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괴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앤스콤 · 풋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아우디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역사철학
|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color=#ffe400><colbgcolor=#cd0000> 안토니오 네그리 Antonio Negri |
|
|
|
필명 | 토니 네그리[1] (Toni Negri) |
출생 | 1933년 8월 1일 |
이탈리아 왕국 파도바 | |
사망 | 2023년 12월 16일 (향년 90세) |
국적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모교 |
파도바 대학교 이탈리아 역사 연구소 |
경력 |
파도바 대학교 파리 제8대학교 파리 제7대학교 국제철학대학교 |
학파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2], 이탈리아 자율주의[3], 신스피노자주의 |
직업 | 정치인, 철학자 |
소속 정당 |
이탈리아 사회당 (1956~1963) 급진당 (1983?~?)[4] |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 사상가. 자율주의 운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다.미셸 푸코 외에도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등과 친분이 있었다. 마이클 하트(M. Hardt)와는 사제지간이다.
2. 생애
이탈리아 파도바의 좌파 노동자 집안에서 1933년에 태어났다. 불과 2세 때 아버지를 파시스트들에게 잃었고, 성장한 후에는 파도바 대학에서 정치학 교수를 지냈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까지 이탈리아에서는 기존의 사회주의 정당들[5]과 노선을 달리하는 비의회 좌파 계열 운동이 굉장히 활발하게 일어났는데, 네그리는 이때 사상적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했고 이탈리아 자율주의(아우토노미아) 운동이 여기서 시작되었다. 그러다가 붉은 여단이 알도 모로 전 총리 납치살해 사건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탄압을 받게 되자 네그리는 1979년 알도 모로 수상 살해의 주모자로 체포되었다.[6] 네그리는 수감 생활 중 1983년 의원 면책 특권을 받기 위해 급진당에 입당하여 총선 공천을 받고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면책 특권으로 잠시 풀려나지만, 면책 특권 박탈을 위한 소송이 시작되고 두 달 후 기어이 하원에서 면책 특권을 박탈당하자 프랑스로 망명했다. 네그리는 체포될 때 미셸 푸코, 질 들뢰즈, 자크 데리다 등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쟁쟁한 철학자들이 구명운동을 전개할 정도로[7] 지지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망명 생활 중 파리 제8대학교에서 강의를 할 수 있었고 자신의 철학을 정리하기 시작했다.그러다가 1997년 아직도 수배와 망명 생활을 하고 있는 자율주의 운동가들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망명 생활을 끝내고 이탈리아로 돌아왔지만, 다시 수감되었다.[8] 네그리가 재수감될 때 전세계적인 구명운동이 펼쳐지기도 하였다. 이후 1999년부터는 가택 연금으로 전환되었고, 2003년이 되어서야 연금에서 풀려났다. 이후 활발한 저술, 강연 활동을 계속하다 2023년에 사망했다.
3. 연구
자율주의(autonomia)운동의 창시자 격이며,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등과 교류하면서 포스트 모더니즘 철학을 종합-계승하여 독자적 철학 영역을 개척했다. 네그리는 다중(multitude)과 제국(empire)에 대한 저작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현 시대의 상태를 제국[9]이라는 개념으로 규정하는데, 이때 제국이라는 것은 어떤 질서에 대한 여집합을 만들지 않고 모든 것을 내포하려고 하는 세계 질서를 의미한다. 체 게바라가 자본주의와 미국에 대항해 싸웠지만 사후에는 자본주의에 의해 아이콘으로써 상품화되는 상황을 떠올려 보면 간단하다. 체제에 외부가 없다면 어떻게 변화가 추동되는가 하는 물음에서 도출한 것이 다중이라는 개념이다. 다중은 통일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복수성의 총체이다. 과거의 사회주의가 노동계급의 어떤 전형을 설정하고[10]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변화를 추동한다면 네그리의 다중은 현대의 분화된 노동계급들을 총체로써 긍정하고 이들의 자율성이 체제의 변화를 추동한다고 본다.질 들뢰즈로부터는 상호간에 영향을 다수 받았는데, 두 명은 바뤼흐 스피노자에 대한 연구로도 권위가 있다. 네그리가 다중 운동과 관련해,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 "분자 혁명" 등의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면, 들뢰즈의 "소수-되기"의 정치 철학은 네그리의 다중 개념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세계 각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을 공동체 운동이나 사회적 협동조합 운동들이 네그리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한편으로는 고전 마르크스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지나치게 이상론에 기댄다고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한 인물이다. 2011년 아랍의 봄 당시 이집트 혁명을 다중에 의한 정치 혁명이라고 치켜세웠다가 이후 이집트가 이슬람 극단주의와 뒤이은 독재자의 출현으로 엉망진창이 되어버리자 슬그머니 입장을 접은 것이 대표적인 사례. 이 때문에 한국 내에서는 2000년대 화제가 되었던 것과 달리 현재에는 그다지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11]
4. 저작
- 지배와 사보타지(Domination and Sabotage) : 1977.
- 마르크스를 넘어선 마르크스(Marx beyond Marx) : 1978.
- 자유의 새로운 공간(New spaces of Liberty) : 1985. F. Guattari와 공저.
- 디오니소스의 노동(Labor of Dionysos) : 1994.
- 제국(Empire) : 네그리를 대표하는 저작. 2001. M. Hardt와 공저.
- 다중: 제국이 지배하는 시대의 전쟁과 민주주의(Multitude: War and democracy in the age of empire) : 2008.
- 다중과 제국(Reflections on empire) : 2011.
- 공동체(Commonwealth) : 2014. M. Hardt와 공저.
- 어셈블리 (Assembly, 2020)
[1]
1979년 체포되기 전까지는 철학 서적에는 "안토니오 네그리", 정치적 서적에는 "토니 네그리"라고 구분했지만, 체포된 이후부터는 그러지 않는다고 한다.
[2]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콤비와
안토니오 그람시의 영향을 각각 받아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자(들뢰즈 마르크스주의)로 분류하기도 하고 신마르크스주의로 분류하기도 한다.
[3]
보통 자율주의라고 하면 네그리만을 가리키지만 마리오 트론티(Mario Tronti) 같은 다른 철학자들도 존재한다. 물론 인지도는 네그리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 간혹
조르조 아감벤을
이쪽으로 분류하기도 하는 모양이다.
[4]
평생
공산주의
철학자로 유명한 네그리였지만 정작 평생 동안
공산당에는 한 번도 입당해본 적이 없다. 도리어 그와 안 어울리게, 정치 활동은 대부분
중도좌파 정당에서 했다.
[5]
1963년
이탈리아 사회당이
기독교민주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한 것을 계기로
노동자 계층이 사회당에 등을 돌렸다
[6]
토니 네그리는 붉은 여단의 행동에는 직접적 관련이 없었다. 오히려 네그리는 이때 붉은 여단의 무장 투쟁 노선을 저지하기 위한 문건에 서명했다가 붉은 여단의 1순위 제거 대상으로 찍힌 상태였다. 네그리는 자율주의 노동자 운동의 핵심 사상가였기 때문에 체포당했다. 이때 이탈리아 언론은 네그리를 까티보 마에스트로, 즉 악의 지도자라면서 대대적으로 선전하였다.
[7]
이른바 "L'Appel des intellectuels français contre la repression en Italie"(이탈리아에서 억압에 반대하는 프랑스 지식인들의 성명서)로 알려져있다.
펠릭스 가타리, 질 들뢰즈와는 개인적으로도 친구 관계로 발전하는데, 나중에는 가타리와 함께 또
공산주의적인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8]
이때 이탈리아 당국은 네그리를 죽이려고 했던 붉은 여단 조직원과 같은 방에 네그리를 가뒀는데, 네그리는 그와 좋은 친구가 됐다고 한다(...). 후일 네그리는 그때 날 죽이려던 사람들은 더 이상
공산주의자가 아니지만 자신은 여전히 공산주의자라면서 씁쓸해했다.
[9]
제국주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10]
예) 대공장
노동자
[11]
그러나
2016년
촛불시위 이후에 잠시 네그리의 다중운동을 촛불 시위를 들어 설명하려는 사람들이 있어 다시 주목을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