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3:07:24

연합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자 그대로의 연합 국가에 대한 내용은 연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국가들간의 연합에 대한 내용은 국가연합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연합국에 대한 내용은 협상국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제2차 세계 대전 전의 국제 기구에 대한 내용은 국제연맹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현재의 국제 기구에 대한 내용은 유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연합국 명예기.svg 연합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7e0707> 세계 대전의 양대 진영
제1차 세계 대전 협상국 동맹국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 추축국

제2차 세계 대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536349><colcolor=#FFF> 전개 원인
연표 · 전선 ( 전체 전투 목록분류 ·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투목록 · 유럽·아프리카 지역 전투목록 · 연표)
참전국 연합국 · 추축국 ( 참전국 · 연합국 · 추축국)
피해 피해와 전쟁 범죄 ( 홀로코스트 · 독일의 전쟁범죄 · 일본의 전쟁범죄)
인물 및 어록 관련 인물 · 관련 어록
기타 이야깃거리
미디어 창작물 · 게임 · 전쟁 영화
}}}}}}}}} ||

{{{#!wiki style="margin: -8px" <tablebordercolor=#4b92db><tablebgcolor=#4b92d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B92DB> 구성 <colcolor=#000,#fff> 유엔 총회 · 안전보장이사회 · 상임이사국 · 비상임이사국 · 사무총장
산하 군 유엔 평화유지군
산하기구 세계식량계획 · 유니세프 · 유엔난민기구
전문기구 국제통화기금 · 세계은행 · 세계보건기구 · 유엔식량농업기구 · 만국우편연합 · 국제노동기구 · 국제해사기구 · 국제민간항공기구 · 유네스코 · 국제농업개발기금 · 국제전기통신연합 · 유엔산업개발기구 · 세계지식재산기구 · 세계기상기구 · 세계관광기구
협력기구 세계무역기구 · 국제원자력기구 · 화학무기금지기구 ·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 · 국제이주기구 · 국제형사재판소 · 국제해양법재판소 · 국제해저기구
전신 국제연맹 · 연합국
관련 틀 사무총장 · 상임이사국 · 공식 언어 · 협력 기구 · 전문기구
기타 유엔글로벌콤팩트 ·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 유엔군사령부 소속 필리핀군 사병 한국인 살해 사건 }}}}}}}}}
연합국
Allies of World War II
1939년 ~ 1945년
파일:추축국/지도.png
연합국 (연합국의 점령지 및 식민지)
추축국, 공동 교전국과 식민지
진주만 공습 이후 연합국
중립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결과 승전
성립 1942년 1월 1일 (연합국 공동 선언)
역사 1921년 2월 19일 프랑스-폴란드 동맹
1939년 8월 25일 영국-폴란드 동맹
1939년 9월 12일 영불 최고전쟁위원회 개회
1941년 8월 14일 대서양 회의
1942년 5월 26일 영국-소련 동맹
1943년 11월 22일 카이로 회담[1]
1944년 7월 1일 브레튼우즈 회담
1945년 2월 4일 얄타 회담
1945년 6월 26일 UN 헌장 공포
1945년 7월 17일 포츠담 회담[2]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1945년 10월 24일 유엔 정식 발족
후신 유엔(UN)
1. 개요2. 연합국 목록(유엔 총회 창립국)
2.1. 주요 연합국(유엔 상임이사국)2.2. 기타 연합국(유엔 총회 회원국)
3. 연합국 의전기4.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연합국인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www.peacepalacelibrary.nl/07_007-1000x1397.jpg 파일:united we are strong.png
연합
연합국은 자유를 위해 싸웁니다.
연합한다면 우리는 강합니다.
연합한다면 우리는 승리합니다.
연합국(, the Allies)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추축국에 대항하여 연합한 국가를 말한다. 1942년 이후에는 United Nations(UN)이라는 영문 명칭도 사용됐는데, 이 연합국이 전후 국제기구로 개편된 것이 오늘날의 유엔이다. 2차 대전이 끝난 이후에도 세계 질서는 미국과 소련의 양극체제를 거쳐 다극 체제, 미국 일극 체제에 이르기까지 구 연합국의 구성국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미국 참전 이전의 연합국들[3]은 그냥 'Allies'라 불렸지만,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국이 본격적으로 연합국에 참전한 이후 1942년 연합국 공동 선언(Declaration by United Nations)이 체결되면서 'United Nations'라고 불리기 시작했고, 전후에 즈음하여 유엔 헌장을 발족하며 이 연합국 공동 선언을 확대, 개편한 것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국제기구인 유엔이다.[4]

실제로 중국 북한에서는 유엔을 연합국(联合国)[두음법칙]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서 오랫동안 통용되었던 명칭인 "국제연합"은 추축국의 일원이자 연합국의 적이었던 일본이 번역한 용어인데, 현재는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영문 이니셜 UN을 그대로 읽은 유엔으로 표기 및 지칭하고 있다.

연합국의 핵심 국가인 미국, 영국, 프랑스, 중화민국, 소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되었다. 이후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제4공화국이 출범하면서 프랑스 임시정부의 상임이사국 지위를 계승했고, 1971년 중화민국이 유엔을 탈퇴하는 형식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상임이사국 지위를 접수했고, 1991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와 함께 러시아 연방이 상임이사국 지위를 계승했다.

2. 연합국 목록(유엔 총회 창립국)

2.1. 주요 연합국(유엔 상임이사국)[6]

2.2. 기타 연합국(유엔 총회 회원국)

3. 연합국 의전기

파일:연합국 명예기.svg 파일:유엔기(1945).png
연합국 의전기
(1943-1948)
연합국 휘장[16]
(1945)
연합국 의전기 (United Nations Honour Flag), 네 가지 자유기(Four Freedoms Flag)라고도 불리며, '네 가지 자유'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1941년 1월 6일 연두교서에서 제창해 후일 연합국과 유엔의 기조로 채택된 가치를 말한다. 각각 '표현과 연설의 자유', '신앙의 자유', '결핍으로부터의 자유', '공포로부터의 자유'이다.

연합국 구성원으로부터 공인받지는 못했으나, 일부 외교 행사에서 게양되거나 연합국의 심볼로 사용되어 1943년에서 종전 이후인 약 1948년까지도 사용되었다. 이후에는 공식적인 유엔의 기가 사용되었다. 연합국의 명예와는 상관없이 의전용으로 쓰인 깃발이라 의장기(儀仗旗) 내지는 의전기(儀典旗)로 부르는 것이 맞다. 비슷한 사례로 의장대도 영문 명칭은 'Hono(u)r Guard'이다.

4.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연합국인가?

미국 연방정부는 1945년 6월 8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하여 주권의 승인을 거부하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연합국이 아니라고 확실하게 못박았다.

연합국의 자격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전국들 가운데 ㉮ 1940년대에 가입한 유엔 총회의 원년멤버, ㉯ 1939년 시점에서 ㉮의 속국, ㉰ 1941년 시점에서 ㉮와 정식으로 체결한 공수동맹이 확실하게 유효한 나라인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것들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못했다. 게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의회 행정부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견해 차이, 좌익계 독립운동세력의 임시정부 불인정,[17] 김구의 비타협적인 태도도 연합국 인정 여부에 상당한 마이너스로 작용했다, 자세한 건 대한민국 임시정부/법통 논란의 "북한 및 해외의 입장"과 김구/평가 참조.

다만 이는 임시정부 자체를 연합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뜻이지 임시정부 구성원들의 연합국에 대한 기여까지 부정한다는 뜻은 아니었으며[18], 이 때문에 미군정은 임시정부 구성원들이 개인 자격으로 한반도에 돌아오는 것을 허락해주었으며 워싱턴 D.C.의 연방정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임시정부 귀국 환영대회를 지원했다.[19]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연합국의 승인을 받지 못했던 이유는 위와 같이 여러가지가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한반도를 둘러싼 연합국 구성원들의 이해관계 충돌이었다. 중화민국 입장에선 자신들과 우호관계에 있는 임시정부를 연합국에 편입시키고 싶었을 것이고, 미국 소련에겐 자신들의 통제 밖에 있는 임시정부는 전후 한반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관련 기사 그나마 미국은 군정의 테두리 안에서 임시정부 구성원들을 끌어들이려고 했으나, 소련은 그 마저도 하지 않고 김일성이 속했었던 동북항일연군 계열로 친소 정부를 수립하려고 했다. 그 결과 남한 제헌국회에 의해 임시정부의 이름을 국호로 삼았으나, 북한은 독자적인 국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를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에도 남북한은 각각 자신들의 정통성 뿌리를 대한민국 임시정부(남한)와 동북항일연군(북한)에 두고 있다.
파일:Syngman Rhee's Speech at Korean Victory Day.jpg
1945년 10월 20일, 중앙청에서 열린 연합군 환영대회에서 대중에게 첫 공개 연설을 하고 있는 이승만

그리고 연합국의 높으신 분들이 판단한 이승만 김구 여운형 김규식 수카르노 아웅산처럼 체스 보드과 다를 바가 없는 따까리에 불과했다. 연합국의 간택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한 것이다. 이리하여 승전 이후의 새질서를 재구성하는 회담에서 한국은 철저하게 배제되었고, 미국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사전 합의를 바탕으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했으니, 남한과 북한은 일본에 대하여 손해배상 국가배상 전쟁배상금 청구권이 전면부정되고 말았다. 식민통치의 합법성을 전제로 하여 손실보상 청구권만 어렵게나마 인정받은 것이다. 오랜 시간이 흘러간 뒤에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내각총리대신 1998년 공동성명과 내각총리대신 2010년 담화에서 일본 제국 한반도 식민통치에 대하여 공식 사죄가 있었다.

5. 관련 문서



[1] 동년 12월 1일 카이로 선언 발표 [2] 동년 7월 26일 포츠담 선언 발표 [3] 영국, 프랑스, 중화민국, 소련 [4]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 LN)의 후신이기도 하다. [두음법칙]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북한식 표기법에 따르면 '련합국'. [6] 자치령 자치정부를 포함한다. [7] 이후 독일에게도 선전포고를 받아 유럽전선에도 공식적으로 참전한다. [8] 이집트 왕국은 명목상 독립국이었으나 실질적으로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9] 여기에는 복잡한 사정이 있었는데, 당시 전인도무슬림연맹은 영국의 총력전에 적극적으로 협력했지만, 인도 국민회의영국의 완전 철수를 요구한 덕택에 싹쓸이로 투옥되는 수난을 겪었고, 자유 인도 임시정부를 추종하는 인도 독립운동 세력들은 추축국의 지원을 받았다. 한참 후에 인도 파키스탄 분리독립을 실행한 영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인도 총독부의 인도인 문관들과 영국인 무관들은 인도와 파키스탄의 연방정부와 주정부들 및 육해공군과 자치경찰로 재편성했다. 인도 근현대사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은 독자들은 조길태 박사( 아주대학교 사학과 교수)의 학술연구저서들( 영국의 인도 통치 정책, 인도사, 인도와 파키스탄)을 시군구 도서관이나 대학교 도서관에서 직접 빌려서 읽어 보거나 인터넷 서점 헌책방 중고책 판매를 통해서 싼 값에 구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10] 이슈브( 유대교도 자치정부)의 민방위군 트란스요르단( 이슬람교도 자치정부)의 아랍 군단이 참전했는데, 이슈브를 계승한 이스라엘 외교사절단은 1949년 유엔 총회 원년 멤버로 가입했지만, 트란스요르단을 계승한 요르단 왕국 1955년에 뒤늦게 유엔 총회에 가입했다. [11] 실질적인 참전은 폴란드 침공 이후. [12] 1936년 몽골-소련 상호원조의정서 몽골-소련 공수동맹에 바탕한 것이다. 몽골의 변방을 지키는 몽소 연합군( 몽골군 소련군)은 일만 연합군( 일본군 만주군)을 격파한 할힌골 전투를 경험했고, 독소전쟁 시기에는 후방에서 열심히 군수물자를 지원했으며, 일본 제국의 뒤통수를 치는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도 합동으로 참가했기 때문에 몽골에서는 역사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몽골과 연합국이 승리한 전쟁으로 보고 기념하고 있다. 수도 울란바토르의 자이승 승전탑이 몽골의 제2차 세계 대전 승전을 기념하는 탑이다. 그러나 1950년에 이르러 국공내전에서 완패한 중화민국 정부가 상임이사국 자리를 사수하겠다는 외교전략을 실행하면서 몽골이 국제사회에 인정받는 것을 방해했기 때문에 건국한 이래로 40여년이나 지난 1961년에서야 유엔 총회의 회원국으로 가입했으며, 1987년이 되어서야 미국이 몽골의 주권을 승인했다. [13] 사실 이것도 논란이 있다. 덴마크는 독일에 선전포고도 하지 않았고, 침공한 시점부터 하루도 안되어서 항복하였다. 항복 이후엔 덴마크 보호령이 되어 독일과 협력한다. [14] 무려 4시간 만에 항복했다(...).나중에 덴마크인들이 오성홍기 코로나바이러스를 합성한 사진을 올리면서 중국을 조롱하자 중국 네티즌들은 덴마크 국기의 십자가를 4시간이란 글자로 채워넣어 응수했다.(...) [15] 볼펜을 발명한 신문기자 비로 라슬로(Bíró László) 역시 나치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도망친 사람이다. [16] 대전 말기인 1945년 6월 26일 공포되었던 《연합국 헌장(유엔 헌장)》 전면부에 나타난 연합국의 휘장. 오늘날 유엔 기와 휘장의 전신이며, 대륙의 배치 각도가 현재의 것과 조금 다르다. [17] 하지 맥아더에게 올린 보고서에서 한국인의 70%가 임시정부가 아닌 사회주의계 독립운동세력을 지지한다고 기재했다. [18] 예로, 영어 위키백과의 태평양 전쟁 문서에서는 말레이 인민항일군, 베트민, 자유 타이 운동, 후크발라합 등과 함께 연합군에 협력한 저항군으로 나온다. [19] 하지 군정장관에 대한 송진우 여운형의 건의도 여기에 큰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