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18:37:46

고병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에 대한 내용은 고병국(197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재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언어학, 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한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장석진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안세희 이상만 김상주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조동일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노재식 김수진 박중현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홍재성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박세희 이정우 김상용 김낙두 김현욱
소광희 김학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권숙일 박상대 노오현 김병수 황병국
윤사순 이정민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기우항 맹원재 윤덕용 이순형 류순호
이한구 김수용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김용해 임번장 현병구 김영중 장동석
박종현 조주관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이은 장호완 나정웅 고재승 이홍석
정찬섭 장경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조성호 김상구 한송엽 심희섭 김윤수
- 남기심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이호인 정진하 최항순 이영순 박승우
- 김인환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 김도한 조완규 이장무 이승규 최양도
- 이종호 김호동 - 임현진 - 박성현 이기화 이병기 이종호 홍성윤
- - 김영식 - 신명순 - 김진의 안진흥 황규영 박성회 김수일
- - 고동환 최진호 임정빈 유정열 이명식 고희종
- 박종욱 - 고규영 김용균
- 우경식 -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장세헌 이충웅
조대경
길희성
이성진
명예 회원
노요리 료지 얀 린드스텐 위르겐 코카 얀 아헨바흐 크리스티안 스타크
피터 드루스 시오노 히로시 로저 비치 해럴드 푸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20a10, #a40e17 20%, #a40e17 80%, #720a10)"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조영식
2대

고병국
3대

조영식
4대

안치열
5대

심태식
6대

박양원
7-8대

조영식
9대

공영일
10-11대

조정원
12대

김병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40e17; font-size: .76em;"
13-15대}}}
조인원 ||
16대

한균태 ||
17대

김진상 || || ||
}}}}}}}}}}}} ||

고병국
高秉國
파일:고병국.jpg
<colbgcolor=#ececec><colcolor=#000000> 출생 1909년 1월 2일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사망 1976년 5월 7일 (향년 67세)
학력 선천공립보통학교 (졸업)
신의주고등보통학교 (졸업)
시즈오카고등학교 (문과 /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법률학과 / 법학사)
경북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경력 연희전문학교 교수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경희대학교 대학원장·총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법학자. 연희전문학교 교수,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경희대학교 대학원장·총장을 역임했다.

2. 생애

1909년 1월 2일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에서 한학자인 부친 고승헌 선생과 모친 백문선 여사 소생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5세부터 12세까지 가정에서 한학을 공부하여 사서를 통독했다. 1921년 선천군 소재 선천공립보통학교에 취학하여 2년 반 동안에 4학년 과정을 마치고 중학입학검정시험을 통과해 1923년 4월 신의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신의주고보 4학년 수료 후 구제고등학교 입시에 합격하여[1] 1927년 4월 시즈오카고등학교(靜岡高等學校, 現 시즈오카대학) 문과갑류에 입학하여 3년 과정을 최고의 성적으로 마쳤다. 이어 1930년 4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법률학과(英法전공)에 입학해 졸업반 때인 1932년 10월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했고, 이듬해인 1933년 11월에는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해 양과합격을 달성했다.

고병국은 1934년 3월 도쿄제대 법학부를 졸업한 뒤 관리가 되는 대신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호즈미 시게토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민법학연구실에서 공부를 계속했다. 1935년 6월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 출신 김동주[2] 여사와 혼인했으며 1936년 4월 대학원을 마치고 도쿄에서 후쿠다(福田證夫) 변호사의 파트너가 되어 변호사로 2년간 개업한 뒤 1937년 조선으로 돌아와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고병국에게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동문으로, 연희전문학교 교수였던 정광현이 1938년 9월 사상사건으로 인해 면직되자 그 후임으로 연희전문 교수가 되어 1941년 4월까지 재직했다.

해방 후 1945년 10월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장에 취임했다. 1946년 8월 국립서울대학교가 설립되면서 경성법전이 개편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초대 학장이 되었다. 국대안 파동 당시 구제전문학교인 경성법전과 섞이기를 거부한 경성제대 법문학부 법학과 출신들의 반발이 격렬했으나, 고병국이 자신이 있던 경성법전을 모체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출범시켰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초대 학장으로 1946년 10월부터 1947년 12월까지 재임한 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즈음 헌법제정 전문위원이 되어 제헌의 기틀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법전편찬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어 민법총칙을 기초하고 민법전을 제정하는 데 공헌했다. 이후 6.25 전쟁 중이었던 1952년 8월 다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장(제4대)으로 부임하여 서울법대의 초기 기틀을 잡았으며 유기천, 이한기, 박관숙 등 도쿄제대 후배들을 주축으로 교수진을 갖추었다.

해방 후 서울대에서 벌어지던 동경제국대학 출신의 동대파(東大派, 고병국派)와 경성제국대학 출신의 성대파(城大派, 유진오派) 사이에서 벌어지던 파벌 다툼의 중핵이었다고 한다. 서울법대100년사(2004)에 따르면 해방 이후 법학계는 경성법학전문학교장 고병국을 정점으로 유기천(형법)- 이한기(국제법)의 동경제대 출신 파벌과 보성전문학교 법과과장 유진오를 좌장으로 황산덕(형법)- 박재섭(국제법) 등의 경성제대 출신 파벌로 갈렸다고 한다. 그런데 기존에 동대파가 헤게모니를 쥐고 있던 경성법전과 그 후신인 서울법대에서는 당시 학장에 재취임한 고병국 교수가 후배 유기천을 한국인 최초의 법학박사로 만들기 위해 황산덕이 제출한 박사논문의 심사를 이유없이 미루었고( 출처). 이 갈등은 결국 1965년 유기천 서울대 총장이 황산덕 교수를 파면하는 데 이르게 된다( 참조). 1963~1965년 국제법학계에서 이한기의 선공으로 시작된 박재섭과의 치열한 논쟁 역시 동일한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다.

1954년 5월에는 학술원 회원으로 피선되었고, 1957년 서울법대 학장직을 마친 뒤 1958년 2월 단국대학장으로 부임했다. 1958년 10월에는 김함득 여사와 재혼하였다.1960년 9월 경희대학교 대학원장, 1961년 9월 경희대학교 총장으로 취임해 1964년까지 재임했다. 경희대 총장 시절인 1963년 5월 경북대학교에서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대에 병마에 시달리다가 1976년 5월 7일 타계했다. 미망인 김함득 여사는 단국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했고, 장남 고재경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미네소타대학에 유학하여 그 병원에서 근무, 장녀 고화영은 이화여대에서 약학을 전공했으며, 차녀 고주자는 숙명여대 가정과를 졸업했다.


[1] 1919년 반포된 대학령에 따르면 2년제 대학예과 구제중학교 5년 졸업생을, 3년제 예과는 중학교 4년 수료생부터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1934년 3년제로 개편되기 전까지 조선의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입학시험 응시 자격이 5년제 구제중학교/ 고등보통학교 졸업(예정자)이었으나, 내지의 3년제 구제고등학교들은 1919년 4월 개정 고등학교령 공포 후 구제중학교/고등보통학교 4년 수료자부터 입시를 치를 자격을 주었다. 당시 4학년을 마치고 고등학교에 합격하는 경우는 사수(四修)라 하여 영재 대우를 받았고, 중학교/고보를 졸업할 수 있었다. 경성제대 예과 역시 1934년 3년제로 개편되면서 중학/고보 4년 수료자에게 입시 자격을 부여하기 시작했다. [2] 서울공대 학장을 지낸 정동일 박사의 매씨로, 이화여대 가정학과 교수였으나 6.25 전쟁 중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