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9:24:29

부건빌 전역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아시아/태평양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or: #1D1D1D;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유럽 및 아프리카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국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colbgcolor=#b31c31> 중일전쟁
루거우차오 사건
제2차 상하이 사변
장인 전투
우쑹 전투
난징 전투
충칭 대공습
1939년 동계공세작전
할힌골 전투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창사 전투
남광시 전투
백단대전
코 창 해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비시 프랑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진주만 공습
홍콩 전투
남방작전
제1차 괌 전투
웨이크섬 전투
싱가포르 전투
말레이 해전
마셜-길버트 공습
다윈 공습
로스엔젤레스 전투 공격측 불명
자바 해전
엘우드 포격
실론 해전
둘리틀 특공대
산호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알류샨 열도 전역
코코다 트랙 전투
과달카날 전역
툴라기 전투
테나루 전투
사보섬 해전
마타니카우 작전
동부 솔로몬 해전
에스페란스 곶 해전
산타크루즈 해전
과달카날 해전
타사파롱가 해전
비스마르크해 해전
일-독 잠수함 합동작전
타라와 전투
콜롬방가라 해전
창더 전투
부건빌 전역
글로스터 곶 전투
헤일스톤 작전
임팔 전투
대륙타통작전
사이판 전투
필리핀해 해전
제2차 괌 전투
펠렐리우 전투
모로타이 섬 전투
앙가우르 전투
오보에 작전
대만 항공전
필리핀 탈환전
레이테 만 해전
일본 본토 공습
풍선폭탄 공격
람리 섬 전투
이오지마 전투
도쿄 대공습
오키나와 전투
페낭 해전
시탕 굽이 전투
구레 군항 공습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남사할린 침공
슘슈 섬 전투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및 결과)는 개별 문서 확인
}}}}}}}}} ||

부건빌 전역
The Battle of Bougainville
태평양 전쟁의 일부
파일:1280px-U.S._Soldiers_at_Bougainville_(Solomon_Islands)_March_1944.jpg
날짜
1943년 11월 1일 ~ 1945년 8월 21일
장소

파푸아뉴기니 부건빌 일대
교전국 [[틀:깃발|]][[틀:깃발|]][[미국|]]
지휘관 [[틀:깃발|]][[틀:깃발|]][[더글러스 맥아더|]]
[[틀:깃발|]][[틀:깃발|]][[윌리엄 홀시|]]
[[틀:깃발|]][[틀:깃발|]][[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
]][1]
[[틀:깃발|]][[틀:깃발|]][[로이 가이거|]]
[[틀:깃발|]][[틀:깃발|]][[앨런 H. 터니지|]]
[[틀:깃발|]][[틀:깃발|]][[시어도어 스타크 윌킨슨|
시어도어 스타크 윌킨슨
]]
[[틀:깃발|]][[틀:깃발|]][[이마무라 히토시|
이마무라 히토시
]]
[[틀:깃발|]][[틀:깃발|]][[틀:깃발|]] 햐쿠타케 하루키치
[[틀:깃발|]][[틀:깃발|]][[틀:깃발|]] 코가 미네이치
결과
연합군의 승리
영향
일본군이 종전 때 항복해 군사적 영향을 끼치지 못함
전력 [[틀:깃발|]][[틀:깃발|]][[미군|]]
144,000명
[[틀:깃발|]][[틀:깃발|]][[호주군|]]
30,000명
항공기 728대
45,000~65,000명
항공기 154대
피해규모 [[틀:깃발|]][[틀:깃발|]][[미군|]]
724명 전사
[[틀:깃발|]][[틀:깃발|]][[호주군|]]
516명 전사
1,572명 부상
20,000~40,000명 전사

1. 개요2. 배경3. 준비
3.1. 정보 수집

[clearfix]

1. 개요

부건빌 전역 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 11월 1일부터 종전 후인 1945년 8월 21일까지 현 파푸아뉴기니 부건빌과 그 주변 슈아죌, 트레저리 섬 등에서 벌어진 연합군과 일본 제국군 사이의 전투이다.

2. 배경

1942년 3월, 일본군이 남방작전을 시행하면서 남태평양 지역의 수많은 섬들을 점령했고, 라바울 부건빌도 그 중 하나였다. 특히 부건빌은 1차 세계대전까지 독일령이었던 곳이라 추축국인 일본에게 협조하는 원주민들이 많았고, 이들은 호주 연안감시대 병력들을 소탕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1942년 과달카날 전역을 승리로 이끌었던 연합군의 다음 목표는 라바울 본영이었다. 태평양 전쟁 내내 캐롤라인 제도가 일본의 후방기지였다면, 라바울은 전방 기지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라바울은 연합군이 일본 본토로 진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전략적 요충지이기도 했다. 그러나 라바울은 일본군에서 보기 드문 명장 이마무라 히토시 장군의 지휘하에 섬 전체가 요새화되어 있었다.

그러다보니 1942년까지도 미군은 라바울에 직접 상륙해 점령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해군 참모총장 겸 참대총사령관이었던 어니스트 킹 제독과 해군을 중심으로 한 중부태평양해역군의 생각은 조금 달랐다. 이들은 라바울을 우회해 중부태평양으로 직접 진격한 후 사이판 등 일본 본토를 폭격할 수 있는 비행장을 하루빨리 손에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들의 계획을 위해서는 중부태평양 진격에 필요한 해병사단들이 필요했는데, 남서태평양해역군이 별개로 라바울에 상륙하면 라바울은 태평양의 모든 육, 해병대 사단을 자석처럼 끌어모을 것이 확실했다.

결국 어니스트 킹 제독은 남서태평양해역군의 라바울 상륙을 막기 위해 그들이 가지고 있던 병력수송함 등을 중부태평양해역군에게 옮기는 조치를 취했으나, 당연하게도 더글러스 맥아더의 극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이들은 협상 끝에 앞으로 일본 본토로의 진격 전략을 확보했다.

전략의 골자는 병력수송함들은 남서태평양해역군에게 남아있는 대신, 해군을 중심으로 한 중부태평양해역군이 중심이 되어 진격한다는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해군이 생각하던 라바울 우회 전략이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라바울은 여전히 일본군의 전진기지로서 꼭 무력화시켜야 할 장소였다. 이를 위해서 세워진 것이 1943년 6월에 시작될 수레바퀴 작전이었다. 1943, 44년의 미군의 주요 전략이었던 일명 개구리 뜀뛰기 작전의 시작이었다. 이 작전에 따르면 미군은 라바울을 고립시킨 후 항공 및 해상 공격으로 지속적으로 타격해 제대로 된 역할은 하지 못하게 해야 했다.

그리고, 공중에서 라바울을 타격하기 위한 항공 기지가 될 곳이 바로 부건빌이었다.

3. 준비

3.1. 정보 수집




파일:USA-P-Rabaul-15.jpg



[1] 제3해병사단장. 이전 사단장인 찰스 D. 바렛에서 교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