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23:02:19

참모총장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의 합동참모회의 구성원
파일:Ssap_nogada.jpg
합동참모의장
파일:liujuncanmou_3.png 파일:haijun.png 파일:공군참모총장기.svg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wiki style="background-color: #FF0000; margin: 1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height: 18px; width: 70px"
공군참모총장
* 국군조직법 제13조에 의거, 해병대와 관련된 사항을 심의할 때에는 해병대사령관도 구성원으로 한다.
※ 둘러보기: 대한민국 참모총장 · 대한민국 참모차장 · 대한민국 주임원사

참모부
참모 참모장 참모차장 참모총장 참모의장 총참모장




Chief of Staff(육군, 공군)/Chief of Naval Operations(해군)

1. 개요2. 명칭3. 지위4. 목록
4.1. 대한민국4.2. 미국4.3. 러시아4.4. 중국4.5. 영국4.6. 영연방 및 타군4.7. 대만4.8. 일본4.9. 북한
5. 등장 매체

[clearfix]

1. 개요

많은 국가 군대의 3군(··)에서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창군 초기부터 국방체제 정립기인 1960년대까지는 중장이, 심지어 육군은 소장이 총장 직위를 맡기도 했으나, 자주국방이 어느 정도 확립된 그 이후로는 대장이 임명되게 됐다.[1] 사실 군 규모가 작은 나라에서는 중장이나 소장이 참모총장을 맡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예로 이스라엘군의 경우 2023년 현재도 국방참모총장 중장이며, 총 병력이 170명밖에 안 되는 앤티가 바부다군은 아예 장군 보직 자체가 없고 대령이 최고 계급으로 참모총장이다. 상비군이 70명인 세인트 키츠 네비스군은 중령이 참모총장이다.

원래 참모 지휘관을 보좌하는 역할에 불과했지만, 근대 프로이센군에서는 이러한 참모에게 대폭적으로 역할과 권한을 위임하여 사실상 군대 조직의 핵심 지휘부와 같은 역할이 주어졌다. 장군참모 문서 참조.

2. 명칭

참모총장이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처음 쓰인 것이다. 초기 일본 육군 프랑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나, 프로이센 보불전쟁에서 승리하고 독일 제국을 수립하는 등 승승장구하자 1870년대부터 독일의 군제를 받아들여 재편하기 시작했다. 이때 독일의 장군참모(Generalstab) 제도를 수용하여, 군령권 행사 조직을 조정한다. 당초에는 이런 참모들이 육군성 해군성 산하의 참모국에서 활동했으나, 1878년 군정권 군령권의 분리를 추진하면서 육군성(군정)과 독립된 '참모본부'(군령)를 신설한다. 이때는 참모본부의 수장(Generalstabchef)을 '참모본부장'이라고 번역했다.

그런데 일본군에서는 당시부터 육군 중심의 육·해군 통합 지휘체계를 가져가야 한다는 주장과, 해군의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양 군종간 대립이 극심했다. 1886년에는 합동참모본부 개념의 '참모본부'가 만들어져 그 산하에 육군부와 해군부를 두기로 하였으나, 해군은 이에 계속 반발하여 1888년에는 '육군참모본부'와 '해군참모본부'가 분리되었다. 이때까지도 각 군 참모본부의 수장은 '참모본부장'이었다.

이러다 1889년에 다시 육군은 통합 지휘체계 관철을 추진하여 '육군참모본부'를 다시 '참모본부'로 개칭하고, 육군과 해군의 군령권을 총괄한다는 의미에서 그 수장을 '참모총장(参謀総長)'이라고 명명하였다. 즉, 참모총장은 원래는 '육군과 해군 참모부를 총괄하는 장'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것이다. 하지만 다시 한 번 해군은 이러한 육군 중심의 통수체계에 격렬히 반발하여, 실질적으로 참모총장은 육군의 군령권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후 해군은 1893년에 해군참모부를 '해군군령부'로 이름을 변경해 아예 계통이 다르다는걸 과시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참모총장'은 이와는 다른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용어이다. 원래 대한민국 국군 창군 당시에는 대통령 국방장관을 보좌, 대리하는 각 군 최선임자의 명칭으로 ' 총참모장'을 채택하였다. 이는 중국(당시에는 중화민국을 말한다.)의 영향인데, 중국에서는 전군을 총괄하는 참모부의 의미로 '총참모부'라는 표현을 썼고, 총참모부의 장을 '총참모장'이라고 했다. 6.25 전쟁 전 기간 동안에는 이 명칭이 그대로 쓰였다. 이 명칭에 변화가 논의된 것은 그 이후 1954년이 되어서의 일이다. 이때 육·해·공군 통합 의결기구인 합동참모회의(초대의장 이형근)가 만들어졌는데, 이 참모회의를 '합동참모본부'로 법제화된 상설기구화하는 가운데 논란이 불거진다. 1954년 4월만 해도 이 협의체를 '합동참모본부'로 공식화하면서 그 장은 '본부부장', 기존의 육·해·공군 총참모장은 '육군부장', '해군부장', '공군부장'으로 명명하려 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부장'이 다소 격이 낮은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총장'이라는 명칭을 쓰기로 의견을 모은다. 결국 '합동참모본부'의 장은 '합동참모본부 총장', 각 군의 장은 '참모총장'으로 정리가 되어, 1954년 5월에 연합참모본부령으로 공식화된다. 하지만 이미 제헌 헌법 당시에도 제 72조에 '국군참모총장'이라는 문구가 확인되므로 이미 이전부터 해당 명칭은 사용되고 있었다.
{{{#!wiki style="text-align:center"
연합참모본부령 }}}
제1조 군령에 관하여 대통령을 보필하고 국방정책 및 계획을 건의하며 육, 해, 공군의 연계협조를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직속하에 연합참모본부(以下 本部라 한다)를 둔다.

제2조 본부에 중요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연합참모회의(以下 會議라 한다)를 둔다. 회의는 연합참모본부총장(以下 總長이라 한다) 및 육, 해, 공군참모총장으로써 구성한다. 총장은 장관급장교중에서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
제8조 법률이 제정될 때까지 육, 해, 공군총참모장을 각각 육, 해, 공군참모총장으로 호칭한다.

또한 최상위법인 대한민국 헌법 제89조( 국무회의 심의)의 16.' 검찰총장·합동참모의장·각군참모총장·국립대학교총장·대사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과 국영기업체관리자의 임명'에 해당 명칭이 그대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합동참모의장 및 각군 참모총장의 명칭은 개헌을 하지 않는 이상 헌법에 의해 바뀔 수가 없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군의 '참모총장'은 일반적인 '참모장'의 격을 한층 높여 '참모장'이라고 불러주는 것이다.

한편으로 전군의 군령권을 총괄하는 기구로 '총참모부'의 전통이 남아 있는 소련군, 중국군, 북한군, 과거 공산권 시절의 동유럽 국가의 군에서는 '총참모부의 수장'이라는 의미로 ' 총참모장'이라는 용어가 계속 쓰여왔다. 이외에 대만군에서는 우리나라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직책을 '참모총장'[2], 우리나라의 각군 참모총장에 해당하는 직책을 '각군사령'이라고 부른다. 대만군에서는 미군 합참의장을 미국참모장연석회의주석(美國參謀長聯席會議主席)이라 하며 줄여서 참모총장이라고 한다.

처음 이 단어를 만든 일본에서도 참모총장이란 말을 아직 사용하고 있다. 일본 자위대의 통합막료장을 참모총장이라고도 부른다. 통합막료감부 홈페이지에서는 이와사키 시게루 통합막료장이 최윤희 한국군 합참의장 및 마틴 뎀프시 미군 합참의장을 만난 것을 두고 '일미한참모총장급회담공동언론발표(日米韓参謀総長級会談共同プレス発表)'라고 묘사했다. 출처 이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의 참모총장은 한국군의 각 군종 참모총장이 아닌,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의미이다.

3. 지위

대부분 현대 국가에서 참모총장이 제복군인 중 최선임자이나, 국가 군대의 최고사령관은 국가원수이다. 참모총장은 그 의미 그대로 '참모들의 우두머리'일 뿐 ' 최고사령관'은 아니다. 참모총장은 군사 문제의 전문가가 아닌 국가원수에게 참모로서 조언하는 위치에 있는 군인이라고 할 수 있다.

군대에는 군령권 군정권이 있는데 각군의 참모총장은 최선임 제복군인은 맞으나 단지 최선임이라는 의미일뿐 최고사령관은 될 수 없다. 당장 미국도 그렇고 우리도 그렇고 참모총장에게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군령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군령권은 원칙적으로 국민으로부터 최상위 권한인 통수권을 부여받은 대통령에게서 직접(실질적으로 합참을 통해) 각군의 작전사령관에게 집행된다. 군정권에 대해서는 국방장관과 각 군의 참모총장은 대통령과 각 부대 사령관 들 사이에서 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문민통제 문서로.

대한민국에서 참모총장은 위에 서술된 바와 같이 국방장관을 보좌하는 각 군의 참모장의 역할으로 그 지위가 국군조직법에 규정되어 있다.
제10조(각군 참모총장의 권한 등) ②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문민통제의 원리상 국군조직법상 참모총장의 사무총괄권은 인정되지 아니하며, 각 군의 행정사무관장은 정부조직법에 따라 국방부가 행사한다.

4. 목록

4.1. 대한민국

국군조직법 제10조(각군 참모총장의 권한 등) ① 육군에 육군참모총장, 해군에 해군참모총장, 공군에 공군참모총장을 둔다.
②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각 군 참모총장은 군정권(軍政權)을 행사하여 자군의 군사력을 건설·유지·관리한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권한이라 할 수 있는 인사권을 가지고 장교들의 진급, 보직에 관련된 업무를 지휘·통제한다.
군인사법 제19조(참모총장 등의 임명) ① 참모총장은 해당 군의 장성급 장교 중에서 국방부장관의 추천을 받아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3] 대통령이 임명하며, 해병대사령관은 해병대 장성급 장교 중에서 해군참모총장의 추천을 받아 국방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② 참모총장은 재임기간 동안 해당 군에서 복무하는 현역장교 중 최고의 서열을 가지며, 해병대사령관은 재임기간 동안 해병대에서 복무하는 현역장교 중 최고의 서열을 가진다.
③ 참모총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해병대사령관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다만, 전시·사변시에는 한 차례 연임할 수 있다.
④ 참모총장은 그 직위에서 해임 또는 면직되거나 그 임기가 끝난 후 합참의장으로 전직(轉職)되지 아니하면 전역되며, 해병대사령관은 그 직위에서 해임 또는 면직되거나 그 임기가 끝난 후에도 진급하거나 다른 직위로 전직되지 아니하면 전역된다.
군종 육군 해군 공군
기장 파일:liujuncanmou_3.png 파일:haijun.png 파일:공군참모총장기.svg
사진 파일:박안수 참모총장.jpg 파일:해군 대장 양용모.jpg 파일:공군대장 이영수.jpg
성명 박안수(朴安洙) 양용모(梁龍模) 이영수(李英秀)
계급 대장
기수 육사 46기 해사 44기 공사 38기
취임일 2023년 10월 31일 2023년 10월 31일 2023년 10월 31일

4.1.1. 국직부대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복장과 복무기간만 육해공군, 해병대일 뿐, 참모총장 역할은 각각 국방부장관, 합참의장, 한미연합군사령관이 겸한다.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은 국직, 합참, 연합사 장병과 직접 연관이 없다.

쉽게 말해서 일반 육해공군, 해병대와 다르게, 국방부군, 합참군, 한미연합군이라는 별도의 군사 조직이 있다 생각하면 된다.

4.2. 미국

미군은 육/공 Chief of Staff라는 직위가 참모총장으로 번역된다. 엄밀히 말하면 Chief of Staff라는 명칭은 예하 부대에서도 참모장 보직명에 해당하게끔 쓰고 있는 명칭이지만 각 군별 최선임은 각 군의 참모장[4]of the US Army/Air Force라고 쓰는 의도를 생각해보자.]이며 국가원수가 그 위에서 군령을 내린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다만 해군/우주군은 육/공군과 동떨어진 Chief of Naval/Space Operations라는, 작전사령관 혹은 작전부장이라 직역될 수 있는 직책명을 쓰고 있으며, 해안경비대나 해병대의 경우 사령관(Commandant)이라는 용어를 쓰고 주방위군의 경우는 Chief of the National Guard Bureau라는 직위명( 주방위군총감)을 쓰기 때문에 참모총장이라는 명칭이 아주 정확한 번역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도 엄연한 합동참모본부의 일원이며 실제 권한도 육/공과 다를바 없는 존재라는 점에서[5] 육해공과 동등한 참모총장이라는 직위명으로 번역하는 것도 일리는 있다.[6] 본 위키에서는 육.해.공.우주군 참모총장 제외 미군의 참모총장급 지휘관을 주방위군총감, 해병대사령관, 해안경비대사령관으로 번역한다.

다만 참모라는 호칭에서 알 수 있듯 군정권은 없다. 미군에서 각 군의 군정권을 가진 자는 참모총장이 아니라 각 군의 장관이다. 장관은 국방장관처럼 민간인으로 임명한다. 대한민국이 참모총장의 지휘하에 군대가 움직이는 것과는 다르게 강력한 문민통제 원칙을 지키기 위해 참모총장이 자신의 해당군 상관의 부하로 편제되어 있다. 그냥 서류상으로만이 아니라 진짜로 참모총장이 장관의 부하로 참모총장이 장관에게 불손하게 행동하면 정식으로 상관모독죄가 성립된다. 실제로도 참모총장은 대장 보직인데 각 군부 장관은 의전상 원수 예우를 받는다. 일단 의전서열부터 각 군부 장관의 계급이 1계급 높다.
  • 미 육군참모총장은 육군부 소속으로 육군장관의 부하이며 제복군인으로서 육군 최선임자다.
  • 미 해군참모총장은 해군부 소속으로 해군장관의 부하이며 제복군인으로서 해군 최선임자다.
  • 미 공군참모총장은 공군부 소속으로 공군장관의 부하이며 제복군인으로서 공군 최선임자다.
기장 파일:external/5161b4f96caf989eaf937dba89fadf2aa493a024e9500d0b3df5bac6c5eb45bb.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ChiefOfNavalOperations-Flag.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oSUSAF.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the_Commandant_of_the_United_States_Marine_Corps.svg.png 파일:300px-Flag_of_the_Chief_of_Space_Operations.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Chief%2C_National_Guard_Bureau_Flag_%282008%29.jpg [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CG_COMDT_W.svg.png
사진 파일:GEN_Randy_A._George_(2).jpg 파일:ADM_Lisa_M._Franchetti_(2).jpg 파일:Alvin VCSAF.jpg 파일:Smith Vice.jpg 파일:살츠만 우주군 참모총장.png 파일:1280px-GEN_Daniel_R._Hokanson.jpg 파일:l.fagan.jpg
직위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우주군참모총장 주방위군총감 해안경비대사령관
이름 랜디 조지
(Randy A. George)
리사 프란체티
(Lisa M. Franchetti)
데이비드 올빈
(David W. Allvin)
에릭 스미스
(Eric M. Smith)
챈스 솔츠먼
(Chance Saltzman)
다니엘 호칸슨
(Daniel R. Hokanson)
린다 파간
(Linda L. Fagan)

미 해군 해군 항공대 해군참모총장 기수열외(...)한 경험이 있다. 테일후크 스캔들 제러미 마이클 보더 문서로.

4.3. 러시아

러시아군은 참모총장을 총사령관이라고 한다.
지상군 총사령관 항공우주군 총사령관 해군 총사령관 전략로켓군 사령관 공수군 사령관 국가근위대 총사령관
파일:external/eng.mil.ru/salyukov_hr.jpg 파일:attachment/러시아군/bondare.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rolev_Vladimir.jpg 파일:attachment/러시아군/serkara.jpg 파일:attachment/러시아군/shama.jpg 파일:external/pbs.twimg.com/CAA6L73UYAAIcTl.png
올레그 살류코프
대장
빅토르 본다레프
상장
블라디미르 코롤료프
상장
세르게이 카라카예프
상장
블라디미르 샤마노프
상장
빅토르 졸로토프
대장

4.4. 중국

인민해방군의 각 군의 최선임은 각각 사령원(司令員)이라 불리며 육군의 경우엔 총참모장이 겸임하였으나 2016년 1월 1일 단행된 군 개혁으로 육군사령원이 별도로 임명되었으며 전략지원부대가 창설되었다. 전원 계급은 상장이며 해외군 대장에 상응한다. 중국은 준장이 없다. 이쪽도 미군처럼 각 군 사령원보다는 실질적인 전투력을 지휘하는 전구사령원이 실세이다.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중국 인민해방군 군종별 사령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육군사령원
리차오밍(李桥铭)
해군사령원
후중밍(胡中明)
공군사령원
창딩추(常丁求)
로켓군사령원
왕허우빈(王厚斌)
전략지원부대 사령원
쥐첸성(巨乾生)
무경사령원
왕춘닝(王春宁)
육군정치위원
친수퉁(秦树桐)
해군정치위원
위안화즈(袁华智)
공군정치위원
궈푸샤오(郭普校)
로켓군 정치위원
쉬시성(徐西盛)
전략지원부대 정치위원
리웨이(李伟)
인민무장경찰 정치위원
장훙빙(张红兵)
}}}}}}}}}


4.5. 영국

영국군 육군 공군은 참모총장이며 해군은 First Sea Lord[8]이라고 한다. 공군과 육군 참모총장도 각각 Chief of Air Staff, Chief of General Staff로 Chief of Staff of ~ 형식인 미국과 다르게 표기한다.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합동군사령관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합동군사령관
마크 칼튼 스미스 대장
(General Sir Mark Carleton-Smith)
토니 라다킨 대장
(Admiral Sir Anthony David Radakin)
마이크 윅스턴 대장
(Air Chief Marshal Sir Michael Wigston)
패트릭 샌더스 육군대장
(General Sir Patrick Nicholas Yardley Monrad Sanders)

4.6. 영연방 및 타군

호주군, 뉴질랜드군, 캐나다군, 프랑스군, 이탈리아군, 독일 연방군, 네덜란드군, 벨기에군 문서로.

4.7. 대만

대만군에선 참모총장을 사령(司令)이라고 하지만 사령관을 지휘관(指揮官)이라고 한다.
군종 대만 육군 대만 해군 대만 공군
기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rmy_Flag.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Navy_Flag.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ir_Force_Flag.svg.png
사진 파일:0f60d96a-c482-4e3c-b825-5147080d468e.jpg 파일:202305021437_335336.png 파일:202205041545_459220.jpg.png
계급 상장(대장)
이름 중수밍 탕화 류런위안
한자 鍾樹明 唐華 劉任遠
임관 1986년 1986년 1985년
출신 육군관교 해군관교 공군관교

4.8. 일본

일본 자위대에서는 참모총장 대신 막료장(幕僚長)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막료 참모란 뜻이다. 사단급 부대에도 막료장이 있기 때문에 육상, 해상, 항공으로 구분해야 한다. 가끔 줄여서 막장이라고도 한다. 육막장, 해막장, 공막장
군종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기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Ground_Self-Defense_Force_%28JGSDF%29.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Chief_of_Staff%2C_Maritime_Self_Defense_Forc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Air_Self_Defense_Force_%28Japan%29.gif
계급 막료장[9]
사진 파일:20230331_01.jpg 파일:sakai.jpg 파일:message1.jpg
이름 모리시타 야스노리 사카이 료 우치쿠라 히로아키
한자 森下泰臣 酒井良 内倉浩昭
임관 1988년 1987년 1986년
출신 방대 32( 육사 44) 방대 31( 해사 41) 방대 30( 공사 34)

4.9. 북한

파일:로동신문김정은.jp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무력 최고사령관[10]
공화국 원수[11] 김정은
파일:북한리명수.jpg 파일:북한 박정천.jpg 파일:오일정.jpg 파일:북한 권영진.jpg 파일:림광일_2021.jpg 파일:/image/023/2016/05/10/2016051001169_0_99_20160510140404.jpg
최고사령부 제1부사령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당 군정지도부 부장 총정치국장 총참모장 국방상
차수 리명수 박정천 상장 오일정 차수 권영진 대장 림광일 대장 리영길
파일:북한김성길.jpg 파일:북한김충일.jpg 파일:북김정길.jpg 파일:북한김영복.jpg 파일:장정남.jpg 파일:1513746240885278.jpg
해군사령관 항공 및 반항공군사령관 전략군사령관 특수작전군사령관 사회안전상 국가보위상
중장 김성길 중장 김충일 상장 김정길 상장 김영복 상장 장정남 상장 정경택

북한군에선 각군 사령관[12]이라고 하며 육군사령관은 총참모장이 겸임하고 그 외 군은 사령관이 별도로 있다.

5. 등장 매체



[1] 공군은 9대(장지량 중장) 해군은 7대(함명수 중장) 육군은 14대(장도영 중장) 이후로 대장이 계속 임명되고 있다. 다만 합참의장은 그 이전부터 계속 육군 대장이 맡고 있었다. [2] 정확히는 참모본부의장(參謀本部議長)의 준말로 참모총장이다. [3] 참모총장 임명에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는 것은 헌법에도 규정된 사항이다. [4] Chief of Staff [5] 해안경비대의 경우는 전시에 해안경비대가 해군으로 편입된 경우에만 해당된다. 평시에는 국방부 해군부가 아니고 국토안보부 산하 조직이라 해안경비대참모총장(사령관)은 합참에 들어가지 않는다. [6] 가장 주요한 이유는 역시 통일성이다. 번역에서 항목이 난립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다만 해병대는 한국에서도 어차피 해병대사령관이므로 굳이 해병총장으로 번역할 필요는 없다. [7] 과거에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hiefngbureauflag.jpg 이런 기장을 썼다. 현재의 기장은 4성장군이 이 보직에 임명될 때부터 쓰이고 있다. 그것도 2008년 크레이그 매킨리 공군대장이 처음이고 2012년 프랭크 그래스 육군대장이 임명된 것이 두 번째일 정도라서 주방위군참모총장이 대장 계급으로 보임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8] 고정된 번역명이 없어서 그런지 제1해군경, 제 1 군사위원 등으로 번역된다. 다만 언론에서는 독자들의 편의 때문인지 그냥 영국 해군참모총장이라고 부른다. First Sea Lord and Chief of Naval Staff라고 부르기 때문에 틀린 말도 아니다. [9] 공식계급은 각각 3성 장성(장군 및 제독)인 육장, 해장, 공장이나 실제로는 4성장성(장군 및 제독)이다. [10] 최고사령관 직책과 더불어 조선로동당 내 군부 통제기관인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직도 겸한다.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 때 직함을 총사령관(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겸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11] 북한은 국가지도자가 직접 군사 계급을 가지고 있는 현역 제복군인이다. 제1세계국가로 따지자면 대통령이 합참의장을 겸임하는 셈이다. 과거 공산권 국가에서는 으레 있는 일이었지만 현재까지도 이러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북한이 유일하며 현재는 아프리카 독재국가에서 이러한 형태가 꽤 있다. [12] 군정권과 군령권을 둘 다 행사한다. [13] GGG의 작전참모총장을 맡고 있지만 작중에는 참모라는 약칭으로 자주 불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