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바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제수로기구 S23 기준
|
||
<colbgcolor=#334455> 태평양 | <colbgcolor=#eef,#002> 남중국해 · 동인도제도( 술루해 · 술라웨시해 · 몰루카해 · 토미니만 · 할마헤라해 · 세람해 · 반다해 · 아라푸라해 · 티모르해 · 플로레스해 · 보니만 · 발리해 · 마카사르 해협 · 자바해 · 사부해) · 동중국해 · 동해 · 말라카-싱카포르 해협( 말라카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베링해 ·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알래스카만 · 오호츠크해 · 캘리포니아만 · 타이만 · 태즈먼해 · 태평양( 동태평양 · 서태평양 · 남태평양 · 북태평양) · 필리핀해 · 황해( 발해) | ||
대서양 | 기니만 · 대서양(남대서양 · 북대서양) · 라플라타 강 하류 · 마르마라해 · 멕시코만 · 발트해( 보트니아만 · 핀란드만 · 리가만) · 북해 · 브리스틀 해협 · 비스케이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스카게라크 해협 · 스코틀랜드 연안 · 아이리시해 · 영국 해협 · 지중해( 지브롤터 해협 · 알보란해 · 발레아레스해 · 리구리아해 · 티레니아해 · 이오니아해 · 아드리아해 · 에게해) · 카리브해 · 펀디만 · 흑해( 아조프해) | ||
인도양 | 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라카디브해 · 모잠비크 해협 · 배스 해협 · 버마해 · 벵골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라비아해 · 아카바만 · 인도양 · 페르시아만 · 홍해 | ||
북극해 | 그린란드해 · 노르웨이해 · 데이비스 해협 · 동시베리아해 · 라프테프해 · 래브라도해 · 링컨해 · 바렌츠해 · 배핀만 · 백해 · 보퍼트해 · 북극해 · 북서항로 · 추크치해 · 카라해 · 허드슨만 · 허드슨 해협 | ||
남극해 | 드레이크 해협 | ||
카스피해 | 카라보가스골만 | }}}}}}}}} |
카스피해 Caspian Sea | Каспийское Море Kaspii Teñızı | دریای خزر |
|
[clearfix]
1. 개요
러시아 남서부,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이란 북부로 둘러싸인 세계 최대의 내륙해(內陸海)다.[1] 중앙아시아의 비상구라고도 한다. 바다라고 부르지만 엄밀하게 말하자면 세계 최대의 함수호[2]이다. 비록 다른 대양과 통하지 않으나[3] 호수라기에는 크기가 워낙 압도적으로 큰 관계로 바다로 보는 경우도 있다.
카스피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수량과 크기가 다르며, 보통 큰 강이 유입되는 북부가 남부보다 물에 있는 염분이 적다.
2. 언어별 명칭
- 러시아어: Каспийское море (카스피스코예 모레)
- 영어: Caspian Sea
- 카자흐어: Каспий теңізі (카스피 텡이지)
- 아제르바이잔어: Xәzәr dәnizi (해재르 대니지)
- 투르크멘어: Hazar deňzi (하자르 뎅지)
- 페르시아어: دریای خزر (다리야예 흐자르)
‘카스피‘라는 명칭은 인근에 위치했던 고대 알바니아 왕국의 카스피인에서 유래하였다.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투르크멘어로는 중세 카스피해에 위치했던 하자르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불린다.
중국어로는 단순히 안쪽 바다라는 뜻의 ‘里海(Lǐhǎi)‘라고 부른다.
3. 형성
고생대 이후 분열되기 시작한 판게아가 로라시아와 곤드와나 두 대륙으로 분열되면서 두 대륙 사이의 얕은 바다는 생물의 보고가 되었다. 이 지역을 테티스해라고 부르는데 카스피해는 그 시절 테티스해의 흔적이다.고대 파라테티스 호
저 지중해보다 더 넓은 곳이 모두 바다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고대의 파라테티스 호를 현재의 지도에 위치시켰을 때
아프리카와 인도 아대륙사이 파라테티스 호의 남은 부분이 지중해, 흑해, 카스피해로 쪼개지고 나머지는 육지가 되었다. 이 중 지중해와 흑해는 대서양 수계와 연결되어 있지만[4] 카스피해는 완전히 고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즉 내륙에 있어서 증발에 의해 염호가 된 사해와는 다르게 원래부터 바다였던 곳이다.
옛날에 흑해, 카스피해, 아랄해의 수위가 지금보다 더 높았던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모두 자연적으로 지중해, 북극해와 이어져있어 모두 대양과 이어진 바다였다.
4. 수면 저하
면적은 약 37만 1,000㎢로 남한의 4배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이며 서해[5]와 일본의 면적과 거의 비슷하다. 면적뿐 아니라 수량도 약 68,000㎦으로 세계 최대 규모이며 최대 수심 약 1,025 m, 평균 수심 약 210 m 정도로 수심도 깊다.[6] 다만 이 일대는 증발량이 많아서 조금씩 면적이 줄어들고 있으며, 카스피해의 주변은 해수면 아래 30m 정도의 저지대이다. 또한 카스피해의 밑바닥은 두 개의 분지지형이 연결된 형태이며, 북부 지역과 남부 지역에 깊이 들어간 지점이 있고 가운데 부분의 수심은 비교적 얕다.이것과 비슷한 대표적인 사례는 옆에 있는 아랄해다. 카스피해는 예전 아랄해와는 달리 면적도 9배나 되고 평균 수심도 10배 이상 되며 흑해와 운하로 연결되어 있기는 해서 아랄해보다는 사정이 훨씬 낫지만[7] 계속되는 남용은 카스피해의 유지에 아주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며 최악의 경우 러시아 미경유 카스피해~흑해간 운하를 만들지 않는 이상 아랄해처럼 대재앙을 겪을 수도 있다.
2013년 기준 카스피해 주변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청어의 수가 10년 전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였으며, 청어를 먹이로 삼는 큰철갑상어도[8] 먹이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는 처지라 한다.
5. 자원과 분쟁
카스피해와 그 주변은 각종 자원이 많은데,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로 유명하다. 캐비어로도 유명하다.카스피해는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바쿠 유전 개발 이래 소련과 이란의 독무대였으나, 몇 년 전부터 이 일대 석유자원에 눈길을 돌린 미국이 소련 붕괴 뒤 독립한 주변국들에 접근을 가속화하여 분쟁이 시작되었다.
카스피해 지역은 2002년경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등 국제 석유 메이저들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었으며, 일본 역시 그 뒤를 이어 대규모 투자를 본격 착수했으며, 한국도 2002년 4월 산업자원부와 5개사가 '카스피 해 유전개발 컨소시엄'을 꾸려 카스피해 진출 교두보로 선정한 카자흐스탄을 대상으로 1차 타당성 조사에 들어가 카스피해 유전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냉전 시기 소련과 이란은 카스피해를 호수로 간주해 공평하게 분할해 왔다. 하지만 1991년 소련 해체로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이 러시아로부터 독립하면서 이들도 카스피해 영역 인정을 요구하며 바다로 주장하기 시작했다. 유전(油田)을 가진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등 3개국은 카스피해를 바다로 보고 바다인 카스피 해의 영해, 경제수역, 대륙붕에서 독점적 권리는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자원이 없는 이란은 카스피해를 호수로 보고 연안국은 호수인 카스피 해에 균등한 권리를 갖는다며 카스피해 공유 5개국이 20%씩 천연자원을 균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러시아는 소련 지역에서 나오는 원유에 부분적인 권리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여오다 카자흐스탄에서 텐기스 유전을 발견하자 바다론(論)으로 입장을 바꿨다.
이런 환경으로 카자흐스탄군은 한국에서 수출한 참수리급 고속정을 배치하고, 윤영하급 고속함의 수출도 논의한 바 있다. #
그러나 북쪽에 워낙 강력한 러시아가 있고, 남부의 이란을 뺀 나머지 국가는 러시아의 영향권에 들어가며,[9] 미국 등 서방권이 직접 끼어들 수도 없는 위치라서[10] 경제적 이익을 노리고 제한적인 개입을 하는 터라 다른 분쟁지역처럼 불꽃튀는 격전은 없다. 그래도 다들 유사시 카스피 해를 장악하러 카스피해 내부에 해군을 만들고 유지한다. 이 중 가장 강력한 전력은 러시아 해군의 카스피해 분함대(Flotaria, 준함대나 소함대로도 번역함)로, 다른 4개 함대보다 규모가 작고 부대 단위도 한 단계 낮으나, 주변국 해군력을 압도한다. 근데 러시아 해군 장교나 부사관들은 여기로 전출되면 사실상 좌천으로 생각한다. 아무래도 러시아 북방함대, 발트함대, 태평양 함대 등에 비하면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내륙 해군 문서에도 소개되어 있지만 세계의 다른 내륙국들은 해군이 아예 없거나 있더라도 구색만 갖춘 정도에 불과한데, 이쪽은 카스피해가 워낙 넓기도 하고 해서 5개국 모두 좀 더 그럴 듯한 해상전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카스피해 분함대의 기지가 있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카스피스크에는 카스피해의 괴물로 알려진 위그선 1척도 방치되어 있다.
2018년 8월 12일에 러시아, 이란,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은 악타우에서 카스피 해 연안 5개국 정상회담을 가지고, 카스피 해를 특수한 지위의 바다라고 정의하면서 22년에 걸친 영유권 분쟁을 끝내고, 카스피해의 법적지위에 관한 협정에 합의했다. 기사
2022년 4월 1일. 카자흐스탄, 터키,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등 4개국이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카스피해 횡단 회랑의 물류 잠재력을 높이는 동시에 국제 운송 시스템 속에 통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
6. 카스피해의 항구도시
7. 다른 수역과의 운하연결 계획
7.1. 흑해
호면의 저하에 대처해서 소련 정부와 과학 아카데미에서는 페초라 강의 유역 변경으로 호수로 흘러드는 볼가 강(강의 유량은 전하천 유입량의 80%에 이른다) 물의 증수, 식림(植林), 북쪽 호분의 담수화 계획 등을 세웠다. 1952년 볼가-돈 운하를 완성하면서 카스피해와 흑해가 물길로 이어지고 카스피해는 흑해, 지중해, 발트해, 백해와 이어 소련 경제 동맥의 일부로 편입되었다.본격적인 해양진출을 위한 차원에서 2007년 한때, 카자흐스탄의 주도로 약: 700km의 카스피해~흑해간 가칭:유라시아 운하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볼가-돈 운하의 기능이 상실될 위기에 처한 러시아로서는 반대,반발하며 “50억달러의 공사 비용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이 공동 분담하길 바란다”고 당시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제1부총리가 볼가-돈 운하 확장을 제안한 적이 있다.
지금까지도 각계 각층마다 찬성과 반대가 오가고 있는 중이다.
7.2. 페르시아만
이란은 러시아와 같이 약:1천km 길이 이란의 영토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카스피해~페르시아만간 운하를 만들자는 움직임도 있다.7.3. 아랄해
자세한 내용은 아랄해 문서 참고하십시오.7.4. 부속 호수
자세한 내용은 카라보가스골 문서 참고하십시오.8. 여담
캅카스 지역에 있고 러시아, 이란 등과 인접해서인지 한때 20세기 초의 인종주의자들 사이에서는 같은 아리아계 백인종이라도 동유럽과 서아시아 지역을 차별하려고 '카스피인'이라는 인종 분류를 멋대로 지어내기도 했었다. 물론 이와 별도로 고대에는 실제로 '카스피인'이라는 이란계 민족이 남캅카스와 카스피 해 서부 사이에 살고 있었다.이 지역 부근은 과거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했다. 카스피호랑이, 아시아사자, 페르시아표범, 아시아치타, 늑대, 시리아불곰, 늪악어, 스라소니, 황금자칼 등 육식동물의 다양성이 높았지만 현재는 멸종되거나 멸종위기종인 경우가 많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카스피해가 이란제 무기 공급의 핵심 길목으로 이용되고 있다. #
[1]
내해(內海)를 내륙해라고도 부른다. 정확히 말하자면 카스피 해는 내륙해가 더 옳다. 내해는
지중해나
세토 내해 그리고
흑해처럼 대부분 육지로 둘러싸이되 좁은 해협을 통해 제한적으로 대양이 연결되어 있으나, 카스피 해는
볼가-돈 운하 이외에 대양으로 연결된 통로 없이 완전히 고립되어 있다.
[2]
물 1ℓ당
소금 500㎎ 이상인
호수
[3]
이 때문에 지중해 수계의 최상류인
빅토리아호나 대서양 수계의 일부인
오대호는 바다로 볼 수 없지만 역시 밖으로 안 통하는
아랄해도 내해라 보기도 한다. 카스피해의 경우와 달리 아랄해는 현재 호수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4]
흑해도 원래는 호수였다가 지중해의 물이 보스포루스 해협을 뚫어서 바다가 된 것이다.
[5]
약 380,000㎢
[6]
수량, 수심에 관한 정보는 자료마다 다르다.
[7]
그나마 낫다는 거지 손 놓고 있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흑해 운하는 언덕 지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운하가 있다고 해서 흑해 바닷물이 직접 카스피해로 유입될 수 없다. 흑해 운하 자체도 돈 강으로 흘러가야 할 지하수를 유압 펌프를 이용해 강제로 언덕 지대 저수지에 끌어올려 놓는 방식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저수지 물을 이용해 카스피해 고도를 올리려 해도 물 유입량에 한계가 있다.
[8]
특히 큰철갑상어의 알을 소금에 절여 만드는 상품이 바로 그 유명한 벨루가
캐비어이다.
[9]
그나마도 이란은
친러 국가다.
[10]
딴 데 같으면 미 해군 항공모함을 보낼 수 있지만 여기는 당연히 못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