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바디우 · 가라타니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위너 · 엘륄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노직 · 호페 / 사회자유주의: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기타: 벌린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랜드 · 아롱 · 스크러턴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싱어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골드만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영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learfix]
1. 개요
대륙철학(Continental philosophy)이란 단어는 영미권의 분석철학자들이 자신들의 분석철학과 학문적 방법론이 전혀 다른 유럽대륙의 여러 철학사조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여 보편적으로 쓰이게 된 단어인데, 여기서 대륙철학이라 하면 보통은 독일과 프랑스의 철학을 말한다. 물론 주요 철학자들이 주로 여기서 활동했다는 것이 핵심이고, 현대의 철학자들에 대해서는 어느 국가 출신인지가 아니라 어느 쪽 철학자의 영향을 받았는지를 기준으로 나눈다.대륙철학으로 일컬어지는 철학 사조들은 그것들이 유럽 대륙 쪽에 기반하여 발전하였다는 점을 빼면 상호연관이 그리 없다. 마치 유럽이라는 정체성이 먼저 생긴 뒤 비유럽을 아시아로 뭉뚱그려 부르는 것과 맥락이 닿아있다.
다만 이 명칭이 아니라면 이러한 철학사조들을 하나로 지칭할 방법이 없기에 널리 쓰이고 있다. 즉 대륙철학이 가지는 공통점도 있지만, 분석철학이 하도 따로 놀다보니 이를 제외한 19~20세기 서양철학 사조들을 묶을 용어가 필요했다는 점이 더 크게 작용한 셈이다. 실제로 철학사 책이 아닌 이상 대륙철학과 분석철학을 동시에 다루는 논문은 찾기 힘들다.
2. 특징
그동안의 철학자들은 세상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분석하기만 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세상을 바꾸는 것이다.
카를 마르크스, <포이어바흐에 대한 테제 11번>
분석철학이 철학을 보다 순수학문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면 대륙철학은 사회학, 사학, 미학 등 다양한 인문학의 관점에서 철학에 접근하고자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다수의 대륙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 인식, 주체 등의 전통적인 의제를 다루는 것을 넘어 사회를 바꾸는 것 그 자체에 큰 목적 의식을 가지고 여러가지 사회 운동에 참여한다. 대륙철학은 그런 특성으로 인하여 강단철학 뿐만 아니라 정치철학, 미학 같은 다른 인문학에서의 인용 빈도가 높다.[1] 물론 이것도 그런 경향이 있다는 것이고 절대적인 특징은 아니다. 애초에 대륙철학/분석철학(영미철학)은 학계에서 역사적 계보에 기반한 분류이지 사상의 특징에 기반한 분류는 아니다.카를 마르크스, <포이어바흐에 대한 테제 11번>
분석철학과 또다른 차이를 보이는 점은 철학사에 대한 인식 차이로, 철학사에 거의 관심을 두지 않는 분석철학과 달리 대륙철학을 한다는 것은 곧 철학사를 공부한다는 것이기도 하다. 그것의 연장선상에서 다수의 철학자들이 대학교 강단에서 고전 철학을 강의하였고, 대학이 아니더라도 중고등학교 철학 교사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대륙철학자들도 많다. 그래서 대륙철학자들은 베르그송, 니체, 스피노자, 칸트 등 수백년 전의 철학자들을 새롭게 해석하여 자신의 이론을 보충하는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극단적인 경우 고대 그리스 철학까지도 거슬러 올라간다.
대륙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로는 플라톤, 임마누엘 칸트,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 등이 있었다. "의심의 세 대가"인 프리드리히 니체, 카를 마르크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영향도 특히 두드러진다. 20세기 이후에는 게오르크 루카치, 마르틴 하이데거, 에드문트 후설, 장폴 사르트르, 막스 호르크하이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루이 알튀세르, 자크 라캉,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등이 큰 흐름을 주도했다. 대체로 칸트 이래로 계속 독일 철학계가 중심지 역할을 하다가 2차 대전 이후로는 프랑스 철학계가 주도적이다. 대표적으로 대륙철학 사상과 영향을 주고받은 68운동도 프랑스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