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8 07:15:35

평균값 정리

해석학· 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 실수( 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 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 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 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 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특이점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 어림)
수열· 급수 수열( 규칙과 대응) · 급수( 멱급수 · 테일러 급수( 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라마누잔합) · 망원급수( 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 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 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 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 경사하강법
적분 적분 · 정적분( 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 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 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 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 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 발산 정리 · 그린 정리 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 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 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 벡터 공간 · 국소 볼록 공간 · 거리공간 · 프레셰 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내적공간 · 힐베르트 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 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 기하학 · 미분 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 확률 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 수리경제학( 경제수학) · 공업수학
기타 퍼지 논리 · 합성곱
}}}}}}}}} ||

1. 개요2. 상세3. 코시의 평균값 정리4. 활용
4.1. 함수의 증감4.2. 로피탈의 정리4.3. 미분가능성4.4. 적분의 평균값 정리4.5. 가우스의 평균값 정리
5. 활용6. 고등학교 교육과정7. 관련 문서

1. 개요

/ mean value theorem, MVT[1]

미분가능한 함수에 관한 정리로, 라이프니츠가 최초로 고안했고 이후의 학자들에 의해 여러 바리에이션과 마개조를 거친 이론들이 꽃을 피우게 된다. 한국에선 고등학교 수학 II를 배울 때 기본적인 평균변화율의 개념을 처음 접하게 된다.

2. 상세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평균값의 정리는 다음과 같다.
함수 [math( f\left(x\right) )]가 닫힌 구간 [math( \left[a, b\right]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math( \left(a, b\right) )]에서 미분가능하면 [math( \displaystyle \frac{f\left(b\right)-f\left(a\right)}{b-a} = f'\left(c\right), c \in \left(a, b\right) )]인 [math(c)]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기하학적으로 해석하면 두 점 [math(A\left(a, f\left(a\right)\right), B\left(b, f\left(b\right)\right))]를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한 접선이 구간 [math(\left(a, b\right))] 안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뜻이다. 만약 [math(f\left(a\right) = f\left(b\right))]이면 롤의 정리가 성립한다. 즉, 평균값의 정리는 롤의 정리의 일반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정리 덕에 부정적분값에 상수만 붙이는 게 정당화된다. 즉, [math( F'\left(x\right) = f\left(x\right) )]일 때 미분하여 [math( f\left(x\right) )]가 되는 함수는 [math( F\left(x\right)+C)] 꼴뿐이다.

미적분의 기본정리를 접하기 전 단계에서는 미분에서 가장 중요한 근간이 되는 정리이다. 미분 문제, 특히 접선을 이용한 방정식과 부등식류의 문제를 풀다가 잘 모르겠을 때는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쉽게 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증명
점 [math(\left(a,f(a)\right) )]와 점 [math(\left(b,f(b)\right)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math(y=l(x))]라고 하자.

[math(F(x)=f(x)-l(x) )]라 두면, 이 함수는 [math( \left[a,b\right])]에서 연속이고 [math(\left(a,b\right) )]에서 미분가능하며, [math(F(a)=0, F(b)=0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math(F'(c)=f'(c)-l'(c)=0 )]인 [math(c \in \left(a,b\right) )]가 존재한다.

[math(l'(c)=m= \displaystyle \frac{f\left(b\right)-f\left(a\right)}{b-a})]이므로 [math( f'(c)=\displaystyle \frac{f\left(b\right)-f\left(a\right)}{b-a})]이다.

평균값 정리의 기하학적 의미는 곡선 [math(y = f(x))] 위의 두 점 [math( (a, f(a)))]와 [math((b, f(b)))]를 지나는 선분에 대하여, 구간 [math([a,\,b])]에서 곡선 [math(y = f(x))] 위의 어떤 점의 접선이 이 선분에 평행하다는 것을 뜻한다.

파일:나무_평균값정리_기하학적의미.png

앞의 평균값 정리에서 [math(b-a = h)]라 하면 [math(c-a < b-a)]이므로 [math(0<\displaystyle {c-a \over h}<1)]이 된다. 여기서 [math( \theta =\displaystyle {c-a \over h})]로 놓으면 평균값 정리는
[math(f(a+h) = f(a) + hf'(a + \theta h))], [math(0< \theta < 1)]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가까운 두 점을 한 점의 함숫값과 그 점 인근의 미분값을 이용해서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선형근사의 기본 접근방식이다.

3. 코시의 평균값 정리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평균값의 정리를 좀 더 일반화한 버전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함수 [math( f\left(x\right) )]와 [math( g\left(x\right) )]가 닫힌 구간 [math( \left[a, b\right]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math( \left(a, b\right) )]에서 미분가능하면 [math( f'\left(c\right)\left[g\left(b\right)-g\left(a\right)\right] = g'\left(c\right)\left[f\left(b\right)-f\left(a\right)\right] )]인 [math(c)]가 [math( \left(a, b\right) )]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여기서 [math(g\left(x\right) = x )]라 두면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평균값의 정리가 된다.

증명
F\left(x\right) = f\left(x\right)\left\{g\left(b\right)-g\left(a\right)\right\}-g\left(x\right)\left\{f\left(b\right)-f\left(a\right)\right\} </math>라 정의하자. 그럼 [math(F)]는 닫힌구간 [math(\left[a, b\right])]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math(\left(a, b\right))]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math( F\left(a\right)=F\left(b\right)=f\left(a\right)g\left(b\right)-g\left(a\right)f\left(b\right))]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해 [math(F'\left(c\right) = 0 )]를 만족하는 [math(c\in \left(a, b\right))]가 존재한다.

그러면 [math(F'\left(x\right) = f'\left(x\right)\left\{g\left(b\right)-g\left(a\right)\right\}-g'\left(x\right)\left\{f\left(b\right)-f\left(a\right)\right\})]이므로, [math( f'\left(c\right)\left\{g\left(b\right)-g\left(a\right)\right\} = g'\left(c\right)\left\{f\left(b\right)-f\left(a\right)\right\})]

코시의 평균값 정리는 직관적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좌표평면상에서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어떤 점 입자의 시점 [math(t)]에서의 위치 벡터를 [math(\vec{r}\left(t\right) = \left<f\left(t\right), g\left(t\right)\right>)]라 하자. 그러면 해당 점 입자의 시점 t에서의 순간 속도는 [math(d\vec{r}/dt = \left<f'\left(t\right), g'\left(t\right)\right>)]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두 시점 [math(a)], [math(b\left(>a\right))] 사이에서 해당 점 입자의 변위는 [math(\vec{r}\left(b\right) - \vec{r}\left(a\right) = \left<f\left(b\right) - f\left(a\right), g\left(b\right) - g\left(a\right)\right>)]이다.

파일:코시 평균값 정리.png

이때 두 시점 [math(a)], [math(b)] 사이에서 해당 점 입자가 부드러운 곡선을 따라 움직일 때 해당 점 입자의 순간적인 운동 방향이 두 시점 [math(a)], [math(b)] 사이에서의 변위의 방향과 평행하는 시점이 존재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즉 [math(\left<f\left(b\right) - f\left(a\right), g\left(b\right) - g\left(a\right)\right>\parallel\left<f'\left(c\right), g'\left(c\right)\right>)]를 만족하는 [math(c\in\left(a,b\right))]가 존재한다. 그 결과 [math(f\left(b\right)-f\left(a\right):g\left(b\right)-g\left(a\right)=f'\left(c\right):g'\left(c\right))]라는 비례식이 성립하고 이로부터 코시의 평균값 정리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4. 활용

4.1. 함수의 증감

여러 가지 활용이 있겠지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이 가장 익숙할 것이다.
함수 [math(f)]가 [math(\left(a, b\right))]에서 미분가능하고 모든 [math(x\in(a,b))]에 대해 [math(f'\left(x\right) > 0 )]이면, [math(f)]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증명
열린 구간 [math(\left(a,b\right))] 안에서 임의의 실수 [math(x_1, x_2)]를 [math(x_1<x_2)]가 되게 잡는다. 그럼 [math(f)]는 [math(\left[x_1, x_2\right])]에서 연속이고 [math(\left(x_1, x_2\right))]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평균값의 정리에 의해 [math(\displaystyle f'\left(x_0\right) = \frac{f\left(x_2\right)-f\left(x_1\right)}{x_2-x_1})]를 만족하는 [math(x_0)]가 [math(\left(x_1, x_2\right))]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또한 [math(x_2-x_1 > 0, f'\left(x_0\right) > 0)]이므로 [math(f\left(x_2\right)-f\left(x_1\right) > 0 )]이다. 즉, [math(f\left(x_1\right) < f\left(x_2\right))]가 성립한다. [math(x_1, x_2)]는 구간 안의 임의의 값이므로 [math(f)]는 구간 내에서 증가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아래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함수 [math(f)]가 [math(\left(a, b\right))]에서 미분가능하고모든[math(x\in(a,b))]에 대해 [math(f'\left(x\right) < 0 )]이면, [math(f)]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4.2. 로피탈의 정리

해당 문서 참고

4.3. 미분가능성

어떤 한 점에서 미분가능성을 모를 때, 주변 미분계수의 극한을 관찰함으로써 미분가능성을 판정할 수도 있다.
실수 [math(a)]를 포함하는 열린구간 [math(I)]에서 정의된 함수 [math(f)]가 있을 때, [math(f)]가 [math(a)]에서 연속이고 [math(I-\left\{a\right\})]에서 미분가능하며, [math(\displaystyle \lim_{x\to a}f'\left(x\right)=L)]이면([math(L)]은 실수) [math(f)]는 [math(a)]에서 미분가능하고 [math(f'\left(a\right)=L)]이다.
증명
\displaystyle \lim_{x\to a}f'\left(x\right)=L</math>이므로 임의의 양수 [math(\varepsilon)]에 대하여 양수 [math(\delta \left(\varepsilon\right))]가 존재하여 [math(0<\left|x-a\right|<\delta\left(\varepsilon\right))]인 임의의 [math(x \in I)]에 대해 [math(\left|f'\left(x\right)-L\right|<\varepsilon)]이다.

한편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임의의 [math(x\in I-\left\{a\right\})]에 대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f\left(a\right)\over x-a}=f'\left(c\right))]인 [math(c)]가 [math(a)]와 [math(x)]사이에 존재한다. 즉, [math(0<\left|c-a\right|<\left|x-a\right|)]이다.

그러면 [math(x \in I)]이고 [math(0<\left|x-a\right|<\delta\left(\varepsilon\right))]일 때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f\left(a\right)\over x-a}-L\right|=\left|f'\left(c\right)-L\right|<\varepsilon)]이 성립하므로 [math(\displaystyle \lim_{x\to a}{f\left(x\right)-f\left(a\right)\over x-a}=L)]이다. 따라서 [math(f)]는 [math(a)]에서 미분가능하고 [math(f'\left(a\right)=L)]이다.

참고로 [math(\displaystyle \lim_{x\to a}f'\left(x\right)=\pm\infty)]이면 [math(f)]가 [math(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고, [math(\displaystyle \lim_{x\to a}f'\left(x\right))]가 수렴하지도,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는경우 이 방법으로는 미분가능성을 판단할 수 없다. 로피탈의 정리와 사용조건이 같다는 걸 알 수 있다.[2]

4.4. 적분의 평균값 정리

대학교 미분적분학에 등장한다. 이 정리는 주어진 곡선에 대한 면적과 같은 직사각형을 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 외에도 다각형의 무게중심 역시 이 평균값 정리를 응용해서 구할 수 있다.
함수 [math(f)]가 실수상에 속하는 폐구간[math([a, b])]에서 연속함수이면, [math(\displaystyle \frac{1}{b-a}\int^{b}_{a} f(x)\mathrm{d}x = f(c))]를 만족시키는 [math(c\in(a, b))]가 존재한다.
증명
[math(f)]가 [math([a, b])]에서 연속이므로 최대, 최소값의 정리에 의하여 [math(M = \sup\{f(x)|x\in[a, b]\})], [math(m = \inf \{f(x)|x\in[a, b]\})]가 존재한다. 따라서 모든 [math(x\in[a, b])]에 대하여 [math(m\le f(x)\le M)]이므로 적분의 대소 비교 성질에 의하여 [math(m(b - a)\le \displaystyle \int^{b}_{a} f(x)\mathrm{d}x\le M(b - a))]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math( m\le \displaystyle \frac{1}{b-a}\int^{b}_{a} f(x)\mathrm{d}x \le M)]

[math(f)]는 [math([a, b])]에서 연속이므로, 중간값의 정리에 의하여 [math(\displaystyle \frac{1}{b-a}\int^{b}_{a} f(x)\mathrm{d}x = f(c))]를 만족시키는 [math(c\in(a, b))]가 존재한다.

4.5. 가우스의 평균값 정리

Gauss's mean value theorem
복소평면상에서 코시 적분 공식에서 유도되는 공식.
함수 [math(f)]가 닫힌 원 [math(\left|z-z_{0}\right|\leq r)]에서 해석적(analytic)이면, [math(f(z_{0})=\displaystyle{\frac{1}{2\pi}}\int_{0}^{2\pi}f(z_{0}+re^{i\theta})\mathrm{d}\theta)]이다.
증명
코시 적분 공식 [math(f(z_{0})=\displaystyle{\frac{1}{2\pi i}}\int_{\mathcal{C}}\displaystyle{\frac{f(z)}{z-z_{0}}\mathrm{d}z})]에서, [math(\mathcal{C}:z_{0}+re^{i\theta})]라고 하자.
즉, [math(f(z_{0})=\displaystyle{\frac{1}{2\pi i}}\int_{\left|z-z_{0}\right|=r}\displaystyle{\frac{f(z)}{z-z_{0}}\mathrm{d}z})]인데, [math(z-z_{0}=z_{0}+re^{i\theta}-z_{0}=re^{i\theta})]이므로, [math(\mathrm{d}z=ire^{i\theta}\mathrm{d}\theta)]가 되고, [math(f(z_{0})=\displaystyle{\frac{1}{2\pi i}}\int_{0}^{2\pi}\displaystyle{\frac{f(z_{0}+re^{i\theta})}{re^{i\theta}}ire^{i\theta}\mathrm{d}\theta})]가 된다.
정리하면 [math(f(z_{0})=\displaystyle{\frac{1}{2\pi}}\int_{0}^{2\pi}f(z_{0}+re^{i\theta})\mathrm{d}\theta)]가 성립한다.
적분 평균값 정리에서 [math(a=0, b=2\pi, x=z_{0}+re^{i\theta}, c=z_{0})]라고 둘 경우의 경우와 일치한다. [math(x)]를 [math(\mathbb{C})]상에서 범위 [math(X:\left|z_{0}-y\right|\leq r)]의 경계선으로 보면, [math(c=z_{0}\to c\in X)]이기 때문.

5. 활용

  • 이차함수는 임의의 닫힌 구간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점이 항상 해당 구간의 정중앙에 존재한다는 특수한 성질을 갖는다. 다항함수/공식 참고.
  • 삼차함수는 평균값 정리의 역의 반례가 존재하는 최소 차수의 다항함수이다. 삼차함수 참고.
  • 경제성장론 솔로우-스완 모형에서, 생산함수의 그래프에 대하여 닫힌 구간 [math([0,\,k_{\rm max}])]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점에서 균제상태의 소비가 최대가 되며 이때의 자본-노동 비율을 '황금률 자본-노동 비율'이라 하고 [math(k_{\rm G})]로 표기한다.
  • 테일러 급수의 오차항은 여러가지 형태가 있는데, 그 중에서 라그랑주의 오차항을 이용할 경우 [math(n=0)]인 경우에는 그 오차항이 평균값 정리와 동일해진다. 그렇기에 확장 평균값 정리(Extended mean value theorem)를 라그랑주의 오차항을 채용한 테일러 급수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 이것을 직접 배우는 학생 때는 눈치채기 어렵지만, 고속도로 운전을 하게 되면 만나는 구간단속의 기본적인 원리가 된다. 시간-위치 그래프에서 구간단속 시작지점 통과 시간(a)과 해당 위치(P(a)), 구간단속 종료지점 통과시간(b)와 해당 위치(P(b))사이의 연속적인 그래프를 떠올려 보자. 구간단속 거리(P(b)-P(a))를 특정 시간(b-a)보다 빠르게 통과한다면, 그 구간안에서 적어도 한 번은 평균 속도((a,P(a))와 (b,P(b)의 직선 기울기)를 초과했다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네비게이션을 켜고 운전을 해 보면 구간단속 중일 때는 보통 본인의 평균 속도도 표기가 되지만, 남은 시간과 남은 거리도 표기된다.

6. 고등학교 교육과정

7. 관련 문서



[1] 영미권에서 MVT라고 하면 보통은 알아듣는다. [2] 사실 이 명제는 로피탈의 정리의 특수한 경우로도 볼 수 있다. [3] 과거 이과만 배우던 평균값 정리가 교과과정이 개편되면서 내려와 1998년생부터 문과 학생들도 배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