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7:56

대수(대수 구조)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 가비의 이 · 곱셈 공식( 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 절대부등식) · 방정식( /풀이 ·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 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 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 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 소수) · 정수( 음수) · 유리수 · 실수( 무리수( 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 크로네커 델타)
마그마· 반군· 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 텐서곱) · 벡터 공간( 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해석학· 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 실수( 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 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 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 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 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특이점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 어림)
수열· 급수 수열( 규칙과 대응) · 급수( 멱급수 · 테일러 급수( /목록)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라마누잔합) · 망원급수( 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 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 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 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 경사하강법
적분 적분 · 정적분( /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 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 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 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 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 발산 정리 · 그린 정리 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 /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 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 벡터 공간 · 국소 볼록 공간 · 거리공간 · 프레셰 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내적공간 · 힐베르트 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 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 기하학 · 미분 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 확률 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 수리경제학( 경제수학) · 공업수학
기타 퍼지 논리 · 합성곱
}}}}}}}}} ||

1. 개요2. 정의3. 구분
3.1. 단위대수3.2. 결합대수3.3. 비결합대수
4. 예시
4.1. 대수학
4.1.1. 리 대수4.1.2. 아벨 범주4.1.3. 3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R}^3,+,\cdot,\times))]에서 벡터의 외적(cross product)
4.2. 해석학
4.2.1. 집합 대수4.2.2. 작용소 대수

1. 개요

체 위의 대수(Algebra on a field)는 대수적 구조 중 하나로, 벡터 공간 위에 쌍선형 곱셈 연산이 추가로 주어진 대수적 구조이다. 곱셈 연산은 기존 벡터공간의 덧셈 및 스칼라곱 연산에 대한 분배 법칙을 만족해야만 한다.

2. 정의

다음을 만족시키는 연산 [math(+, \cdot, \times)]가 주어진 집합 [math(A )]를 체 [math(\mathbb{F})] 위의 대수라 한다.
  • (벡터 공간) [math( (A, +, \cdot) )]은 [math(\mathbb{F} )] 위의 벡터 공간이다. 즉,
    • (가환군) [math( \left( A,+\right) )]는 가환군(abelian)이다. 즉, 임의의 [math( x , y, z\in 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킨다.
      • 덧셈에 대한 항등원 존재: [math( A )]에는 특정한 원소 [math( 0_A )]이 존재하여 모든 [math( x \in A )]에 대하여 [math( x + 0_A = 0_A + x = x )]
      • 덧셈에 대한 역원 존재: [math( A )]의 임의의 원소 [math( x )]에 대하여 [math( x + u = u + x = 0_A )]을 만족하는 [math( u \in A )]가 존재한다.
      • 교환법칙 성립: [math(\forall x, y\in A)], [math( x + y = y + x )]
      • 결합법칙 성립: [math(\forall x, y, z\in A)], [math( \left( x + y \right) + z = x + \left( y + z \right) )]
    • (스칼라 곱) 연산 [math( \cdot:\mathbb{F}\times A\rightarrow A)](스칼라 배)가 존재하고 임의의 [math(a,b\in \mathbb{F})], [math(x, y\in A)]에 대해 다음을 만족시킨다.
      • 벡터 합에 대한 분배법칙: [math( a\cdot\left(x+y\right)=a\cdot x+a\cdot y )]
      • 스칼라 합에 대한 분배법칙: [math( \left(a+b\right)\cdot x=a\cdot x+b\cdot x )]
      • 스칼라 간의 곱에 대한 호환성: [math( \left(ab \right)\cdot x=a\cdot\left(b\cdot x \right))]
      • 스칼라 곱의 항등원: [math( 1_\mathbb{F} \cdot x=x )]
  • (곱셈) [math( A \times A \rightarrow A )]는 쌍선형 사상이다. 즉, 임의의 [math( a, b \in \mathbb{F} )]와 [math( x, y, z \in A )]에 대하여,
    • 분배법칙 1: [math( \left(x + y \right) \times z = x \times z + y \times z )]
    • 분배법칙 2: [math( x \times \left(y + z \right) = x \times y + x \times z )]
    • 스칼라 곱에 대한 호환성: [math( \left(ax \right) \times \left(by \right) = ab(x \times y) )]

3. 구분

3.1. 단위대수

대수 [math((A, +, \cdot, \times))]에 대하여
[math( 1_A \times x = x \times 1_A = x \forall x\in A )]
을 만족시키는 [math( 1_A\in A )]가 존재하면 A를 단위대수(unital algebra)라고 한다.

3.2. 결합대수

대수 [math((A, +, \cdot, \times))]가 곱셈에 대한 결합법칙
[math(x(yz)=(xy)z\quad\forall x,y,z\in A)]
을 만족시키면 [math(A)]를 결합대수(associative algebra)라고 한다.

정사각행렬 공간 [math( (\mathbb{F}^{n\times n},+,\cdot,\times) )]는 결합대수이다. 행렬 공간은 행렬의 합과 스칼라 곱을 갖춘 벡터 공간이며, 특히 정사각행렬 공간은 행렬의 곱셈에 대하여 닫혀있고 결합대수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선형대수학의 기본정리에 의해 임의의 유한차원 [math(\mathbb{F})]-벡터 공간 [math(V )]에 대하여 [math( V )]에서 [math( V)]로 가는 선형 변환의 공간 [math(\mathcal{L}(V) )]는 [math(\mathbb{F}^{\dim V\times\dim V})]와 동형이므로 [math((\mathcal{L}(V),+,\cdot,\circ) )]는 함수의 합성 연산 [math(\circ)]를 곱셈으로 가지는 결합대수이다.

K-이론과 텐서를 다루는 상황에서 교환법칙 또는 반교환법칙을 만족하는 결합대수 구조가 나타난다.

3.3. 비결합대수

대수 [math((A, +, \cdot, \times))]가 곱셈에 대한 결합법칙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math(A)]를 비결합대수(non-associative algebra)라고 한다.

3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R}^3,+,\cdot,\times))]는 벡터의 외적을 곱셈으로 갖는 대표적인 비결합대수이다. 요르단 대수, 팔원수 또한 비결합대수이다.

4. 예시

4.1. 대수학

4.1.1. 리 대수

리 대수(Lie algebra)는 벡터공간 [math(\mathfrak{g})]에 쌍선형사상 [math([\cdot,\cdot]:\mathfrak{g\times g}\to\mathfrak{g})]가 주어진 대수로, 쌍선형사상 [math([\cdot,\cdot])]는 반대칭관계(anti-symmetry)
[math([A, B] = -[B, A])]
와 야코비 항등식(Jacobi identity)
[math([A, [B, C]] + [B, [C, A]] + [C, [A, B]] = 0)]
을 만족시킨다. 리 대수에서 두 원소의 곱을 [math(\lbrack A, B \rbrack)] 대신 [math(\lbrack AB \rbrack)]로 표기하기도 한다. 전자는 물리학에서 후자는 수학에서 주로 사용하나, 수학에서도 전자의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결합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다른 대수의 곱셈을 표기할 때도 후자의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리 대수는 리 군(Lie group)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리군의 국소적 성질을 나타내는 데에 유용하다. 컴팩트 리 군(compact Lie group)은 자연 현상에서 나타나는 많은 대칭성을 표현하는 데에 활용된다. 이 때 컴팩트 리 군은 단순 리 군으로, (단순연결인)단순 리 군의 리 대수는 단순 리 대수(simple Lie algebra) 간에 1-1 대응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 리 대수를 통하여 컴팩트 리 군의 상당 부분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단순 리 대수들의 분류와 존재성, 유일성, 표현(representation) 모두 증명이 완료되어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리 대수는 비결합대수이나, 주어진 리 대수가 매장된 단위결합대수인 보편포락대수(universal enveloping algebra)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임의의 결합대수 [math(\mathcal{A})]에 대하여 새로운 곱셈
[math(AB - BA \;\; (A, B \in \mathcal{A}))]
가 부여된 리 대수 [math(\mathcal{A}_L)]을 구성할 수 있다. 리 대수 [math(\mathfrak{g})]와 [math(\mathcal{A}_L)] 사이에 리 대수 준동형사상(Lie algebra homomorphism) [math(f : \mathfrak{g} \to \mathcal{A}_L)]가 존재하면 단위결합대수 [math(U(\mathfrak{g}))]와 매장사상 [math(\iota : \mathfrak{g} \to U(\mathfrak{g}))]에 대하여 [math(\phi \circ \iota = f)]를 만족하는 결합대수 준동형사상(associative algebra homomorphism) [math(\phi : U(\mathfrak{g}) \to A)]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4.1.2. 아벨 범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준동형 사상 문서
번 문단을
아벨 범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수구조로서의 대수를 일반화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4.1.3. 3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R}^3,+,\cdot,\times))]에서 벡터의 외적(cross produc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외적 문서
번 문단을
벡터곱(cross produc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성질 (unital, associative)을 전부 갖지 않으면서도 대수의 정의는 만족하는 경우이다. 다시 말해서,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벡터의 외적은 비 단위 비 결합 [math(\mathbb{R})]-대수 (nonunital nonassociative [math(\mathbb{R})]-algebra)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4.2. 해석학

4.2.1. 집합 대수

측도론에서 체 위의 대수를 일반화한 집합 위의 대수를 다룬다. 측도 공간을 구성하는 집합 대수, [math(\sigma)]-대수 등이 있다.

4.2.2. 작용소 대수

함수해석학에서 힐베르트 공간 바나흐 공간의 작용소 공간이 이루는 대수 구조를 일반화한 바나흐 대수, [math(C^*)]-대수 등을 다룬다. 해석학에서 다루는 대수 구조는 대수의 공리에 작용소 노름, 완비성, 대합 등 위상/해석적 공리가 추가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