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약칭이 진짜로 구제고인 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구미제일고등학교 문서 참고하십시오.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현 제도(新制) | 구제(舊制) | ||||
소학교 | 심상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초등과(1941~) | |||||
중학교 | 고등소학교(2년제, ~1941) · 국민학교의 고등과(1941~)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체신강습소 보통과 · 청년학교 보통과 · 실업보습학교 | |||||
고등학교 | 고등중학교 예과(1896~1894)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실업학교 · 사범학교[D] · 사범학교 예과[D] · 체신강습소 고등과 · 철도교습소 중등부 및 보통부 · 청년학교 본과 | |||||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 고등중학교 전문부(1896~1894) · 구제고등학교 고등과(1918~) · 구제전문학교 · 대학예과 · 사범학교 본과[D] · 고등사범학교 ·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 도서관직원양성소 ·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 |||||
대학 | 대학 | |||||
대학원 | 대학원 (연구과) | |||||
당시
구제전문학교는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과정에 상당하지만 공식 학위가 나오지 않는
고등교육기관. 구제대학 학부를 누적 수학 연령으로 따지면 신제 석사와 동일. |
||||||
[C]
일반적으로 구제중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통합해서 운영했다.
[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
[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
[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
[C]
[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
[D]
1943년 사범학교령을 통해 모든 사범학교에 대하여 전문학교급으로 승격하고 본과와 예과를 만듦.
[D]
[D]
|
||||||
하위 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관립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넘버스쿨 | 제1고등학교 · 제2고등학교 · 제3고등학교 · 제4고등학교 · 제5고등학교 · 제6고등학교 · 제7고등학교 · 제8고등학교 |
네임스쿨 | 니가타고등학교 · 마츠모토고등학교 · 야마구치고등학교 · 마츠야마고등학교 · 미토고등학교 · 야마가타고등학교 · 사가고등학교 · 히로사키고등학교 · 마츠에고등학교 · 도쿄고등학교 · 오사카고등학교 · 우라와고등학교 · 후쿠오카고등학교 · 다이호쿠고등학교 · 시즈오카고등학교 · 고치고등학교 · 히메지고등학교 · 히로시마고등학교 · 여순고등학교 · 도야마고등학교 | ||
제국대학 예과 | 홋카이도제국대학예과 · 경성제국대학예과 · 대북제국대학예과 | ||
가쿠슈인 | 가쿠슈인고등과 | ||
공립 | 도야마고등학교 · 나니와고등학교 · 부립고등학교 | ||
사립 | 무사시고등학교 · 코난고등학교 · 세이케이고등학교 · 세이조고등학교 |
제1고등학교 본관 (現 도쿄대학 코마바 캠퍼스 1호관) |
舊制高等學校
旧制高等学校(일본 신자체 표기) きゅうせいこうとうがっこう
Higher school (Japan)[1]
[clearfix]
1. 개요
구제고등학교는 1894년 공포된 고등학교령에 의해 설치되어 1950년의 학제 개혁 전까지 운영되었던 일본 제국의 3년제 고등교육기관. 당시 학제상 5년제 구제중학교를 졸업한 후 진학할 수 있었으며, 현재의 대학 교양교육을 담당하였다.[2] 전후에는 GHQ의 학제개혁에 의해 제국대학 또는 관립대학에 흡수되거나 현(縣)내 관립 구제전문학교 등과 통합하여, 미국식 4년제 신제대학의 문리학부·교양학부로 개편되었다.1945년 8월 2차대전 종전 당시를 기준으로 관립 32개교[3], 공립 2개교[4], 사립 4개교[5] 등 총 38개교가[6]가 존재했다.[7][8]
마쓰모토시의 구제고등학교기념관 및 관람기, 구제고교 탐방 블로그 등을 참조. 각 학교별 마크(校章)는 블로그 및 교가 정리 사이트를 참조 요망. 기타 고교생의 복식과 관련해서는 블로그 및 사이트 참조.
2. 제도
오늘날의 신학제(左)와 일본 제국 시대의 구학제(右) |
원래 일본의 구제대학은 유럽의 시스템을 토대로 한 구제도쿄대학[10]을 시초로 하고 있다. 그런데 초기의 교수진은 서양인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대학에서 수학하기 위해서는 외국어(특히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실력을 갖춰야 했고, 이를 위해 설치된 것이 (구제)도쿄대학 예비문(東京大學 預備門)이었다. 이 도쿄대학 예비문은 이후 1886년 제국대학령에 이어 반포된 중학교령에 따라 고등중학교가 되었다가 1894년 고등학교령에 의거 구제고등학교로 개편된다.
서구권으로부터 신식 문물을 도입에 열을 올리던 초기 메이지 시대에 고등교육, 특히 고등전문교육을 받기 위해 외국어 지식은 필수불가결했다. 당시 일본제국 정부는 내각 각 성(省), 청(廳) 소관의 관립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하고 근대화를 담당할 전문가들을 육성했는데, 해당 학교의 교수진이 구미 국가에서 초빙한 외국인이었기 때문이다. 문부성 관할 학교 중에서도 도쿄제국대학 법과/문과/이과대학으로 이어지는 동경개성학교(東京開成學校)에서는 영국/미국 출신 교수들이 영어로 수업을 진행했고, 도쿄제국대학 의과대학의 전신인 동경의학교(東京醫學校)에서는 영국인들에게 영어로 배우다가 독일인으로 교체되며 독일어 중심이 되었다. 공부성(工部省)의 공부대학교(工部大學校)에서는 영국인 공학자를 초청하여 고급 공학 교육을 실시했고, 홋카이도 개척사의 삿포로농학교(札幌農學校)에서는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 등 미국인이, 농상무성 소관 고마바농학교(駒場農學校)와 동경산림학교(東京山林學校)에서는 독일인이, 사법성 산하의 법학교(法學校)는 프랑스인을 중심으로 교수들이 초빙되었다. 문부과학성의 학제100년사 참조.
이렇게 고등교육을 위해 필요한 외국어 등의 예비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구제고등학교의 전신인 고등중학교가 설치되었고, 이후 고등교육기관들이 제국대학으로 재편되면서 [11] 제국대학으로 종합되며, 제국대학의 예과로서 고등중학교를 근간으로 하는 구제고등학교 제도가 성립되었다. 이때 일본은 교육제도를 정립하면서 구제전문학교는 구제중학교 졸업자가 바로 진학할 수 있으나, 제국대학은 구제고등학교의 대학예과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규정했다. [12]
당시 한반도에는 구제고등학교가 없었지만, 경성제국대학 예과가 구제고등학교의 역할을 했으며 구제중학교를 졸업한[13] 내지인( 일본인)이나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조선인들이 바로 경성제대에 진학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고등학교가 없었던 지역인 홋카이도의 홋카이도제국대학에도 예과가 설치되었고, 대만에는 다이호쿠고등학교(臺北高等學校)가 존재했지만 졸업생 중 의학부를 제외한 다이호쿠제국대학 진학자가 적어서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를 별도로 설치하였다. 혼슈와 규슈의 제국대학 5곳은 예과를 설치하지 않고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들을 최우선으로 하여 입학생을 모집하였다.[14]
2.1. 교육 내용
구제고등학교는 당초 구제중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4년제 전문학부와 제국대학 진학을 위한 외국어 학습 및 기초교양교육을 실시하는 3년제 대학예과(이후 고등과)가 존재했으나 이후 전문학부는 관립대학으로 승격되거나 폐지되었고 고등과 과정만 남게 되었다.문과, 이과로 분반해 운영했으며, 대학 1~2학년 수준의 내용을 다루었다. .
2.2. 여담
- 제국대학에는 여학생의 입학도 가능했지만, 구제고등학교는 모두 남학교라 실질적으로 제국대학생의 대부분은 남학생이었다. 참고로 구제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와 같은 급의 중등교육기관이었다.
- 1886년 중학교령에서 1현1교로 제한되었던 중학교 설립 요건이 1891년 현내 복수 학교 설치를 허용하도록 개정되었고 1899년 사립중학교까지 허용되면서 중학생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중학교 졸업생은 1895년( 메이지 28년) 1170명에서 급격히 늘어 1915년( 다이쇼 4년)에는 20852명에 이른다. 그런데 고등학교는 나고야의 제8고등학교 이후 추가 설치가 되지 않아 자연스럽게 고교 입시 경쟁이 치열해졌다. 1918년 기준으로 구제중학교 졸업생 중 구제고등학교 지원자가 11833명이었는데 합격자는 2267명에 불과했다. 결국 대다수인 9566명은 눈물을 머금고 포기하거나 재수를 하는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참조).
- 고등중학교에서부터 1894년 이후 고등학교까지 관립고등학교의 입학정원과 제국대학의 입학정원 비율은 1918년 개정 고등학교령이 공포되기 이전에는 1:1에 가까웠기 때문에, 구제고교 졸업자들은 제국대학으로의 진학이 보장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다만 메이지 시대 후반인 1910년부터 이미 도쿄제대 법학부 등 인기 학부는 지원자 수가 정원을 초과하기 시작했고, 다이쇼 말기에는 교토제대 법학부도 지원자가 모집 정원을 초과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참조).
- 1920년대에 당시 최고의 관립 의학전문학교들이 관립의과대학[15]으로 승격되었고, 이 관립의대들은 따로 예과를 설치하는 대신 구제고교 졸업자에게 수험자격을 부여하였다. 이 때부터 구제고등학교 진학이 대학입학을 100% 보장할 수는 없게 되었다. 그래도 구제고등학교에 진학하면 제국대학이나 관립대학 중 최고 인기학교였던 관립의대 진학이 상당수[16] 보장되었으므로 고등학교 입시는 여전히 학생과 학부모들의 관심사였고, 재학생들의 프라이드는 하늘 높은 줄 몰랐다고 전해진다.
-
그러나 제2차 고등학교령 반포(
1918년) 이후 고등학교가 줄줄이 신설되면서 고교 졸업생 숫자가 급증하고, 제국대학 입학정원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1920년대부터는 입시
경쟁이 심화되었다.
1927년 당시
학부로 무시험 진학이 보장된 제국대학예과(홋카이도제대 예과, 경성제대 예과)[17]를 제외하고 24개 고등학교의 졸업예정자 숫자는 5377명에 달했는데,[참조]
1926년 제국대학 입학정원은 총합이 4744명으로,[19]
관립의과대학 5개교 모집정원 305명을[20] 합쳐도 5049명에 불과했다.[모집정원] 제국대학 기준으로는 13% 이상, 관립의대를 합쳐도 6% 이상이 탈락하게 되었던 것이다.
- 제국대학 입시[과목] 경쟁의 격화로 고교 졸업 후 재수/ 삼수하는 학생들도 있었는데, 이들을 백선낭인(白線浪人)[23]이라고 불렀다. 구제고등학교의 학모에 하얀 선이 들어가서 붙은 별명이다. 결국 구제고등학교에 진학한다고 해서 입시가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는 이야기이다. 이처럼 1920년대에 고등학교 숫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대학입시 격화로 인한 재수생들이 사회문제가 되자, 정부는 제국대학의 정원을 늘리기 위해 기존에 도쿄제국대학과 교토제국대학에만 존재했던 문과 계열 학부들을 각 제국대학에 증설하기 시작했다. 1923년 도호쿠제국대학, 1925년 규슈제국대학, 1926년 경성제국대학 순서로 법문학부가 개설되어 신입생을 받았고, 1928년에는 다이호쿠제대에 문정학부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홋카이도제국대학 및 전쟁으로 인해 이학/공학 수요가 폭증하는 1930년대에 설립된 오사카제국대학, 나고야제국대학에는 1945년 종전시까지 문과계열 학부가 설치되지 않았다.
- 각 제국대학의 의학부와 도쿄제국대학의 법학부, 경제학부, 공학부 그리고 교토제국대학의 공학부 등 인기학부는 높은 경쟁률로 인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 사이에서도 재수와 삼수까지 치러가며 빈번한 치열한 입시경쟁을 뚫어야 입학할 수 있었으나, 이외에는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조차도 구제고등학교를 졸업한 지원자 숫자가 모집정원 미달되는 상황이었고, 도호쿠제대, 규슈제대, 나고야제대는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만으로는 정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홋카이도제대 예과와 같은 제국대학예과 부설을 시도했으나, 지역내에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반려당하여 구제전문학교 출신의 '방계(傍系)입학자'를 다수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24] 일본어 위키백과 참조.
- 구제고등학교를 거치지 않더라도 고등상업학교 등의 구제전문학교를 거쳐서 제국대학에 입학할 수는 있었다.[25] 하지만 이들은 신입생 선발 순위에서 당연히 구제고등학교 출신에 밀려 2순위에 있었고, 1차모집 미달분에 대해 실시하는 2차모집에만 지원할 수 있었다.[26] 때문에 의학부/공학부 등 인기학부 진학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 이렇게 구제고등학교 및 제국대학예과를 제외한 다른 경로를 통해 입학한 학생들을 제국대학에서는 방계입학자라고 했는데, 인기가 있었던 도쿄제국대학과 교토제국대학의 일부 학부[27] 그리고 예과가 부설되어 있던[28] 4개교( 홋카이도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 다이호쿠제국대학)를 제외한 나머지 4곳의 제국대학( 도호쿠제국대학, 규슈제국대학, 오사카제국대학, 나고야제국대학) 학생들 중에는 이러한 방계입학자들이 상당수 존재했다고 한다.
3. 역사
3.1. 고등중학교( 1886년)
구제고등학교의 출발은 1886년 제1차 중학교령에 의거 설립된 7곳의 관립 고등중학교이다. 1886년 3월 2일 ' 제국대학령'이 공포되어 구제 도쿄대학을 모체로 한 제국대학을 설립하면서, 제국대학 진학예정자에게 예비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진 고등중학교는 1886년 4월 10일 메이지 19년 칙령 제15호로 공포된 중학교령에 근거한 학교였다.
중학교령(中學校令) [29]
- 메이지 19년 4월 10일 칙령 제15호
제1조: 중학교는 실업(實業)에 나서려는 자 또는 고등의 학교에 들어가길 원하는 자가 수요로 하는 교육을 하는 교육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제2조: 중학교를 나누어 고등/ 심상 2과로 하고, 고등중학교는 문부대신의 관리에 속한다.
제3조: 고등중학교는 법과(法科)·의과(醫科)·공과(工科)·문과(文科)·이과(理科)·농업(農業)·상업(商業) 등의 분과를 둔다.
제4조: 고등중학교는 전국을 홋카이도· 오키나와현을 제외한 5개 구(區)로 구분하여, 每구마다 1개소를 설치하며, 그 구역은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따른다.
제5조: 고등중학교의 경비는 국고에서 지급하거나 또는 국고와 함께 당해학교 설치구역 내에 있는 부현(府縣)의 지방세 등으로 지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30]에는 그 관리와 경비 분담 방법을 별도로 정하지 않는다.[31]
제6조: 심상중학교는 각 부현(府縣)에서 편의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나, 해당 지방세가 지급/보조되는 곳은 각 부현별로 1곳으로 한정한다.
제7조: 중학교의 학과와 그 정도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따른다.
제8조: 중학교의 교과서는 문부대신의 검정을 받은 것에 한(限)한다.
제9조: 심상중학교는 구(區)·정(町)·촌(村)비(費)로 설치할 수 있다.
고등중학교는 구제 도쿄대학 예비문[32]을 모체로 한 제1고등중학교를 필두로 전국 각지를 5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을 담당한 고등중학교를 설립했고, 학구와 별도로 메이지 유신의 웅번이자 가장 세력이 강한
번이었던
조슈와
사쓰마에서 각각
야마구치와
가고시마에 1개교씩을 더해 총 7개교가 존재했다. 이 고등중학교에는 제국대학(
도쿄제국대학) 진학 예비교육을 실시하는 2년제 본과[33]와 함께 중학교령 제3조에 의거 전문 분야 지역사회에 필요한 고위
전문가와 상급 실무지도자를 양성하는 3년제 분과(전문과)[34] 등을 두어
지방의 최고학부로 기능하도록 의도하였다.- 메이지 19년 4월 10일 칙령 제15호
제1조: 중학교는 실업(實業)에 나서려는 자 또는 고등의 학교에 들어가길 원하는 자가 수요로 하는 교육을 하는 교육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제2조: 중학교를 나누어 고등/ 심상 2과로 하고, 고등중학교는 문부대신의 관리에 속한다.
제3조: 고등중학교는 법과(法科)·의과(醫科)·공과(工科)·문과(文科)·이과(理科)·농업(農業)·상업(商業) 등의 분과를 둔다.
제4조: 고등중학교는 전국을 홋카이도· 오키나와현을 제외한 5개 구(區)로 구분하여, 每구마다 1개소를 설치하며, 그 구역은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따른다.
제5조: 고등중학교의 경비는 국고에서 지급하거나 또는 국고와 함께 당해학교 설치구역 내에 있는 부현(府縣)의 지방세 등으로 지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30]에는 그 관리와 경비 분담 방법을 별도로 정하지 않는다.[31]
제6조: 심상중학교는 각 부현(府縣)에서 편의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나, 해당 지방세가 지급/보조되는 곳은 각 부현별로 1곳으로 한정한다.
제7조: 중학교의 학과와 그 정도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따른다.
제8조: 중학교의 교과서는 문부대신의 검정을 받은 것에 한(限)한다.
제9조: 심상중학교는 구(區)·정(町)·촌(村)비(費)로 설치할 수 있다.
- 제1고등중학교 - 1886년 4월 도쿄대학 예비문을 개칭
- 제3고등중학교 - 1886년 4월 오사카에 있던 대학분교를 개칭
- 야마구치고등중학교 - 1886년 11월 야마구치중학교를 개편
- 제2고등중학교 - 1887년 4월 센다이에 설립
- 제4고등중학교 - 1887년 4월 가나자와에 설립
- 제5고등중학교 - 1887년 5월 구마모토에 설립
- 가고시마고등중학조사관 - 1887년 11월 가고시마중학교조사관을 개편
3.2. 제1차 고등학교령( 1894년)
1894년 6월 25일 메이지 27년 칙령 제75호로 고등학교령( 문부성 페이지 참조)이 공포되어 동년 9월 11일부로 시행되었다.
고등학교령(高等學校令)
- 메이지 27년 6월 25일 칙령 제75호
제1조: 제1고등중학교, 제2고등중학교, 제3고등중학교, 제4고등중학교 및 제5고등중학교를 고등학교로 개칭한다.
제2조: 고등학교는 전문학과를 교수하는 곳이며, 다만 제국대학에 입학할 자를 위한 예과를 둘 수 있다.
제3조: 고등학교에는 그 부속으로 저도의 특별학과를 둘 수 있다.
제4조: 고등학교에서 개설되는 학과 및 강좌의 수는 문부대신이 정한다.
부칙
제5조: (1) 본령은 메이지 27년 9월 11일부로 시행하며 각 고등학교에 학과가 설치되는 시기는 문부대신이 지정한다. (2) 본령이 시행되거나 일부 시행 중인 고등학교에는 고등중학교 학과를 연한 내에 이수 중인 생도를 위하여 구학과(舊學科)를 둘 수 있다.
제1조에 규정된 바와 같이 7곳의 고등중학교들이 고등학교령(
1894년)에 의거 고등학교로 개편 출범하였는데, 이에 따라
제국대학의 예비교 역할을 하던 고등중학교 본과는 고등학교
대학예과로 개칭되면서 2년제에서 3년제로 수학연한이 연장되었고, 고등중학교 전문과(3년제) 역시 수학연한이 1년 늘어난 고등학교 전문학부(4년제)로 규정되나 실제로는 의학부만 그리고 의학부 중에서도 약학과를 제외한 의학과만 4년제로 이행하였다.- 메이지 27년 6월 25일 칙령 제75호
제1조: 제1고등중학교, 제2고등중학교, 제3고등중학교, 제4고등중학교 및 제5고등중학교를 고등학교로 개칭한다.
제2조: 고등학교는 전문학과를 교수하는 곳이며, 다만 제국대학에 입학할 자를 위한 예과를 둘 수 있다.
제3조: 고등학교에는 그 부속으로 저도의 특별학과를 둘 수 있다.
제4조: 고등학교에서 개설되는 학과 및 강좌의 수는 문부대신이 정한다.
부칙
제5조: (1) 본령은 메이지 27년 9월 11일부로 시행하며 각 고등학교에 학과가 설치되는 시기는 문부대신이 지정한다. (2) 본령이 시행되거나 일부 시행 중인 고등학교에는 고등중학교 학과를 연한 내에 이수 중인 생도를 위하여 구학과(舊學科)를 둘 수 있다.
또한 제2조에서 보듯 "고등학교는 전문학과를 교수하는 곳으로서, 다만 제국대학 진학을 위한 대학예과를 둘 수 있다"고 하여 구제고등학교 발족 당시에는 대학예과 보다도 전문학부가 중심이 될 것으로 상정되었다. 당시 일본 제국은 제국의 최고학부로서 제국대학(1886)만을 도쿄에 두고, 각 지방에는 제국대학을 추가로 설립하는 대신에 법학부, 의학부, 공학부 등의 전문학부를 포괄한 해당 지방의 최고 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고등학교를 설립하려 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1894년 제1차 고등학교령에서는 대학예과가 전문학부 보다 부차적인 것처럼 규정되었다.
그러나 고등학교령 공포 바로 다음 해인 1895년 일본 제국은 청일전쟁을 종결하는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면서 대청제국으로부터 막대한 전쟁배상금을 받게 되었는데, 이 전쟁배상금을 활용해 제3고등학교를 교토제국대학으로 승격시키자는 사이온지 긴모치의 주장이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대학예과 없이 법학부, 공학부, 의학부 등 3개 전문학부로만 구성되어있던 제3고등학교에 대학예과를 신설[35]하면서, 기존 제3고등학교의 법학부와 공학부를 모체로 1897년 교토제국대학을 설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 제3고등학교 시절 신입생이 마지막으로 졸업하는 1901년 4월에 법학부와 공학부는 폐지되었고, 의학부는 오카야마의학전문학교로 다시 떨어져 나가면서[36] 제3고등학교는 대학예과만 남게 되었다.
제3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다른 고등학교들도 전문학부가 독립하기 시작하여 1901년 각 고등학교들에 남아있던 의학부가 구제전문학교인 의학전문학교로 다시 분리되었고,[37] 러일전쟁 후인 1906년 3월 구마모토의 제5고등학교 공학부가 구마모토고등공업학교로 독립하는 것을 끝으로 구제고등학교의 전문학부는 완전히 소멸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예과만으로 구성되는 고등학교는 제국대학의 예비교의 역할을 맡게 되었고, 각 지방의 최고학부 역할은 교토제국대학, 도호쿠제국대학, 규슈제국대학 등 해당 지방에 신설되는 제국대학이 맡게 되었다.
고등학교 대학예과는 1900년 8월 4일 학과과정 개정을 통해 법과대학/문과대학 지망자를 제1부, 공과대학/이과대학/농과대학 지망자를 제2부, 의과대학 지망자를 제3부 등 3개 부로 나누어 편성해 각 대학 분과에 따른 예비교육을 실시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각 부별로 학과목을 정해 교과시간 배당을 자세하게 규정했을 뿐만 아니라, 고학년에서는 분과대학의 전문 학과 종류에 맞는 학과 구성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문부성 학제백년사 참조).
3.3. 제2차 고등학교령( 1918년)
1918년 12월 6일 다이쇼 7년 칙령 제389호로[38] 개정된 (제2차)고등학교령( 문부성 페이지 참조)이 공포되어 1919년 4월 1일부 시행되었다. 문부과학성의 학제백년사 참조.
제2차 고등학교령(高等學校令)
- 다이쇼 7년 12월 6일 칙령 제389호
제1조: 고등학교는 남학생의 고등보통교육을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국민도덕의 충실에 힘써야 한다.
제2조: 고등학교는 관립, 공립 또는 사립으로 한다.
제3조: 고등학교를 설립할 수 있는 공공단체는 홋카이도와 부현(北海道及府縣)으로 한다.
제4조: 사립 고등학교는 재단법인이 설립하며, 다만 특별한 필요로 인해 학교경영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법인을 설립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제5조: (1) 전조의 재단법인은 고등학교에 필요한 설비 또는 다목에 필요한 자금 및 고등학교를 유지하는 데 충분한 수입을 발생시키는 다소간의 기본재산을 갖추어야 한다. 단, 그 기본재산의 금액은 오십만엔으로 한다. (2) 기본재산 중 전항에 해당하는 것은 현금 또는 국채증권, 기타 문부대신이 정한 유가증권으로 공탁해야 한다.
제6조: 공립/사립 고등학교의 설립과 폐지는 문부대신의 인가를 얻어야 한다.
제7조: (1) 고등학교의 수업연한은 7년으로 고등과 3년, 심상과 4년 등으로 한다. (2) 고등학교 고등과만을 둘 수 있다.
제8조: 고등학교 고등과를 나누어 문과와 이과를 둔다.
제9조: (1) 고등학교는 고등과 졸업자를 위한 전공과를 두고 그 수업연한은 1년으로 한다. (2) 전공과의 졸업자는 득업사(得業士)를 칭할 수 있다. (3) 전공과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0조: (1) 고등학교에는 특별한 필요가 있는 경우에 예과를 둘 수 있으며, 제7조 제2항의 고등학교에 한한다. (2) 고등학교 예과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1조: 고등학교 심상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학교 예과[39]를 수료한 자, 심상소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
제12조: 고등학교 고등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학교 심상과를 수료한 자, 중학교 제4학년을 수료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
제13조: 고등학교의 생도 정수[40]는 고등과 480명, 심상과 300명 이내로 하며, 제7조 제2항의 고등학교의 경우는 전공과를 제외하고 600명 이내로 한다.
제14조: (1) 고등학교는 같은 학과 같은 학년 생도를 학급으로 편제한다. (2) 한 학급의 생도 정수는 40인 이내로 한다.
제15조: 고등학교에서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학과목의 종류에 따라 학급이 다른 생도들을 합쳐 동시에 교수할 수 있다.
제16조: (1) 고등학교 교원은 문부대신이 수여하는 고등학교 교원면허장을 가진 자일 것을 조건으로 하며, 다만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한 면허장을 가진 자로 채울 수 있다. (2) 고등학교 교원면허장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7조: 고등학교의 설비, 편제, 학과목 및 그 정도, 교과서, 일반 학생의 입학 및 징계, 등록금 등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8조: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는 문부대신의 감독에 속한다.
제19조: 문부대신은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에 대해 보고를 받고, 검열을 행하며, 기타 감독상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다.
제20조: 본령에 의거한 학교는 칙정규정으로 별도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고등학교라 칭하고 그 명칭에 고등학교라고 표시하는 문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칙
본령은 다이쇼 8년 4월 1일부로 시행한다.
메이지 27년 칙령 제75호 고등학교령[41] 및 고등중학교령은 이를 폐지한다.
구 칙령에 의한 고등학교는 본 칙령에 의한 고등학교로 본다.
전항의 고등학교는 당분간 제13조 규정을 적용한다.
고등학교 대학예과는 다이쇼 18년 8월 31일까지 이를 존치한다.
- 다이쇼 7년 12월 6일 칙령 제389호
제1조: 고등학교는 남학생의 고등보통교육을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국민도덕의 충실에 힘써야 한다.
제2조: 고등학교는 관립, 공립 또는 사립으로 한다.
제3조: 고등학교를 설립할 수 있는 공공단체는 홋카이도와 부현(北海道及府縣)으로 한다.
제4조: 사립 고등학교는 재단법인이 설립하며, 다만 특별한 필요로 인해 학교경영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법인을 설립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제5조: (1) 전조의 재단법인은 고등학교에 필요한 설비 또는 다목에 필요한 자금 및 고등학교를 유지하는 데 충분한 수입을 발생시키는 다소간의 기본재산을 갖추어야 한다. 단, 그 기본재산의 금액은 오십만엔으로 한다. (2) 기본재산 중 전항에 해당하는 것은 현금 또는 국채증권, 기타 문부대신이 정한 유가증권으로 공탁해야 한다.
제6조: 공립/사립 고등학교의 설립과 폐지는 문부대신의 인가를 얻어야 한다.
제7조: (1) 고등학교의 수업연한은 7년으로 고등과 3년, 심상과 4년 등으로 한다. (2) 고등학교 고등과만을 둘 수 있다.
제8조: 고등학교 고등과를 나누어 문과와 이과를 둔다.
제9조: (1) 고등학교는 고등과 졸업자를 위한 전공과를 두고 그 수업연한은 1년으로 한다. (2) 전공과의 졸업자는 득업사(得業士)를 칭할 수 있다. (3) 전공과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0조: (1) 고등학교에는 특별한 필요가 있는 경우에 예과를 둘 수 있으며, 제7조 제2항의 고등학교에 한한다. (2) 고등학교 예과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1조: 고등학교 심상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학교 예과[39]를 수료한 자, 심상소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
제12조: 고등학교 고등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학교 심상과를 수료한 자, 중학교 제4학년을 수료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
제13조: 고등학교의 생도 정수[40]는 고등과 480명, 심상과 300명 이내로 하며, 제7조 제2항의 고등학교의 경우는 전공과를 제외하고 600명 이내로 한다.
제14조: (1) 고등학교는 같은 학과 같은 학년 생도를 학급으로 편제한다. (2) 한 학급의 생도 정수는 40인 이내로 한다.
제15조: 고등학교에서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학과목의 종류에 따라 학급이 다른 생도들을 합쳐 동시에 교수할 수 있다.
제16조: (1) 고등학교 교원은 문부대신이 수여하는 고등학교 교원면허장을 가진 자일 것을 조건으로 하며, 다만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한 면허장을 가진 자로 채울 수 있다. (2) 고등학교 교원면허장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7조: 고등학교의 설비, 편제, 학과목 및 그 정도, 교과서, 일반 학생의 입학 및 징계, 등록금 등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8조: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는 문부대신의 감독에 속한다.
제19조: 문부대신은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에 대해 보고를 받고, 검열을 행하며, 기타 감독상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다.
제20조: 본령에 의거한 학교는 칙정규정으로 별도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고등학교라 칭하고 그 명칭에 고등학교라고 표시하는 문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칙
본령은 다이쇼 8년 4월 1일부로 시행한다.
메이지 27년 칙령 제75호 고등학교령[41] 및 고등중학교령은 이를 폐지한다.
구 칙령에 의한 고등학교는 본 칙령에 의한 고등학교로 본다.
전항의 고등학교는 당분간 제13조 규정을 적용한다.
고등학교 대학예과는 다이쇼 18년 8월 31일까지 이를 존치한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으로서 명실상부한 세계 열강으로 자리매김한 일본 제국은 제국의회에서 제국대학, 관립대학과 구제전문학교 등 고등교육기관의 대폭 확대를 골자로 한 '고등제학교창설급확장계획'을 채택한다. 그 일환으로 고등학교령 역시 1918년 12월 6일 대학령(칙령 제388호)과 함께 개정된 제2차 고등학교령(칙령 제389호)이 공포되어 1919년 4월 1일부 시행되었다. 개정 고등학교령에서는 그 목적을 " 남자의 고등보통교육을 완성하는 기관"이라 정의하여 심상 소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상과(4년제)와 중학교 4년 수료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등과(3년제)을 갖춘 7년제 고등학교를 기본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고등과로만 이루어진 학교도 둘 수 있게 하여 구제고등학교의 대학예과가 고등과로 개칭되었다. 여러 문제로 7년제 고등학교가 기본이 되지는 못했으나, 이 시기에 구제중학교를 기반으로 고등과를 병설하여 고등학교로 승격하는 학교들이 생겨났고 학교 숫자도 증가하였다. 관립고교 중 도쿄고등학교, 다이호쿠고등학교 2개교와 나니와고등학교( 오사카부), 도야마고등학교( 도야마현), 부립고등학교( 도쿄부) 등 공립 3개교, 사립 4개교는 모두 7년제로 만들어졌고 가쿠슈인 고등과(중등과 5년, 고등과 3년 도합 8년제)도 1921년부터 구제고등학교와 동격으로 인정되었다.
다만 구제중학교와 구제고등학교를 합쳐 7년제로 수학연한을 단축하면서 보다 적은 재정 부담으로 지방 각지에 고등학교를 증설하려던 일본 제국이 당초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실패하면서 7년제 중고일관 고등학교 제도는 정착되지 못했다. 기존 고등학교들은 고등과 3년으로만 구성된 원래의 체제를 계속 유지했고, 신설된 7년제 관립/공립고등학교[42]들도 최초의 7년제 고등학교인 도쿄고등학교가 1934년 심상과를 폐지하는 것을 시작으로 대부분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4년제)를 폐지하고 고등과(3년)로만 구성된 3년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그 이후 신설되는 관립/공립고등학교들은 3년제 고등학교 체제를 취했다.[43] 그러나 막대한 재정 부담이 힘겨웠던 사립고등학교 네 곳은[44] 개교시부터 종전시까지 심상과를 통합한 7년제 시스템을 유지하였다.
3.4. 종전 이후( 1945년~)
연합군총사령부 GHQ는 일본 제국의 기존 체제를 해체하고 미국의 시스템을 이식하면서 구제고등학교와 대학예과, 구제대학 학부 및 부속전문부, 그리고 구제전문학교 등을 전부 미국식 대학으로 일원화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1현1교 원칙에 따라 도도부현내의 관공립 고등교육기관을 통합하여 미국식 주립대학을 모델로 하는 대형 국립종합대학으로 개편했다.[45]이에 따라 구제고등학교는 제국대학에 흡수되거나( 제1고등학교[46] + 도쿄고등학교[47] = 도쿄대학 교양부) 관립대학에 병합되었고( 제4고등학교 → 가나자와대학 법문학부/이학부) 또는 근교의 구제전문학교 등과 합병해 신설된 국립대학( 마츠모토고등학교 → 신슈대학 문리학부) 일부가 되었다.
조선, 대만, 관동주 등 외지의 고교(경성제대예과[48], 다이호쿠제대예과, 다이호쿠고교, 여순고교 등) 생도들은 내지의 고등학교로 전입학하였다. 교원들 또한 내지의 제국대학 등지로 자리를 옮겼지만, 일부는 아이치대학 등 신설 대학의 창설멤버가 되어 활약하기도 했다. ( 참조)
궁내성 소관 관립학교에서 재단법인[49]으로 전환된 가쿠슈인 고등과와 4곳의 사립고등학교는 신제대학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통합하여 함께 대학을 이루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현실화되지 못했고, 결국 각각 개별적으로 신제 사립대학으로 전환되었다. 이들 5개교는 구제고등학교로서 정체성을 바탕으로 오늘날 리버럴아츠 5학원을 구성하고 있다.
[50] |
4. 학교 일람
▲ 구제고등학교일람표(도서 旧制高校美術連合会美術展「白線展」の歩み ) |
▲ 고등학교 분포도 |
▲ 고등학교 교표[51]( #1 / #2) |
1945년 8월 종전 당시 기준으로 총 38개 고등학교가 존재했다.
- 관립 32개교
- 넘버스쿨(8개교): 제1고등학교, 제2고등학교, 제3고등학교, 제4고등학교, 제5고등학교, 제6고등학교, 제7고등학교, 제8고등학교
- 네임스쿨(20개교): 니가타고등학교, 마츠모토고등학교, 야마구치고등학교, 마츠야마고등학교, 미토고등학교, 야마가타고등학교, 사가고등학교, 히로사키고등학교, 마쓰에고등학교, 도쿄고등학교, 오사카고등학교, 우라와고등학교, 후쿠오카고등학교, 다이호쿠고등학교, 시즈오카고등학교, 고치고등학교, 히메지고등학교, 히로시마고등학교, 여순고등학교, 도야마고등학교[52]
- 제국대학예과(3개교): 홋카이도제국대학예과, 경성제국대학예과, 대북제국대학예과
- 가쿠슈인: 가쿠슈인고등과
제2차 고등학교령에도 불구하고 심상과(4년제)가 병설된 7년제 고등학교 형태는 도쿄고등학교 및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고등학교 등 관립 2개교와 공립/사립 고교에서만 채택되었다. 그러나 관립 도쿄고등학교가 1934년 심상과를 폐지했고, 도야마현 도야마고등학교는 관립 이관되며 1943년, 오사카부 나니와고등학교는 1944년 각각 심상과 신입생 모집을 정지하여 종전시까지 7년제를 유지한 곳은 다이호쿠고등학교[54] 및 부립고등학교 그리고 사립 4개교[55] 뿐이었다.
4.1. 넘버스쿨
고등중학교 시절부터 이어진 최초의 관립고등학교들이다. 순서대로 제1고등학교( 도쿄시)부터 제8고등학교( 나고야시)까지 생겨 넘버스쿨(番號校)로 불렸다.[56] 관립고등학교들 사이에는 역사의 길고 짧음은 있어도 상하 서열은 없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넘버 스쿨(특히 제1고) 쪽이 역사가 길고 유력 동문들이 많았기 때문에 더 무게감이 있었다.조선인들은 지리적으로 한반도에 가까운 제3고(교토시)와 제5고(큐슈 쿠마모토시)에 많이 진학했다. 이러한 경향은 관공립 고등학교는 물론 대학교도 마찬가지였다.
▲ 제1고등학교 |
▲ 제2고등학교[58] |
▲ 제3고등학교 |
▲ 제4고등학교[60] |
▲ 제5고등학교[61] |
▲ 제6고등학교[62] |
▲ 제7고등학교조사관[63] |
▲ 제8고등학교[64] |
4.2. 네임스쿨
구제 관립고등학교 중 1918년 12월 개정 고등학교령 공포 후 설립된 20개의 네임스쿨(地名校) 고등과가 있었다.▲ 니가타고등학교 |
▲ 마츠모토고등학교[66] |
▲ 야마구치고등학교[69] |
▲ 마츠야마고등학교[71] |
▲ 미토고등학교[73] |
▲ 야마가타고등학교[76] |
▲ 사가고등학교[전경] |
▲ 히로사키고등학교[80] |
▲ 마츠에고등학교[82] |
▲ 도쿄고등학교 |
▲ 오사카고등학교[87] |
▲ 우라와고등학교[90] |
▲ 후쿠오카고등학교[93] |
▲ 다이호쿠고등학교[96] |
▲ 시즈오카고등학교[99] |
▲ 고치고등학교[101] |
▲ 히메지고등학교 |
▲ 히로시마 원폭[104] 후 히로시마고등학교[105] |
▲ 료준고등학교 |
▲ 도야마고등학교 |
4.3. 제국대학예과
홋카이도, 조선, 대만의 제국대학에는 부속 예과가 존재했다. 이 제국대학예과 3개교는 해당 제국대학 관제에 의거해 설립되어 각 제국대학 소속기관으로 존재했다는 점에서, 고등학교령을 근거 법령으로 설립된 타 구제고교들과 법제상의 차이가 있었으나, 교육내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예과 수료생은 소속 제국대학 학부로 진학이 보장되었으므로[110] 도쿄제국대학이나 교토제국대학 인기학부 진학을 위해 수험 공부(주로 외국어 과목)를 해야했던 여타 구제고교생들과 달리 예과 시절부터 철학/ 문학 서적을 탐독하는 등 여유로운 예과 생활을 즐겼다고 한다.[111]▲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112] |
-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113] - 1907년 6월 22일 메이지 40년 칙령 제237호 '도호쿠제국대학농과대학관제' 제9조에[114] 의거 설치,[115] 1918년 4월 1일 다이쇼 7년 칙령 제44호 '홋카이도제국대학관제' 제11조에[116] 의거 개편.[117] 홋카이도 삿포로시 키타구 → 홋카이도대학 법문학부
▲ 경성제국대학 예과[118] |
- 경성제국대학 예과[119] - 1924년 5월 2일 다이쇼 13년 칙령 제103호 '경성제국대학관제' 제4조에[120] 의거 설치.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청량리[121]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122] 의예과[123]
▲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
-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124] - 1941년 4월 5일 쇼와 16년 칙령 제388호 '다이호쿠제국대학관제중개정의건'[125] 제16조의2에[126] 의거 설치.[127] 다이호쿠주(臺北州) 시치세이군(七星郡) 시린마치(士林街)[128] → 국립타이완대학 선수반(先修班, 우리나라의 의예과)[129]
4.4. 가쿠슈인 고등과
제2차 고등학교령 공포( 1918년 12월) 이후 초등학과(6년제), 중등학과(6년제), 고등학과(2년제)[130]로 구성된 가쿠슈인[131] 고등학과가 고등과로 개칭되며[132] 구제고등학교와 동격, 동급의 학교가 되었다.[133]▲ 가쿠슈인 고등과[134][135] |
4.5. 공립고등학교
제2차 고등학교령( 1918년)에 의거해 공립고등학교의 설립도 가능해졌으나, 그 주체는 홋카이도·부·현으로 한정되어 도도부현당 1개교 원칙하에 진행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립고교는 토야마현[137], 오사카부[138]), 도쿄부[139] 3곳의 지방에 설립되었고 3개교 모두 심상과(4년)와 고등과(3년)을 병설한 7년제 고등학교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도야마고등학교는 1943년 관립으로 이관되며 심상과를 폐지했고, 나니와고등학교는 1944년 심상과를 폐지한 3년제 고교가 되어 종전시까지 7년제 고교로 남아있던 곳은 (도쿄)부립고등학교가 유일했다.[140]▲ 도야마고등학교 |
▲ 나니와고등학교[143][144] |
▲ 부립고등학교[147] |
4.6. 사립고등학교
제2차 고등학교령( 1918년)에 의거해 공립/사립고등학교 설립이 가능해졌으나, 그 요건이 사립학교는 '설비자금을 제외하고 50만엔 이상의 기본재산을 문부대신에 공탁할 수 있는 재단법인'으로 매우 까다로웠다( 문부성 학제120년사 참조). 이 때문에 구제고교로 설립된 사립고등학교는 4개교에 그쳤고, 모두 심상과(4년)와 고등과(3년)을 병설한 7년제 고등학교로 설립되어 1945년 종전시까지 7년제로 유지되었다. 3년제 고등학교가 7년제 고등학교(중고일관)보다 더 높이 평가받았고, 관립이 우선하고 사립은 선호되지 않는 일본의 특성상 7년제인 이 사립고등학교들은 이질적인 존재로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 #). 대학 입시 성적도 좋지 않아서[150] 치열한 입시를 뚫어야 하는 도쿄제대 진학자는 소수였고 상당수는 무시험 진학이 가능했던 교토제대 문학부 등으로 진학했다고. 이 4개 고교는 전후 학제개혁에 따라 모두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었다( 리버럴아츠 5학원 참조).▲ 무사시고등학교[151] |
▲ 코난고등학교[155] |
▲ 세이케이고등학교 |
▲ 세이조고등학교 |
5. 기타: 대학예과
자세한 내용은 대학예과 문서 참고하십시오.1차 대전 승전국으로서 명실상부한 주요 열강으로 자리잡고 다이쇼 시대의 호황을 구가하던 일본 제국은 고등교육기관 확대 방침에 따라 구제전문학교의 대규모 증설과 함께 대학령(大學令)을 공포하여 제국대학 이외의 각종 관공사립 대학의 설립을 허용하였다. 이 대학령 제9조 1항은 "학부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대학 예과를 수료한 자, 고등학교 고등과를 졸업한 자 그리고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고 규정하여, 중등교육을 마치고 바로 진학할 수 있는 전문학교(구제)와 구별되는 대학(구제) 학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대학 예비교육을 거칠 것을 요구했다.
그런데 제국대학이나 관립의과대학으로 진학이 가능했던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이 여타 대학에 진학할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웠고,[165] 그렇다고 구제고등학교를 증설한다면 안 그래도 계속 과열 양상을 보이던 제국대학 학부 입시 경쟁을 심화시켜 구제고교-제국대학 코스의 엘리트 육성 제도 자체가 붕괴될 것이 우려되었다. 그래서 대학령 제12조 1항에 "대학은 특별히 필요한 경우에 예과를 둘 수 있다."는 규정을 두어 개별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대학 예비교육을 실시하여 학부 입학자격을 부여하는 대학예과를 설치하도록 할 수밖에 없었다.
대학령 제12조 2항 " 대학예과에서는 '고등학교 고등과의 정도에 의거 고등보통교육을 실시한다.''"에 따라 고등학교 고등과[166] 상당의 교육기관으로 규정된 대학예과는 입학자격(제13조)[167] 및 내용(제14조)[168]고등학교 고등과'''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등 구제고등학교를 모델로 조직되어 학생들을 크게 문과/이과로 나뉘었으며, 지망 학부에 따라 갑류/을류/병류 등 세부적으로 분반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학에 설치되어있는 학부에 따라 문과나 이과만 단독으로 설치된 경우도 있었고, 각 대학별로 재량의 범위내에서 특색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관련 서적에서[169] 구제고등학교는 38개교로[170] 한정하며, 제국대학 진학 코스가 아닌 대학예과들은 일반적으로 '구제고교'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마쓰모토시립 旧制高等学校記念館[171]에서는 도쿄상과대학, 여순공과대학, 고베상과대학 예과 3개교를 제국대학예과와 함께 관립대학예과[172] 묶음으로 설명하는 등 간혹 관립대학 예과 한정으로 구제고등학교와 설명되기도 하니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신궁황학관대학 예과를 마치고 구제 교토제국대학 문학부에 입학한 모토야마 유키히코(本山幸彥)[173] 교토대학 명예교수 같은 케이스도 존재한다.
5.1. 관립대학예과
- 도쿄상과대학[174] 예과[175] - 도쿄부 기타타마군 코다이라무라[176] → 구제 도쿄상과대학이 신제 히토쓰바시대학으로 개편되며 1950년 예과 폐지.[177]
- 여순공과대학[178] 예과[179] - 관동주 뤼순 → 1945년 소련군의 만주 전략 공세 작전으로 만주가 점령당한 후 여순공과대학이 폐교되면서 소멸.
- 신궁황학관대학[180] 예과[181] - 미에현 이세시 → 연합군 점령하 일본에서 GHQ의 신도지령에 따라 1946년 쇼와 21년 칙령 제135호 신궁황학관대학관제폐지의건에 의거 신궁황학관대학이 폐교되면서 소멸.
- 고베상업대학[182] 예과[183] - 효고현 고베시 → 구제 고베상업대학이 신제 고베대학으로 통합되면서 예과를 고베대학 문리학부/교양부 미카케분교(御影分校)로[184] 개편하고 1950년 예과 폐지.
관립대학 중 최고의 인기를 구가한 관립의대의 경우는 제국대학과 동일하게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시를 실시하여 신입생을 충원했다.[모집정원][186] 학비 혜택이 주어졌던 관립문리대 2곳은 소속 학교를[187] 비롯한 고등사범학교와 전국 구제전문학교에서 계속 신입생 자원이 공급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예과를 두지 않았다. 관립공대는 외지 관동주 여순에 설립된[188] 여순공과대학만 예외로 예과를 설치했고 도쿄공업대학, 오사카공업대학(구제)는 별도 예과를 두지 않고 고등공업학교 졸업생을 위주로 충원했다. 관립상대 역시 당초 예과를 두지 않고 고등상업학교 졸업생 위주로 신입생을 받을 계획이었으나, 도쿄상과대학의 반발로 인해 예과가 존치되면서 고베상업대학에도 뒤늦게 예과가 부설되었다. 신궁황학관대학 역시 예과를 설치했다.
5.2. 공립대학예과
- 오사카부 오사카의과대학[189] 예과[190] - 오사카부 오사카시 → 1928년 일본 제국 정부의 고등학교 정비계획 발표 후 오사카의과대학은 1929년 예과 신입생 모집부터 정지하고 1928년 입학생이 수료하는 1931년 3월 예과 폐지.[191]
- 아이치현 아이치의과대학[192] 예과[193] - 아이치현 나고야시 → 1931년 아이치의과대학이 관립 이관되어[194]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시를 실시하게 되면서 1931년 예과 신입생 모집부터 정지하고 1930년 입학생이 수료하는 1933년 3월 예과 폐지.
- 교토부 교토부립의과대학[195] 예과[196] - 교토부 교토시 → 종전 후 구제 고등교육기관을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일원화하는 GHQ의 학제개혁에 따라 1951년 예과 폐지.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의과대학[197] 예과[198]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1929년 구마모토의과대학이 관립 이관되어[199]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시를 실시하게 되면서 1929년 예과 신입생 모집부터 정지하고 1928년 4월 입학생이 수료하는 1931년 3월 예과 폐지.
- 오사카시 오사카상과대학[200] 예과[201] - 오사카부 오사카시[202] → 종전 후 구제 고등교육기관을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일원화하는 GHQ의 학제개혁에 따라 1949년 신제 오사카시립대학이 발족하며 예과 신입생 모집을 정지하고, 1950년 예과 폐지.[203]
5.3. 사립대학예과
- 3년제 예과(13개교): 게이오기주쿠대학, 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 만주의과대학, 류코쿠대학, 오타니대학, 릿쿄대학, 릿쇼대학, 고마자와대학, 니혼의과대학, 다이쇼대학, 토요대학, 후지와라공업대학, 코아공업대학
6. 예술작품 속의 구제고등학교
- 작가 이병주의 < 지리산>을 보면 진주중학교를 졸업한 주인공 이규가 교토의 제3고등학교를 다니는 장면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작중에서는 삼고(三高)라고 나온다. 학교에 대한 자부심과 우러러 보는 주변의 시선을 잘 알 수 있다. 주인공은 프랑스어반[205]을 졸업하고 도쿄대학에 진학했으나, 태평양 전쟁 말기에 강제 병역을 피해 지리산에서 빨치산생활을 잠시 한다.
- 이수일과 심순애의 원작격인 <금색야차(金色夜叉)>에서 이수일 포지션인 남주인공 하자마 칸이치(間貫一)는 도쿄의 제1고등학교 학생으로 나온다. 그래서 우리가 이수일하면 가장 생각나는 가쿠란 교복에 망토를 두른 패션을 소화하고 다니는 걸로 나오는데, 이 가쿠란 고복 위에 망토를 두른 패션은 그 당시 폐의파모(弊衣破帽)라는 이름의 패션으로 구제고등학교에서 유행했던 개성을 추구한 패션이었다.
- 염상섭의 소설 삼대의 등장인물인 조덕기는 구제고등학교 넘버스쿨인 교토의 제3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유학생인 설정으로 등장한다. 구제고 졸업 이후에도 똑같은 도시에 위치해있는 교토제국대학 진학을 염두에 두었지만[206] 조부 조의관때문에 교토대 진학은 사실상 무산된 걸로 그려진다.
- 만화 엘리트는 배움이 부족하지 않다 # 에도 구제고등학교 학생들이 등장한다. 다만 극 중 배경이 되는 곳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았던 제9고등학교라는 곳이다. 실제 구제고 넘버스쿨의 경우 1고부터 8고까지밖에 없었다. 인기가 저조했던 탓인지 19회만에 연재가 끝났지만 작가가 구제고에 대한 자료 조사를 굉장히 열심히 한 편이라 구제고에 대해 알고 싶으면 참고해보기 좋은 만화이기도 하다.
7. 한국인 출신자
고교졸업 후 제국대학으로 자동 진학하게 되다보니 자연히 이들 대부분은 일본 본토의 제국대학 출신자이다. 하지만 주요한과 같은 예외도 있었다. 일본인 출신자까지 언급했다가는 문서가 상당히 길어질 우려가 있기에 한국인 출신자만 열거한다. (가나다순)- 계광순 - 마츠야마고교 졸업. 국회의원
- 고병국 - 시즈오카고교 졸업. 법학자
- 권영대 - 세이조고교 졸업. 물리학자
- 권중휘 - 3고 졸업. 서울대 총장
- 김사량 - 사가고교 졸업. 소설가. 월북
- 김상협 - 야마구치고교 졸업. 국무총리, 고려대 총장[207]
- 김연수 - 3고 졸업. 삼양사 창업주
-
김준연 - 6고 졸업.
정치인
김태길 3고 졸업 철학자 - 남기동 - 6고졸업[208]. 한국 시멘트산업의 대부
- 도상록 - 6고 졸업. 서울대 교수. 월북.
- 리승기 - 마츠야마고교 졸업. 교토제대 교수. 서울공대 학장. 월북.
- 박관숙 - 마쓰에고 졸업. 연세대학교 법과대학장
- 박석윤 - 3고 졸업. 일제치하 관료. 야구인
- 박종태 - 미토고교[209] 졸업. 국회의원
- 박준규(1925) - 마츠야마고교 졸업. 국회의장
- 서돈각 - 마쓰에고교 졸업. 동국대 총장.
- 신상초 - 후쿠오카고교 졸업. 언론인, 국회의원
- 여석기(呂石基, 1922~2014) - 마쓰에고교 졸업. 종합유선방송위원회장, 연극평론가, 고려대 교수
- 유기천 - 히메지고교 졸업. 서울대 총장
- 유억겸 - 3고 졸업. 연전 교장, 미 군정기 문교부 장관
- 윤일선 - 6고 졸업. 서울대 총장
- 윤종화 - 사가고교 졸업. 일제 관료.
- 윤천주 - 4고 졸업. 문교부 장관, 서울대 총장
- 윤태동 - 6고 졸업. 경성제대 교수, 만주국 간도성장
- 이양하 - 3고 졸업. 서울대 교수, 수필가
- 이재철(李在澈, 1923~1999) - 7고 졸업. 교통부 차관, 인하대, 국민대, 중앙대 총장을 역임한 인물. 이명희의 부친
- 이충영 - 5고 졸업. 조선총독부 판사, 변호사. 전 국무총리 이수성의 부친. 납북.
- 이한기 - 4고 졸업. 국무총리 서리
- 이해익 - 마츠야마고교 졸업. 경기도지사, 농림부장관.
- 이호 - 사가고교 졸업. 내무장관
- 이효상 - 야마구치고교 졸업. 국회의장
- 인태식 - 야마구치고교 졸업. 재무장관
- 장경근 - 3고 졸업. 국회의원
- 장경학 - 마츠야마고교 졸업. 동국대 교수
- 장철수 - 3고 졸업. 일본제국 외무성 관료, 대한민국 외무부 정무국장, 경북대 교수.
- 정광현 - 6고 졸업. 서울법대 교수
- 주요한 - 1고 졸업. 시인, 정치인. 3.1운동을 계기로 중국으로 건너가는 바람에 제국대학 출신이 아니다.
- 최병우 - 고치고교 졸업. 언론인.
- 최하영 - 마쓰에고교 졸업. 제5대 국회의원, 일제 관료.
8. 관련 문서
[1]
영문 위키백과 서술명
[2]
영국의
식스폼 제도와 유사하지만 식스폼은 일본 구제고와 달리 명목상 중등교육으로 분류된다.
[3]
넘버스쿨 8개교, 네임스쿨 20개교, 제국대학예과 3개교, 가쿠슈인 고등과.
[4]
나니와, 부립
[5]
무사시,
코난,
세이케이,
세이조. 이 4개 사립고교는 전후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어, 마찬가지로
사립대학인
가쿠슈인대학이 된 가쿠슈인 고등과와 함께
리버럴아츠 5학원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중
간사이의
코난대학을 제외한 나머지 4개교는
도쿄 4대학 연합을 형성해 매우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6]
第一高等學校/第二高等學校/第三高等學校/第四高等學校/第五高等學校/第六高等學校/第七高等學校造士館/第八高等學校/新潟高等學校/松本高等學校/山口高等學校/松山高等學校/水戸高等學校/山形高等學校/佐賀高等學校/弘前高等學校/松江高等學校/東京高等學校/大阪高等學校/浦和高等學校/福岡高等學校/靜岡高等學校/高知高等學校/姫路高等學校/廣島高等學校/富山高等學校/浪速高等學校/府立高等學校/臺北高等學校/旅順高等學校/學習院高等科/武藏高等學校/甲南高等學校/成蹊高等學校/成城高等學校/北海道帝國大學豫科/京城帝國大學豫科/臺北帝國大学豫科(38 校)
출처 참조.
[7]
《旧制高校物語》,
《旧制高校物語 真のエリートのつくり方》,
《旧制高校の校章と旗》 등 일본의 관련 서적 참고.
[8]
일부 예외적인
관립대학과 기타 모든
공립대학 및
사립대학에도
대학예과가 설치되었으나,
제국대학 진학 과정이 아니라는 점에서 구제고등학교로는 인정받지 못했다. 본 문서에서는 통설인 구제고교 38개교설을 취하고 기타 관립대학 예과 등
대학예과에 관해 간략히 설명한다. 학교 목록은 정종현,「제국대학의 조센징」, 휴머니스트, p.67의
편제를 인용하였다.
[9]
의학부는 최소 수학연한 4년 이상
[10]
도쿄대학의 전신
[11]
예를 들어 내각 각 부처 소관의 학교들은 문부성 예하의
도쿄제국대학으로 통합되었고, 삿포로농학교는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을 거쳐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2]
원래 구제고등학교에는
대학예과 외에도 법학부, 의학부, 공학부 등의 전문학부가 존재했다.
[13]
구제고등학교 입학시험 응시자격은 구제중학교 4년 수료였으며 이를 이유로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개교시 2년제를 취하였으나,
1934년 3년제로 예과의 수학 연한을 연장하면서 구제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구제중학교 4년 수료자 이상에게 응시 자격을 부여하였다.
[14]
예를 들어 조선에서
경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이태규는 일본 내지의
제국대학에 바로 진학할 수 없었고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를 거쳐서
교토제국대학에 진학했다. 같은 교토제국대학 진학자인 장경학 또한
경복중학을 졸업한 후 도일,
마츠야마고교로 진학하였다. 마츠야마고교는 실력만 있으면 조선 유학생도 입학허가가 상대적으로 쉬웠다는 듯하다.
[15]
니가타의과대학, 오카야마의과대학, 치바의과대학, 가나자와의과대학, 나가사키의과대학, 구마모토의과대학. 이들을 현재 일본에서 구6의대(旧六医大)라고 한다.
[16]
바로 아래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고교졸업자의 수가 대학 입학정원을 초과하여 입시경쟁과 백선재수생 문제가 나날이 심화되었다.
[17]
1927년 졸업예정자 기준으로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는 농학부(120명), 의학부(80명), 공학부(120명)로 진학할 320명을 선발해 교육했고,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법문학부(80명), 의학부(80명)로 진학할 160명을 선발해 교육했다. 예과를 졸업하지 못한 중도탈락자(질병, 사망 등)분의 결원은 우선 내지의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으로 충원했다.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는
1907년 도호쿠제국대학농과대학 예과시절 정원 100명으로 출발해
1919년 의학부 설치와 함께 200명으로 배증되어 영어반 80명(2개조), 독어반 120명(3개조)으로 구성되었으며, 공학부 설치로 인해
1922년부터 320명으로 증원되어 農類영어반 80명, 農類독어반 40명, 醫類(모두 독어) 80명, 工類(모두 영어) 120명이 되었다.
1924년 입학생부터는 農類는 모두 영어반으로 편성되어 영어 240명(6개조), 독어 80명(2개조)이 되었다(
홋카이도대학 논문 11~12쪽 참조).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당시 법문학부로 진학할 문과 80명은 영어, 의학부로 진학할 이과 80명은 독일어를 제1외국어를 기본으로 하고 학생 희망에 따라 제1외국어를 독일어/영어로 바꿀 수 있게 하였다(
경성제국대학예과규정 제5~6조 참조)
[참조]
[19]
도쿄제대 2363명,
교토제대 1381명,
규슈제대 608명,
도호쿠제대 392명 등.
홋카이도제대와
경성제대는 부속예과 졸업생으로 신입생을 충원했고,
다이호쿠제국대학과
오사카제대 및
나고야제대는 1927년 당시 아직 설립되기 이전인 상황이었다.
[20]
니가타의대 60명,
오카야마의대 61명,
치바의대 61명,
가나자와의대 60명,
나가사키의대 63명.
[모집정원]
[과목]
제국대학의 대표적인
학부들의 입시 과목은 다음과 같았다. 도쿄제대 법학부: 영문일역, 일문영역의 논문식 시험 / 도쿄제대 이학부: 외국어, 수학, 역학, 물리 / 규슈제대 공학부: 수학 및 역학, 물리학, 화학 / 규슈제대 의학부: 외국어(영, 독, 불 중 택2), 수학, 물리, 화학, 동식물학.
[23]
백선은 말그대로 하얀선으로 구제고등학교의 제모에 흰 줄이 둘려 있었음을 빗댄것이며,
낭인(로닝)은 떠돌이
무사를 일컫지만,
속어로
일본어에서는 지금도
재수생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구제고등학교 입시 재수생이라는 말.
[24]
일본어 위키백과의 '제8고등학교' 항목을 보면
나고야제국대학을 설립하면서 제8고 학생들이 다수 진학할 것을 기대했으나 정작 제8고 학생들은 신설 나고야제대 보다는
도쿄제대나
교토제대로 지원을 계속하여 미달 문제가 심각했고, 방계입학자를 대량으로 받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대만총독부 역시
다이호쿠제국대학 설립 시
다이호쿠고등학교 학생들의 지원을 예상하고 그 졸업생에게 예과처럼 최우선 입학기회를 부여하였으나, 인기학부인 의학부 및 특화에 성공해 그럭저럭 정원을 채워갔던 이농학부와 달리 문정학부는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들로는 정원의 20~30% 밖에 못 채워서 일본 내지의
구제전문학교 출신 방계입학생들을 다수 받다가 결국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를 설치하게 되었다고 한다.
[25]
도호쿠제국대학 설립 당시에는
센다이에 신설되는 이과대학의 미달이 확실시되었기 때문에
고등공업학교 등
구제전문학교 졸업생 및 중학교/사범학교 교원자격증 소지자(
고등사범학교 졸업생)에게 입학시험 응시자격을
부여했다고 한다. 이 때 지원자와 합격자 중 최다는
고등상업학교 졸업자였다고 한다.
[26]
1925년
규슈제대 법문학부의 제1회 신입생 모집은
2월 15일에 마감된 1차 모집에서 고등학교 졸업자 및
학사 소지자(제국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지원을 받아 우선입학자로 선발해 놓고, 이후
3월 31일까지 실시된 2차 모집에서 구제고등학교와 함께 구제전문학교 출신자에게까지 지원자격을 부여해 미달을 전부 채웠다고 한다(2차 모집 경쟁률 2.5:1)
규슈대학 100년사 참고.
[27]
심지어 교토제대의 경우도 문학부 같은 경우는 미달이 기본이라
연희전문학교 출신인
송몽규가 입학자격검정시험을 통과하여 선과생으로 입학하기도 했다.
[28]
경성제대의 경우 학부 학생들 중 경성제대 예과 출신이 90% 이상을 점유했고, 경성제대 예과 출신이 아닌 자들을 전부 비예과로 분류하였는데 이 비예과생 중 80~90%가
내지(및 소수의
대만,
관동주) 소재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이었다고 한다. 법문학부 조선사학전공 이인영, 이공학부 남기동 선생 등이 일본 내지의 고등학교 졸업 후 경성제대로 진학한 케이스이다(
경성제대 동문 참조). 이외에 구제고등학교가 아닌 다른 학교 출신으로 본과에 진학한 방계입학생의 비율은 전체 학생 중 2~3%에 불과했다고 한다.
[29]
원문 참조.
[30]
국고와 지방세를 합쳐서 경비를 충당하는 경우.
[31]
1縣1校 원칙.
[32]
1877년 도쿄가이세이학교(동경개성학교, 東京開成學校)와 도쿄의학교(東京醫學校)를 통합하여 구제 도쿄대학을 설립하면서, 기존 가이세이학교 보통과(예과)를
관립도쿄외국어학교와 4년제 도쿄대학 예비문으로 분리하여 구제 도쿄대학 중 3학부(법학부, 문학부, 이학부)의 진학예정자를 대상으로 예비교육을 실시하는 예과기관으로 삼은 것으로
1882년 의학부의 예과도 흡수 통합하여 명실상부한 구제 도쿄대학의 예과가 된다.
[33]
제1부(법학부/문학부 진학예정자), 제2부(이학부/공학부/농학부 진학예정자), 제3부(의학부 진학예정자)
[34]
실제 설치된 것은 의학부, 공학부, 법학부(법학부는 제3고등중학교에만 설치)
[35]
현재
교토대학 요시다캠퍼스 자리
[36]
법학부, 공학부와 달리 구제고등학교의 의학부들은 고등중학교로 묶이기 전부터 각 번에서 설치한 병원과 의학교로 독립적인 역사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1887~1888년 고등중학교 소속으로 들어갔다가 13~14년 만인 1901년 전부 독립하여
의학전문학교로 떨어져나오게 된다.
[37]
제1고등학교 의학부는 치바의학전문학교로 독립하여 이후 신제
치바대학의 모체가 되었고, 제2고등학교 의학부는 센다이의학전문학교로 독립했다가 이후
도호쿠제국대학
부속 의학전문부로 재흡수되었다. 제3고등학교 의학부는 오카야마의학전문학교로 독립하여 신제
오카야마대학의 모체가 되었고, 제4고등학교 의학부도 가나자와의학전문학교로 독립했다가 신제
가나자와대학에 의학부로 통합되었다. 제5고등학교 의학부 역시 나가사키의학전문학교로 독립하여 전후
구마모토대학으로 승격된 제5고등학교 대학예과와 별개 대학인
나가사키대학의 모체가 되었다.
[38]
바로 앞 번호인 다이쇼 7년 칙령 제388호는
대학령으로, 고등학교령의 개정이 대학령의 제정과 함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39]
해당 고등학교에 설치된 예과
[40]
정원
[41]
제1차 고등학교령
[42]
도쿄고등학교,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고등학교 등 관립 2개교, 오사카부립나니와고등학교, 도야마현립도야마고등학교, 도쿄부립고등학교 등 공립 3개교.
[43]
1945년
8월 종전 당시를 기준으로 7년제로 남아있던 학교로는 관립으로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고등학교와 공립으로 도쿄부립고등학교 등 총 2개교에 불과했다.
[44]
무사시, 코난, 세이케이, 세이조
[45]
제국대학령이
1947년
국립종합대학령에 따라 전부개정되었다.
[46]
現
도쿄대학 코마바 캠퍼스
[47]
現 도쿄대학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 부지(
도쿄도
나카노구 미나미다이 1쵸메 15-1).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 7년제 고교로 설립된 도쿄고등학교에는 일반 3년제 고교에 해당하는 고등과 외에도
구제중학교격의 4년제 심상과가 함께 설치되어 있었으나 7년제 고교 제도가 정착에 실패하자 도쿄고교에서도 1934년 고등과만 남기고 심상과를 폐지한 바 있다. 이 때 폐지된 심상과는 종전 후인 1946년 다시 학생을 모집했다가 이듬해인 1947년 다시 정지, 1948년 재개하는 등 파행을 겪은 바 있으며, 제1고등학교가 있던 코바마 캠퍼스의 교양부로 통합된 고등과와 별도로 도쿄대학 교육학부 부속 중학교/고등학교(現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었다.
[48]
주로
서일본, 특히
규슈 지방 출신이 많았던 경성제대의 학생 구성이 반영되어있다.
[49]
1951년 학교법인.
[50]
출처
[51]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단부터 하단으로
(제1열) 제1고등학교, 제2고등학교, 제3고등학교, 제4고등학교, 제5고등학교, 제7고등학교
(제2열) 제8고등학교,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야마구치고등학교, 마쓰모토고등학교, 마츠야마고등학교
(제3열) 니가타고등학교, 마쓰에고등학교, 미토고등학교, 오사카고등학교, 야마가타고등학교, 우라와고등학교, 시즈오카고등학교
(제4열) 히로사키고등학교, 고치고등학교, 사가고등학교, 도쿄고등학교, 후쿠오카고등학교, 히메지고등학교, 히로시마고등학교
(제5열) 다이호쿠고등학교, 여순고등학교, 가쿠슈인 고등과, 경성제국대학 예과,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제6열) 도야마고등학교, 나니와고등학교, 부립고등학교, 코난고등학교, 무사시고등학교, 세이케이고등학교, 세이조고등학교 [52] 1943년 쇼와 18년 3월 31일 칙령 제249호 文部省直轄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 및 칙령 제250호 文部省直轄諸學校職員定員令中改正ノ件에 의거 1943년 4월 1일 관립 도야마고등학교가 설립되는 형식으로 공립(도야마현립)에서 관립으로 이관. [53] 1943년 3월 31일 쇼와 18년 칙령 제249호 文部省直轄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 및 칙령 제250호 文部省直轄諸學校職員定員令中改正ノ件에 의거 1943년 4월 1일 관립 도야마고등학교가 설립되는 형식으로 공립(도야마현립)에서 관립으로 이관. [54] 다이호쿠고등학교는 심상과 모집 정원이 고등과 정원 160명 대비 25%에 불과한 40명으로, 고등과 생도의 75%가 직승(내부 심상과에서 진학)이 아닌 다른 5년제 구제중학교 졸업생들로 구성되어, 내지의 7년제 고등학교들과는 차이가 큰 곳이었다. 이등휘 총통 역시 담수 공학교, 담수 중학교를 거쳐 다이호쿠고등학교 고등과에 진학한 케이스다. 국립대만사범대학 역사관에 따르면 다이호쿠고등학교 신입생 선발에서 대만인 비율은 심상과가 평균 3~4명(최대 6명), 고등과가 평균 30명 정도에 불과했다고 하는데 대만일치시기에는 대만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우선함에 따라 구제중학교 신입생 모집에서도 대만인 차별이 극심하여 일본인 50명에 대만인 1명이 안 된다고 했을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當時保障 日本本土 學生名額,錄取臺灣 本島人 學生極少,每次招考五十名新生,通常只有一名臺灣人可以就讀"), 1920년대부터 격화된 고교 입시로 인해 내지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몰려들었을 다이호쿠고등학교의 대만인 생도 비율은 높은 편이었다. 경성제국대학 예과의 조선인 합격생 비율(30~40%)과 마찬가지로, 다이호쿠고등학교 합격자 중 대만인 비율 역시 내지와 대만의 인구비례를 기본값으로 현지 홈어드밴티지를 5~10%p 더한 값을 보였다. 다이호쿠고등학교 생도는 다수 일본인과 소수의 대만인 외에도 극소수의 조선인과 만주국 국적자가 있었다고 한다(徐聖凱,《日治時期台北高等學校與菁英養成》台師大出版中心, Airiti Press, 2012) [55] 재정 여건상 막대한 부담이 따르는 심상중학교 독립과 별도 운영이 어려운 사립 재단들은 7년제 고교 유지가 불가피했다. [56] 제2차 고등학교령( 1918년) 반포 후에 설치된 학교들은 소재지의 이름을 따서 네임스쿨(地名校)로 불렸다. [57] 現 도쿄대학에서 교양과정용으로 사용되는 코마바 캠퍼스는 과거 제1고등학교의 부지로서 건물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58] 미군 폭격으로 소실. 現 도호쿠대학 캠퍼스 내부 [59] 삼양사 창립주 김연수가 이 코스를 밟아서 한국 최초의 경제학 전공자가 되었다. [60] 現 이시카와현 4고기념관&근대문학관으로 사용 중 [61] 現 구마모토대학 제5고기념관으로 사용 중. 참조. [62] 미군 폭격으로 소실되고 종전 후 폐교. 현재 오카야마현립 오카야마아사히고등학교 부지에 위치 [63] 미군 폭격으로 소실. 현재 가고시마현 역사자료센터 여명관 및 현립도서관 부지에 위치. [64] 미군 폭격으로 소실. 現 나고야시립대학 타키코토 캠퍼스(滝子)에 위치. [65] 9번째 고등학교 설립을 놓고 나가노현 마츠모토시와 치열한 경쟁이 벌어져 양 지역에 신설되는 고등학교부터 제9고등학교로 명명되는 대신 지명을 딴 네임스쿨로 1919년 4월 15일 설립되었다. [66] 現 마츠모토시립 구제고등학교기념관. 사진 출처 방문기 참조. [67] 1899년 이자와 슈지 등에 제7고등학교 마츠모토시 유치운동이 전개되었으나 가고시마시에 패하였고, 1910년에는 마츠모토에 제9고등학교 설치가 내정되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으며 1918년 제9고등학교 설립을 놓고 마츠모토시와 니가타시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져 이 때부터 신설 고등학교가 제9고등학교로 명명되는 대신 지명을 딴 네임스쿨로 1919년 4월 설립되었다. [68] 현재 마츠모토시립 구제고등학교기념관이 과거 마츠모토고등학교 건물에 위치해 있다. [69] 현재 본관 건물 등은 철거되고 강당만 남아 기념관으로 사용 중. 방문기 참조. [70] 1886년 11월 세 번째 고등중학교로 관립 야마구치고등중학교가 설립되었고 이 학교가 1894년 고등학교령 반포에 따라 야마구치고등학교로 개칭되면서 대학예과가 설치되었으나, 이 야마구치고등학교는 1905년 야마구치 고등상업학교로 전환되어 폐교되었다. 이후 야마구치 고등상업학교와 별도로 재흥(再興)야마구치고등학교 설립 운동이 일어나 1919년 4월 문부성령 제13호에 의거해 니가타, 마츠모토, 마츠야마와 함께 (재흥)야마구치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71] 現 에히메대학 페이지 참조 [72] 1919년 4월 문부성령 제13호에 의거 1919년 4월 시코쿠 최초의 고등학교로서 니가타, 마츠모토, 야마구치와 함께 마츠야마시에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73] 기존 교사는 1945년 미군 폭격으로 소실되고 1948년 육군 동부 제37부대 부지로 이전하여 현재 이바라키대학 미토캠퍼스로 승계되었으며, 1945년 이전 구교사에는 그 부지의 남쪽 절반에 미토시립(신제)제일중학교가 건설되어 구제미토고를 기념하는 조형물 등이 설치되어있고, 북쪽 절반에는 1965년 국립미토병원이 들어섰다가 이전 후 매각하여 현재 북수회(北水會)병원이 사용 중. [74] 1920년 미토의 번교를 계승하여 미토시에 13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었다. [75] 미토시 교외 접경지역이였으나 1933년 미토시에 편입. [76] 출처 참조. [77] 1920년 4월 칙령 제110호에 의거 1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0년 8월 2일 입학식 후 9월 4일 개교 [전경] 상세 내용은 사가대학 소개 참조. [79] 1920년 4월 칙령 제110호에 의거 1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0년 9월 개교 [80] 강당 사진. 상세 내용은 출처 히로사키대학 소개페이지 참조. [81] 1920년 11월 칙령 제551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1년 4월 16일 개교 [82] 시마네대학 소개페이지 참조. [83] 1920년 11월 칙령 제551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1년 4월 16일 개교 [84]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 최초로 설립된 7년제 고등학교로 1921년 11월 설립, 1922년 4월 개교하였다. 그러나 구제중학교(5년)+구제고등학교(3년)를 7년제 고교로 개편하려던 수학연한 단축 시도가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1934년 심상과(4년)는 폐지되고 도쿄고등학교는 고등과만 남은 3년제 고교가 되었다. 문이과에 모두 프랑스어를 전공하는 병류가 설치되어있었으며 자유주의 학풍으로 유명했고 졸업생의 8할이 도쿄제대에 진학할 정도로 입시명문으로 명성을 자랑했다고 한다. [85] 1932년 도쿄시 확장에 따라 도쿄시 나카노구로 개편. [86] 1934년 폐지된 심상과는 전후 1946년 다시 학생을 모집했으나 1947년 다시 모집 정지, 1948년 재개하는 등 파행을 겪다가 교육학부 부속 중학교/고등학교(현재의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었다. [87] 상세 내용은 오사카대학의 오사카고 소개페이지 참조. [88] 1921년 10월 칙령 제432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2년 4월 개교. 도쿄고등학교와 함께 유이하게 프랑스어를 배우는 이과 병류가 설치됨 [89] 1949년 5월 신제 오사카대학 소속 오사카고등학교로 개편된 후 오사카부립 나니와고등학교와 함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를 구성. 오사카고등학교는 남교(南校)가 되었다가 나니와고등학교 캠퍼스인 북교(北校)로 통합. [90] 現 북우라와(北浦和)공원 부지에 위치해있던 원래 교사는 1945년 미군 폭격으로 소실. 출처 페이지 참조. [91] 1921년 11월 칙령 제432호에 의거 20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었고, 1922년 3월 제1회 입학 [92] 1934년 2월 우라와시(浦和市)로 독립. 現 사이타마시. [93] 現 규슈대학 舊롯폰마츠 캠퍼스. 출처 페이지 참조. [94] 1921년 11월 9일 칙령 제432호에 의거 20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어, 1922년 4월 개교하였다. [95] 1949년 5월 신제 규슈대학 소속 후쿠오카고등학교로 개편된 후 신제 규슈대학 교양부(舊롯폰마츠 캠퍼스)를 구성. [96] 現 국립대만사범대학 본관. [97] 1922년 4월 1일 외지 최초의 고교(7년제)로서 대만총독부고등학교(臺灣總督部高等學校)가 설립되고, 1925년 고등과(3년제) 설치. 1927년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고등학교(臺北高等學校)로 개칭되었다. [98] 일본 패전 이후 1945년 대만에 진주한 중화민국군에 접수되었다. 이후 대만성립사범학원( 1946년)을 거쳐 국립타이완사범대학( 1967년)으로 승격. 상세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99] 상세내용 출처 시즈오카대학 인문사회과학부 소개페이지 참조. [100] 1922년 8월 칙령 제391호에 의거 설립. [101] 구제 고치고교는 신제 고치대학 문리학부로 계승되어 1960년 캠퍼스 이전시까지 사용. [102] 1922년 8월 칙령 제391호에 의거 설립, 1923년 4월 개교. [103] 1923년 12월 11일 25번째 고등학교로 1918년 개정 반포된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해 증설에 나선 고등학교로서는 히로시마고교와 함께 마지막으로 설립. [104] 히로시마문리과대학과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그리고 히로시마고등학교가 폭심지 근처에 위치하여 괴멸적 타격을 입었다. [105] 現 히로시마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부지. 출처 참조. [106] 1923년 칙령 제501호에 의거 2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4년 4월 개교 [107] 1940년 3월 주 만주국 일본대사관 관동군 소관 학교로 3년제 여순고등학교(료준고등학교) 설립. [108] 8월의 폭풍 작전으로 만주를 점령한 소련군에 접수된 후 폐교. 소련군, 중국인민해방군 사령부로 쓰이던 학교 건물은 현재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북해함대 뤼순기지 부지로 이용 중. [109] 1923년 10월 설치된 도야마현립 7년제 공립고등학교가 1943년 3월 칙령 제249호에 의거 관립으로 이관되면서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관립고등학교로 전환 [110] 홋카이도제국대학의 경우는 이학부를 기준으로 1순위로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수료자, 2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이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이과 졸업자, 3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문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문과 졸업자를 입학시켰고, 이후에도 결원이 있는 경우 4순위로 고등사범학교와 여자고등사범학교 이과 졸업생, 5순위로 기타 구제전문학교 졸업생으로 자격검정시험 합격자, 마지막 6순위로 구제중학교 교원면허소지자로 자격검정시험에 합격한 자를 입학시켰다고 한다. 경성제국대학 대학규정에 따르면 경성제대 학부는 예과수료자를 먼저 입학시킨 뒤(제4조), 예과 수료자를 입학시키고 남은 결원이 있을 경우 1순위로 구제고등학교 및 가쿠슈인 고등과의 문과 수료자로 법문학부에 지원한 자, 이과 수료자로 의학부 및 이공학부에 지원한 자를 입학시키고(제5조 1) 수용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선발시험을 행할 수 있으며, 그래도 결원이 남는 경우 2순위로 법문학부 선과생 및 선과수료자, 공/사립대학 예과,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고등상업학교, 외국어학교 및 동등 이상의 학교 졸업자로서 학부에서 적당하다고 판단하는 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학력검정시험의 합격자를 입학시켰다(제5조 2). 다이호쿠제국대학 역시 이와 유사하게 자교 예과수료자를 최우선으로 받은 후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를 입학시키고, 이후 남은 결원에 대해 방계입학생을 받았다. [111] 소수 학생들은 부속 예과 졸업 후 내지의 타 제국대학으로 진학한 경우도 발견되는데, 도쿄제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학부가 구제고교 졸업생 지원이 정원 미달로 결원을 차순위 구제전문학교 졸업생 등 이른바 '방계입학생'으로 채우고 있는 상황이었으므로(절반까지 달하던 방계입학자를 줄이기 위해 규슈제국대학도 예과 개설을 추진했으나, 주변 지역에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중앙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 별 어려움 없이 입학가능하여 수험 압박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112] 現 홋카이도대학 사무국(대학본부)으로 사용 중. 1937년에 건설된 건물로, 정문 입구 차양은 1977년에 덧붙여지어진 것이라고 한다. 1935년 이전 예과 건물은 목조였다고 한다. 아래 사진 및 링크 참조. [113] 사실상 외지 같은 취급을 받던 홋카이도에는 제국대학에 입학을 위해 거쳐야 하는 구제고등학교가 세워져 있지 않은 대신 삿포로농학교에는 예수과(豫修科)가 있어 본과 진입 전 교육을 담당하고 있었으므로 1907년 삿포로농학교의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 승격시에 이를 개편한 대학예과를 설치했다. 후에 홋카이도제국대학이 되는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은 예과 수료자를 최우선으로 입학시키고 결원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여타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를 받았고, 1918년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분리되면서 예과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가 되었다. 예과는 종전 후인 1947년 4월 홋카이도제국대학 법문학부 설치의 모체가 되며 1950년 3월 폐지되었고 학부 예비교육 기능은 1949년 설치된 교양학과(1951년 이후 일반교양부)와 혜적기숙사(케이테키료)로 계승되었다. 홋카이도제국대학에서 시작된 제국대학예과 제도는 이후 설립된 경성제국대학과 다이호쿠제국대학에도 도입되었다. [114] 제1항 "농과대학에 '대학예과', 토목공학과, 임학과 및 수산학과를 부설하고, 조교전임 16인과 조교수전임 7인을 둔다." [115]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을 설립하면서 그 모체인 삿포로농학교의 예수과(豫修科)를 대학예과로 개편. [116] 제1항 "홋카이도제국대학에 '대학예과', 토목전문부, 수산전문부를 부속으로 두고, 교수전임 28인과 조교수전임 11인을 둔다." [117]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이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독립되면서, 그 예과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로 개칭. [118] 그림 참조. [119] 조선총독부는 1924년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며 조선의 구제중학교 졸업생들이 당지의 제국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도록 경성제국대학 부속으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舊대학예과)에 해당하는 경성제대 예과를 설치했다. 해당 제국대학으로 진학할 학생들을 구제중학교 졸업자 중에서 시험 선발하여 교육하였다. 1918년 제2차 고등학교령이 반포될 당시에는 이미 도쿄제국대학 출신으로 해외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이 각지의 제국대학 교수진의 중추를 이루어 과거 메이지 시대와 같이 외국인으로부터 직접 교육을 받는 시대가 지난 상태였으므로, 교육연한 단축을 추진해 기존 5년제 구제중학교와 3년제 고등학교 대신 7년제 고등학교를 기본으로 삼은 바 있었다. 이러한 정부 시책에 발 맞추어 경성제대 예과는 2년제로 개교하여 1933년까지는 구제중학교( 고등보통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입시를 시행하여 2년간 교육하였으나, 교육기간 합계 8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7년제 일관 고등학교로 통합하려던 정부의 정책이 정착하지 못하게 되면서, 7년제 고등학교들이 심상과(4년제)를 폐지하고 고등과(3년제)만 남겨서 기존의 3년제 고등학교 체제가 굳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오히려 2년제 예과가 3년제 고등학교보다 못하다는 인식이 퍼지게 되었고 경성제대 교수진과 학생들은 예과 수업연한 연장을 요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경성제대 예과는 1934년 입시부터는 타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중학교 4년 수료자에게도 수험자격을 부여하면서 수학연한 역시 내지의 고등학교와 동일한 3년으로 통일하였다. 이 때 최초의 7년제 고교로 개교한 도쿄고등학교 역시 1934년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고등학교로 변신해버렸다(네임스쿨 중 도쿄고등학교 설명 참조). [120] 제1항 "경성제국대학에 예과를 둔다." [121] 1924년 설립 당시 주소이며,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現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이다. [122] 청량리의 경성제대예과 캠퍼스는 국대안으로 경성제대와 10개 전문학교가 국립서울대학교로 통합된 후에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이공학부 이학계열과 함께 예과가 통합되어 구성한 문리과대학 소속으로 있었다. 참조. [123] 1946년 미군정의 학제개편으로 구제대학(학부) 및 그 예과, 그리고 구제전문학교가 전부 4년제 이상의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통합되게 되었고, 국대안 시행으로 경성제국대학과 6개의 구제전문학교, 그리고 2개의 사범학교가 통합된 국립서울대학교가 발족했다. 이에 따라 경성제대 예과 역시 신입생 모집을 정지하고, 기존 구제예과 학생이 모두 수료하는 1948년 9월 문리과대학 학부에 흡수되었는데, 유일하게 존속한 의예과는 의과대학이 아닌 문리과대학 소속으로서 청량리의 예과캠퍼스에 위치해 있었다. 그리고 경성제대 법문학부 시절부터 동숭동 캠퍼스를 계속 문리과대학 문학부와 달리, 제국대학 시절의 공릉동 이공학부 캠퍼스를 공과대학에 내줘야했던 문리과대학 이학부는 의예과와 함께 청량리의 예과캠퍼스에 분산되어있었다( 참조). 1966년 12월 동숭동 캠퍼스에 과학관이 신축되자, 의예과를 포함한 이학부까지 문리과대학이 전부 대학로(서울)로 집결했다. 청량리 예과캠퍼스는 1970년대에 총무처가 민간에 불하하여 예과 본관건물은 서울동산병원[210] 및 한림대학교 치과병원 및 의과대학 강의실 등으로 쓰이다가 2015년 4월에 철거되었다( 참조). 정문이 있었던 자리에는 치과, 안과, 부동산, 비만클리닉, 고시학원 등이 밀집한 복합상가가 들어섰고, 운동장 자리에는 현재 동대문세무서가 자리잡고 있으며,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우거져 청량한 느낌을 줬다는 교사 뒷편의 소나무숲에는 청량리 미주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 [124] 대만은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했음에도 제국대학예과를 설치한 경우이다. 1922년 제2차 대만교육령 반포 당시에 이미 제국대학 설립까지 계획한 대만총독부에서는 총독이 도쿄로 상경시위를 벌이는 등 각고의 노력 끝에 다이호쿠고등학교 고등과 제1회 졸업생이 배출되는 1928년에 맞추어 다이호쿠제국대학(臺北帝國大學)을 설립하게 되었는데, 당시 다이호쿠제국대학의 예과처럼 생각했던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에게 다이호쿠제국대학 무시험 입학자격을 부여하고 별도의 예과를 설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내지의 제국대학을 선호했고( 리덩후이 총통도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 후 교토제국대학으로 진학), 대만총독부에서는 그들을 다이호쿠제국대학 입학으로 유도하기 위해 다이호쿠의학전문학교를 흡수하여 1936년 의학부를 설치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다이호쿠고등학교를 졸업한 대만인들은 의학부로만 지원자가 몰릴 뿐이었고 그나마 나은 농학부를 제외한 문정학부, 이학부는 미달이 심했다. 특히 문정학부가 심각했는데, 도쿄제대 일부와 교토제대 대부분의 학부도 구제고교 학생들로 정원을 채우지 못해 미달이 나던 상황에, 외지의 신설 제국대학이 문과계열 정원을 모두 채우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결국 대만총독부는 1941년 다이호쿠제국대학에 부속 예과를 설치하게 된다. 이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는 다이호쿠고등학교와 교류전을 벌이는 라이벌이었다고 한다( 링크 참조).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가 개교한 1941년 개최된 제1회 교류전은 다이호쿠고등학교가 승리, 이듬해 1942년 제2회는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가 승리하여 1승1패를 기록했으나 1943년 전쟁의 격화로 운동회가 중단되면서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끝나버렸다고 한다. 관련 자료는 현재 국립대만대학에 보관 중. [125] 1928년 3월 17일 쇼와 3년 칙령 제31호 '다이호쿠제국대학관제'를 일부개정하는 칙령. [126] 제1항 "다이호쿠제국대학에 예과를 둔다." [127] 1941년 당시 다이호쿠제국대학 학부 교지(現 국립타이완대학 公館캠퍼스)에서 예과를 개교하고 이듬해인 1942년 臺北州 七星郡 士林街 石角의 예과캠퍼스로 이전. [128] 1941년 설립 당시 주소로 臺北州七星郡士林街石角字大石角42番地, 現 타이베이시 스린구 雨聲街와 雨聲國小 사이에 해당. 참조 [129] 士林의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캠퍼스는 종전 직전인 1945년 일본 제국 해군에 징발되었다가 일본의 항복 후 대만에 진주한 중화민국 국군에 의해 접수되어 현재까지 대만 국방부 군사정보국 청사(속칭 芝山莊)로 사용 중이다. 국립타이완대학 도서관 참조. 예과 관련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일본어 블로그를 참조. [130] 기타 보습과, 대학별과( 1905년 폐지) 등이 존재. [131] 1847년 교토에 개설된 學習室을 기원으로, 화족회관(和族會館)이 운영하는 화족학교 가쿠슈인(學習院)이 1877년 개교하여 1884년 궁내성 관할 관립학교가 되었고, 1890년 고등학과를 설치했다. [132] 이 때 중등학과도 중등과로 개칭. 이후 중등과는 5년제, 고등과는 3년제로 개편된다. [133] 다만, 1919년 당시까지 가쿠슈인 고등과는 중등과 졸업생 대상 2년제 교육기관으로 인식되어, 중등과(6년)+고등과(2년) 도합 8년으로 구제중학교(5년)+구제고등학교(3년) 코스와 동일한 수학연한을 갖고 있었음에도(초등과는 소학교와 동일한 6년제였다.) 3년제 고등학교가 기본이었던 당시에 구제고등학교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가쿠슈인 고등과 졸업생의 제국대학 진학은 제국대학에 미달이 발생한 경우나 원장의 제청에 의해 제국대학이 허락한 경우에만 가능했는데, 1921년 문부성령 제27호에 의해서 가쿠슈인 고등과 졸업생들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과 동등한 제국대학 진학 허가를 보장받으면서 가쿠슈인 고등과는 명실상부한 구제고등학교로서 지위를 확립하게 되었다. 고등과 졸업생의 1/3이 도쿄제국대학으로 진학한 것을 비롯해 거의 대부분이 제국대학과 관립대학으로 진학했다고 한다. 미시마 유키오가 가쿠슈인 고등과를 거쳐 도쿄제국대학으로 진학한 사례. [134] 구제 가쿠슈인 고등과의 이과 건물로 사용되던 곳으로 現 가쿠슈인대학 이학부 연구동(南1号館)으로 사용 중. [135] 상단 사진은 1927년( 쇼와 2년) 졸업식에 쇼와천황이 방문하는 모습. [136] 現 가쿠슈인의 중등과 및 고등과는 戰前 가쿠슈인 중등과를 모체로 하는 중등학교이다. 구제고등학교격이었던 戰前 가쿠슈인 고등과는 戰後 1947년 궁내성 관할에서 해제되어 재단법인 가쿠슈인으로 사립 이관되어 1949년 新制 가쿠슈인대학으로 출범했다. [137] 1923년 인가 [138] 1926년 인가 [139] 1929년 인가 [140] 관립고교인 다이호쿠고등학교와 함께 관공립고교 중 유이한 7년제 고교였다. [141] 1923년 10월 도야마현 현립으로 7년제 공립고등학교 설치. 1943년 3월 칙령 제249호에 의거 관립으로 이관되면서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관립고등학교로 전환 [142] 1940년 토야마시로 편입. [143] 現 오사카대학으로 계승되어 나니와고등학교 본관은 현재 오사카대학 イ호관으로 사용 중. 출처 참조. [144] 전경 사진 등 상세 내용 오사카대학 동창회 페이지 참조. [145] 오사카부립의과대학 예과를 전신으로 하는 7년제 공립고교인 부립 나니와고등학교가 1926년 설립 및 심상과 설치, 1927년 4월 고등과 설치, 1944년 심상과 폐지. [146] 신제 오사카대학 소속 나니와고등학교로 개편( 1949년 5월) 후 일반교양부 남교(南校)를 이룬 관립 오사카고등학교와 함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를 구성. 남교와 북교로 나뉘어있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는 이후 나니와고등학교 부지인 북교(北校) 캠퍼스로 통합. [147] 1949년 신제 도쿄도립대학 인문학부로 계승되어 1991년 캠퍼스 종합 이전시까지 사용되었으며, 이전 후 야쿠모시민캠퍼스가 건설되어 시민문화회관과 체조경기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심상과는 그대로 도쿄도립 오슈칸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148] 1929년 2월 도쿄부 부립으로 7년제 공립고등학교 설립, 1929년 4월 개교. 당초 명칭 가안은 '도쿄부립고등학교'였으나, 관립 도쿄고등학교와 혼동이 우려되어 '도쿄'를 삭제한 부립고등학교로 확정되었다. 1943년 7월 도성제 시행에 따라 도쿄부가 도쿄도가 되면서 도립고등학교로 개칭. [149]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도쿄도립대학 교육학부 부속고등학교(現 도쿄도립 오슈칸 중등교육학교)로 계승. [150] 무사시고등학교는 예외로, 관립고교 이상으로 스파르타식 입시교육이 실시되어 좋은 대입 실적을 거두었다고 한다. [151] 1922년 본관 준공 당시 사진 [152] 최초의 사립고등학교로서 1922년 도부철도 재단에 의해 7년제 무사시고등학교 설립. [153] 구제 무사시고등학교를 모체로 설립된 신제 무사시대학은 1949년 경제학부 1학부 경제학과로 시작해 1959년 경제학부에 경영학과를 증설하고, 1969년 인문학부를 설치했으며 인문학부 사회학과를 모체로 1998년 사회학부를 설치하는 등 단계적으로 확대 발전해왔다. [154]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8년 (신제)무사시고등학교 및 1949년 (신제)무사시중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55] 정문 방향에서 본 건물 우측편. 코난고등학교 본관 건물은 일본에서 최초로 철근콘크리트로 지어진 건물로서 코난대학 1호관으로도 사용됐으나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의 피해로 심각하게 파괴되어 철거 후 당시 모습을 본뜬 신1호관이 지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156] 무사시고등학교에 이은 두 번째 사립 구제고등학교이자 서일본 유일의 사립고등학교, 7년제 고등학교이다. 1918년 12월 설립 인가를 받고 1919년 4월 개교한 코난중학교를 모체로 심상과(4년)에 고등과(5년)를 병설한 7년제 고등학교로서 1923년 1월 설립 인가를 받고 1923년 4월 개교. 1924년 구제중학교(심상과) 제1회 졸업, 1926년 고등과 제1회 졸업. [157] 구제 코난고등학교를 모체로 설립된 신제 코난대학은 1951년 문리학부 1학부로 시작해 경제학부 등을 설치해가며 확대 발전해왔다. [158]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코난중학교 및 1948년 (신제)코난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59] 미쓰비시 그룹의 도움을 얻어 1919년 재단법인 '세이케이학원'을 설립하고, 1914년 설립된 세이케이중학교를 기반으로 1925년 7년제 구제고등학교인 세이케이고등학교가 되었다. [160] 1949년 출범 당시 정치경제학부 1학부로 시작해 1962년 공학부, 1965년 문학부를 설치하고 1968년 정치경제학부를 법학부와 경제학부로 분리하며 확장. [161]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세이케이중학교, 1948년 (신제)세이케이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62] 가장 늦게 설립된 사립고등학교로, 1917년 설립된 사립 세이조소학교를 바탕으로 1922년 세이조제2중학교를 설립하고, 제1회 졸업생이 배출되는 1926년 3월 7년제 고등학교인 세이조고등학교 인가를 받고 고등과를 설치하여 1926년 4월 개교. 세이조제2중학교는 심상과(4년)로 흡수, 1929년 고등과 제1회 졸업생 배출. [163] 1954년 이학부를 폐지하고 문예학부 설치, 1977년 법학부 설치, 2005년 사회이노베이션학부 설치. [164]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세이조가쿠인중학교, 1948년 (신제)세이조가쿠인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65] 실제로도 1945년 종전 후 학제개혁에 따른 혼란기를 제외하면 그런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했다고 한다. [166] 기존 고등학교령(1894)에서 규정된 구제고등학교 대학예과(大學豫科)가 대학령과 맞춰 개정된 고등학교령(1918)에 따라 고등과(高等科)로 개칭된 것. [167] (1) 대학예과의 수업연한은 3년 또는 2년으로 한다. (2) 수업연한 3년인 대학예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 중학교 제4학년을 수료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 (3) 수업연한 2년인 대학예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 구제중학교 를 졸업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 [168] 대학예과의 설비, 편제, 교원 및 교과서 등은 [169] 《旧制高校物語》, 《旧制高校物語 真のエリートのつくり方》, 《旧制高校の校章と旗》 등. [170] 第一高等學校/第二高等學校/第三高等學校/第四高等學校/第五高等學校/第六高等學校/第七高等學校造士館/第八高等學校/新潟高等學校/松本高等學校/山口高等學校/松山高等學校/水戸高等學校/山形高等學校/佐賀高等學校/弘前高等學校/松江高等學校/東京高等學校/大阪高等學校/浦和高等學校/福岡高等學校/靜岡高等學校/高知高等學校/姫路高等學校/廣島高等學校/富山高等學校/浪速高等學校/府立高等學校/臺北高等學校/旅順高等學校/學習院高等科/武藏高等學校/甲南高等學校/成蹊高等學校/成城高等學校/北海道帝國大學豫科/京城帝國大學豫科/臺北帝國大学豫科(38 校) 출처 참조. [171] 관람기 참조 [172] 사진파일 하단 官立大学予科(6校) 범주의 오른쪽 교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윗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고베상업대학 예과,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그리고 아랫줄 여순공과대학 예과, 도쿄상과대학 예과, 경성제국대학 예과 순서로 배열되어있다. [173] 1924년 오사카부 출생으로 1942년 4월 신궁황학관대학 대학예과 제3회 입학, 1944년 9월 예과 제3회 수료식(전시 수학연한 단축조치에 따라 6개월 앞당겨 수료), 학병으로 학도 출진하여 중일전쟁 참전, 1945년 8월 종전 후 귀국하여 1946년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입학, 1949년 교토대학 문학부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을 거쳐 교토대학 조교수/교수를 역임하고 1988년 정년퇴임 후 교토대학 명예교수. 神宮皇学館大学予科の教育 참조. [174] 도쿄상업학교가 1887년 10월 최초의 고등상업학교로 개편. 도쿄고등상업학교 본과 졸업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던 전공부(2년제) 과정을 모체로 1919년 시행된 대학령 및 다이쇼 9년 칙령 제71호 도쿄상과대학관제에 의거 1920년 4월 1일 도쿄상과대학 설립. [175] 다이쇼 9년 칙령 제71호 도쿄상과대학관제 제14조에 의거 1920년 4월 1일 도쿄상과대학 설립과 동시에 설치. [176] 1923년 9월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히토츠바시 캠퍼스의 도서관과 미츠이홀을 제외한 全건축물이 괴멸되고, 1924년 4월 샤쿠지이 소재 임시교사로 이전한 상태에서, 1925년 9월 학부와 부속 상학전문부를 기타타마군 야호무라(北多摩郡 谷保村)로 이전한다는 계획이 문부성의 인가를 얻었다. 1927년 4월 부속 상학전문부, 1930년 4월 학부 순서로 1931년 5월 현재의 쿠니타치 캠퍼스로의 이전을 완료한 후, 쿠니타치 인근의 기타타마군 코다이라무라(北多摩郡 小平村) 현재의 코다이라 국제캠퍼스로 예과가 1933년 8월 이전했다. [177] 예과 교지는 현재 히토츠바시대학 코다이라 국제캠퍼스로 사용 중. [178] 1909년 5월 11일 메이지 42년 칙령 제133호 여순공과학당관제 공포 및 1909년 9월 6일 관동도독부령 여순공과학당규칙 제정으로 1910년 개교한 여순공과학당을 모체로 1922년 3월 31일 다이쇼 11년 칙령 제160호 여순공과대학관제가 공포되면서 4월 1일 관립대학인 여순공과대학 설립. [179] 다이쇼 11년 칙령 제160호 여순공과대학관제 제4조에 의거 1922년 4월 1일 여순공과대학 설립과 동시에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 설치. [180] 내무성 소관 신궁황학관을 근간으로, 황기 2600년을 맞이해 1940년 4월 24일 공포된 쇼와 15년 칙령 제288호 신궁황학관대학관제으로 문부성 소관의 관립대학인 신궁황학관대학 설립. [181] 쇼와 15년 칙령 제288호 신궁황학관대학관제 제7조에 의거 1940년 4월 신궁황학관대학 설립과 동시에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를 설치. [182] 1902년 3월 칙령 제98호 문부성직할제학교관제 공포 후 1903년 5월 고베 고등상업학교 개교. 당시 예과 1년 본과 3년으로 도쿄고등상업학교와 더불어 유이한 4년제 고등상업학교였던 이 고베고등상업학교를 모체로 쇼와 4년 칙령 제38호 관립상업대학관제에 의거 1929년 4월 1일 관립대학인 고베상업대학을 설립. [183] 쇼와 15년 칙령 제305호 관립상업대학관제중개정의건에 의거 관립상업대학관제 제16조 등의 개정으로 고베상업대학에 1940년 5월 1일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를 설치. [184] 신제 고베대학은 캠퍼스를 통합하기 전까지 교양부는 미카게분교(고베상업대학 예과의 後身)와 히메지분교(히메지고등학교의 後身)로 나뉘어있었다. [모집정원] [186] 구6의대 중 한 곳인 구마모토의대는 1926년 당시 아직 관립 이관 전이라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은 예과를 따로 두고 구제중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신입생을 모집했다. [187] 기존 문부성 직할 관립학교였던 도쿄고등사범학교와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는 관립문리과대학 설립과 함께 각각 도쿄문리과대학과 히로시마문리과대학 소속으로 이관되어 '도쿄문리과대학 도쿄고등사범학교', '히로시마문리과대학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가 되었다. [188] 구제고등학교인 여순고등학교는 1940년에 설립되었고, 고등공업학교를 비롯한 구제전문학교 역시 부재한 상황이었다. [189] 1838년 데키주쿠를 기원으로 1873년 오사카부립병원, 1880년 오사카부립의학교가 설립되고 1903년 전문학교령에 의거 부립 의학전문학교가 된 오사카고등의학교가 1915년부터 부립 오사카의과대학을 칭하고 있다가 대학령 공포 후 1919년 대학령에 의거한 최초의 공립대학으로 인가되었다. 이를 모체로 1931년 오사카제국대학이 설립된다(당시 의학부, 이학부로 구성). [190] 다이쇼 8년 11월 24일 문부성 고시 제249호에 의거 부립 오사카의과대학 설립시(1919.11.22) 예과 설치( 참조). [191] 교직원과 물적 자산 등은 오사카의과대학 예과 캠퍼스를 공유하면서 1926년에 설립된 부립 나니와고등학교로 이관. 오사카의과대학 학부는 1931년 오사카제국대학으로 승격되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 중에서 신입생을 충원. [192] 1871년 오와리번에 개설된 仮病院, 仮醫學校를 기원으로 1901년 설치된 아이치현립의학교가 1920년 대학령에 의거한 아이치현립 아이치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이 현립 아이치의과대학이 1931년 관립으로 이관되어 관립 나고야의과대학이 되는데, 이는 1939년 설립된 나고야제국대학의 모체가 되었다. [193] 다이쇼 9년 6월 19일 문부성 고시 제353호에 의거 현립 아이치의과대학 설립시(1920.6.18) 예과 설치. [194] 현립 아이치의과대학을 모체로 하는 관립 나고야의과대학 설립. 이 관립 나고야의과대학은 1939년 나고야제국대학의 설립 모체가 된다. [195] 1872년 교토료병원(京都療病院)이 설립되고 1879년 교토부의학교를 교토료병원에 부설. 1903년 전문학교령에 준거한 교토부립의학전문학교를 거쳐 1921년 대학령에 의거한 교토부립의과대학으로 승격. 1952년 신제 교토부립의과대학으로 개편. [196] 다이쇼 10년 10월 20일 문부성 고시 제471호에 의거 교토부립의과대학 설립시(1921.10.19) 예과 설치. [197] 1871년 구마모토 번주 호소카와가 나가사키에서 네덜란드 군의관 만스 펠트를 초빙해 창설한 번립 의학소가 기원으로, 폐번치현 후 관립의학소· 병원(통칭 古城醫學所)를 거쳐 세이난 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878년 현립으로 재건되었고 1904년 전문학교령에 의거한 사립 구마모토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21년에는 현립으로 이관되었고 1922년 대학령에 근거한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29년 관립으로 이관되어 관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이 되었다. 1949년 신학제에 따라 구마모토대학 의과대학을 거쳐 1960년 구마모토대학 의학부로 통합되었다. [198] 다이쇼 11년 5월 27일 문부성 고시 제432호에 의거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 설립시(1929.5.25) 예과 설치. [199]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을 모체로 하는 관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이 설립. [200] 1880년 사립 오사카상업강습소가 기원으로 1881년 부립 오사카상업강습소를 거쳐 1889년 세워진 시립 오사카상업학교를 모체로 1901년 시립 오사카 고등상업학교를 설립. 이 오사카시립고등상업학교 연구과를 근간으로 대학령에 의거 1928년 일본 최초의 구제 시립대학인 오사카상과대학 설립. 1949년 종전 후 신제(新制) 오사카시립대학이 되고 1955년 오사카시립의과대학을 의학부로 흡수해 종합대학화. [201] 쇼와 3년 3월 23일 문부성 고시 제176호에 의거 1928년 4월 시립 오사카상과대학 예과 설치(학부는 이듬해인 1929년 4월 설치). [202] 스기모토초 [203] 오사카상과대학의 예과 및 고등상업부 1948년 신입생은 시험을 거쳐 1950년 오사카시립대학 학부 1학년으로 편입 조치. [204] 와세다제1고등학원(3년제), 와세다제2고등학원(2년제) [205] 정확히 말하면 병(丙)류반 소속 [206] 아버지 조상훈은 이러한 아들에게 차라리 경성제국대학에 진학을 하면 어떻냐고 제안을 하기도 했다. 다만 같은 제국대라 할지라도 각 대학이 가진 위상은 거의 하늘과 땅차이였기때문에... [207] 바로 아래에 있는 김연수의 차남이다. [208] 일본 내 구제고교를 그것도 수석으로 졸업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이하게도 경성제대 이공학부로 진학했다. 사실 여기에는 슬픈 사연이 있는데 원래는 당연히 도쿄제국대학 진학을 앞두고 있었으나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재학하던 쌍둥이형이 병으로 요절해버린 탓에 부모로부터 조선에 귀국해서 학교를 다니라고 권유를 받아 구제고교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경성제대로 진학하게 되었다고 한다. 워낙에 특이한 케이스라 이를 수상하다고 여긴 경성제대 총장으로부터 심문까지 받았을 정도였다고. [209] 현 이바라키대학. 9대 총선 포스터에는 '미도고등학교'라고 인쇄되어있는데, 이는 '미토(水戸)'의 오기이다.
(제1열) 제1고등학교, 제2고등학교, 제3고등학교, 제4고등학교, 제5고등학교, 제7고등학교
(제2열) 제8고등학교,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야마구치고등학교, 마쓰모토고등학교, 마츠야마고등학교
(제3열) 니가타고등학교, 마쓰에고등학교, 미토고등학교, 오사카고등학교, 야마가타고등학교, 우라와고등학교, 시즈오카고등학교
(제4열) 히로사키고등학교, 고치고등학교, 사가고등학교, 도쿄고등학교, 후쿠오카고등학교, 히메지고등학교, 히로시마고등학교
(제5열) 다이호쿠고등학교, 여순고등학교, 가쿠슈인 고등과, 경성제국대학 예과,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제6열) 도야마고등학교, 나니와고등학교, 부립고등학교, 코난고등학교, 무사시고등학교, 세이케이고등학교, 세이조고등학교 [52] 1943년 쇼와 18년 3월 31일 칙령 제249호 文部省直轄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 및 칙령 제250호 文部省直轄諸學校職員定員令中改正ノ件에 의거 1943년 4월 1일 관립 도야마고등학교가 설립되는 형식으로 공립(도야마현립)에서 관립으로 이관. [53] 1943년 3월 31일 쇼와 18년 칙령 제249호 文部省直轄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 및 칙령 제250호 文部省直轄諸學校職員定員令中改正ノ件에 의거 1943년 4월 1일 관립 도야마고등학교가 설립되는 형식으로 공립(도야마현립)에서 관립으로 이관. [54] 다이호쿠고등학교는 심상과 모집 정원이 고등과 정원 160명 대비 25%에 불과한 40명으로, 고등과 생도의 75%가 직승(내부 심상과에서 진학)이 아닌 다른 5년제 구제중학교 졸업생들로 구성되어, 내지의 7년제 고등학교들과는 차이가 큰 곳이었다. 이등휘 총통 역시 담수 공학교, 담수 중학교를 거쳐 다이호쿠고등학교 고등과에 진학한 케이스다. 국립대만사범대학 역사관에 따르면 다이호쿠고등학교 신입생 선발에서 대만인 비율은 심상과가 평균 3~4명(최대 6명), 고등과가 평균 30명 정도에 불과했다고 하는데 대만일치시기에는 대만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우선함에 따라 구제중학교 신입생 모집에서도 대만인 차별이 극심하여 일본인 50명에 대만인 1명이 안 된다고 했을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當時保障 日本本土 學生名額,錄取臺灣 本島人 學生極少,每次招考五十名新生,通常只有一名臺灣人可以就讀"), 1920년대부터 격화된 고교 입시로 인해 내지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몰려들었을 다이호쿠고등학교의 대만인 생도 비율은 높은 편이었다. 경성제국대학 예과의 조선인 합격생 비율(30~40%)과 마찬가지로, 다이호쿠고등학교 합격자 중 대만인 비율 역시 내지와 대만의 인구비례를 기본값으로 현지 홈어드밴티지를 5~10%p 더한 값을 보였다. 다이호쿠고등학교 생도는 다수 일본인과 소수의 대만인 외에도 극소수의 조선인과 만주국 국적자가 있었다고 한다(徐聖凱,《日治時期台北高等學校與菁英養成》台師大出版中心, Airiti Press, 2012) [55] 재정 여건상 막대한 부담이 따르는 심상중학교 독립과 별도 운영이 어려운 사립 재단들은 7년제 고교 유지가 불가피했다. [56] 제2차 고등학교령( 1918년) 반포 후에 설치된 학교들은 소재지의 이름을 따서 네임스쿨(地名校)로 불렸다. [57] 現 도쿄대학에서 교양과정용으로 사용되는 코마바 캠퍼스는 과거 제1고등학교의 부지로서 건물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58] 미군 폭격으로 소실. 現 도호쿠대학 캠퍼스 내부 [59] 삼양사 창립주 김연수가 이 코스를 밟아서 한국 최초의 경제학 전공자가 되었다. [60] 現 이시카와현 4고기념관&근대문학관으로 사용 중 [61] 現 구마모토대학 제5고기념관으로 사용 중. 참조. [62] 미군 폭격으로 소실되고 종전 후 폐교. 현재 오카야마현립 오카야마아사히고등학교 부지에 위치 [63] 미군 폭격으로 소실. 현재 가고시마현 역사자료센터 여명관 및 현립도서관 부지에 위치. [64] 미군 폭격으로 소실. 現 나고야시립대학 타키코토 캠퍼스(滝子)에 위치. [65] 9번째 고등학교 설립을 놓고 나가노현 마츠모토시와 치열한 경쟁이 벌어져 양 지역에 신설되는 고등학교부터 제9고등학교로 명명되는 대신 지명을 딴 네임스쿨로 1919년 4월 15일 설립되었다. [66] 現 마츠모토시립 구제고등학교기념관. 사진 출처 방문기 참조. [67] 1899년 이자와 슈지 등에 제7고등학교 마츠모토시 유치운동이 전개되었으나 가고시마시에 패하였고, 1910년에는 마츠모토에 제9고등학교 설치가 내정되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으며 1918년 제9고등학교 설립을 놓고 마츠모토시와 니가타시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져 이 때부터 신설 고등학교가 제9고등학교로 명명되는 대신 지명을 딴 네임스쿨로 1919년 4월 설립되었다. [68] 현재 마츠모토시립 구제고등학교기념관이 과거 마츠모토고등학교 건물에 위치해 있다. [69] 현재 본관 건물 등은 철거되고 강당만 남아 기념관으로 사용 중. 방문기 참조. [70] 1886년 11월 세 번째 고등중학교로 관립 야마구치고등중학교가 설립되었고 이 학교가 1894년 고등학교령 반포에 따라 야마구치고등학교로 개칭되면서 대학예과가 설치되었으나, 이 야마구치고등학교는 1905년 야마구치 고등상업학교로 전환되어 폐교되었다. 이후 야마구치 고등상업학교와 별도로 재흥(再興)야마구치고등학교 설립 운동이 일어나 1919년 4월 문부성령 제13호에 의거해 니가타, 마츠모토, 마츠야마와 함께 (재흥)야마구치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71] 現 에히메대학 페이지 참조 [72] 1919년 4월 문부성령 제13호에 의거 1919년 4월 시코쿠 최초의 고등학교로서 니가타, 마츠모토, 야마구치와 함께 마츠야마시에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73] 기존 교사는 1945년 미군 폭격으로 소실되고 1948년 육군 동부 제37부대 부지로 이전하여 현재 이바라키대학 미토캠퍼스로 승계되었으며, 1945년 이전 구교사에는 그 부지의 남쪽 절반에 미토시립(신제)제일중학교가 건설되어 구제미토고를 기념하는 조형물 등이 설치되어있고, 북쪽 절반에는 1965년 국립미토병원이 들어섰다가 이전 후 매각하여 현재 북수회(北水會)병원이 사용 중. [74] 1920년 미토의 번교를 계승하여 미토시에 13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었다. [75] 미토시 교외 접경지역이였으나 1933년 미토시에 편입. [76] 출처 참조. [77] 1920년 4월 칙령 제110호에 의거 1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0년 8월 2일 입학식 후 9월 4일 개교 [전경] 상세 내용은 사가대학 소개 참조. [79] 1920년 4월 칙령 제110호에 의거 1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0년 9월 개교 [80] 강당 사진. 상세 내용은 출처 히로사키대학 소개페이지 참조. [81] 1920년 11월 칙령 제551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1년 4월 16일 개교 [82] 시마네대학 소개페이지 참조. [83] 1920년 11월 칙령 제551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1년 4월 16일 개교 [84]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 최초로 설립된 7년제 고등학교로 1921년 11월 설립, 1922년 4월 개교하였다. 그러나 구제중학교(5년)+구제고등학교(3년)를 7년제 고교로 개편하려던 수학연한 단축 시도가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1934년 심상과(4년)는 폐지되고 도쿄고등학교는 고등과만 남은 3년제 고교가 되었다. 문이과에 모두 프랑스어를 전공하는 병류가 설치되어있었으며 자유주의 학풍으로 유명했고 졸업생의 8할이 도쿄제대에 진학할 정도로 입시명문으로 명성을 자랑했다고 한다. [85] 1932년 도쿄시 확장에 따라 도쿄시 나카노구로 개편. [86] 1934년 폐지된 심상과는 전후 1946년 다시 학생을 모집했으나 1947년 다시 모집 정지, 1948년 재개하는 등 파행을 겪다가 교육학부 부속 중학교/고등학교(현재의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었다. [87] 상세 내용은 오사카대학의 오사카고 소개페이지 참조. [88] 1921년 10월 칙령 제432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2년 4월 개교. 도쿄고등학교와 함께 유이하게 프랑스어를 배우는 이과 병류가 설치됨 [89] 1949년 5월 신제 오사카대학 소속 오사카고등학교로 개편된 후 오사카부립 나니와고등학교와 함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를 구성. 오사카고등학교는 남교(南校)가 되었다가 나니와고등학교 캠퍼스인 북교(北校)로 통합. [90] 現 북우라와(北浦和)공원 부지에 위치해있던 원래 교사는 1945년 미군 폭격으로 소실. 출처 페이지 참조. [91] 1921년 11월 칙령 제432호에 의거 20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었고, 1922년 3월 제1회 입학 [92] 1934년 2월 우라와시(浦和市)로 독립. 現 사이타마시. [93] 現 규슈대학 舊롯폰마츠 캠퍼스. 출처 페이지 참조. [94] 1921년 11월 9일 칙령 제432호에 의거 20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어, 1922년 4월 개교하였다. [95] 1949년 5월 신제 규슈대학 소속 후쿠오카고등학교로 개편된 후 신제 규슈대학 교양부(舊롯폰마츠 캠퍼스)를 구성. [96] 現 국립대만사범대학 본관. [97] 1922년 4월 1일 외지 최초의 고교(7년제)로서 대만총독부고등학교(臺灣總督部高等學校)가 설립되고, 1925년 고등과(3년제) 설치. 1927년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고등학교(臺北高等學校)로 개칭되었다. [98] 일본 패전 이후 1945년 대만에 진주한 중화민국군에 접수되었다. 이후 대만성립사범학원( 1946년)을 거쳐 국립타이완사범대학( 1967년)으로 승격. 상세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99] 상세내용 출처 시즈오카대학 인문사회과학부 소개페이지 참조. [100] 1922년 8월 칙령 제391호에 의거 설립. [101] 구제 고치고교는 신제 고치대학 문리학부로 계승되어 1960년 캠퍼스 이전시까지 사용. [102] 1922년 8월 칙령 제391호에 의거 설립, 1923년 4월 개교. [103] 1923년 12월 11일 25번째 고등학교로 1918년 개정 반포된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해 증설에 나선 고등학교로서는 히로시마고교와 함께 마지막으로 설립. [104] 히로시마문리과대학과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그리고 히로시마고등학교가 폭심지 근처에 위치하여 괴멸적 타격을 입었다. [105] 現 히로시마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부지. 출처 참조. [106] 1923년 칙령 제501호에 의거 2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4년 4월 개교 [107] 1940년 3월 주 만주국 일본대사관 관동군 소관 학교로 3년제 여순고등학교(료준고등학교) 설립. [108] 8월의 폭풍 작전으로 만주를 점령한 소련군에 접수된 후 폐교. 소련군, 중국인민해방군 사령부로 쓰이던 학교 건물은 현재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북해함대 뤼순기지 부지로 이용 중. [109] 1923년 10월 설치된 도야마현립 7년제 공립고등학교가 1943년 3월 칙령 제249호에 의거 관립으로 이관되면서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관립고등학교로 전환 [110] 홋카이도제국대학의 경우는 이학부를 기준으로 1순위로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수료자, 2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이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이과 졸업자, 3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문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문과 졸업자를 입학시켰고, 이후에도 결원이 있는 경우 4순위로 고등사범학교와 여자고등사범학교 이과 졸업생, 5순위로 기타 구제전문학교 졸업생으로 자격검정시험 합격자, 마지막 6순위로 구제중학교 교원면허소지자로 자격검정시험에 합격한 자를 입학시켰다고 한다. 경성제국대학 대학규정에 따르면 경성제대 학부는 예과수료자를 먼저 입학시킨 뒤(제4조), 예과 수료자를 입학시키고 남은 결원이 있을 경우 1순위로 구제고등학교 및 가쿠슈인 고등과의 문과 수료자로 법문학부에 지원한 자, 이과 수료자로 의학부 및 이공학부에 지원한 자를 입학시키고(제5조 1) 수용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선발시험을 행할 수 있으며, 그래도 결원이 남는 경우 2순위로 법문학부 선과생 및 선과수료자, 공/사립대학 예과,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고등상업학교, 외국어학교 및 동등 이상의 학교 졸업자로서 학부에서 적당하다고 판단하는 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학력검정시험의 합격자를 입학시켰다(제5조 2). 다이호쿠제국대학 역시 이와 유사하게 자교 예과수료자를 최우선으로 받은 후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를 입학시키고, 이후 남은 결원에 대해 방계입학생을 받았다. [111] 소수 학생들은 부속 예과 졸업 후 내지의 타 제국대학으로 진학한 경우도 발견되는데, 도쿄제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학부가 구제고교 졸업생 지원이 정원 미달로 결원을 차순위 구제전문학교 졸업생 등 이른바 '방계입학생'으로 채우고 있는 상황이었으므로(절반까지 달하던 방계입학자를 줄이기 위해 규슈제국대학도 예과 개설을 추진했으나, 주변 지역에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중앙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 별 어려움 없이 입학가능하여 수험 압박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112] 現 홋카이도대학 사무국(대학본부)으로 사용 중. 1937년에 건설된 건물로, 정문 입구 차양은 1977년에 덧붙여지어진 것이라고 한다. 1935년 이전 예과 건물은 목조였다고 한다. 아래 사진 및 링크 참조. [113] 사실상 외지 같은 취급을 받던 홋카이도에는 제국대학에 입학을 위해 거쳐야 하는 구제고등학교가 세워져 있지 않은 대신 삿포로농학교에는 예수과(豫修科)가 있어 본과 진입 전 교육을 담당하고 있었으므로 1907년 삿포로농학교의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 승격시에 이를 개편한 대학예과를 설치했다. 후에 홋카이도제국대학이 되는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은 예과 수료자를 최우선으로 입학시키고 결원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여타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를 받았고, 1918년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분리되면서 예과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가 되었다. 예과는 종전 후인 1947년 4월 홋카이도제국대학 법문학부 설치의 모체가 되며 1950년 3월 폐지되었고 학부 예비교육 기능은 1949년 설치된 교양학과(1951년 이후 일반교양부)와 혜적기숙사(케이테키료)로 계승되었다. 홋카이도제국대학에서 시작된 제국대학예과 제도는 이후 설립된 경성제국대학과 다이호쿠제국대학에도 도입되었다. [114] 제1항 "농과대학에 '대학예과', 토목공학과, 임학과 및 수산학과를 부설하고, 조교전임 16인과 조교수전임 7인을 둔다." [115]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을 설립하면서 그 모체인 삿포로농학교의 예수과(豫修科)를 대학예과로 개편. [116] 제1항 "홋카이도제국대학에 '대학예과', 토목전문부, 수산전문부를 부속으로 두고, 교수전임 28인과 조교수전임 11인을 둔다." [117]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이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독립되면서, 그 예과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로 개칭. [118] 그림 참조. [119] 조선총독부는 1924년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며 조선의 구제중학교 졸업생들이 당지의 제국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도록 경성제국대학 부속으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舊대학예과)에 해당하는 경성제대 예과를 설치했다. 해당 제국대학으로 진학할 학생들을 구제중학교 졸업자 중에서 시험 선발하여 교육하였다. 1918년 제2차 고등학교령이 반포될 당시에는 이미 도쿄제국대학 출신으로 해외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이 각지의 제국대학 교수진의 중추를 이루어 과거 메이지 시대와 같이 외국인으로부터 직접 교육을 받는 시대가 지난 상태였으므로, 교육연한 단축을 추진해 기존 5년제 구제중학교와 3년제 고등학교 대신 7년제 고등학교를 기본으로 삼은 바 있었다. 이러한 정부 시책에 발 맞추어 경성제대 예과는 2년제로 개교하여 1933년까지는 구제중학교( 고등보통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입시를 시행하여 2년간 교육하였으나, 교육기간 합계 8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7년제 일관 고등학교로 통합하려던 정부의 정책이 정착하지 못하게 되면서, 7년제 고등학교들이 심상과(4년제)를 폐지하고 고등과(3년제)만 남겨서 기존의 3년제 고등학교 체제가 굳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오히려 2년제 예과가 3년제 고등학교보다 못하다는 인식이 퍼지게 되었고 경성제대 교수진과 학생들은 예과 수업연한 연장을 요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경성제대 예과는 1934년 입시부터는 타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중학교 4년 수료자에게도 수험자격을 부여하면서 수학연한 역시 내지의 고등학교와 동일한 3년으로 통일하였다. 이 때 최초의 7년제 고교로 개교한 도쿄고등학교 역시 1934년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고등학교로 변신해버렸다(네임스쿨 중 도쿄고등학교 설명 참조). [120] 제1항 "경성제국대학에 예과를 둔다." [121] 1924년 설립 당시 주소이며,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現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이다. [122] 청량리의 경성제대예과 캠퍼스는 국대안으로 경성제대와 10개 전문학교가 국립서울대학교로 통합된 후에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이공학부 이학계열과 함께 예과가 통합되어 구성한 문리과대학 소속으로 있었다. 참조. [123] 1946년 미군정의 학제개편으로 구제대학(학부) 및 그 예과, 그리고 구제전문학교가 전부 4년제 이상의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통합되게 되었고, 국대안 시행으로 경성제국대학과 6개의 구제전문학교, 그리고 2개의 사범학교가 통합된 국립서울대학교가 발족했다. 이에 따라 경성제대 예과 역시 신입생 모집을 정지하고, 기존 구제예과 학생이 모두 수료하는 1948년 9월 문리과대학 학부에 흡수되었는데, 유일하게 존속한 의예과는 의과대학이 아닌 문리과대학 소속으로서 청량리의 예과캠퍼스에 위치해 있었다. 그리고 경성제대 법문학부 시절부터 동숭동 캠퍼스를 계속 문리과대학 문학부와 달리, 제국대학 시절의 공릉동 이공학부 캠퍼스를 공과대학에 내줘야했던 문리과대학 이학부는 의예과와 함께 청량리의 예과캠퍼스에 분산되어있었다( 참조). 1966년 12월 동숭동 캠퍼스에 과학관이 신축되자, 의예과를 포함한 이학부까지 문리과대학이 전부 대학로(서울)로 집결했다. 청량리 예과캠퍼스는 1970년대에 총무처가 민간에 불하하여 예과 본관건물은 서울동산병원[210] 및 한림대학교 치과병원 및 의과대학 강의실 등으로 쓰이다가 2015년 4월에 철거되었다( 참조). 정문이 있었던 자리에는 치과, 안과, 부동산, 비만클리닉, 고시학원 등이 밀집한 복합상가가 들어섰고, 운동장 자리에는 현재 동대문세무서가 자리잡고 있으며,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우거져 청량한 느낌을 줬다는 교사 뒷편의 소나무숲에는 청량리 미주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 [124] 대만은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했음에도 제국대학예과를 설치한 경우이다. 1922년 제2차 대만교육령 반포 당시에 이미 제국대학 설립까지 계획한 대만총독부에서는 총독이 도쿄로 상경시위를 벌이는 등 각고의 노력 끝에 다이호쿠고등학교 고등과 제1회 졸업생이 배출되는 1928년에 맞추어 다이호쿠제국대학(臺北帝國大學)을 설립하게 되었는데, 당시 다이호쿠제국대학의 예과처럼 생각했던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에게 다이호쿠제국대학 무시험 입학자격을 부여하고 별도의 예과를 설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내지의 제국대학을 선호했고( 리덩후이 총통도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 후 교토제국대학으로 진학), 대만총독부에서는 그들을 다이호쿠제국대학 입학으로 유도하기 위해 다이호쿠의학전문학교를 흡수하여 1936년 의학부를 설치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다이호쿠고등학교를 졸업한 대만인들은 의학부로만 지원자가 몰릴 뿐이었고 그나마 나은 농학부를 제외한 문정학부, 이학부는 미달이 심했다. 특히 문정학부가 심각했는데, 도쿄제대 일부와 교토제대 대부분의 학부도 구제고교 학생들로 정원을 채우지 못해 미달이 나던 상황에, 외지의 신설 제국대학이 문과계열 정원을 모두 채우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결국 대만총독부는 1941년 다이호쿠제국대학에 부속 예과를 설치하게 된다. 이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는 다이호쿠고등학교와 교류전을 벌이는 라이벌이었다고 한다( 링크 참조).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가 개교한 1941년 개최된 제1회 교류전은 다이호쿠고등학교가 승리, 이듬해 1942년 제2회는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가 승리하여 1승1패를 기록했으나 1943년 전쟁의 격화로 운동회가 중단되면서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끝나버렸다고 한다. 관련 자료는 현재 국립대만대학에 보관 중. [125] 1928년 3월 17일 쇼와 3년 칙령 제31호 '다이호쿠제국대학관제'를 일부개정하는 칙령. [126] 제1항 "다이호쿠제국대학에 예과를 둔다." [127] 1941년 당시 다이호쿠제국대학 학부 교지(現 국립타이완대학 公館캠퍼스)에서 예과를 개교하고 이듬해인 1942년 臺北州 七星郡 士林街 石角의 예과캠퍼스로 이전. [128] 1941년 설립 당시 주소로 臺北州七星郡士林街石角字大石角42番地, 現 타이베이시 스린구 雨聲街와 雨聲國小 사이에 해당. 참조 [129] 士林의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캠퍼스는 종전 직전인 1945년 일본 제국 해군에 징발되었다가 일본의 항복 후 대만에 진주한 중화민국 국군에 의해 접수되어 현재까지 대만 국방부 군사정보국 청사(속칭 芝山莊)로 사용 중이다. 국립타이완대학 도서관 참조. 예과 관련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일본어 블로그를 참조. [130] 기타 보습과, 대학별과( 1905년 폐지) 등이 존재. [131] 1847년 교토에 개설된 學習室을 기원으로, 화족회관(和族會館)이 운영하는 화족학교 가쿠슈인(學習院)이 1877년 개교하여 1884년 궁내성 관할 관립학교가 되었고, 1890년 고등학과를 설치했다. [132] 이 때 중등학과도 중등과로 개칭. 이후 중등과는 5년제, 고등과는 3년제로 개편된다. [133] 다만, 1919년 당시까지 가쿠슈인 고등과는 중등과 졸업생 대상 2년제 교육기관으로 인식되어, 중등과(6년)+고등과(2년) 도합 8년으로 구제중학교(5년)+구제고등학교(3년) 코스와 동일한 수학연한을 갖고 있었음에도(초등과는 소학교와 동일한 6년제였다.) 3년제 고등학교가 기본이었던 당시에 구제고등학교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가쿠슈인 고등과 졸업생의 제국대학 진학은 제국대학에 미달이 발생한 경우나 원장의 제청에 의해 제국대학이 허락한 경우에만 가능했는데, 1921년 문부성령 제27호에 의해서 가쿠슈인 고등과 졸업생들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과 동등한 제국대학 진학 허가를 보장받으면서 가쿠슈인 고등과는 명실상부한 구제고등학교로서 지위를 확립하게 되었다. 고등과 졸업생의 1/3이 도쿄제국대학으로 진학한 것을 비롯해 거의 대부분이 제국대학과 관립대학으로 진학했다고 한다. 미시마 유키오가 가쿠슈인 고등과를 거쳐 도쿄제국대학으로 진학한 사례. [134] 구제 가쿠슈인 고등과의 이과 건물로 사용되던 곳으로 現 가쿠슈인대학 이학부 연구동(南1号館)으로 사용 중. [135] 상단 사진은 1927년( 쇼와 2년) 졸업식에 쇼와천황이 방문하는 모습. [136] 現 가쿠슈인의 중등과 및 고등과는 戰前 가쿠슈인 중등과를 모체로 하는 중등학교이다. 구제고등학교격이었던 戰前 가쿠슈인 고등과는 戰後 1947년 궁내성 관할에서 해제되어 재단법인 가쿠슈인으로 사립 이관되어 1949년 新制 가쿠슈인대학으로 출범했다. [137] 1923년 인가 [138] 1926년 인가 [139] 1929년 인가 [140] 관립고교인 다이호쿠고등학교와 함께 관공립고교 중 유이한 7년제 고교였다. [141] 1923년 10월 도야마현 현립으로 7년제 공립고등학교 설치. 1943년 3월 칙령 제249호에 의거 관립으로 이관되면서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관립고등학교로 전환 [142] 1940년 토야마시로 편입. [143] 現 오사카대학으로 계승되어 나니와고등학교 본관은 현재 오사카대학 イ호관으로 사용 중. 출처 참조. [144] 전경 사진 등 상세 내용 오사카대학 동창회 페이지 참조. [145] 오사카부립의과대학 예과를 전신으로 하는 7년제 공립고교인 부립 나니와고등학교가 1926년 설립 및 심상과 설치, 1927년 4월 고등과 설치, 1944년 심상과 폐지. [146] 신제 오사카대학 소속 나니와고등학교로 개편( 1949년 5월) 후 일반교양부 남교(南校)를 이룬 관립 오사카고등학교와 함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를 구성. 남교와 북교로 나뉘어있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는 이후 나니와고등학교 부지인 북교(北校) 캠퍼스로 통합. [147] 1949년 신제 도쿄도립대학 인문학부로 계승되어 1991년 캠퍼스 종합 이전시까지 사용되었으며, 이전 후 야쿠모시민캠퍼스가 건설되어 시민문화회관과 체조경기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심상과는 그대로 도쿄도립 오슈칸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148] 1929년 2월 도쿄부 부립으로 7년제 공립고등학교 설립, 1929년 4월 개교. 당초 명칭 가안은 '도쿄부립고등학교'였으나, 관립 도쿄고등학교와 혼동이 우려되어 '도쿄'를 삭제한 부립고등학교로 확정되었다. 1943년 7월 도성제 시행에 따라 도쿄부가 도쿄도가 되면서 도립고등학교로 개칭. [149]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도쿄도립대학 교육학부 부속고등학교(現 도쿄도립 오슈칸 중등교육학교)로 계승. [150] 무사시고등학교는 예외로, 관립고교 이상으로 스파르타식 입시교육이 실시되어 좋은 대입 실적을 거두었다고 한다. [151] 1922년 본관 준공 당시 사진 [152] 최초의 사립고등학교로서 1922년 도부철도 재단에 의해 7년제 무사시고등학교 설립. [153] 구제 무사시고등학교를 모체로 설립된 신제 무사시대학은 1949년 경제학부 1학부 경제학과로 시작해 1959년 경제학부에 경영학과를 증설하고, 1969년 인문학부를 설치했으며 인문학부 사회학과를 모체로 1998년 사회학부를 설치하는 등 단계적으로 확대 발전해왔다. [154]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8년 (신제)무사시고등학교 및 1949년 (신제)무사시중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55] 정문 방향에서 본 건물 우측편. 코난고등학교 본관 건물은 일본에서 최초로 철근콘크리트로 지어진 건물로서 코난대학 1호관으로도 사용됐으나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의 피해로 심각하게 파괴되어 철거 후 당시 모습을 본뜬 신1호관이 지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156] 무사시고등학교에 이은 두 번째 사립 구제고등학교이자 서일본 유일의 사립고등학교, 7년제 고등학교이다. 1918년 12월 설립 인가를 받고 1919년 4월 개교한 코난중학교를 모체로 심상과(4년)에 고등과(5년)를 병설한 7년제 고등학교로서 1923년 1월 설립 인가를 받고 1923년 4월 개교. 1924년 구제중학교(심상과) 제1회 졸업, 1926년 고등과 제1회 졸업. [157] 구제 코난고등학교를 모체로 설립된 신제 코난대학은 1951년 문리학부 1학부로 시작해 경제학부 등을 설치해가며 확대 발전해왔다. [158]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코난중학교 및 1948년 (신제)코난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59] 미쓰비시 그룹의 도움을 얻어 1919년 재단법인 '세이케이학원'을 설립하고, 1914년 설립된 세이케이중학교를 기반으로 1925년 7년제 구제고등학교인 세이케이고등학교가 되었다. [160] 1949년 출범 당시 정치경제학부 1학부로 시작해 1962년 공학부, 1965년 문학부를 설치하고 1968년 정치경제학부를 법학부와 경제학부로 분리하며 확장. [161]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세이케이중학교, 1948년 (신제)세이케이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62] 가장 늦게 설립된 사립고등학교로, 1917년 설립된 사립 세이조소학교를 바탕으로 1922년 세이조제2중학교를 설립하고, 제1회 졸업생이 배출되는 1926년 3월 7년제 고등학교인 세이조고등학교 인가를 받고 고등과를 설치하여 1926년 4월 개교. 세이조제2중학교는 심상과(4년)로 흡수, 1929년 고등과 제1회 졸업생 배출. [163] 1954년 이학부를 폐지하고 문예학부 설치, 1977년 법학부 설치, 2005년 사회이노베이션학부 설치. [164]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세이조가쿠인중학교, 1948년 (신제)세이조가쿠인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165] 실제로도 1945년 종전 후 학제개혁에 따른 혼란기를 제외하면 그런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했다고 한다. [166] 기존 고등학교령(1894)에서 규정된 구제고등학교 대학예과(大學豫科)가 대학령과 맞춰 개정된 고등학교령(1918)에 따라 고등과(高等科)로 개칭된 것. [167] (1) 대학예과의 수업연한은 3년 또는 2년으로 한다. (2) 수업연한 3년인 대학예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 중학교 제4학년을 수료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 (3) 수업연한 2년인 대학예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 구제중학교 를 졸업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 [168] 대학예과의 설비, 편제, 교원 및 교과서 등은 [169] 《旧制高校物語》, 《旧制高校物語 真のエリートのつくり方》, 《旧制高校の校章と旗》 등. [170] 第一高等學校/第二高等學校/第三高等學校/第四高等學校/第五高等學校/第六高等學校/第七高等學校造士館/第八高等學校/新潟高等學校/松本高等學校/山口高等學校/松山高等學校/水戸高等學校/山形高等學校/佐賀高等學校/弘前高等學校/松江高等學校/東京高等學校/大阪高等學校/浦和高等學校/福岡高等學校/靜岡高等學校/高知高等學校/姫路高等學校/廣島高等學校/富山高等學校/浪速高等學校/府立高等學校/臺北高等學校/旅順高等學校/學習院高等科/武藏高等學校/甲南高等學校/成蹊高等學校/成城高等學校/北海道帝國大學豫科/京城帝國大學豫科/臺北帝國大学豫科(38 校) 출처 참조. [171] 관람기 참조 [172] 사진파일 하단 官立大学予科(6校) 범주의 오른쪽 교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윗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고베상업대학 예과,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그리고 아랫줄 여순공과대학 예과, 도쿄상과대학 예과, 경성제국대학 예과 순서로 배열되어있다. [173] 1924년 오사카부 출생으로 1942년 4월 신궁황학관대학 대학예과 제3회 입학, 1944년 9월 예과 제3회 수료식(전시 수학연한 단축조치에 따라 6개월 앞당겨 수료), 학병으로 학도 출진하여 중일전쟁 참전, 1945년 8월 종전 후 귀국하여 1946년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입학, 1949년 교토대학 문학부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을 거쳐 교토대학 조교수/교수를 역임하고 1988년 정년퇴임 후 교토대학 명예교수. 神宮皇学館大学予科の教育 참조. [174] 도쿄상업학교가 1887년 10월 최초의 고등상업학교로 개편. 도쿄고등상업학교 본과 졸업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던 전공부(2년제) 과정을 모체로 1919년 시행된 대학령 및 다이쇼 9년 칙령 제71호 도쿄상과대학관제에 의거 1920년 4월 1일 도쿄상과대학 설립. [175] 다이쇼 9년 칙령 제71호 도쿄상과대학관제 제14조에 의거 1920년 4월 1일 도쿄상과대학 설립과 동시에 설치. [176] 1923년 9월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히토츠바시 캠퍼스의 도서관과 미츠이홀을 제외한 全건축물이 괴멸되고, 1924년 4월 샤쿠지이 소재 임시교사로 이전한 상태에서, 1925년 9월 학부와 부속 상학전문부를 기타타마군 야호무라(北多摩郡 谷保村)로 이전한다는 계획이 문부성의 인가를 얻었다. 1927년 4월 부속 상학전문부, 1930년 4월 학부 순서로 1931년 5월 현재의 쿠니타치 캠퍼스로의 이전을 완료한 후, 쿠니타치 인근의 기타타마군 코다이라무라(北多摩郡 小平村) 현재의 코다이라 국제캠퍼스로 예과가 1933년 8월 이전했다. [177] 예과 교지는 현재 히토츠바시대학 코다이라 국제캠퍼스로 사용 중. [178] 1909년 5월 11일 메이지 42년 칙령 제133호 여순공과학당관제 공포 및 1909년 9월 6일 관동도독부령 여순공과학당규칙 제정으로 1910년 개교한 여순공과학당을 모체로 1922년 3월 31일 다이쇼 11년 칙령 제160호 여순공과대학관제가 공포되면서 4월 1일 관립대학인 여순공과대학 설립. [179] 다이쇼 11년 칙령 제160호 여순공과대학관제 제4조에 의거 1922년 4월 1일 여순공과대학 설립과 동시에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 설치. [180] 내무성 소관 신궁황학관을 근간으로, 황기 2600년을 맞이해 1940년 4월 24일 공포된 쇼와 15년 칙령 제288호 신궁황학관대학관제으로 문부성 소관의 관립대학인 신궁황학관대학 설립. [181] 쇼와 15년 칙령 제288호 신궁황학관대학관제 제7조에 의거 1940년 4월 신궁황학관대학 설립과 동시에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를 설치. [182] 1902년 3월 칙령 제98호 문부성직할제학교관제 공포 후 1903년 5월 고베 고등상업학교 개교. 당시 예과 1년 본과 3년으로 도쿄고등상업학교와 더불어 유이한 4년제 고등상업학교였던 이 고베고등상업학교를 모체로 쇼와 4년 칙령 제38호 관립상업대학관제에 의거 1929년 4월 1일 관립대학인 고베상업대학을 설립. [183] 쇼와 15년 칙령 제305호 관립상업대학관제중개정의건에 의거 관립상업대학관제 제16조 등의 개정으로 고베상업대학에 1940년 5월 1일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를 설치. [184] 신제 고베대학은 캠퍼스를 통합하기 전까지 교양부는 미카게분교(고베상업대학 예과의 後身)와 히메지분교(히메지고등학교의 後身)로 나뉘어있었다. [모집정원] [186] 구6의대 중 한 곳인 구마모토의대는 1926년 당시 아직 관립 이관 전이라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은 예과를 따로 두고 구제중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신입생을 모집했다. [187] 기존 문부성 직할 관립학교였던 도쿄고등사범학교와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는 관립문리과대학 설립과 함께 각각 도쿄문리과대학과 히로시마문리과대학 소속으로 이관되어 '도쿄문리과대학 도쿄고등사범학교', '히로시마문리과대학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가 되었다. [188] 구제고등학교인 여순고등학교는 1940년에 설립되었고, 고등공업학교를 비롯한 구제전문학교 역시 부재한 상황이었다. [189] 1838년 데키주쿠를 기원으로 1873년 오사카부립병원, 1880년 오사카부립의학교가 설립되고 1903년 전문학교령에 의거 부립 의학전문학교가 된 오사카고등의학교가 1915년부터 부립 오사카의과대학을 칭하고 있다가 대학령 공포 후 1919년 대학령에 의거한 최초의 공립대학으로 인가되었다. 이를 모체로 1931년 오사카제국대학이 설립된다(당시 의학부, 이학부로 구성). [190] 다이쇼 8년 11월 24일 문부성 고시 제249호에 의거 부립 오사카의과대학 설립시(1919.11.22) 예과 설치( 참조). [191] 교직원과 물적 자산 등은 오사카의과대학 예과 캠퍼스를 공유하면서 1926년에 설립된 부립 나니와고등학교로 이관. 오사카의과대학 학부는 1931년 오사카제국대학으로 승격되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 중에서 신입생을 충원. [192] 1871년 오와리번에 개설된 仮病院, 仮醫學校를 기원으로 1901년 설치된 아이치현립의학교가 1920년 대학령에 의거한 아이치현립 아이치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이 현립 아이치의과대학이 1931년 관립으로 이관되어 관립 나고야의과대학이 되는데, 이는 1939년 설립된 나고야제국대학의 모체가 되었다. [193] 다이쇼 9년 6월 19일 문부성 고시 제353호에 의거 현립 아이치의과대학 설립시(1920.6.18) 예과 설치. [194] 현립 아이치의과대학을 모체로 하는 관립 나고야의과대학 설립. 이 관립 나고야의과대학은 1939년 나고야제국대학의 설립 모체가 된다. [195] 1872년 교토료병원(京都療病院)이 설립되고 1879년 교토부의학교를 교토료병원에 부설. 1903년 전문학교령에 준거한 교토부립의학전문학교를 거쳐 1921년 대학령에 의거한 교토부립의과대학으로 승격. 1952년 신제 교토부립의과대학으로 개편. [196] 다이쇼 10년 10월 20일 문부성 고시 제471호에 의거 교토부립의과대학 설립시(1921.10.19) 예과 설치. [197] 1871년 구마모토 번주 호소카와가 나가사키에서 네덜란드 군의관 만스 펠트를 초빙해 창설한 번립 의학소가 기원으로, 폐번치현 후 관립의학소· 병원(통칭 古城醫學所)를 거쳐 세이난 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878년 현립으로 재건되었고 1904년 전문학교령에 의거한 사립 구마모토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21년에는 현립으로 이관되었고 1922년 대학령에 근거한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29년 관립으로 이관되어 관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이 되었다. 1949년 신학제에 따라 구마모토대학 의과대학을 거쳐 1960년 구마모토대학 의학부로 통합되었다. [198] 다이쇼 11년 5월 27일 문부성 고시 제432호에 의거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 설립시(1929.5.25) 예과 설치. [199]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을 모체로 하는 관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이 설립. [200] 1880년 사립 오사카상업강습소가 기원으로 1881년 부립 오사카상업강습소를 거쳐 1889년 세워진 시립 오사카상업학교를 모체로 1901년 시립 오사카 고등상업학교를 설립. 이 오사카시립고등상업학교 연구과를 근간으로 대학령에 의거 1928년 일본 최초의 구제 시립대학인 오사카상과대학 설립. 1949년 종전 후 신제(新制) 오사카시립대학이 되고 1955년 오사카시립의과대학을 의학부로 흡수해 종합대학화. [201] 쇼와 3년 3월 23일 문부성 고시 제176호에 의거 1928년 4월 시립 오사카상과대학 예과 설치(학부는 이듬해인 1929년 4월 설치). [202] 스기모토초 [203] 오사카상과대학의 예과 및 고등상업부 1948년 신입생은 시험을 거쳐 1950년 오사카시립대학 학부 1학년으로 편입 조치. [204] 와세다제1고등학원(3년제), 와세다제2고등학원(2년제) [205] 정확히 말하면 병(丙)류반 소속 [206] 아버지 조상훈은 이러한 아들에게 차라리 경성제국대학에 진학을 하면 어떻냐고 제안을 하기도 했다. 다만 같은 제국대라 할지라도 각 대학이 가진 위상은 거의 하늘과 땅차이였기때문에... [207] 바로 아래에 있는 김연수의 차남이다. [208] 일본 내 구제고교를 그것도 수석으로 졸업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이하게도 경성제대 이공학부로 진학했다. 사실 여기에는 슬픈 사연이 있는데 원래는 당연히 도쿄제국대학 진학을 앞두고 있었으나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재학하던 쌍둥이형이 병으로 요절해버린 탓에 부모로부터 조선에 귀국해서 학교를 다니라고 권유를 받아 구제고교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경성제대로 진학하게 되었다고 한다. 워낙에 특이한 케이스라 이를 수상하다고 여긴 경성제대 총장으로부터 심문까지 받았을 정도였다고. [209] 현 이바라키대학. 9대 총선 포스터에는 '미도고등학교'라고 인쇄되어있는데, 이는 '미토(水戸)'의 오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