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4:16:45

SPQR

Senatus Populusque Romanus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어 관용구 'Small profits and quick returns'에 대한 내용은 박리다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로마: 토탈 워'에 등장하는 팩션에 대한 내용은 S.P.Q.R.(로마: 토탈 워)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 파일:투명.png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마우레타니아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 군관구) · 타그마 · 바르다리오타이 · 투르코폴레스 · 불사 부대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문화 라틴어 ·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서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수다 · 알렉시아스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매체 동로마 제국/매체 }}}}}}}}}

파일:SPQR_sign.png
SENATVS•POPVLVSQVE•ROMANVS[1]

1. 개요2. 역사3. 여담

[clearfix]

1. 개요

라틴어 문구 'Senātus Populusque Rōmānus(로마 원로원 시민들)'[2][3] 줄임말. 고대 로마 시대 로마 공화국 정부를 일컫는 표현으로 곧 로마 공화국의 공식 국호라고 보면 된다.

라틴어 접속사 '-que'는 영어의 'and'에 해당하는 단어로, 역시 'and'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et'와 같은 뜻이지만 용법이 다르다. 'et'는 'and'처럼 연결하고자 하는 두 단어 사이에 단독으로 쓰지만 '-que'는 연결하고자 하는 두 단어 중 뒤 단어에 접미사처럼 붙여서 쓴다.

2. 역사

기원전 100년대 즈음부터 'Senatus Populusque Romanus'가 로마 공화국의 국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문구는 로마라는 나라의 주권자 자체를 나타내는 말이기 때문에 표어 같은 게 아니라 그 자체로 나라 이름과 같이 사용되었다. 로마는 모든 깃발과 외교 문서에 로마의 정식 명칭으로 이 약어를 사용하였다. 로마 시대에 주조된 동전을 보면 'SPQR'라고 쓰여 있는 것이 많다. 국가의 이름과 주권자의 이름이 전부 구분되는 현대와 달리 현대적인 국가 개념이 제대로 생기기 전인 데다 도시 국가적 개념이 이어진 고대 로마에서는 주권자들의 이름이 곧 국가의 이름이었다. 당시 '로마'라고만 했다면 그저 도시 로마를 말하게 되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공화정 이후 로마 제국 초기에도 'SPQR'는 사용되었는데 로마 황제들이 세운 개선문에는 모두 'SPQR'라는 글자가 들어가 있으며 전제정이 들어선 뒤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파일:DN_Honorio_Florentissimo.jpg
서로마 황제 호노리우스를 기리는 석비. 가운데 'SPQR'가 새겨져 있다.

'SPQR'는 교황령 시대에도 로마 시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는데 중세부터 로마 도시의 상징으로 붉은 방패에 황금색으로 'SPQR'가 적혀 있는 문장을 사용하였다. 12세기 로마를 지배하게 된 로마 코무네는 자신들이 고대 로마를 계승하였다고 주장하면서 'SPQR'를 'Sanato Popolo Qumune Romano'로 풀이하여 구호로 삼았다.[4] 코무네가 지배하던 1184년에 'SENATVS P Q R'가 적힌 동전이 주조되었고 교황령 본국이 제대로 통치하던 1414년과 1517년 사이에도 'SPQR'가 쓰인 동전이 주조되었다.[5]
파일:611px-Insigne_Romanum_coronatum.svg.png
중세부터 사용된 붉은 방패 문장. 현대 로마의 상징이기도 하다.
파일:storia-del-giubileo.jpg 파일:JubileeOf1300InRome.jpg
보니파시오 8세 치하 1300년 로마 시 순례를 묘사한 동시대 그림. 'SPQR'가 적힌 붉은 깃발이 세워져 있다.

이탈리아 왕국 후기에 로마 제국의 영광을 재현하겠다고 외치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의도적으로 이 글자를 자주 썼고 모든 공공건물이나 맨홀 뚜껑, 심지어 쓰레기통에까지 써 놨는데 현재 이탈리아에도 로마에 가면 이 글자가 적힌 공공건물을 볼 수 있다.
파일:external/leejagers.files.wordpress.com/spqr-manhole-cover.jpg
로마 시내의 맨홀 뚜껑.

그러나 난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이탈리아의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SPQR를 자신들의 모토로 사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멋모르고 이를 쓰다가는 이상한 오해를 받을 수 있다.

3. 여담

영국의 역사학자이자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고전학 교수인 메리 비어드(Mary Beard)가 지은 책으로서 한국에는 '로마는 왜 위대해졌는가?'의 제목으로 발매된 단행본의 영어 원제가 'SPQR: A History of Ancient Rome'이다.

파일:AS Roma to Bring Back SPQR Logo on Kits (1).jpg

AS 로마가 메인 스폰서 대신 유니폼에 새긴 적이 있는데, 2016-17 시즌에는 데르비 델라 카피탈레 전용 스페셜 유니폼에 새겼고[6] 2022-23 시즌에는 메인 스폰서였던 디지털비츠에게 스폰서 대금 관련으로 사기를 당하면서 스폰서 계약이 파기되자 2022-23 시즌 잔여 시즌과 23-24 시즌에 대신 유니폼에 새기기도 했다.

[1] 고전 라틴어는 아직 U V가 별개의 음가를 표기하는 문자로 분리되기 전이었다. 가령 Venus는 VENVS(웨누스)였고, Vivarium은 VIVARIVM(위와리움)이었다. [2] 독음: 세나투스 포풀루스퀘 로마누스 [3] Populus는 인민으로도 번역할 수 있지만 자연인이라는 의미를 가진 인민보다는 공화정의 구성원이라는 의미의 시민으로 주로 번역된다. [4] Antonio Pucci, Libro di varie storie (A. P., Libro di varie storie, a cura di Alberto Varvaro, Atti dell'Accademia di Scienze Lettere ed Arti di Palermo, s. IV, vol. XVI, parte II, fasc. II, 1957), pp. 136-137. [5] Monete e Zecche Medievalli Italiane, Elio Biaggi, 2081과 2141 동전. [6] 이 시즌의 AS 로마는 전면 메인 스폰서가 아예 없었고 AS 로마의 유니폼 전면에 메인 스폰서가 다시 돌아온 것은 2017-18 시즌 후반기에 UEFA 챔피언스 리그 4강에 진출한 직후부터 카타르항공과 단기 스폰서 계약을 맺은 것부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