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6:29:56

로마력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 파일:투명.png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카타프락토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마니아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 아레나 \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아스 · 두폰디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데나리우스 · 안토니니아누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1. 개요2. 방식

1. 개요

고대 로마에서 사용하였던 역법. 이 문서에서는 율리우스력 도입 이전의 로마력을 주로 서술한다.

2. 방식

율리우스력 도입 이전의 로마의 달력은 한마디로 난장판이었다. 처음에 사용하던 달력은 1년이 10개월로[1], 31일로 된 달 4개와 30일로 된 달 6개로 이루어진 1년이 304일짜리 달력이었다[2]. 정말 1년을 304일로 정한 것은 아니고, 농업과 관련이 있는 10개월치만 달력을 만들고, 농사를 짓지 않는 두 달의 겨울은 아예 달력을 만들지 않은 것이다. 어쨌든 다음 해에 언제부터 농사를 지을 것인지에 대한 기준으로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는 문제점은 남아 있었다.[3]

그리고 이후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700년 즈음, 고대 로마 2대 왕인 누마 폼필리우스[4]는 이전의 달력을 시대에 달력을 개정해서 겨울의 두 달을 추가하여[5] 1년을 12달로 하고 날 수를 355일로 정했다. 여기에 상황에 따라 윤달을 넣어서 날짜를 맞추는 것이 율리우스력 도입 이전에 로마가 달력을 운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달력이 1년 전체를 다루게 되었지만, 1년의 오차가 10일이나 발생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문제가 되었다. 기본 날짜가 355일이다 보니 달력이 실제 1년보다 열흘이 모자랐다. 이 때문에 날짜가 실제 절기보다 앞서가는 참사가 발생하고, 윤달을 넣고 빼는 것까지 부정확하다 보니 영 실용성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 후에 다시 수정된 로마 공화정 제정 역법에는 1년의 길이가 355일, 378일, 355일, 377일이 총 24년에 걸친 주기에 맞게 되풀이되도록 만들었다.[6] 1~16년까지는 355일(평년) - 377일(윤년) - 355일(평년) - 378일(윤년) 순으로 반복된다. 그 후에는 355일(평년) - 377일(윤년)이 반복되다가 마지막 해에는 원래 377일(윤년)이 와야 하는데 355일(평년)이 오면서 총 24년 동안 8766일이 된다. 즉, 1년이 평균 365.25일이다. 당시로써는 굉장히 정확한 양력 계산이었지만, 1년의 길이가 들쭉날쭉한 것도 문제이며, 복잡한 역법 때문에 적용하기 까다로운 점[7]이 많았다. 이 달력은 율리우스력이 도입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이렇다 보니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시대가 될 무렵에는 달력이 실제 계절과 3개월 정도 차이가 났기 때문에 이집트의 달력을 보고 국내도입이 시급합니다를 외친 것도 당연한 일이었다. 카이사르는 총대를 메고 나서서 로마 역법을 대대적으로 개정하였다. 그래서 율리우스가 1년을 365.25일로 정하는 방식으로[8] 역법을 개정한 것이 바로 율리우스력이다. 날짜와 계절을 맞추느라 기원전 46년은 물경 445일이나 되었고, 이 해는 '혼란스러운 해'라 불렸다. 이후 카이사르가 새로이 표준으로 지키게 한 역법이 율리우스력이다.

나중에 그레고리력이 도입되어 윤년이 추가로 보완될 때까지 거진 2000년을 가까이 사용한 것을 보면, 그 정확도는 놀라운 수준이다.

율리우스력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로마에서 1주일은 8일이었는데, 율리우스력과 함께 7일로 개정되었다. 이는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태양신(샤마쉬), 달의 신(난나), 수성의 신, 금성의 여신(이슈타르), 화성의 신(네르갈), 목성의 신(마르두크), 토성의 신을 섬기고자 정한 7일제도가 그리스와 알렉산드리아를 통해 로마로 전파된 것이다.


[1] 1월, 2월이 없는 [2] 3월, 5월, 7월, 10월은 31일, 나머지는 30일 [3] 때문에 율리우스력을 재도입하자는 주장은 있어도 율리우스력 이전 로마력을 재도입하자는 주장은 사실상 없다. [4] 하지만 이 시가 로마 역사는 역사적으로 불확실한 전설에 가까워서 받아들이기에 조심스럽다. [5] 기존 3월~10월의 일 수도 적절히 조정되었음 [6] 긴 해에는 2월과 3월 사이에 윤달을 넣어 1년이 13개월이 되게 했다. 355일인 해에 2월은 28일, 377일과 378일인 해에 2월은 각각 23, 24일이 되고 27일의 윤달이 2월과 3월 사이에 낀다. [7] 무엇보다 큰 문제점은 당시 로마 종교의 최고 지도자인 폰티펙스 막시무스의 권한으로 윤년이나 평년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렇기에 이상적인 주기가 있음에도 지켜지지 않았고 권력에 의해 악용되기 쉬웠다. [8] 1년은 365일로 하고, 4년에 한 번씩 윤년을 두어 366일로 했다. 그래서 평균 365.25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