 05)
- 남부 전구
- 브로디 전투(06. 23 ~ 06. 30)
- 뮌헨 작전[11](07. 02 ~ 07. 24)
- 우만 전투(07. 10 ~ 08. 08)
- 오데사 공방전(08. 08 ~ 10. 16)
- 제1차 키예프 전투(08. 23 ~ 09. 26)
- 페레코프 지협 전투(09. 15 ~ 09. 30)
- 아조프 해 전투(09. 26 ~ 10. 11)
- 제1차 하리코프 공방전(10. 20 ~ 10. 24)
- 제1차 로스토프 전투(10. 21 ~ 10. 27)
- 발트 해 전역(1939년 ~ 1945년)
- 계속전쟁(06. 25. ~ 1944. 09. 19.)
- 은색여우 작전(06. 29 ~ 11. 17)
- 페르시아 침공(08. 25 ~ 09. 17)
- 크림 반도 전역(09. 26 ~ 1942. 07. 04)
- 크림 반도 전투(10. 18 ~ 11. 16)
- 세바스토폴 공방전(10. 30 ~ 1942. 7. 4)
- 제1차 세바스토폴 공세(10. 30 ~ 11. 21)
- 제2차 세바스토폴 공세(12. 17 ~ 12. 30)
- 케르치 반도 전역(12. 26 ~ 05. 19)
- 케르치-페오도시아 상륙 작전(12. 26 ~ 12. 30)
7.2. 발칸 반도 전선
- 유고슬라비아 침공 (1941년 4월 6일~18일)
- 베오그라드 폭격 (Operation Retribution (1941), 1941년 4월 6일~7일, 8일)
- 유고슬라비아 전선 (1941년 4월 18일~ 1945년 5월 9일)
- 그리스 침공 (Battle of Greece, 1941년 4월 6일~30일)
- 메탁사스 선 전투 (Battle of the Metaxas Line, 1941년 4월 6일~9일)
- 피소데리 패스 전투 (Battle of Pisoderi Pass)
- 베비 전투 (Battle of Vevi, 1941년 4월 11일~12일)
- 프톨레마이다 전투 (Battle of Ptolemaida, 1941년 4월 13일)
- 클레이소우라 패스 전투 (Battle of Kleisoura Pass, 1941년 4월 13일~14일)
- 시아티스차 패스 전투 (Battle of Siatista Pass)
- 카스토리아 호수 전투 (Battle of Lake Kastoria)
- 세르비아 전투 (Battle of Servia)
- 올림푸스 전투 (Battle of Olympus)
- 테르모필레 전투(1941년) (Battle of Thermopylae)
- 코린스 운하 전투 (Battle of Corinth Canal)
- 크레타 섬 전투 (1941년 5월 20일~6월 1일)
7.3. 스칸다나비아/대서양 전선
7.4. 아시아 전선
- 제2차 창사 전투(1941년 9월 ~1941년 10월)
- 제3차 창사 전투(1941년 12월~1942년 1월)
- 신멸작전(1941년12~1944년?)
- 남방작전(1941년~1942년)
- 진주만 공습(1941년 12월 7일)
- 싱가포르 전투(1941년 12월 8일 ~ 1942년 2월 15일)
- 웨이크섬 전투 (1941년 12월 8일 ~ 12월 23일)
- 제1차 괌 전투 (1941년 12월 8일 ~ 12월 10일)
- 말레이 해전(1941년 12월 10일)
8.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 1942년 |
||||||||||||
기간 | 사건 | |||||||||||
4월 | 둘리틀 특공대 | |||||||||||
6월 | 청색 작전 | |||||||||||
미드웨이 해전 | ||||||||||||
7월 | 엘 알라메인 전투 | |||||||||||
8월 | 스탈린그라드 전투 | |||||||||||
과달카날 전역 | ||||||||||||
11월 | 과달카날 해전 | |||||||||||
횃불 작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25초 전개[12] |
1942년은 연합국이 거의 모든 전선에서 추축국에 대한 반격의 발판을 마련한 해였다. 동부전선에서는 모스크바 점령에 실패한 독일군이 청색 작전을 개시해 캅카스의 유전지대를 점령하는 것을 꾀했으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맞이했다.
태평양에서는 미국의 둘리틀 특공대가 일본 도쿄를 폭격하는 데에 성공했으며 이어진 미드웨이 해전에서도 일본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머쥘 수 있었다. 이후 일본에 대한 반격의 시발점이 되는 과달카날 전역이 전개되었다. 또한 북아프리카에서도 서방 연합군이 엘 알라메인 전투와 횃불 작전에서의 승리로 추축국의 아프리카 영향력을 급격히 줄일 수 있었다.
8.1. 동부 전선
- 소련군의 동계 공세
- 쿠르스크-오보얀 공세(01. 03 ~ 01. 26)
- 류반 공세(01. 07 ~ 04. 30) (레닌그라드 공방전)
- 제2충격군 구출 작전(05. 13 ~ 07. 10) (레닌그라드 공방전)
- 르제프 공방전(01. 08 ~ 1943. 03. 31)
- 제1차 르제프-뱌지마 공세(01. 08 ~ 04. 20)
- 뱌지마 공수 작전(01. 18 ~ 02. 28)
- 데미얀스크 전투(01. 07 ~ 1943. 02. 28)
- 볼호프 공세(01. 08 ~ 04. 28)
- 토로페츠-홀름 공세(01. 09 ~ 02. 06)
- 홀름 전투(01. 18 ~ 05. 05)
- 바르벤코보-로조바야 공세(01. 18 ~ 01. 31)
-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13](05. 12 ~ 05. 28)
- 트라펜자드 작전(05. 08 ~ 05. 19) (케르치 반도 전역)
- 중부 전구
- 하노버 작전(05. 24 ~ 06. 21) (르제프 공방전)
- 자이들리츠 작전(07. 02 ~ 07. 12) (르제프 공방전)
-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07. 30 ~ 10. 01) (르제프 공방전)
- 비르벨빈트 작전(08. 11 ~ 08. 24)
- 코젤스크 공세(08. 22 ~ 09. 10)
- 스퇴르팡 작전(06. 02 ~ 07. 04) (세바스토폴 공방전)
- 청색 상황(06. 28 ~ 11. 24)
- 빌헬름 작전(06. 10 ~ 06. 15)
- 프리데리쿠스 II 작전(06. 22 ~ 06. 26)
- 보로네시 전투[14](06. 28 ~ 07. 24)
- 제2차 로스토프 전투[15](07. 19 ~ 07. 24)
- 코카서스 전투(07. 25 ~ 1943. 10. 09)
- 에델바이스 작전[16](07. 23 ~ 11. 18)
- 블뤼허 작전(09. 02 ~ 09. 09)
- 칼라치 전투[17](07. 25 ~ 08. 11)
- 스탈린그라드 전투(08. 21 ~ 1943. 02. 02)
- 도심 전투(09. 13 ~ 09. 26)
- 공업지구 전투(09. 27 ~ 10. 07)
- 공업단지 전투(10. 14 ~ 10. 31)
- 후베르투스 작전(11. 09 ~ 11. 18)
- 시냐비노 공세[18](08. 19 ~ 10. 10) (레닌그라드 공방전)
- 스탈린그라드 공세(11. 29 ~ 1943. 02. 02)
- 천왕성 작전(11. 19 ~ 11. 23)
- 코텔니코보 공세(12. 12 ~ 12. 31)
- 소토성 작전[19](12. 12 ~ 1943. 01. 30)
- 타친스카야 습격(12. 16 ~ 12. 28)
- 콜초 작전(1943. 01. 10 ~ 1943. 02. 02)
- 화성 작전[20](11. 25 ~ 12. 20) (르제프 공방전)
- 벨리키예루키 전투(11. 24 ~ 1943. 01. 20)
- 겨울폭풍 작전(12. 12 ~ 1942. 12. 23)
8.2. 서부 전선
- 영국 해협 돌파작전 (Channel Dash, 1942년 2월 11일~13일)
- 도너케일 작전 (Operation Donnerkeil, 1942년 2월 11일~12일)
- 영국 코만도의 여러 기습 작전
- 비팅 작전 (Operation Biting, 1942년 2월 27일~28일)
- 생나제르 기습 (St Nazaire Raid, 1942년 3월 28일)
- 미르미돈 작전 (Operation Myrmidon, 1942년 4월 5일, 실행 직전 취소됨)
- 아베크롬비 작전 (Operation Abercrombie, 1942년 4월 21일~22일)
- 디에프 상륙 작전 (Dieppe Raid, 1942년 8월 19일)
- 프랑크톤 작전 (Operation Frankton, 1942년 12월 7일~12일)
- PQ-17 호송선단 전투(1942년 6월 27일)
- 바렌츠 해 해전(1942년 12월 25일 ~ 1943년 1월 9일)
8.3. 아시아 전선
- 둘리틀 특공대 - 1942년 4월 18일
- 미드웨이 해전 - 1942년 6월 4일 ~ 1942년 6월 7일
- 알류샨 열도 전역
- 더치 항구 전투 (Battle of Dutch Harbor, 1942년 6월 3일~4일)
- 1차 애투 섬 전투 (Japanese occupation of Attu, 1942년 6월 6일~1943년 5월 30일)
- 1차 키스카 섬 전투 (Japanese occupation of Kiska, 1942년 6월 6일~1943년 7월 28일)
- 1942년 7월 5일 사건 (Action of 5 July 1942, 1942년 7월 5일)
- 1942년 7월 15일 사건 (Action of 15 July 1942, 1942년 7월 15일)
- 자바 해전 (1942년 2월 27일 ~ 3월 1일)
- 다윈 공습 (1942년 2월 19일)
- 산호해 해전 (1942년 5월 4일 ~ 1942년 5월 8일)
- 과달카날 전역 (1942년 8월 7일 ~ 1943년 2월 9일)
- 사보 섬 해전 (1942년 8월 8일 ~ 1942년 8월 9일
- 동부 솔로몬 해전 (1942년 8월 24일 ~ 1942년 8월 25일)
- 에스페란스 곶 해전 (1942년 10월 11일)
- 산타크루즈 해전 (1942년 10월 25일 ~ 1942년 10월 27일)
- 타사파롱가 해전 (1942년 11월 30일)
- 코코다 트랙 전투 (1942년 7월 21일 ~ 11월 16일)
8.4. 지중해-아프리카 전선
- 엘 알라메인 전투(1942년 7월 1일 ~ 1942년 7월 27일)
- 횃불 작전(1942년 11월 8일~ 11월 10일)
- 튀니지 전투(1942년 11월 17일 ~ 1943년 5월 13일)
- 마다가스카르 전투(1942년 5월 5일 ~ 1942년 11월 6일) - 영국의 비시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점령 작전. 철갑 작전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일본 제국도 이 전투에 참가.
8.5. 아메리카 전선
- 로스앤젤레스 전투 (Battle of Los Angeles, 1942년 2월 24일~25일)
- 알류샨 열도 전역 (Aleutian Islands Campaign, 1942년 6월 3일~1943년 8월 15일) - 일본군의 알래스카 주 전투
9.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 1943년 |
||||||||||||
기간 | 사건 | |||||||||||
1월 | 카사블랑카 회담 | |||||||||||
2월 |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 |||||||||||
4월 | 바르샤바 게토 봉기 | |||||||||||
7월 | 쿠르스크 전투 | |||||||||||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 ||||||||||||
9월 | 이탈리아 왕국의 항복 및 연합국 전향 | |||||||||||
11월 | 카이로 회담 | |||||||||||
테헤란 회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9.1. 회담
9.2. 동부 전선
- 돈-캅카스 전역
- 북캅카스 공세(01. 01 ~ 02. 24) (코카서스 전투)
- 제3차 로스토프 전투(02. 05 ~ 02. 18) (코카서스 전투)
- 크라스노다르 공세(02. 09 ~ 05. 24) (코카서스 전투)
-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01. 13 ~ 03. 03)
- 즈베즈다 작전[21](02. 02 ~ 03. 03)
-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02. 19 ~ 03. 14)
- 스카쵸크 작전[22](01. 29 ~ 02. 18)
- 북부 전구
- 이스크라 작전[23](01. 12 ~ 01. 30) (레닌그라드 공방전)
- 북극성 작전(02. 10 ~ 04. 01) (레닌그라드 공방전)
- 데미얀스크 공세 (데미얀스크 전투)
- 중부 전구
- 말로아르한겔스크 공세(02. 05 ~ 03. 02)
- 지즈드라 공세(02. 22 ~ 03. 23)
- 드미트리예프-솁스크 공세(02. 25 ~ 03. 28)
- 들소 작전(03. 01 ~ 03. 22) (르제프 공방전)
- 제2차 르제프-뱌지마 공세(03. 02 ~ 03. 31) (르제프 공방전)
- 쿠르스크 전투(07. 05 ~ 07. 15)
- 쿠투조프 작전[24]07. 12 ~ 08. 18)
-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25](08. 03 ~ 08. 23)
-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26](08. 07 ~ 10. 02)
- 브랸스크 공세(08. 17 ~ 10. 03)
- 바르샤바 게토 봉기(04. 19 ~ 05. 16)
- 남부 전구
- 제1차 돈바스 공세(07. 17 ~ 08. 02)
- 이지움-바르벤코보 공세(07. 17 ~ 07. 27)
- 미우스 공세(07. 17 ~ 08. 02)
- 제2차 돈바스 공세(08. 13 ~ 09. 22)
- 드네프르 강 전투(08. 26 ~ 12. 23)
- 체르니고프-폴타바 공세(08. 26 ~ 09. 30)
- 드네프르 저지대 공세(09. 26 ~ 12. 20)
- 제2차 키예프 전투(11. 03 ~ 12. 23)
- 제1차 므가 공세[27](07. 22 ~ 08. 22) (레닌그라드 공방전)
- 제2차 므가 공세[28](09. 15 ~ 09. 25) (레닌그라드 공방전)
- 크림힐트 작전[29](09. 10 ~ 10. 09) (코카서스 전투)
- 벨라루스 공세
- 제1차 고멜-레치차 공세(09. 30 ~ 10. 30)
- 오르샤 공세(10. 12 ~ 12. 02)
- 네벨 전투(10. 06 ~ 12. 16)
- 제2차 고멜-레치차 공세(11. 10 ~ 11. 30)
- 고로독 공세(12. 13 ~ 12. 31)
- 니콜라우스 작전(12. 20 ~ 12. 26)
- 케르치-옐티겐 상륙 작전(10. 31 ~ 12. 11)
-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12. 24 ~ 1944. 04. 14)
9.3. 서부/지중해 전선
- 혼성폭격기 공세 (Combined Bomber Offensive, 1943년 6월 10일~1945년 4월 12일)
- 트랜스포트 계획 (Transport Plan, 1944년 3월 6일~1944년 8월 말)
- 포인트블랭크 명령 (Pointblank directive, 1943년 6월 14일~1944년 4월 19일)
- 오버로드 작전 (Operation Overlord, 1944년 6월 6일~8월 30일)
- 보디가드 작전 (Operation Bodyguard, 1943년~1944년) - 오버로드 작전을 숨기기 위한 낚시 작전
- 시칠리아 상륙작전(1943년 7월 10일 ~ 8월 17일)
- 이탈리아 항복(1943년 9월 8일)
- 도데카니사 전투(1943년 9월 8일 ~ 1943년 11월 22일)
- 플로이에슈티 공습(1943년 8월 1일)
- 노스케이프 해전(1943년 12월 26일)
9.4. 아시아 전선
- 비스마르크해 해전 (1943년 3월 1일 ~ 3월 5일)
- 콜롬방가라 해전 (1943년 7월 12일 ~ 7월 13일)
- 부겐빌 섬 전투 (1943년 11월 1일 ~ 1945년 8월 21일)
- 타라와 전투 (1943년 11월 20일 ~ 11월 23일)
- 마킨 환초 섬 전투 (1943년 11월 20일 ~ 11월 24일)
- 글로스터 곶 전투 (1943년 12월 26일 ~ 1944년 4월 22일)
- 2차 애투 섬 전투 (Bombardment of Attu, 1943년 2월~4월)
- 코만도르스키 섬 전투 (Battle of the Komandorski Islands, 1943년 3월 27일)
- 3차 애투 섬 전투 (Battle of Attu, 1943년 5월 11일~30일)
- 1943년 5월 12일 사건 (Action of 12 May 1943, 1943년 5월 12일)
- 핍스 전투 (Battle of the Pips, 1943년 7월 27일)
- 2차 키스카 섬 전투 (Operation Cottage, 1943년 8월 15일)
10.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 1944년 |
||||||||||||
기간 | 사건 | |||||||||||
4월 | 대륙타통작전 | |||||||||||
6월 | 바그라티온 작전 | |||||||||||
노르망디 상륙 작전( 오버로드 작전) | ||||||||||||
필리핀 해 해전 | ||||||||||||
사이판 전투 | ||||||||||||
7월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발퀴레 작전) | |||||||||||
8월 | 바르샤바 봉기 | |||||||||||
9월 | 마켓 가든 작전 | |||||||||||
10월 | 레이테 만 해전 | |||||||||||
12월 | 벌지 전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10.1. 동부 전선
- 중부 전구
- 노보소콜니키 공세 (1943. 12. 30 ~ 01. 08)
-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01. 08 ~ 01. 30)
- 비텝스크 공세(02. 03 ~ 03. 13)
- 로가체프-즐로빈 공세(02. 21 ~ 02. 26)
-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공세(01. 14 ~ 03. 01) (레닌그라드 공방전)
- 남부 전구
-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01. 24 ~ 02. 16)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03. 22 ~ 04. 05)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 크림 반도 공세(04. 08 ~ 05. 12)
- 제1차 야시-키시네프 공세(04. 08 ~ 06. 06)
- 나르바 전투(02. 02 ~ 08. 10)
- 카렐리아 작전[30](06. 10 ~ 08. 09)
- 바그라티온 작전(6. 22 ~ 08. 29)
- 비텝스크-오르샤 작전(06. 23 ~ 06. 28)
- 모길레프 작전(06. 23 ~ 06. 28)
- 보브루이스크 작전(06. 24 ~ 06. 29)
- 민스크 작전(06. 29 ~ 07. 04)
- 폴로츠크 작전(06. 29 ~ 07. 04)
- 빌뉴스 작전(07. 05 ~ 07. 20)
- 비아위스토크 작전(07. 05 ~ 07. 27)
- 샤울랴이 작전(07. 05 ~ 07. 31)
- 루블린-브레스트 작전(07. 18 ~ 08. 02)
- 랴지민 전투(08. 01 ~ 08. 04)
- 카우나스 작전(07. 28 ~ 08. 28)
- 오소베츠 작전(08. 06 ~ 08. 28)
- 발트 해 전역
- 레지차-드빈스크 공세(07. 10 ~ 07. 27)
-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07. 11 ~ 07. 31)
- 나르바 공세(07. 24 ~ 07. 30)
- 타넨베르크 선 전투(07. 25 ~ 08. 10)
- 마도나 공세(08. 01 ~ 08. 28)
- 타르투 공세(08. 10 ~ 09. 06)
- 도펠코프 작전(08. 16 ~ 08. 27)
- 발트 해 공세(09. 14 ~ 11. 24)
- 메멜 포위전(10. 05 ~ 1945. 01. 28)
- 카이사르 작전 (09. 16 ~ 09. 21)
- 쿠를란트 포위전(10. 09 ~ 1945. 05. 08)
-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07. 13 ~ 08. 29)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및 발키리 작전(7. 20)
- 바르샤바 봉기(08. 01 ~ 10. 02)
- 헝가리/루마니아 전역
-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08. 20 ~ 08. 29)
- 루마니아가 항복하고 독일에 선전포고(08. 23)
- 슬로바키아 민족봉기(08. 29 ~ 10. 28)
- 부쿠레슈티-아라드 공세[31](08. 30 ~ 10. 03)
- 소련이 불가리아에 선전포고(09.05)
- 불가리아가 항복하고 독일에 선전포고(09.08)
-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09. 09 ~ 10. 28)
- 베오그라드 공세(09. 15 ~ 11. 24)
- 베오그라드 공방전(09. 28 ~ 10. 20)
- 데브레첸 공세(10. 06 ~ 10. 28)
- 부다페스트 공세(10. 29 ~ 1945. 02. 13)
- 부다페스트 공방전(12. 24 ~ 1945. 02. 13)
- 콘라트 I 작전(1945. 01. 01 ~ 1945. 01. 06)
- 콘라트 II 작전(1945. 01. 07 ~ 1945. 01. 11)
- 콘라트 III 작전(1945. 01. 18 ~ 1945. 01. 27)
- 아파틴-카포슈바르 공세(11. 07 ~ 12. 10)
- 바티나 전투(11. 11 ~ 11. 29)
- 라플란드 전쟁(09. 15 ~ 04. 25)
- 핀란드가 독일에 선전포고(09. 15)
- 핀란드가 소련과 평화 협정을 맺음(09. 19)
-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10. 07 ~ 10. 29)
- 굼비넨-골다프 공세(10. 16 ~ 10. 30)
10.2. 서부 전선
- 논쟁 작전(1944년 2월 20일 ~ 2월 25일)
- 오버로드 작전
- 노르망디 상륙 작전 (Invasion of Normandy, 1944년 6월 6일~7월 중순)
- 빌레르보카쥬 전투(1944년 06월 13일)
- 팔레즈 포위전(1944년 8월 12일 ~ 8월 21일)
- 용기병 작전 (Operation Dragoon, 1944년 8월 15일~9월 14일)
- 파리 해방 (Liberation of Paris, 1944년 8월 19일~8월 25일)
- 마켓 가든 작전(Operation Maket Garden, 1944년 9월 17일~9월 25일)
- 아헨 전투(Battle of Aachen, 1944년 10월 2일~10월 21일)
- 휘르트겐 숲 전투(Battle of Hurtgen Forest, 1944년 9월 14일~1945년 2월 10일)
- 벌지 전투(Battle of Bulge, 1944년 12월 16일~1945년 1월 25일)
- 이탈리아 전선
10.3. 아시아 전선
- 헤일스톤 작전(1944년 2월 16일 ~ 1944년 2월 17일)
- 임팔작전(1944년 3월 9일~ 7월 3일)
- 대륙타통작전(1944년 4월 17일 ~ 1944년 12월 10일)
- 필리핀 탈환 전역
- 필리핀 해전 (1944년 6월 19일 ~ 6월 20일)
- 대만 항공전 (1944년 10월 12일 ~ 10월 18일)
- 레이테 만 해전 (1944년 10월 23일 ~ 1944년 10월 26일)
- 팔라완 통로 전투
- 시부얀 해전
- 수리가오 해협 해전
- 사마르 해전
- 엔가노 곶 해전
- 레이테 섬 전투 (1944년 10월 17일 ~ 12월 26일)
- 민도로 섬 전투 (1944년 12월 13일 ~ 1945년 2월)
- 사이판 전투 (1944년 6월 15일 ~ 7월 9일)
- 제2차 괌 전투 (1944년 7월 21일 ~ 8월 10일)
- 티니안 전투 (1944년 7월 24일 ~ 8월 1일)
- 펠렐리우 전투 (1944년 9월 15일 ~ 11월 27일)
- 앙가우르 전투 (1944년 9월 17일 ~ 10월 22일)
- 콰잘레인 전투 (1944년 1월 31일 ~ 2월 3일)
- 에니웨톡 전투 (1944년 1월 4일 ~ 1944년 1월 9일)
- 대만 항공전 (1944년 10월 12일 ~ 10월 18일)
10.4. 아메리카 전선/기타
- 풍선폭탄 공격 (Fire balloon, 1944년~1945년)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및
발키리 작전(1944년 7월 20일)
11.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주요 사건 1945년 |
||||||||||||
기간 | 사건 | |||||||||||
2월 | 얄타 회담 | |||||||||||
드레스덴 폭격 | ||||||||||||
이오지마 전투 | ||||||||||||
3월 | 도쿄 대공습 | |||||||||||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 ||||||||||||
4월 | 베를린 공방전 | |||||||||||
오키나와 전투 | ||||||||||||
5월 | 나치 독일의 항복 | |||||||||||
8월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 ||||||||||||
일본의 항복 | ||||||||||||
9월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연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9px" |
1936년 | 1937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1941년 | 1942년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
11.1. 회담
- 얄타 회담(1945년 2월 4일 ~ 1945년 2월 11일)
11.2. 동부 전선
- 독일/폴란드 전역
- 비스와-오데르 공세(01. 12 ~ 02. 02)
- 서부 카르파티아 공세(01. 12 ~ 02. 18)
- 동프로이센 공세(01. 13 ~ 04. 25)
- 하일리겐바일 포위전(04. 06 ~ 04. 09)
- 쾨니히스베르크 전투(04. 13 ~ 04. 25)
- 삼란드 공세(04. 13 ~ 04. 25)
- 퀴스트린 전투(02. 03 ~ 03. 30)
- 하부 슐레지엔 공세(02. 08 ~ 02. 24)
- 브레슬라우 포위전(02. 13 ~ 05. 06)
- 동부 포메른 공세(02. 10 ~ 04. 04)
- 존넨벤데 작전[32](02. 15 ~ 02. 18)
- 젬세 작전[33](03. 01 ~ 03. 08)
- 상부 슐레지엔 공세(03. 15 ~ 03. 31)
- 헝가리/오스트리아 전역
- 남풍 작전(02. 17 ~ 02. 24)
- 봄의 새싹 작전[34](03. 06 ~ 03. 15)
- 반스카비스트리차 공세(03. 10 ~ 03. 30)
-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03. 10 ~ 05. 05)
- 빈 공세(03. 13 ~ 04. 15)
- 빈 공방전(04. 05 ~ 04. 13)
- 브라티슬라바-브르노 공세(03. 25 ~ 05. 05)
- 그라츠-암슈테텐 공세(04. 15 ~ 05. 09)
- 베를린 공세(04. 16 ~ 05. 08)
- 젤로 고지 전투(04. 16 ~ 04. 19)
- 할베 포위전 (04. 24 ~ 05. 01)
- 베를린 공방전(04. 24 ~ 05. 02)
- 이터성 전투(05. 05)
- 프라하 공세[35](05. 06 ~ 05. 11)
11.3. 서부 전선
- 드레스덴 폭격(1945년 2월 13일 ~ 2월 15일)
- 라인 강 도하 작전(1945년 3월 22일~3월 28일)
- 그레네이드 작전(Operation Grenade, 1945년 2월 9일)
- 플런더 작전(Operation Plunder, 1945년 3월 24일)
- 버시티 작전(Operation Varsity, 1945년 3월 24일) - 플런더 작전의 일부로 영국 제 6 공수사단과 미국 제 17공수사단의 라인 강 너머 서독 지역 교두보를 확보하는 작전이었다.
- 뉘른베르크 전투(Battle of Nurnberg, 1945년 4월 16일~4월 20일)
- 이터성 전투(Schlacht um Schloss Itter, 1945년 5월 5일) - 1945년 5월 5일 오스트리아 북 티롤 지방의 이터 마을에서 일어난 미군 제 12기갑사단, 이터성에 수감되어 있다 탈출한 프랑스 레지스탕스, 소규모의 미군 측에 투항한 독일 국방군, 탈영 나치 친위대 병력이 이터 마을을 점거하고 있던 제 17 SS 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엔 소속 잔존병력과의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이 전투는 미군 제 21 군단 산하 제 36 보병사단 제 142 보병연대가 이터 마을에 도착하여 상황 정리에 들어가기 전까지 계속되었으며 이 전투에 참여한 프랑스 레지스탕스 중에서는 전 총 리, 장 군, 테니스 선수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전쟁 기간 미군과 독일군이 동맹을 맺고 같은 편에서 전투한 유일한 전투로 추측되기도 한다. 대중들에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이상한 전투"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11.4. 아시아 전선
- 이오지마 전투 (1945년 2월 19일 ~ 1945년 3월 26일)
- 오키나와 전투 (1945년 4월 1일 ~ 1945년 6월 22일)
- 루손 섬 전투 (1945년 1월 9일 ~ 8월 15일)
- 빅터 작전 (Operation VICTOR, 1945년 2월 ~ 7월)
- 오보에 작전 (1945년 5월 1일 ~ 8월 15일)
- 실론 해전
- 일본 본토 공습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12. 전후/미실행
12.1. 유럽 전선
12.2. 아시아 전선
- 몰락 작전(1945. 8. 17~)
- 2차 일본 본토 공습(1945. 8. 17~) 주요 도시만 때렸던 1차 공습과 달리 상륙에 앞서 일본 본토 전 지역에 대규모 전략폭격을 쏟아부을 뿐 아니라 항모 기동부대에 의한 군사적 요충지 정밀 폭격, 전함의 대지상 함포 사격 등이 계획되어 있었다.
- 고쿠라/니가타 원자폭탄 투하(1945. 8. 18 이후) - 8월 18일 이후 날씨가 좋아지는 대로 고쿠라나 니가타 중 하나를 핵폭격할 예정이었다. 이후로도 최대 네 곳이 더 예정되어 있었다.
- 파스텔 작전 - 올림픽 작전에 대비한 기만 작전. 8만 명의 미군 병력이 시코쿠에 상륙할 예정이었다.
- 타네가시마 상륙작전(1945. 10. 28) - 규슈에 미군 본대가 상륙하기 3일 전 다네가 섬과 고시키지마 열도에 선발대가 투입될 예정이었다.
- 올림픽 작전(1945. 11. 1~1945. 12. 1)
- 코로넷 작전(1946. 3. 1)
- 지퍼 작전(1945. 9. 9) - 영국의 말라야 반도 탈환 계획. 원래 1945년 9월 9일에 크랑 항과 딕슨 항에 영국군이 대규모로 상륙하여 교두보를 확보한 후 남쪽으로 진격해 일본 세력을 몰아내고 싱가포르를 되찾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였다.
- 조석 작전 - 영국의 싱가포르 탈환 계획이었다. 지퍼 작전의 취소로 부분적으로만 실행되어 말라야 반도 주둔 일본군을 설득해 항복시키는 선에서 작전이 끝났다. 이 과정에서 리슐리외급 전함 리슐리외[36] 가 가벼운 손상을 입고 일본군 300명이 할복 자살하는 피해가 있었다.
- 카보네이드 작전 - 중국의 반격 계획. 지난해에 대륙타통작전의 점령지에서 일본군을 몰아낼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 서울 진공 작전
- 결호작전
- 프로젝트 SEAL - 미군과 뉴질랜드군의 쓰나미 실전 투입 계획.
[1]
몇몇 학자들은 이 시점을 제2차 세계 대전의 시발점으로 본다.
[2]
대체역사소설계의 대부라고 불리는
높은 성의 사나이 원작에서도
독일의 전쟁범죄와 악랄함은 노골적으로 묘사되지만
일본은 오리엔탈리즘적이고 신비한 국가처럼 묘사되며 그 전쟁범죄나 야만성을 잘 두각시키지 않지만, 해당 소설을 2010년대에 드라마화한
높은 성의 사나이에서는 나치 독일에 필적하는 일본 제국의 만행, 그리고
어리석음까지 디테일하게 고증한다.
[3]
"국내 학자들은 대부분 1931년
9·18항일전쟁을 세계반파시즘전쟁의 시발점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9.18 항일전쟁을 기점으로 삼는 것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国内学者大多倾向于把1931年九一八抗战确定为世界反法西斯战争的起点。我们认为,把九一八抗战作为起点符合历史事实) - 출처:중국정부네트워크-중앙인민정부포털
#
[4]
남극 조약 발효 이전이라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었으나, 나치 독일은 해당 지역을 자국 영토(...)로 선언하였다. 이후 패전과 남극 조약으로 인해 노이슈바벤란트는 단순한 지명으로 남게 되었다.
[5]
오역이 다소 있다.
[6]
영국 총리 관저
[7]
다만 영국군은
됭케르크 철수작전에서 대부분 빠져나갔다.
[8]
14일 네덜란드 항복 이후에도 프랑스군 제60보병사단이 17일까지 주둔해 방어임무를 맡았으며 이후 벨기에군 제1기병사단이 방어하다가 27일 독일군에 완전히 점령되었다.
[9]
이 날짜는 영국 역사를 기준으로 한다. 독일에서는 1941년 8월 중순까지로 본다.
[10]
태풍 작전
[11]
베사라비아 공세
[12]
자세히 보면 소련군이
볼가강 유역 시가지에서 끈질기게 버티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3]
프레데리쿠스 I 작전
[14]
브라운슈바이크 작전
[15]
클라우제비츠 작전
[16]
뎀프시해머 작전
[17]
피슈라이허 작전
[18]
제3차 시냐비노 공세
[19]
돈강 중류 공세
[20]
제2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21]
하리코프 공세
[22]
보로실로프그라드 공세
[23]
제4차 시냐비노 공세
[24]
오룔 공세
[25]
루미안체프 작전
[26]
수보로프 작전
[27]
제5차 시냐비노 공세
[28]
제6차 시냐비노 공세
[29]
노보로시스크-타만 공세
[30]
비보르크-페트로자포츠크 공세
[31]
루마니아 작전
[32]
동지 작전
[33]
라우반 전투
[34]
발라톤 호수 공세
[35]
유럽 전선의 사실상 마지막 전투.
[36]
원래는 프랑스군의 전함이나, 당시에는 영국이 임대해서 사용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