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에너지 자원을 탐사· 발굴하고 그 에너지를 수송· 저장· 변환해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공학적으로 연구와 함께 가르치는 학과이다.국가에 따라 디테일하게 분류되어 있는 학문으로서 미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학문이 바로 석유 공학 (Petroleum Engineering)이다.
커리어넷의 분류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공학과와 에너지자원공학과로 나뉘어 있다. 신재생에너지공학과는 수소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차세대 배터리, 풍력 발전 등 미래 유망 에너지 분야를 다루고,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석유 등의 유전 탐사와 발굴 같은 에너지 분야를 다룬다. 에너지자원공학과는 기존의 화석 에너지를 공부하는 학과이며, 친환경 에너지나 신 재생 에너지와는 결이 다르기 때문에 대학에 지원할 때 주의해야 한다.
과거에는 자원공학과라는 이름으로 주로 불렸다.
대한민국은 신규 자원 개발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 맞춰서 일부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학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조선대 에너지자원공학과 → 첨단에너지공학과 (2021년)
- 동아대 에너지자원공학과 → 미래에너지공학전공 (2021년)
화학공학과, 환경공학과와 접점이 많은 편이다.
사실 에너지는 전기공학, 기계공학, 화학공학, 건축공학, 토목공학, 환경공학, 원자력공학 등 고전적인 공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다루는 주제이기 때문에 에너지공학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에서는 에너지라는 이름이 오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신재생에너지공학이나 배터리공학처럼 구체적인 분야를 명시해주는 이름으로 명명하는 편이 좋을 수 있다.
2. 관련 자격증
3. 교육과정
- 신재생에너지공학개론
- 신재생에너지회로설계
- 신재생에너지응용 설비
-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설계
- 에너지자원역학
- 응용자원지질
- 에너지공학
- 석유가스공학 및 실험
- 자원처리공학
- 에너지자원과 미래
4. 개설대학
4.1. 4년제 대학
4.1.1. 서울특별시
- 가톨릭대학교 - 에너지환경공학과
- 건국대학교 - 미래에너지공학과
- 고려대학교 - 융합에너지공학과
- 동국대학교 -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 상명대학교 - 생명화학공학부 화학에너지공학과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미래에너지융합학과[1]
- 성신여자대학교 - 청정융합에너지공학과
- 세종대학교 -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 연세대학교 -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전공[2]
- 이화여자대학교 -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 중앙대학교 -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한양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
4.1.2. 부산광역시
[에너지자원공학]
4.1.3. 대구광역시
4.1.4. 인천광역시
- 인천대학교 - 에너지화학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
- 인하대학교 - 에너지자원공학과
4.1.5. 울산광역시
- 울산과학기술원 - 에너지화학공학과
4.1.6. 광주광역시
[에너지자원공학]
- 전남대학교 - 에너지자원공학과
4.1.7. 경기도
- 가천대학교 - 에너지IT학과
- 경기대학교 - 융합에너지시스템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대진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전공, 에너지환경공학부, 에너지화학공학전공
- 명지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과
- 성균관대학교 - 에너지과학과(대학원과정, 연계전공[학부])
- 수원대학교 -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신한대학교 - 에너지환경공학과
- 안양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과
- 한국공학대학교 - 에너지·전기공학과
4.1.8. 강원도
- 강릉원주대학교 - 수학물리학부 물리·에너지전공
- 상지대학교 - 반도체ㆍ에너지공학과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 환경에너지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
- 강원대학교
- 춘천캠퍼스 에너지자원·산업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전공
- 삼척캠퍼스 에너지자원화학공학과
4.1.9. 충청도
- 극동대학교 - 과학기술대학 에너지IT공학과, 과학기술학부 친환경에너지공학전공
- 단국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 순천향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 중원대학교 - 신재생에너지학과, 신재생에너지자원학과
- 청주대학교 - 에너지융합공학과
4.1.10. 전라북도
- 우석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
- 전북대학교 - 토목/환경/자원.에너지공학부 자원·에너지공학전공
4.1.11. 전라남도
- 동신대학교 - 수소에너지학과, 신소재에너지전공, 신재생에너지전공
- 목포대학교 - 스마트에너지시스템학과, 에너지ICT공학부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에너지공학부[6]
4.1.12. 경상북도
- 경운대학교 - 신소재에너지학과
- 경일대학교 - 원자력에너지융합학과, 신재생에너지학부
- 경주대학교 - 환경에너지·방재학부, 전기에너지컴퓨터공학과, 신재생에너지학과, 환경에너지학과, 환경에너지전공
- 대구가톨릭대학교 - 전기에너지공학전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에너지공학과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창의융합공학부 에너지·전기공학전공
- 대구대학교 - 에너지시스템공학과
4.1.13. 경상남도
- 경남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과
- 창원대학교 - 스마트그린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경상국립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기계공학과
- 영산대학교 - 수소시스템공학과
- 인제대학교 - 미래에너지공학과
4.1.14. 제주도
- 제주대학교 - 화공그린에너지학과
4.2. 전문대학
- 한국폴리텍Ⅰ대학 서울정수캠퍼스 - 그린에너지설비과, 그린에너지설비공학과
- 영진전문대학교 - 신재생에너지전기계열
- 한국폴리텍Ⅴ대학 광주캠퍼스 - 그린에너지설비과
- 강동대학교 - 신재생태양광공학과, 신재생에너지과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신재생에너지과
- 군장대학교 - 신재생에너지화공계열
- 전주비전대학교 - 신재생에너지과, 신재생에너지공학과
- 전남도립대학교 - 신재생에너지전기과
- 영남외국어대학 - 신재생에너지과
- 한국폴리텍Ⅶ대학 창원캠퍼스 - 에너지환경과
- 경남정보대학교 - 화공에너지공학과
4.3. 대학원[7]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에너지공학 전공[8](세부전공: 수소에너지공학, 에너지시스템공학, 재생에너지공학, 청정에너지공학), 에너지-환경 융합 전공[9](세부전공: 에너지공학, 환경공학)
[1]
일반대학원 및 융합과학대학원에 에너지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2]
공과대학이 아닌 언더우드국제대학 소속
[3]
대학원 과정은 에너지시스템공학부로 운영하며, 에너지시스템공학부에는 에너지자원공학과와 원자핵공학과가 함께 묶여 있다.
[4]
상주캠퍼스
[학부]
복수전공과 동일한 개념이나 주전공 과정은 운영하지 않는다.
[6]
단일학부이다. 이 대학교에 입학하면 자동으로 이 학부로 배정된다.
[7]
대학원 과정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8]
주관 캠퍼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9]
주관 캠퍼스:
한국과학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