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3:33:11

조선독립동맹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분파 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olcolor=#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 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프
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자당·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포옴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1. 개요2. 결성3. 활동4. 의의5. 강령6. 기타

1. 개요

항일투쟁을 주목표로 중국 화북지방에서 활동하고 있는 모든 한인청년을 결집하기 위해 만든 사회주의 계열의 단체.

2. 결성

단체의 전신은 중국 공산당의 지원 아래 항일 투쟁을 하고 있던 각 전선 대표들이 모여서 만든 1941년 1월 결성된 화북조선청년연합회다. 화북조선청년연합회는 1942년 7월 10일 제2차 대회에서 혁명 세력의 증대를 위해 명칭을 바꾸기로 했는데 그 명칭이 조선독립동맹이다.

조선독립동맹은 중국 공산당의 본거지인 옌안으로 이동하며 위원장으로 김두봉, 부위원장으로 최창익과 한빈을 선출하였으며, 휘하군대로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개편한 조선의용군으로 두고 총사령관으로 김무정을 선출하였다.

3. 활동

일제강점기 활동했던 무장부대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조선의용군을 휘하 군대로 두고 있었기 때문에 영향력이 상당히 강했다. 특히 중국 공산당을 도와 중일전쟁을 수행하였으며, 광복 이후에는 국공내전에도 참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무장력이 있었기 때문에 광복 이후 대부분 지도부들이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했으며 연안파라 불리기도 하였다.

이른바 사회주의 세력권에서는 대표 독립운동 단체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민족주의 세력권에서의 대표 독립운동 단체인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이들과 연계된 계획을 세우고자 하였으며, 국내 비밀단체인 조선건국동맹 역시 이들과 연결하고자 하였다.

4. 의의

1940년대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명목상 독립운동 단체를 대표하던 단체였다면, 규모나 여러 측면에 있어서 가장 큰 단체는 조선독립동맹이었다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괜히 이들과 연합작전을 펼치고자 한게 아니었다. 당장에 한국광복군의 규모가 1000명 이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니 이 단체의 휘하부대인 조선의용군의 8000명과는 비교가 안 되는 수치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이들은 지도부 대부분이 북한 건국에 참가[1]하고 한국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면서 자연스럽게 남한 내에서는 잊힐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연안에서 활동하다 귀국했다는 뜻으로 북한에서 연안파로 불렸다. 또한 결속력이 약했기 때문에 구심점이 크게 부족했다. 당장에 군대를 이끌던 김무정이 한직을 전전하다 전쟁 중에 김일성에게 숙청당했고, 나머지 사람들도 결국엔 8월 종파 사건으로 북한 정계에서 밀려나고 말았다. 결국 남한과 북한 모두에게 버림 받은 단체가 되어버렸다.

사실 비슷한 상황에 놓인 사람으로 김원봉이 있긴 하지만 김원봉의 경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한 적도 있고, 이전에 의열단 활동으로 이름을 날린 적도 있기 때문에 의열투쟁, 노덕술에게 고문받았다는 일화 등의 극적인 스토리가 있어서 남한 내에서 굉장히 빨리 알려진 편이고, 재평가도 빠르게 이루어진 편이나 이 단체의 경우 아무래도 주요 지도자였던 김두봉은 사실 한글학자로 이름이 더 높기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화할만한 건더기도 별로 없어서 그냥 당시 독립운동 3단체 중 하나 정도로 인식되는 것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김두봉은 처음부터 북한으로 귀국했고 북한에서 상징적인 직위이기는 했지만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라는 국가수반 직위까지 올랐던 인물이기 때문에 북한에서 맡았던 역할도 김원봉보다 더 컸다. 즉, 만약 재평가 시도가 있다고 해도 6.25 전쟁에 대한 논란이 김원봉보다 더 클 것이기 때문에 여러모로 재평가 가능성은 낮다.

5. 강령

一. 본 동맹은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 통치를 전복하고, 독립 자유의 조선민주공화국 건립을 목적으로 하여 아래의 제 임무를 규정한다.
(一) 국민 일반의 직접선거에 의거하여 민주 정권을 수립한다.
(二)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및 신앙⋅사상⋅파업의 자유를 확보한다.
(三) 국민 인권을 존중하는 사회제도를 실현한다.
(四) 법률적⋅사회 생활적 남녀평등을 실현한다.
(五) 자주 평등의 원칙 아래 세계 각국 및 민족 간에 우호 관계를 건립한다.
(六) 조선 내 일본 제국주의자의 모든 재산과 토지를 몰수하고, 대규모 기업을 국영화하며, 농민에게 토지를 나누어 준다.
(七) 8시간 노동제를 실시하고 노동의 사회 보호 제도를 실시한다.
(八) 각종 부역 및 잡세를 폐지하고 단일한 누진세 제도를 수립한다.
(九) 국민의 의무교육 제도를 실시하고 국가가 교육비를 부담한다.
(十) 조선 문화를 발전시키고 연구하며 국민 문화를 보급한다.
二. 본 동맹은 조선 독립을 위해 분투하는 하나의 지방단체로서,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조선 혁명운동에 적극 참가하며, 아래와 같은 임무를 규정한다.
(一) 대중의 생활을 제고하고 혁명운동 및 대중의 역량을 증대하기 위하여 대중적 일상 투쟁에 적극 참가한다.
(二) 대중의 혁명적 훈련 및 조직적 발전에 적극 노력한다.
(三) 중국, 특히 화북 각지에 거류하는 조선 동포의 정치⋅경제⋅문화적 이익을 위하여 분투한다.
(四) 전 조선 민족의 반일 통일전선을 확대하고 공고히 하는 데 노력한다.
(五) 전 조선 민족의 반일 무장투쟁 확대를 위하여 혁명 무장 대오 건립에 노력한다.
(六) 일본 파시스트의 중국 침략에 반대하며 중국의 항일 전쟁에 적극 참가한다.
(七) 동방의 각 피압박 민족의 해방운동과 일본 인민의 혁명 반전운동에 협조하고, 세계 파시스트와의 정의의 전쟁을 지지한다.

6. 기타

조선독립동맹은 1940년대 주요 3단체 중 하나로 한국사 관련해서는 꽤나 중요하게 다루는 단체다. 이들의 건국강령(1942년 7월)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건국강령(1941년 11월), 조선건국동맹의 강령(1944년 8월)과 함께 이 시기와 관련된 문제로 나오는 출제 포인트 중 하나다.


[1] 김두봉은 명목상 국가수반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되었고, 최창익은 부수상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