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7:49:30

일함 알리예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장.svg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대통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ed2939;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2대 3대 4대
아야즈 뮈탤리보프 애뷜패즈 엘치배이 헤이다르 알리예프 일함 알리예프
}}}}}}}}}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제4대 대통령
일함 알리예프[1]
İlham Əliyev | Ilham Aliyev
파일:일함 알리예프.jpg
<colbgcolor=#00b9e4><colcolor=#fff> 본명 일함 헤이대르 오글루 앨리예프
İlham Heydər oğlu Əliyev
Ilham Heydar oghlu Aliyev
출생 1961년 12월 24일 ([age(1961-12-24)]세)
소련 아제르바이잔 SSR 바쿠
(현 아제르바이잔 바쿠)
재임기간 제7대 총리
2003년 8월 4일 ~ 2003년 10월 31일
제4대 대통령
2003년 10월 31일 ~ 현직
서명
파일:일함 알리예프 서명.svg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b9e4><colcolor=#fff> 부모 <colcolor=#373a3c,#ddd>아버지 헤이다르 알리예프 1세
어머니 자리파 알리예바
형제자매 누나 세릴 알리예바
배우자 메흐리반 알리예바
자녀 딸 레일라 알리예바
딸 아르주 알리예바
아들 헤이다르 알리예프 2세
신체 188cm, 85kg
학력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종교 이슬람교( 시아파)
정당 [[신아제르바이잔당|
신아제르바이잔당
]]
}}}}}}}}}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기타5. 어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아제르바이잔의 제4대 대통령이자 독재자. 제3대 대통령이자 아버지인 헤이다르 알리예프의 뒤를 이은 세습 후계자다.

아제르바이잔 투표를 통해 정치인들을 뽑는 나라임에도 실질적으로 민주주의가 작동되고 있지 않다. 과거 아제르바이잔 헌법에 의하면 3선 금지를 명시하여 원칙으로 하고 있었지만 헤이다르 알리예프가 그런 헌법의 조항을 바꾸기 위해 개헌을 한 것이다. 그의 독재에 대해서 야당 측이 지속적으로 반대했으나 결국은 2003년 10월 31일에 개헌을 단행하였다. 또한 인권탄압을 일삼고 있어 인권단체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

2. 생애

1990년대 초 국립 석유공사 부사장으로 재임하였고 2003년 8월에 아버지의 세습 후계자로 공인받아 아제르바이잔 총리가 되었다.

2003년 10월 31일에 아버지 헤이다르의 뒤를 이어서 대통령에 취임하여 2008년 10월 15일에 2선에 성공으로 2번째 임기를 채우고 2013년 10월 9일에 3선에 성공하여 아버지의 재임 기간을 뛰어넘었고 현재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석유 천연가스가 풍부한 나라인데 이를 토대로 국립석유공사 임원으로서 개발을 지휘하면서 발전시킨 모습도 있으나, 일함도 아버지처럼 장기집권하며 여전히 20년째 독재를 펼치고 있다. 일함 알리예프의 아버지인 헤이다르 알리예프부터가 소련 공산당 중앙지도부에서 활동하던 양반이었고,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에 반발해서 정치국을 뛰쳐나왔을 정도로 강경한 권위주의자이자 소련 체제 옹호자였다. 일함도 모스크바에서 학업을 했고 아버지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인물이다. 그의 정책들도 통상적인 소련 서기장의 마인드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2016년에는 개헌을 강압적으로 단행하여 대통령 임기를 5년에서 7년으로 늘리고 대통령에 의회 해산권을 부여하고 대선도전 연령도 낮추는 등 권위주의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저 대선 출마 연령을 낮춘 점을 들어 대통령직을 아들인 헤이다르 2세에게 세습하려 한다는 의혹이 있다.[2] 만약 정말로 세습한다면 북한의 뒤를 이어서 공화국의 탈을 쓰고 3대 세습을 한 두 번째 국가가 된다. 이후 2016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에서 4일간 아르메니아와 격렬한 전쟁을 했다.

2017년 2월 21일에 취임하고 부통령직을 신설해서 거기다 자신의 아내인 메흐리반 알리예바를 앉혔다. 이로 인해 세습 의혹이 더욱 깊어진다.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을 지휘하며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있다. 만약 승전한다면 영웅화 되어 영구집권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20년 11월 10일, 결국 전쟁에 승전하여 1994년의 패배를 설욕하고 빼았겼던 영토를 상당량 수복함으로서 위대한 지도자로 선전된다. 이는 생전의 부친도 완수하지 못한 업적인 만큼, 다시 한번 아버지를 뛰어넘은 것이 되며 따라서 앞날이 탄탄해보인다. 성명을 발표하면서 웃음을 주체할 수 없는지 싱글벙글 웃는 모습도 포착됐다. #, # 연설을 하며 "어떻게 된거야 니콜 파시냔? 자네가 제시한 그 지위(나고르노카라바흐의 독립인정에 대한)는 어떻게 된거야? 춤을 추러 간거야?"라며 대놓고 아르메니아 정부수반을 조롱했다.

2020년 11월 17일 탈환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영부인과 같이 방문하여 둘러보고 국기를 게양하였다. 영상

2021년 1월 11일 일함 알리예프와 니콜 파시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주선으로 모스크바에서 만나 카라바흐 개발과 전후 후속조치에 대해서 논의했다. 기사, 영상

2021년 5월 12일 탈환한 슈샤에서 30년만에 역사적인 음악 축제를 했다. 영상 일함 알리예프가 직접 참가했으며 아제르바이잔에서는 환희일색이다.

2021년 4월경 알리예프는 장게주르 회랑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지 않으면 무력을 써서라도 강제로 구축하겠다고 위협했고 이는 아르메니아의 격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실제로 2021년 5월 13일 아제르바이잔군이 3km 정도 슈니크에 진입했다가 아르메니아가 러시아에 지원을 요청하자 14일 일부 철수했다. 이는 양국에 또 다시 큰 긴장을 불러일으켰다. 관련 기사

2021년 6월 15일 일함 알리예프와 튀르키예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은 슈샤를 방문해 도시를 둘러보고 양국의 동맹을 선언했다. 기사

2023년 5월 니콜 파시냔이 사실상 나고르노카라바흐를 포기한다고 밝힌 가운데 #, 5월 26일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열린 유라시아경제연합 포럼 중에 블라디미르 푸틴, 니콜 파시냔과 만나 3자 회담을 했다. # 회담이 마냥 좋게 시작한 건 아닌 것으로 보이는데 니콜 파시냔이 푸틴이 발언하는 중에 발언을 끊고 아제르바이잔의 군사공격을 비난했고, 일함 알리예프도 반박을 하는 등 잠시 불편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 영상

2023년 9월 소위 아르차흐 공화국이 완전히 소멸하고 아제르바이잔에 흡수통합되자 인종청소를 두려워한 아르차흐 난민들이 피난하는 가운데 일함 알리예프는 아르메니아인들의 권리를 보장한다는 뜻을 밝혔다. #

다만 10월에 열리는 5자회담에 대해서는 튀르키예가 불참한다는 것에 불만을 표시하며 참석하지 않았다. #

2024년 2월 7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92.05%의 득표율로 5연임을 하게되었다.

동년 완전 수복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등 구소련 국가 정상들을 초청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서방을 지속적으로 비난한다.

동년 12월 25일 아제르바이잔 항공 8243편 추락 사건이 일어나자 독립국가연합(CIS) 비공식 정상회담을 가지러 러시아로 향하다 급히 다시 회항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그에게 전화로 아제르바이잔 항공 추락사고에 대해 애도를 표하고 부상자의 회복을 기원하고, 철저한 조사를 약속하였다. 러시아 항공 감시국이 해당 사고가 버드 스트라이크 때문이라고 발표했지만 이후 일함 알리예프는 기자회견을 통해 새떼 충돌을 원인으로 특정하기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결국 이후 아제르바이잔의 정부는 러시아의 지대공 미사일에 의한 항공기의 추락을 확인하였다. 이후 현지 시각 2024년 12월 29일 분노하며 여객기 추락은 러시아 소행이라면서 관련자 처벌을 요구했다.

3. 선거 이력

<rowcolor=#ed2939>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03 제4대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선거 아제르바이잔 1,860,346 (75.38%) 당선 (1위) 초선
2008 3,232,259 (88.73%) 재선
2013 3,126,113 (84.54%) 3선
2018 3,394,898 (86.02%) 4선
2024 4,281,625 (92.05%) 5선

4. 기타

파일:20060511_58947_노무현사료관.jpg
* 2007년에 한국을 방문하여 노무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다.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재방한했다.
  • UN총회에서 자신이 연설[3]하는데 장녀인 레일라 알리예바가 셀카를 찍고있는 장면이 포착되어 엄청난 비판을 받았던 적이 있다.
  • 모국어인 아제르바이잔어를 포함해서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튀르키예어를 할 줄 안다. 일단 아제르바이잔어와 튀르키예어는 매우 비슷하며, 러시아어는 애초에 이 사람이 30살때까지 모국어였기 때문에 잘 하는 건 당연한 거고, 그래서 블라디미르 푸틴과 정상회담 할 때는 통역 없이 러시아어로 소통[4]하며, 영어는 BBC 등 서방 언론과 통역없이 인터뷰를 할 정도로 잘한다.
  • 2019년부터 비동맹운동 의장을 맡고있으며,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임기가 1년 연장되어 2023년까지 의장직을 유지하였다.
  • 위의 프로필과 사진들을 보면 알겠지만 키와 덩치가 매우 크다.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찍은 사진만 봐도 알 수 있다.[6] 다른 외국 지도자들과 같이 찍은 사진에서도 독보적인 키와 떡대를 자랑한다.

5. 어록

아버지이자 전임 대통령인 헤이다르 알리예프만큼은 아니지만 일함의 어록들도 아제르바이잔 각지에 세워져있다. 대부분은 일함의 현지지도(?)시 연설, 해당 지역의 역사, 문화에 대한 것들이지만 개중 유명한 것들을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다. 오랫동안 공산주의자였던 아버지와 달리 보다 튀르크 민족주의에 경도된듯한 모습을 보이지만, 균형주의적 외교와 나고르노카라바흐 탈환에 대한 강경한 의지가 담겨있는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
Bu problem yalnız bir neçə prinsiplər, beynəlxalq hüquq normaları əsasında həll oluna bilər: Azərbaycanın torpaqları işğaldan azad olunmalıdır, bir milyon qaçqın və köçkün öz doğma yurdlarına qayıtmalıdır, ölkəmizin ərazi bütövlüyü bərpa edilməlidir. Azərbaycan heç vaxt bu vəziyyətlə, torpaqlarının işğal altında qalması ilə barışmayacaqdır.

이 문제는 오직 몇가지 원칙들, 즉 국제법 규범에 의거하여 해결될 수 있습니다. 아제르바이잔 영토는 강점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하며, 백 만명의 난민과 실향민은 본인들의 고향으로 돌아가야만 하며, 우리 영토의 보존성은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제르바이잔은 결코 영토가 침탈당하는 현상태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2003년 10월 31일, 취임식 연설중
Mən istəyirəm ki, hər bir insan yaxşı yaşasın, hər bir insanın maddi imkanları artsın, uşaqlar yaxşı məktəblərdə oxusunlar, müəllimlər yaxşı məktəblərdə dərs desinlər. Həkimlər gözəl xəstəxanalarda işləsinlər və insanlarımız da sağlam olsunlar.

바라건대 개개인들이 잘 살고, 개개인의 물질적 기회가 늘고, 어린이들이 좋은 학교에서 공부하고, 선생님들이 좋은 학교에서 가르치길 원합니다. 의사들은 아름다운 병원에서 근무하고, 또한 우리 사람들이 건강하기를 바랍니다.
-2007년 3월 1일, 샤마흐구 지역위원회의에서의 연설중에서
Azərbaycan müasir güclü dövlətə çevrilməlidir. Bunu etmək üçün bizim bütün imkanlarımız var. Həm iqtisadi, həm siyasi imkanlar, həm də insanların intellektual səviyyəsi, dövlət siyasəti, dövlətin iradəsi və açıq-aydın görünən gələcəyin üfüqləri.

아제르바이잔은 현대적이고 강력한 국가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우리는 보유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정치적 기회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지적 수준, 국가 정책, 국가의 의지 및 명확하게 보이는 미래의 지평말입니다.
-2008년 2월 11일,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 시행의 4주년 결과를 기념하는 회의에서
Bizim xarici ölkələrlə münasibətlərimiz yalnız qarşılıqlı maraqlar və qarşılıqlı hörmət əsasında qurulur. Siyasi gücündən, yaxud da ki, böyüklüyündən, ərazilərindən asılı olmayaraq, bütün ölkələrlə bərabər hüquqlu münasibətlər qura bilmişik.

우리의 대외관계는 오로지 상호이익과 상호존중에 기반합니다. 우리는 정치력 혹은 규모, 영토와 상관없이 모든 국가와 동등한 법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2007년 10월 17일, 나흐츠반 국립대학교 음악원 개교식 연설 중에서
Dağlıq Qarabağ əzəli Azərbaycan torpağıdır. Əsrlər boyu azərbaycanlılar bu diyarda yaşayıblar, ermənilər oraya qonaq kimi gəliblər. Dağlıq Qarabağın əvvəlki, yəni real coğrafi məntəqələrinin adlarına baxmaq kifayətdir. Xankəndi şəhəri əsrlər boyu bu adla mövcud olub. Köhnə xəritələrə baxanda hər kəs bunu görə bilir: Xankəndi. Stepanakert adı orada yoxdur. Stepanakert bolşevik, quldur Stepan Şaumyanın adından götürülüb. Bu ad Sovet İttifaqı zamanında verilib. Dağlıq Qarabağ - Qarabağ Azərbaycan sözüdür. Erməni dilində bunun heç bir mənası yoxdur. Bütün başqa coğrafi məntəqələrin adlarının - hamısı Azərbaycan xalqı, Azərbaycan tarixi ilə bağlıdır. Sadəcə olaraq XIX əsrdə digər bölgələrdən ermənilərin Dağlıq Qarabağa köçürülməsi orada demoqrafik vəziyyətin dəyişdirilməsinə gətirib çıxarıb və Sovet İttifaqı dağılan zaman orada ermənilər əksəriyyət təşkil etmişlər. Amma bu heç kimə əsas vermir ki, orada azlıq təşkil edən azərbaycanlıların haqları pozulsun. Azərbaycanlıların o torpağa qayıtmağa haqqı var və biz oraya qayıdacağıq. Biz istəyirik ki, bunu sülh yolu ilə edək. Ancaq biz bütün başqa variantlara da hazır olmalıyıq və hazırıq.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오래된 아제르바이잔의 영토입니다. 수세기동안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이 땅에 살았고, 아르메니아인들은 손님처럼 그곳에 왔습니다. 나고르노카라바흐의 과거는 실제 지명들을 보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한캔디 시는 수세기 동안 이 이름으로 존재해 왔습니다. 오래된 지도를 보면 "한캔디"를 누구나 볼 수 있습니다. 스테파나케르트라는 이름은 없습니다. 스테파나케르트는 볼셰비키의 산적 스테판 샤우먄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이 이름은 소련 시대에 주어졌지요.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카라바흐는 아제르바이잔어 단어입니다. 아르메니아어에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다른 모든 지리적 위치의 이름은 아제르바이잔 사람들 및 아제르바이잔의 역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19세기에 다른 지역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로 아르메니아인들이 이주하면서 그곳의 인구학적 상황이 바뀌었고, 소련이 붕괴되자 아르메니아인들이 그곳에서 다수를 형성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그곳의 소수 아제르바이잔인의 권리를 침해할 이유는 누구에게도 될 수 없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인들은 그 땅으로 돌아갈 권리가 있고 우리는 그곳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우리는 평화롭게 그리 하고자 합니다만, 우리는 다른 모든 옵션에 대비해야 하며 이미 준비되어 있습니다.
-2010년 6월 24일 국군 창건 92주년을 맞아 국방부 산하 부대 및 국경수비대의 대규모 합동작전전술훈련을 참관한 대통령의 군 연설에서
Vətəndaş cəmiyyətinin yaradılması və möhkəmlənməsi, demokratikləşmə prosesinin möhkəmlənməsi, hüquqi dövlətin qurulması sadəcə olaraq bir şüar, yaxud da bir niyyət deyil, Azərbaycanın hərtərəfli inkişafı üçün başlıca şərtdir. Bizim təcrübəmiz onu göstərir ki, Azərbaycanın seçdiyi yol düzgün yoldur. İqtisadi, siyasi və sosial islahatların paralel şəkildə aparılması Azərbaycanı hərtərəfli inkişaf etdirir və ölkəmiz üçün çox lazım olan sabitliyi möhkəmləndirir, ictimai-siyasi vəziyyətə də müsbət təsir göstərir.

시민사회의 창설과 강화, 민주화 과정의 강화, 법치국가의 수립은 단순한 슬로건이나 의도가 아닌 아제르바이잔의 포괄적인 발전을 위한 주된 조건입니다. 우리의 경험은 아제르바이잔이 선택한 길이 올바른 길임을 보여줍니다. 경제, 정치, 사회 개혁을 동시에 수행하면 아제르바이잔이 포괄적으로 발전하고 우리나라에 꼭 필요한 안정성이 강화되며 사회, 정치 상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006년 10월 2일, 아제르바이잔 국회의 2006년 추기개회식 연설에서
İyirmi birinci əsr türk əsri olacaq.

21세기는 튀르크의 세기가 될 것입니다.
-2013년 11월 13일, 터키-아제르바이잔 고위급 전략협력협의회 제3차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은 정부수반이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무소속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 라이칭더 (초선) 최상목 (권한대행)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무소속|
무소속
]]
[[인민민족회의|
인민민족회의
]]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 조제프 아운 (초선) 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아와미 연맹|
아와미 연맹
]]
오흐나깅 후렐수흐 민 아웅 흘라잉 (권한대행) 모하메드 샤하부딘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인민해방전선|
인민해방전선
]]
[[무소속|
무소속
]]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 (초선) 공석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개혁파|
개혁파
]]
[[민주당(이스라엘)|
민주당
]]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 마수드 페제시키안 (초선) 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
[[무소속|
무소속
]]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 프라보워 수비안토 (초선)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메켄칠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 에모말리 라흐몬 (5선)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인민당
]]
[[파타|
파타
]]
[[필리핀 연방당|
필리핀 연방당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재선)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무소속
]]
[[느하스|
느하스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 알란 가글로예프 (초선)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 블라디미르 푸틴 (5선) 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기타나스 나우세다 (재선) 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 마이아 산두 (재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민주전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주전선
]]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 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초선) 에르신 타타르 (초선) 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
[[자유 산마리노|
자유 산마리노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자유민주당(스위스)|
자유민주당
]]
프란체스카 치베르키아 (초선)
달리보르 리카르디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 카린 켈러주터 (초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페테르 펠레그리니 (초선)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 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
할라 토마스도티르 (초선) 마이클 D. 히긴스 (재선) 일함 알리예프 (5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바이람 베가이 (초선) 바드라 군바 (권한대행) 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미헤일 카벨라슈빌리 (초선) 페트르 파벨 (초선) 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정의개발당|
정의개발당
]]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 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 알렉산데르 스투브 (초선) 슈요크 터마시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풀뿌리운동|
풀뿌리운동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이르판 알리 (초선)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현대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국가재건운동|
국가재건운동
]]
루이스 아비나데르 (재선) 실바니 버튼 (초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공화당(미국)|
공화당
]]
[[무소속|
무소속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도널드 트럼프 (재선) 샌드라 메이슨 (초선)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 운동
]]
[[노동자당|
노동자당
]]
[[진보개혁당|
진보개혁당
]]
루이스 아르세 (초선)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 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아르헨티나)|
자유당
]]
라발라스 가족
[[국민민주행동|
국민민주행동
]]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 레슬리 볼테르 (과도위원회 의장) 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새로운 생각|
새로운 생각
]]
[[자유재건당|
자유재건당
]]
[[국민당(우루과이)|
국민당
]]
나이브 부켈레 (재선) 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 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융합당
]]
[[사회민주진보당|
사회민주진보당
]]
[[인간적인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 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무소속
]]
[[목표 실현|
목표 실현
]]
[[콜로라도당|
콜로라도당
]]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 호세 라울 물리노 (초선) 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국민민주회의|
국민민주회의
]]
[[가봉군|
가봉군
]]
[[국가인민당(감비아)|
국가인민당
]]
존 드라마니 마하마 (재선)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 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기니군
]]
[[마뎀 G15|
마뎀 G15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 (초선) 난골로 음붐바 (초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운동
]]
[[아프리카 국민회의|
아프리카 국민회의
]]
볼라 티누부 (초선)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 시릴 라마포사 (3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니제르군
]]
[[통일당(라이베리아)|
통일당
]]
[[르완다 애국전선|
르완다 애국전선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 조셉 보아카이 (초선) 폴 카가메 (4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무소속
]]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
[[말라위 의회당|
말라위 의회당
]]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 안드리 라조엘리나 (재선) 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말리군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공정당|
공정당
]]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 다람 고쿨 (초선)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보츠와나 국민전선|
보츠와나 국민전선
]]
다니엘 샤푸 (초선) 파트리스 탈롱 (재선) 두마 보코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
[[부르키나파소군|
부르키나파소군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 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파스테프당
[[세이셸민주동맹|
세이셸민주동맹
]]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 바시루 디오마이 파이 (초선) 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소말릴란드 애국당|
소말릴란드 애국당
]]
[[수단군|
수단군
]]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 압디라흐만 모하메드 압둘라히 (초선)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시에라리온 인민당
]]
[[민족해방전선(알제리)|
민족해방전선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 압델마지드 테분 (재선) 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민주정의인민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 테이 아스케슬라시 (초선) 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무소속
]]
[[국가개발통일당|
국가개발통일당
]]
[[민주당(적도 기니)|
민주당
]]
압델 파타 엘 시시 (3선) 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 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애국구원운동|
애국구원운동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초선) 폴 비야 (7선) 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통합민주연대
]]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
[[공화주의자의 집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
윌리엄 루토 (초선) 아잘리 아소우마니 (5선) 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민주사회진보연합|
민주사회진보연합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드니 사수 응게소 (7선)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 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포르 냐싱베 (4선) 카이스 사이에드 (재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2027년 독립 예정
*** 대통령이 아닌 군주로 보는 의견도 있다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나우루 제일당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아데앙 (초선) 힐다 하이네 (재선) 웨슬리 시미나 (초선)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부건빌 주기.svg 부건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무소속|
무소속
]]
[[부건빌 인민동맹당|
부건빌 인민동맹당
]]
[[무소속|
무소속
]]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초선) 이스마엘 토로아마 (초선)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재선)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키리바시 포용당|
키리바시 포용당
]]
[[무소속|
무소속
]]
[[피지퍼스트|
피지퍼스트
]]
타네티 마마우 (재선) 수량겔 휩스 주니어 (초선) 윌리암 카토니베레 (초선) }}}}}}}}}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b5e2 15%,#EF3340 15%,#EF3340 85%,#509E2F 8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F334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장
교통 아제르바이잔 항공
역사 역사 전반 · 알바니아 왕국 · 서돌궐 · 하자르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사파비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카자르 왕조 ·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소련(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아르차흐 공화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아제르바이잔/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독립국가연합 · 상하이 협력기구 · 아제르바이잔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국방 아제르바이잔군
문화 문화 전반 · 노루즈 · 요리 · 라바시 · 바클라바 · 플롭 · 공휴일/아제르바이잔 · 사모바르 · 아제르바이잔/관광 ·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 아제르바이잔어 · 카만체
인물 니자미 간자비 · 매햄매드 애민 래술자대 · 하즈 한맴매도프 · 헤이다르 알리예프 · 일함 알리예프
지리 나흐츠반 · 카스피해 · 나고르노카라바흐 · 캅카스 산맥 · 아라스강 · 쿠라강
사회 아제르바이잔 마피아
민족 아제르바이잔인( 러시아계 · 아르메니아계) · 타트인 · 산악 유대인 ·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 아제르바이잔계 이란인 · 아제르바이잔계 튀르키예인 · 아제르바이잔계 중앙아시아인
}}}}}}}}} ||


[1] 아제르바이잔어로는 '앨리예프'가 맞으나, 범용적으로는 '알리예프'가 사용되고 있다. [2] 알리예프는 1남 2녀를 뒀으며, 헤이다르 2세는 1997년생이다. [3] 아르메니아에 대한 적대적 내용의 연설이었다. # [4] 이건 사실 구소련권 지도자들은 공통이다. [5] 그의 영부인이자 부통령인 메흐리반 알리예바의 명의로 운영되는 계정이다. 이슬람권에 그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신앙심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영상을 게시한 것으로 짐작된다. [6] 에르도안도 키 185cm의 장신에 젊은 시절 운동선수였던 덕분에 체격도 상당히 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