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12f, #0a1942 20%, #0a1942 80%, #06112f); 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2대 | 제3·4대 | 제5대 | 제6-8대 |
보리스 옐친 | 블라디미르 푸틴 |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 블라디미르 푸틴 |
}}} }}}}}}}}} |
러시아 연방 대통령기 | 러시아 연방 대통령 문장 |
러시아 연방 대통령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
|
|
|
<colbgcolor=#0A1942> 현직 | <colbgcolor=#fff,#1f2023> 블라디미르 푸틴 / 제3·4·6·7·8대 |
취임일 | 2024년 5월 7일 |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1]
|
관저 | 크렘린 궁전 |
[clearfix]
1. 개요
"Клянусь при осуществлении полномочий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важать и охранять права и свободы человека и гражданина, соблюдать и защищать Конституцию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защищать суверенитет и независимость, безопасность и целостность государства, верно служить народу."[2]
"나는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권한을 수행함에 있어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존중하고 보호하며 러시아 연방 헌법을 준수하고 수호하여 국가의 주권과 독립성, 안전과 완전성을 수호하며 국민에게 성실히 봉사할 것을 선서합니다."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취임 선서문[3]
"나는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권한을 수행함에 있어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존중하고 보호하며 러시아 연방 헌법을 준수하고 수호하여 국가의 주권과 독립성, 안전과 완전성을 수호하며 국민에게 성실히 봉사할 것을 선서합니다."
러시아 연방 대통령의 취임 선서문[3]
러시아의 국가원수로, 러시아군 통수권자다. 국민에 의한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6년 중임제다. 러시아는 한때 미국과 세계를 양분하던 소련의 직계 후신 국가이자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만큼 국제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직위다.
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으로, 임기는 2030년 5월 7일까지다.
2. 임기
임기는 당초 4년이었지만, 2008년 헌법 개정을 통해 6년으로 늘어났다.[4]3선 이상 연임은 금지하고 있지만 중임은 무제한이다. 2008년에 블라디미르 푸틴이 출마하지 않고 드미트리 메드베데프가 출마한 것도 3선 연임 금지를 회피하기 위한 것이었고, 실제로 푸틴은 메드베데프의 임기가 끝나자마자 바로 출마해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어 2012년 3번째 임기를 시작했으며, 2018년에는 4선에 성공하였다.
2020년에 헌법을 개정하여 2회의 중임만 허용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나, 이 개정조항은 장래에 한하여만 적용되며, 현직에 대해서는[5] 개헌 이전의 대통령직 수행 횟수를 무시한다는 내용의 특별 조항을 넣었다. 개정 전 헌법대로라면 2024년 대선을 건너뛰어야 했던 푸틴의 출마가 가능하게 되었고 85세가 되는 2036년까지 대통령을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 사실상 36년간 집권을 한 셈이다.
3. 출마 자격
25년 이상 러시아에서 상주하는 35세 이상으로, 외국 국적이나 영주권을 가진 적이 없는 시민만이 가능하며 100,000명 이상의 러시아 유권자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러시아 헌법에서는 대통령의 당적 보유를 금지하지 않지만 관례적으로 대통령이 되면 탈당한다. 무소속이었다가 통합 러시아에 입당한 제5대 대통령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를 빼면 초대 때부터 지금까지의 대통령들은 처음부터 무소속이거나 당원이었다가 대통령이 된 직후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4. 선거
모든 러시아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한다.결선투표제가 적용되어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1위와 2위만 추려서 결선투표가 치러진다. 현재까지 결선투표가 치러진 대선은 1996년 대선 뿐이다.
실제로 실시된 선거 중 나무위키 내 별도의 문서로 작성되어 있는 역대 러시아 대선
- 1991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2000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200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200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2012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 202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4.1. 역대 선거
1991년 | ||
후보 | 보리스 옐친 | 니콜라이 리시코프 |
당적 | 무소속 | 소련 공산당 |
득표수 | 45,552,041 | 13,359,335 |
득표율 | 58.6% | 17.2% |
당락 | 당선 | 낙선 |
1996년 | ||
후보 | 보리스 옐친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40,203,948 | 30,102,288 |
득표율 | 54.40% | 40.73% |
당락 | 당선 | 낙선 |
2000년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39,740,467 | 21,928,468 |
득표율 | 53.44% | 29.50% |
당락 | 당선 | 낙선 |
2004년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니콜라이 하리토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49,563,020 | 9,514,224 |
득표율 | 71.91% | 13.8% |
당락 | 당선 | 낙선 |
2008년 | ||
후보 |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통합 러시아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52,530,712 | 13,243,550 |
득표율 | 71.25% | 17.96% |
당락 | 당선 | 낙선 |
2012년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겐나디 주가노프 |
당적 | 통합 러시아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45,602,075 | 12,318,353 |
득표율 | 63.60% | 17.38% |
당락 | 당선 | 낙선 |
2018년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파벨 그루지닌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56,430,712 | 8,659,206 |
득표율 | 76.69% | 11.77% |
당락 | 당선 | 낙선 |
2024년 | ||
후보 | 블라디미르 푸틴 | 니콜라이 하리토노프 |
당적 | 무소속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득표수 | 76,277,708 | 3,768,470 |
득표율 | 87.28% | 4.31% |
당락 | 당선 | 낙선 |
5. 목록
러시아 연방 대통령 | ||||||
대 | 사진 | 이름 | 재임기간 | 소속정당 | ||
취임일 | 퇴임일 | |||||
1 |
보리스 옐친 Бори́с Е́льцин (1931 ~ 2007) |
1991년 7월 10일 | 1996년 8월 9일 | 무소속 | ||
2 | 1996년 8월 9일 | 1999년 12월 31일 | ||||
대행 |
블라디미르 푸틴 Влади́мир Пу́тин (1952 ~ ) |
1999년 12월 31일 | 2000년 5월 7일 | 통합당 | ||
3 | 2000년 5월 7일 | 2004년 5월 7일 |
통합당 → 무소속 |
|||
4 | 2004년 5월 7일 | 2008년 5월 7일 | 무소속 | |||
5 |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Дми́трий Медве́дев (1965 ~ ) |
2008년 5월 7일 | 2012년 5월 7일 |
무소속 → 통합 러시아 |
||
6 |
블라디미르 푸틴 Влади́мир Пу́тин (1952 ~ ) |
2012년 5월 7일 | 2018년 5월 7일 |
통합 러시아 → 무소속 |
||
7 | 2018년 5월 7일 | 2024년 5월 7일 | 무소속 | |||
8 | 2024년 5월 7일 | - |
역대 러시아 행정부
- 제1·2대 보리스 옐친 행정부
- 제3·4·6·7·8대 블라디미르 푸틴 행정부
- 제5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행정부
6. 여담
|
러시아 제국 부터 현재 러시아까지 지도자[6] 들은 대머리/비대머리를 번갈아 가며 지도자 자리에 올랐다.
형식상 자치권을 가진 공화국들과 주, 자치주 등 이 모여 연방을 구성한 러시아는 최상위 행정구역 중 하나가 공화국이기 때문에 공화국마다 대통령이 존재했으며, 러시아에는 푸틴 말고도 21명의 대통령이 존재했다.[7] 그래서 당시에 대통령이 많다는 게 러시아인들에게 농담거리로 소비되었는데 러시아 정치권 내부에서는 이 때문에 연방 대통령의 위신이 서지 않는다는 문제를 제기하는 의견이 있었고 이에 따라 2010년대 이후 '대통령'은 러시아 연방 대통령만 사용할 수 있게 제한하면서 모든 공화국의 정부수반을 그냥 수반(Глава)으로만 지칭하게 되었다. 타타르스탄 공화국만은 예외적으로 연방법을 어겨가면서까지 대통령 직함을 유지해 왔으나 결국 연방 정부와 의회의 압력에 못 이겨 2023년 2월 직함을 수반으로 바꾸었다.
러시아의 모든 대통령들이 총리직을 역임 한적이 있다 보리스 옐친은 초대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은 6·10대 총리를 역임 했고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는 11대 총리를 역임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은 정부수반이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무소속| 무소속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 | 라이칭더 (초선) | 한덕수(권한대행) | ||||
동티모르 | 레바논* | 몰디브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무소속| 무소속 ]]
|
[[인민민족회의| 인민민족회의 ]]
|
||||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 | 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 | 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 ||||
몽골 | 미얀마*, **** | 방글라데시*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아와미 연맹| 아와미 연맹 ]]
|
||||
오흐나깅 후렐수흐 | 민 아웅 흘라잉 (권한대행) | 모하메드 샤하부딘 (초선)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
[[인민해방전선| 인민해방전선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 (초선) | 공석 |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우즈베키스탄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 |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
[[개혁파| 개혁파 ]]
|
[[민주당(이스라엘)| 민주당 ]]
|
||||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 | 마수드 페제시키안 (초선) | 이츠하크 헤르초그 |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 | 프라보워 수비안토 (초선)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메켄칠| 메켄칠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
||||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 | 에모말리 라흐몬 (5선) |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필리핀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인민당 ]]
|
[[파타| 파타 ]]
|
[[필리핀 연방당| 필리핀 연방당 ]]
|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재선) |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
||
그리스* | 남오세티야 | 독일* | ||||
[[무소속| 무소속 ]]
|
[[느하스| 느하스 ]]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
||||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 | 알란 가글로예프 (초선)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 | 블라디미르 푸틴 (5선) | 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 ||||
리투아니아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기타나스 나우세다 (재선) | 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 | 마이아 산두 (초선) | ||||
몰타*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주전선 ]]
|
||||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 |
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
||||
북마케도니아* | 북키프로스 | 불가리아*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초선) | 에르신 타타르 (초선) | 루멘 라데프 (재선) | ||||
산마리노* ** | 세르비아* | 스위스* | ||||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자유 산마리노| 자유 산마리노 ]]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
[[중도당| 중도당 ]]
|
||||
프란체스카 치베르키아 (초선) 달리보르 리카르디 (초선) |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 | 비올라 암헤르트 (초선) |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페테르 펠레그리니 (초선) |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 | 바하근 하차투랸 |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
|
||||
할라 토마스도티르 (초선) | 마이클 D. 히긴스 (재선) | 일함 알리예프 (5선) | ||||
알바니아* | 압하지야 | 에스토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바이람 베가이 (초선) | 바드라 군바 (권한대행) | 알라르 카리스 (초선) |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 |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 | 페트르 파벨 (초선) | 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정의개발당| 정의개발당 ]]
|
||||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 |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 ||||
트란스니스트리아 | 포르투갈*** | 폴란드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 |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 | 안제이 두다 (재선)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 | 알렉산데르 스투브 (초선) | 슈요크 터마시 (초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풀뿌리운동| 풀뿌리운동 ]]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
||||
이르판 알리 (초선) |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 다니엘 오르테가 (5선) |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
[[현대혁명당| 현대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재건운동| 국가재건운동 ]]
|
||||
루이스 아비나데르 (재선) | 실바니 버튼 (초선)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 ||||
미국 | 바베이도스* | 베네수엘라 | ||||
[[민주당(미국)| 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
||||
조 바이든 (초선) | 샌드라 메이슨 (초선) |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 운동 ]]
|
[[노동자당| 노동자당 ]]
|
[[진보개혁당| 진보개혁당 ]]
|
||||
루이스 아르세 (초선)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 | 찬 산토키 (초선) |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
[[자유당(아르헨티나)| 자유당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민주행동| 국민민주행동 ]]
|
||||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 | 에드가르 르블랑 피스 (과도위원회 의장) | 다니엘 노보아 (초선) |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
[[새로운 생각| 새로운 생각 ]]
|
[[자유재건당| 자유재건당 ]]
|
[[국민당(우루과이)| 국민당 ]]
|
||||
나이브 부켈레 (재선) | 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 | 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 ||||
칠레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
[[사회융합당| 사회융합당 ]]
|
[[사회민주진보당| 사회민주진보당 ]]
|
[[인간적인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
||||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 |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 | 구스타보 페트로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
[[무소속| 무소속 ]]
|
[[목표 실현| 목표 실현 ]]
|
[[콜로라도당| 콜로라도당 ]]
|
||||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 | 호세 라울 물리노 (초선) | 산티아고 페냐 | ||||
페루 | ||||||
[[무소속| 무소속 ]]
|
||||||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
[[신애국당| 신애국당 ]]
|
[[가봉군| 가봉군 ]]
|
[[국가인민당(감비아)| 국가인민당 ]]
|
||||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 |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 | 아다마 배로 (재선)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
[[기니군| 기니군 ]]
|
[[마뎀 G15| 마뎀 G15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 |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 (초선) | 난골로 음붐바 (초선) |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운동 ]]
|
[[아프리카 국민회의| 아프리카 국민회의 ]]
|
||||
볼라 티누부 (초선) |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 | 시릴 라마포사 (3선) |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르완다 | ||||
[[니제르군| 니제르군 ]]
|
[[통일당(라이베리아)| 통일당 ]]
|
[[르완다 애국전선| 르완다 애국전선 ]]
|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 | 조셉 보아카이 (초선) | 폴 카가메 (4선) |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
[[무소속| 무소속 ]]
|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
|
[[말라위 의회당| 말라위 의회당 ]]
|
||||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 | 안드리 라조엘리나 (재선) | 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
[[말리군| 말리군 ]]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
[[공정당| 공정당 ]]
|
||||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 | 다람 고쿨 (초선) |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무소속| 무소속 ]]
|
[[보츠와나 국민전선| 보츠와나 국민전선 ]]
|
||||
필리프 뉴시 (재선) | 파트리스 탈롱 (재선) | 두마 보코 (초선) |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
|
[[부르키나파소군| 부르키나파소군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 |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 | 브라힘 갈리 |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파스테프당
|
[[세이셸민주동맹| 세이셸민주동맹 ]]
|
||||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 | 바시루 디오마이 파이 (초선) | 와벨 람칼라완 (초선) |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수단**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
|
[[수단군| 수단군 ]]
|
||||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 | 무세 비히 압디 (초선) |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
[[시에라리온 인민당| 시에라리온 인민당 ]]
|
[[민족해방전선(알제리)| 민족해방전선 ]]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
||||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 | 압델마지드 테분 (재선) | 주앙 로렌수 (재선) |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
[[민주정의인민전선| 민주정의인민전선 ]]
|
[[무소속| 무소속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 | 테이 아스케슬라시 (초선) | 요웨리 무세베니 (6선) | ||||
이집트** | 잠비아 | 적도 기니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개발통일당| 국가개발통일당 ]]
|
[[민주당(적도 기니)| 민주당 ]]
|
||||
압델 파타 엘 시시 (3선) | 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 |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
|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 |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 | 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애국구원운동| 애국구원운동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
|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초선) | 폴 비야 (7선) | 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
[[통합민주연대| 통합민주연대 ]]
|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
|
[[공화주의자의 집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
|
||||
윌리엄 루토 (초선) | 아잘리 아소우마니 (5선) | 알라산 와타라 (3선) |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민주사회진보연합| 민주사회진보연합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
드니 사수 응게소 (7선) |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 | 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 ||||
토고 | 튀니지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포르 냐싱베 (4선) | 카이스 사이에드 (재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2027년 독립 예정 *** 대통령이 아닌 군주로 보는 의견도 있다 |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데이비드 아데앙 (초선) | 힐다 하이네 (재선) | 웨슬리 시미나 (초선) | ||||
바누아투* | 부건빌** | 사모아*** | ||||
[[무소속| 무소속 ]]
|
[[부건빌 인민동맹당| 부건빌 인민동맹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초선) | 이스마엘 토로아마 (초선) |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재선) | ||||
키리바시 | 팔라우 | 피지* | ||||
[[키리바시 포용당| 키리바시 포용당 ]]
|
[[무소속| 무소속 ]]
|
[[피지퍼스트| 피지퍼스트 ]]
|
||||
타네티 마마우 (재선) | 수량겔 휩스 주니어 (초선) | 윌리암 카토니베레 (초선) | }}}}}}}}} | |||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
[1]
사실상
통합 러시아가
여당이다.
[2]
"클리아누스 프리 오수트체스트블례미 폴노모치 프레지덴타 라씨스코이 페데라트씨 우바자트 이 아크라니얏 프라바 이 스바보디 첼로볘카 이 그라즈다니냐 소블류닷 이 자스시스샷 콘스티툿수 라씨스코이 페데라트씨 자스시스샷 수베레니티옛 이 네자비스모스트 비자빠스노스트 이 트셀로스노이스트 고수다르트스바 볘르나 슬루지트 나로두"
[3]
미하일 고르바초프 초대 소련 대통령(1990년부터 붙여진 소련 정부수반의 명칭)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연방 대통령까지의 취임선서 영상.
[4]
2012년 당선된 푸틴부터 6년 임기가 적용되었다.
[5]
이승만은 종신집권을 위해 사사오입 개헌을 통해 “초대 대통령”에 대해서는 중임 제한을 두지 않으려 했다.
[6]
아시다시피
메드베데프 다음은
푸틴이다.
[7]
2004년
아흐마트 카디로프 전
체첸 공화국 대통령이 피살당했을 때 한국 포털 뉴스 기사의 댓글창에 "러시아에서 테러로 체첸 대통령이 사망"이라는 기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러시아 대통령이 (체첸에서) 테러로 사망했다."는 의미로
오독하여
블라디미르 푸틴이 사망했다고 오해하는 댓글이 상당히 많이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