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0:28:24

익산역

익산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da5>
호남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서대전·김제 경유)
(일부열차 시종착)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남선 파일:ITX-마음 BI_White.png
(일부열차 시종착)
목포 방면
김 제
17.7 ㎞ →
목포· 광주 방면
김 제
17.7 ㎞ →
시종착
호남선
무궁화호
(일부열차 시종착)
목포· 광주 방면
김 제
17.7 ㎞ →
전라선
무궁화호
(일부열차 시종착)
시종착
시종착
}}}}}}}}}
역명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남선 익산
Iksan
益山 / [ruby(益山, ruby= イクサン)]
장항선
전라선
호남고속선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 (창인동2가)
관리역 등급
관리역
(1급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남선 한국철도공사[2]
전라선
장항선
호남고속선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남선 1912년 3월 6일
군산선 1912년 3월 6일
~ 2007년 12월 31일[a]
전주선 1914년 11월 17일[4]
경전북부선 1930년 1월 11일[5]
~ 1936년 12월 16일[b]
전라선 1936년 12월 16일[b]
장항선 2008년 1월 1일[a]
호남고속선 2015년 4월 2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 2016년 12월 9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새마을호 1975년 11월 15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S-train 2013년 9월 27일
G-train 2015년 2월 5일 }}}}}}}}}
역사 구조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5면 18선 5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익 산
기점
전라선
익 산
장항선
익 산
종점
호남고속선
익 산
한때 정읍역과 이 역 사이에 전북혁신역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다.

1. 개요2. 역 정보
2.1. 역 사진2.2. 입점업소 및 시설 현황2.3. 열차 운행 현황2.4. 역사 신축 및 관련 부대공사2.5. 예정
3. 승강장
3.1. 관련 문서
4. 일평균 이용객5. 연계 교통
5.1. 익산역 복합환승센터(예정)5.2. 익산역 시외버스정류장5.3. 시내버스
6. 사건 사고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익산 역사(동측 광장).png
현 역사 동광장(2014년 준공)
파일:익산 역사(서측 광장).png
현 역사 서광장
파일:익산컨테이너창고.jpg
임시역사 (2010년 준공, 2014년 철거)
파일:external/planar.co.kr/1265663307.jpg
2대 역사(1978년 준공, 2004년 리모델링, 2014년 철거)[9][10]
파일:1937년_이리역.png
초대 역사 (1929년 준공, 1977년 파손)[11]
호남에서 가장 바쁜 역
익산역은 과거 이리역으로 불리던 역으로 1912년 3월 6일 호남선 및 군산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만나는 곳으로 호남의 가장 바쁜 역이다.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발사고 1년 후인 1978년 11월 10일 역사가 신축되었다. 1995년 익산군과의 통합으로 지역명이 익산시로 바뀌면서 역명도 익산역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11월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갖춘 현대식 선상역사로 다시 태어난 역사는 익산의 상징의 보석을 품은 유리 궁전으로 불린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 호남고속선의 중간 정차역이자, 전라선의 기점이자 장항선의 종점역. [12]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 (창인동2가 1) 소재.

호남고속, 호남, 전라, 장항선 운행 계통의 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가 이 역에 필수정차하기 때문에.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가 위치하며, 익산에 육군부사관학교 제7공수특전여단과 군산에 공군 제38전투비행전대가 소재함에 따라 TMO도 설치되어있다. 즉 전북특별자치도 철도교통의 관문이자 중심이라 할만 하다. 경부선 동대구역이 있다면 호남선에는 익산역이 있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두 역의 역할은 판박이다.[13] 이 때문에 이 역에는 호남, 전라, 장항선에서 운행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전부 정차한다.

호남고속선 경부고속선에서 분기한 이후 처음으로 기존선과 접속하는 역이기도 하다.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용산역까지 KTX 소요시간은 가장 빠른 열차 기준으로 1시간 2분이며,[14] 대체로 1시간 15분정도 소요된다.

군산선 장항선으로 통합된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용산에서 출발하는 KTX를 포함한 모든 여객열차는 반드시 익산역에 정차하게 된 적이 있었다. ITX-청춘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지금은 아니다.[15] 기타로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ITX-청춘을 포함한 모든 열차(관광열차 제외)를 운행해 본 역은 대전역이다.[16][17]

2. 역 정보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160206143425-001.jpg
익산역 배선도[18]

현재 사용중인 선상역사는 호남고속철도 3-2공구의 사업의 일부분으로 구 역사 본 건물을 철거해서 같은 자리에 2014년 11월 준공하였다. 양옆 부속건물은 외관을 리모델링하여 구 역사 시절부터 지금까지 사용중이다. 역사 신축공사의 일부분으로 기존에 연결되어 있지 않았던 서부지역에도 광장과 함께 진입통로가 신설되어 역사이용이 더 편리해졌다. 선상역사 내부는 지상1층~4층으로 구성되어있다. (2층은 없음) 1층은 역사 진출입로(에스컬레이터, 계단, 엘레베이터)가 있다. 역사를 바라보는 기준으로 왼쪽 부속건물에 TMO가, 오른쪽 부속 건물에 광주지방철도특별사법경찰대 익산철도경찰센터가 위치해 있다. 3층은 역의 대합실로 고객대기용 의자와 매표창구 4개 (장애인, 노약자용 1개포함), 자동발권기 3대가 운영중이며 각종 자판기와 익산시 무인민원발급기, 동측광장 출입구와 서측광장 출입구가 있으며 맞이방, 수유실, 화장실, KTX특송서비스, 여행상담센터, 플랫폼으로 이동하기 위한 선상통로 출입구가 위치해있다. 동측광장에서 대합실로 들어가는 입구앞에는 물품보관함이 위치해있다.

역사 한켠에 이리역 폭발사고 희생자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2.1. 역 사진

파일:external/www.kr.or.kr/BOARD_201509300216157622.jpg
익산역 동측광장 항공뷰

좌측이 시외버스 정류소, 중앙부분이 중앙지하차도, 우측부분이 동측광장 주차장이다.
파일:attachment/newiksanstation2.jpg
익산역 선로

사진에서 왼쪽으로 뻗어가는 초록색 고가가 전라선, 저 멀리 앞으로 뻗어 올라가는 흰색 고가가 호남고속선, 호남고속선 밑으로 뻗어가는 선로가 호남선, 오른쪽 익산차량사업소 뒤로 회전해 뻗어가는 선로가 장항선이다.

2.2. 입점업소 및 시설 현황

역사 내 상업시설 입점현황은 아래와 같다.
2024년 2월 기준 익산역 내 상업시설 입점 현황
던킨도너츠 도넛류의 빵과 음료를 판매하는 식음료점
스토리웨이 코레일유통이 운영하는 편의점
카페 스토리웨이 코레일유통이 운영하는 카페
Story of l’amant 빵, 음료를 판매하는 카페
마성면 우동리 우동, 김밥 등 분식류를 판매하는 식당
전라북도농특산물전시판매장 전라북도지역의 농특산물을 판매하는 매장
코브라독스 미국식 핫도그와 음료를 판매하는 식음료점

익산역이 선상역사로 신축됨에 따라 익산시 서부권을 연결하기 위해 선상통로가 만들어졌다. 따라서 서부권에 연결하는 통로 출입구에 서측광장과 주차장이 새로 신설되어 익산 서부권 지역 주민들의 익산역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익산역의 주차장은 동측광장이 113면, 서측광장이 372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에서 직접 운영하는 남부주차장이 8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익산대로변 뒷편에 위치하여 초행길엔 찾기 어려울 수 있다. 가는 방법은 익산역 사거리에서 터미널 방향으로 직진,150m 정도 가다 보면 우측에 모든 알뜰 매장이라는 간판이 보이는데 옆에 보이는 골목으로 들어가서 좀만 직진하면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철도이용객이라면 24시간은 무료이다. 단, 승차권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주소: 전북 익산시 익산대로3길 23(도로명 주소) 네비에 입력할 때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창인동2가 1-153번지 라고 쳐서 찍고 가면 된다.

2015년 12월 17일에는 3층 맞이방에 전북여행센터를 개소하였다. 그리고 익산역 승강장 내려가는 길에 철도보안검색기[19]가 설치됐다가 현재 사라진 상태 (2018.8)기준.

2.3. 열차 운행 현황

호남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장항선이 만나는 익산역은 전라도에서 가장 바쁜 역이다. 경전선 경유 광주/목포 착발의 무궁화호 3편성과 광주/순천간 무궁화 8편성, 목포발 광주송정경유 부전행 왕복2편성을 제외한 전라도의 모든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한다. 무궁화호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남행열차가 전라도에서 처음 정차하는 역이며 북행으로 이 역을 출발하면 전라도를 벗어나게 된다. 무궁화호의 경우 2/3 정도가 함열읍의 함열역에 선택정차한다.

호남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열차는 필수 정차하여 잠시 들렸다 가지만 장항선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장항선과 군산선의 일부 구간이 직결된 후 장항행 일반열차의 노선이 연장된 2008년부터는 용산역 착발 장항선 무궁화호 왕복 1편성[20]이 당역에서 시종착하지 않고 이 역 북단에서 호남선에 합류하여 서대전역에서 시종착한 적도 있었으나 2016년 12월 9일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호남고속선 오송-광주송정 개통 직전 이래저래 논란이 많았던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의 서대전역 경유 KTX 기존선 운행의 경우 호남고속선 개통에 따른 별도의 운행계통 분리 후 용산역에서 출발하여 대전조차장역 북단에서 경부고속선에서 분기하여 호남선 서대전역, 계룡역, 논산역을 경유하는 기존선 경유 KTX도 2015년 4월 2일부터 모두 익산역에서 시종착한다.[21]

이 역에서는 남쪽으로는 호남선 열차를 이용해 김제, 신태인, 정읍, 장성, 광주, 광주송정, 나주, 함평, 목포 등으로 갈 수 있으며 호남고속선 KTX 또는 SRT를 이용하여 정읍, 광주송정, 나주, 목포로 갈 수 있다. 전라선 열차를 이용하면 전주, 임실, 남원, 곡성, 순천, 여수 등으로 갈 수 있기도 하다. 시간표는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자.

이 역에서는 북쪽으로 가면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서대전 시종착)[22] 열차를 이용해 논산, 계룡, 서대전, 조치원, 천안, 평택, 수원, 영등포, 용산 등으로 갈 수 있으며, 호남고속선을 이용하면 공주, 오송, 천안아산, 평택지제, 동탄, 수서, 광명, 용산, 서울, 행신으로 갈 수 있다. 장항선 열차는 천안부터 경부선과 합류하며 군산, 대천, 홍성, 아산(KTX, SRT환승), 천안, 영등포, 용산 등으로 갈 수 있다. 2008년 1월 1일 장항선 신장항-신군산-대야 연결선로 개통으로 장항선과의 직결 운행이 성사되기 이전에는 전라선 전주역에서 출발하고 이 역에서 CDC 디젤동차의 방향 전환 후 지선철도인 군산선을 경유하여 군산역(현 군산화물역)까지 운행하는 통근열차가 운행했다.

장항선 전라선은 선로가 용산 방면(호남선을 타면 대전조차장 방면으로 직행하는 구조)으로만 있다. 그러므로 이 둘 노선의 열차가 호남선을 이용해 광주 방면으로 가려면 열차 방향을 바꾸어야 해서 대단히 번거롭다. 당연히 장항선 전라선이 서로 운행 할 경우에도 같은 상황이 발생했다. 참고로 장항선은 단선이고, 호남선 합류 및 분기 시 이 역 북단에서 평면교차하고 어차피 9,10번 홈에 정차하기 때문에 다른 노선 열차 운행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으나, 2011년에 전 구간이 복선전철화가 완료된 전라선은 예전부터 다른 선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단선 시절부터 이미 이 역과 동익산역 구간의 선로가 입체화되어 있었다. 따라서 전라선 상행 열차는 복선전철화 이전에도 호남본선을 고가로 횡단하여 이 역 구내에 진입했었다. 또한, 2020년 말에는 장항선(구 군산선) 익산역~대야역 구간의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어 최근에 선로가 이설되었고[23], 개량 당시 장항선과 전라선을 직결하는 고가 선로도 개통돼서 화물열차들이 이용하고 있다. 다만 이 철도는 익산역을 거치지 않고 익산역 남측에서 호남선과 고가철도로 교차한 후 목천신호소에서 동익산역으로 직결된다.

2.4. 역사 신축 및 관련 부대공사

  • 2010년 2월 24일, 중앙지하차도 확장공사로 인한 통행 통제
  • 2010년 10월 14일, 선상역사 신축공사로 인한 임시역사에서 영업업무 이전
  • 2011년 11월, 호남고속철도 제 3-2공구 모현대교 상판대교 교체 공사 착공
  • 2012년 6월, 모현대교 상판대교 교체 공사 준공
  • 2013년 8월, 선상통로 부분완성되어 기존 지하통로 폐쇄 후 임시역사의 선상통로를 연결하여 사용개시
  • 2014년 7월, 간이환승장 신축공사로 인한 임시 매표소 설치
  • 2014년 11월 21일, 간이환승장(시외버스 정류소·택시승강장) 준공으로 인해 간이환승장 영업 개시
  • 2014년 11월 29일, 선상역사 준공으로 인해 신 역사에서 영업 이전 개시[24]
  • 2014년 12월, 임시역사 철거 및 광장 조성
  • 2016년 11월 18일, 중앙지하차도 확장공사 개통
  • 2018년 7월 14일 ~ 2021년 9월 평화육교 재가설 사업
  • 2022년 익산역 복합환승센터 계획 재추진 이후 확정. 건설 기업 확정 이후 2026년 완공 목표로 추진 중.

2.5. 예정

2025년(예정)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북김제IC 개통시 23번 국도와 조합해 전북혁신도시, 전주시 접근성이 좋아지고 역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예정) 장항선 고속화가 완료되면 서해선 KTX가 이곳까지 연장된다. 또한 새만금선 방면으로 ITX 셔틀 운행 계획도 있고 가능성은 낮지만 서해안선이 장기 추진 중[25]이라 실현되면 호남 서부 방면 거점 역할도 갖추게 된다.

한편 2024년 2월 익산시는 2030년 방문객이 1390만명으로 예상된다고 밝히고, 역사 확장 및 선상 주차장 조성을 추진한다. #

3. 승강장

대합실에서 타는 곳 통로로 진입하여 오른쪽으로 가면 타는 곳 1~4번이 나오고, 왼쪽으로 가면 타는 곳 5~10번이 나온다.
함열· 공주
| | 10 9 | | 8 7 | | 6 5 | | 4 3 | | 2 1 |
대야· 정읍· 김제· 삼례
1·2 호남선 파일:ITX-새마을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정읍· 광주· 목포 방면
전라선 파일:ITX-새마을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전주· 순천· 여수 방면
3 호남선 파일:KTX BI.svg 김제· 광주송정· 목포 방면
전라선 전주· 순천· 여수 방면
4 호남고속선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정읍· 광주송정· 목포 방면
전라선 전주· 순천· 여수 방면
5 호남고속선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천안아산· 용산· 수서 방면
6 호남고속선· 전라선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천안아산· 용산· 수서 방면
호남선· 전라선 파일:KTX BI.svg 서대전· 천안아산· 용산 방면
7·8 호남선· 전라선 파일:ITX-새마을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서대전· 천안· 용산 방면
9·10 장항선 [[새마을호|
새마을호
]]·[[무궁화호|
무궁화호
]]
[[서해금빛열차|
G-train
]]
대천· 온양온천· 아산· 용산 방면
  • 혼동 방지를 위해 KTX와 일반열차 플랫폼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서대전 경유 기존 호남선 KTX는 타는 곳 1번 또는 3번에서 종착하고, 타는 곳 6번에서 출발한다.
  • 호남선 전라선 KTX-산천 또는 SRT 열차의 중련 분리는 타는 곳 4번에서, 중련 연결은 타는 곳 6번에서 이루어진다. 전라선 열차들의 경우 선로 구조상 타는 곳 5번으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열차 시간이 꼬이면 타는 곳 네 플랫폼에 한꺼번에 열차가 정차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많은 열차의 시·종착역인 동시에 승무 교대 및 열차 추월도 집중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1, 2번 또는 7, 8번 타는 곳에 열차가 동시에 정차하고 있는 장면은 하루에도 여러 번 볼 수 있다. 여기서 열차를 타는 경우, 잘못 타지 않도록 열차 행선 표시기나 역사 내 전광판을 주의 깊게 보도록 하자.

같은 호남고속선 상의 정읍역이나 광주송정역보다 훨씬 바쁜 역이다. 그래서 이들 두 역처럼 선로, 플랫폼, 역사를 완전히 뒤엎고 다시 건설하는게 사실상 불가능해서, 타는 곳만 일부 조정하여 신축하고 선로만 교체했으며, 역사는 기존 양 옆 일부분을 남기고 선상역사로 건설되었다.

타는 곳 3~6번에 있는 선로를 다시 까는 작업을 했는데, 이후 이 곳은 고속선 전용 승강장이 되었다. 고속선이 측면에서 합류하는게 아니라 일반선이 갈라지고 그 사이로 고속선이 합류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여담이지만 지붕은 여전히 양 쪽 끝 일부분이 없다.

타는 곳 4번과 5번의 승강장에 호차표지판이 LCD로 설치되었다.

KTX, SRT 필수정차역이므로 통과선로는 따로 없다.

이 역을 중간 정차역으로 하는 전라선, 호남선 서대전 경유 KTX SRT, 호남&전라선 일반열차, 기타 관광열차들의 승무교대는 이 역에서 이뤄진다. 다만 호남선 KTX SRT 광주송정역에서 교대한다.

과거 익산역은 타는 곳 8번까지 존재했다.
  • 타는 곳 1번: 전라선 하행
  • 2번선: (플랫폼 없음/화물열차 전용)
  • 타는 곳 3번: 호남선 하행
  • 타는 곳 4번: 호남선 하행
  • 타는 곳 5번: 호남선 상행
  • 타는 곳 6번: 호남·전라선 상행(익산~여수 무궁화 종착)
  • 타는 곳 7, 8번: 장항선 상·하행(장항선 경유 서대전행 정차)
익산역 주변 식음료판매시설로는 롯데리아, 이디야 등이 있으며 아웃도어 브랜드 매장도 있고 은행들도 위치해있다.[26]

익산시 연고 생맥주 프랜차이즈로 잘 알려진 역전할머니맥주의 원조 가게인 'OB엘베강'이 이 역 동측광장 인근에 있다.

지난 40년간 익산시에서 동측 구도심을 정비하겠다는 계획도 없고 실천도 전무하다.

동측광장은 걸어다니기 적합한 거리이지만 서측광장은 걸어서 가기 애매한 거리라 택시나 자가용을 끌고 모현동이나 배산택지지구로 이동하는 편이 낫다.

역 뒤편인 모현 송학동 주변으로 광범위하게 새뜰마을사업이 이루어져 민간임대와 공공임대아파트들이 즐비하다.

3.1. 관련 문서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288f5,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새마을호)]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2,469명 904명 5,284명 8,657명 [27]
2005년 3,338명 842명 5,384명 9,564명
2006년 3,828명 811명 5,061명 9,700명
2007년 3,733명 820명 4,681명 9,234명
2008년 3,591명 1,085명 5,123명 9,799명
2009년 3,501명 1,160명 5,092명 9,753명
2010년 3,697명 1,273명 5,162명 10,132명
2011년 3,904명 1,347명 5,658명 10,909명
2012년 3,756명 1,149명 5,838명 10,743명
2013년 3,661명 1,152명 5,793명 10,606명
2014년 3,672명 1,338명 5,677명 10,687명
2015년 5,200명 1,481명 5,356명 12,037명
2016년 6,569명 1,848명 1,346명 5,211명 14,974명 [28]
2017년 6,645명 2,705명 1,528명 4,961명 15,839명
2018년 7,412명 3,372명 1,545명 5,019명 17,348명
2019년 8,125명 3,739명 1,564명 5,210명 18,638명
2020년 4,991명 2,864명 965명 3,339명 12,159명
2021년 5,679명 3,205명 1,056명 3,544명 13,484명
2022년 7,738명 3,863명 1,382명 4,134명 17,117명
2023년 8,442명 4,273명 1,765명 3,920명 18,400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연계 교통

5.1. 익산역 복합환승센터(예정)

2015년경 무산된 익산역 복합환승센터를 재추진하기로 결정했고 국가가 추진하는 광역복합환승센터 사업에 선정되었다. 2022년 3월 건설 기업이 결정되었으며 상업시설을 포함한 복합환승센터를 운영할 사업자를 모집한다. 2026년 완공할 예정이며 기존 고속,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 이전하기로 결정되었다.
1. 항상 시정 발전에 협조하여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 귀하가 민원내용은 익산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사업의 진행 사항에 대해 문의하신 걸로 판단됩니다.
3. 우리시는 2022년 상반기에 역세권 개발분야의 전문기업들과 실현가능한 역세권 개발구상 마련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민간의 의견을 반영한 기본구상 수립을 위한 민간사업자 기본구상 공모를 하반기에 시행한 바 있습니다.
4.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역세권 개발에 대한 민간의 의견을 구한 결과, 현재 물가상승,대출금리 상승, 건설 경기의 악화 등 전국적인 대외 여건 변화로 민간이 투자하는 대규모 건설사업 추진이 매우 힘든 상황입니다.
5. 이에 따라 우리시는 공공주도로 지역거점을 육성하고 도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익산역 선상 광역복합환승센터 건립을 국가공모사업과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경제 상황의 악화 등의 대외여건으로 민간기업이 투자하는 복합쇼핑몰 등 상업시설 건설은 취소될 가능성이 커졌다. 대신 버스터미널을 이전 통합하여 공공주도로 건설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5.2. 익산역 시외버스정류장

파일:external/www.jjilbo.com/118757_45907_2259.jpg
2004년 KTX가 익산역에 들어오면서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2015년 4월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시외버스 승객이 전에 비해 약 100%나 증가했다. 개통 이전인 4월 1일 이전에는 100여명이 이용했으나, 개통 이후 1일 평균 205명이 이용한다. # 이 정류장을 기점으로 하는 시외버스는 대부분 익산공용버스터미널을 경유하여 목적지로 간다.

현재 전주, 군산행을 주로 운행하며, 전북혁신도시로의 시외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초기에는 김제행과 부안행도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오전 6시 50분부터 오후 10시 25분까지만 정류소를 개방하며, 그 외 시간에는 운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류소가 문을 닫은 이후인 밤 11시 30분에 출발하는 전주행 막차 및 군산행 막차를 이용하려면, 미리 표를 발권해놓거나 또는 기사님에게 직접 계산하면 된다.
호남권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전주 일 22회 전주고속
전북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군산발 전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익산 발권불가
덕진 0:35 ₩ 3,200 / 3,500(심야)
전주 0:40 ₩ 3,500 / 3,900(심야)
운행시각표 07:10, 07:30, 07:48, 08:15, 08:35, 09:50, 10:25, 11:15, 11:55, 12:35, 13:03, 14:25, 15:00, 16:25, 17:00, 17:15, 18:20, 18:50, 19:45, 20:30, 22:25, 23:30(심야)
배차가 1시간 이상 벌어지는 시간대에 주의하고, 익산공용버스터미널로 가면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 ||
대야
군산
일 20회 전주고속
전북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전주발 군산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익산 발권불가
대야 0:25 ₩ 1,900 / 2,100(심야)
군산 0:45 ₩ 3,200 / 3,500(심야)
운행시각표 07:35, 07:50, 08:15, 08:30, 09:55, 10:55, 11:50, 12:30, 14:53, 15:50, 16:33, 16:55, 18:00, 18:20, 19:00, 19:20, 20:05, 20:40, 20:50, 23:30(심야)
군산역이 시 외곽으로 옮겨지면서 접근성이 낮아졌고, 새마을호 무궁화호 배차가 1시간이라 시외버스 이용이 더 편리하다. 익산공용버스터미널로 가면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 ||
전북혁신도시 일 10회 전북고속
전주고속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군산·익산역발 전주행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익산 발권불가
국민연금공단 0:35 ₩ 3,200
자치인재원 전북혁신도시로 발권 후 탑승
전북혁신도시 0:40 ₩ 3,500
전주 발권불가
운행시각표 08:10(익산, 연금), 10:10(연금), 12:30(연금), 14:40(연금), 15:55(익산, 연금), 17:15(연금), 18:30(인재), 19:20(익산, 연금), 20:10(인재), 21:45(연금)
익산공용버스터미널은 일 3회 군산에서 온 차량이 경유한다. 국민연금공단을 경유하는 버스는 자치인재원에 정차하지 않으며, 반대로 자치인재원을 경유하는 버스는 국민연금공단에 정차하지 않고 바로 혁신도시 정류장으로 향한다.
}}} ||

5.3. 시내버스

익산시 시내버스의 대부분이 익산역을 경유하게 된다.[29] 외곽지역인 함열, 금마, 여산 등으로 갈 수 있고, 아예 벗어나 강경, 군산, 김제, 전주 등으로도 갈 수 있다. 하지만 여느 도시나 그렇다 싶이 외곽으로 나가는 노선은 운행횟수가 적다. 일반버스는 노선이 -1, -2 등으로 갈기갈기 찢어져 흡사 농어촌버스 느낌을 준다. 아래 노선을 보면서 기종점이 같은데 번호가 다른 것을 보고 오해하지 말자. 중간경유지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2015년 8월부터 익산역 동측광장 시외버스 정류소 바로 앞에 새로운 시내버스 승강장이 신설되었다.

터미널 방면만 새로운 승강장이 신설되었다. 기존 익산역 승강장 바로 다음 승강장이며 따로 시내버스 내 방송안내는 송출되나 똑같이 익산역이다.(2020년 6월 현재 첫번째 익산역 정류장은 안내방송이 중앙시장입구 로 바뀌었다. 따라서 익산역을 이용하려면 두번째 정류장에서 내려야 바로 앞이니 참고 바람.)

6. 사건 사고

  • 1950년 이리역 폭격사건[30]
  •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발사고[31]
  • 2016년 여권검사 허위 안내문 사건
    중학생으로 추정되는 청소년이 전라도를 비하하는 내용의 가짜 안내문을 만들어 익산역에 붙이겠다는 글을 인터넷에 올린 후 실제로 붙이는 사건이 있었다. 그 사실이 철도 갤러리 등의 커뮤니티에 퍼지고 코레일에까지 알려졌다. 상황을 파악한 코레일에서 경찰에 신고하였지만, 해당 학생과 부모가 사과를 하여 고발하지 않고 사건이 종결되었다. 아래 사진은 해당 학생이 만든 안내문이다.
    파일:호남선여권검사.jpg
    호남선 여권검사 안내문

    □ 호남선 국제열차 이용시 꼭 여권을 지참 해주시기 바랍니다. 전라민국으로 향하는 모든 열차를 테러 위협과 전라민국과의 분쟁으로 인해 익산역에서부터 여권검사를 실시합니다.

    따라서 KTX,새마을,무궁화호 열차에서 여권검사를 실시합니다. 여권을 소지 하지 경우 익산역에서 되오니 양해 바랍니다.

    ※ 2016 8. 27부터는 장항선도 추 여권검사

    □ 시행일:2016.08.27 [월]

    ※ 8월 27일부터 여권검사 시행

    □ 기타 : 여권미소지[32] 강제하차 가능

    한국철도공사 사장

    전라민국이라는 특정 지역 비하 관련 내용을 인쇄하여 뿌리는 것도 문제이지만, 그 이전에 해당 사건은 엄연한 공문서 위조다.
  • 2017년, 새마을호 충돌 사고
    새마을호 퇴역 1년전, 용산발 익산행 #1157호 새마을호 열차가 입환을 위해 객차검수 2번선으로 이동하다 후부에서 출발을 위해 10번선으로 이동하던 #1160 새마을호 열차를 충돌한 사건. 모두 입환작업 중이었던 열차였으므로 인명피해는 없었다. 국토교통부는 ‘새마을호 여객열차 추진운전 중 역무원이 입환 전호를 연속적으로 시행하지 않은 것과 기관사가 입환 전호 확인을 소홀히 하여 열차가 충돌한 것’으로 사고원인을 파악했다.

7. 기타

  • 2010년 6월부터 약 1년 반정도 매 30분과 정시에 나훈아의 노래 고향역을 틀어준 적이 있다. 2014년 12월 기준으로 매 정시마다 계속 틀어주는 중. 작곡가 임종수가 황등역에서 당시 이리역까지 기차를 타고 통학을 했는데, 그 때의 추억을 살려 만든 노래라고 한다.
  • 새마을호 종운후 객차들이 익산역에 남아있었으나 2018년 9월 1일 기준으로는 없어진 걸로 보임.
  • 2020년 이전까지 익산역 남쪽으로는 장항선과 전라선이 분기한 이후 아주 짧은 거리나마 호남고속선과 호남선(기존선)이 선로를 공유하는 복선 구간이 있었다. 이는 이 구간에 설치된 도로 육교인 평화육교 때문인데 호남고속선 공사 당시인 2009년에 평화육교가 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았고, 호남고속선 공사로 인해 교각이 기우는 등 평화육교의 안전성이 심각한 위협을 받아 이 부분만은 공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 이 구간을 복복선화하려면 평화육교를 철거해야하는데 철거 및 재가설 사업비를 국비로 할지 시비로 할지 여부를 두고 익산시와 기획재정부의 의견이 대립하여 재가설 공사에 착수하지 못했으나 결국 80%를 국비로 지원받는 것으로 결정되어 2018년 7월 14일에 재가설 공사를 착공하였다. 이후 이 구간은 2020년 9월에 평화육교 완공과 함께 비로소 복복선화가 완료되었다.

파일:1594212252449.jpg
  • 유라시아 대륙철도 거점역을 기원하며 광장에는 익산발 런던행 기차표가 있다. (무려 가격이 95만원 ㄷㄷ 뭐 런던까지가니 그럴만도하다...차라리 비행기가 더 좋을듯하다..)[33] 사실 출발일 7월 8일은 백제역사 유적지구 유네스코 등재일(2015.7.8.)을, 소요일수 11일은 국보 제11호 미륵사지 석탑을, 6호차 28A는[34] 철도의 날(6.28.)을, 운임요금 950,510원은 익산군과 이리시 통합일(1995.5.10.)을 상징한다.

  • 2021년 현재 새마을호 계통 취급이 가장 오래된 역이다. 현재 운행 중인 장항선 새마을호[35][36]의 운행개시는 1991년이지만, 이 역은 그보다 훨씬 이전인 1975년 호남선 새마을호 첫 운행 시작 당시부터 취급을 시작했기 때문이다.[37]

파일:익산태블릿자동.jpg
  • 2019년 10월 20일에 확인한 결과 신형 태블릿 자동발매기 2기가 설치되었다.

8. 둘러보기

호남고속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호남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여객영업 X
}}}}}}}}}

장항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안함
}}}}}}}}}

전라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여객영업 X
}}}}}}}}}

군산화물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취소선:폐역
}}}}}}}}}

파일:익산시 CI.svg 익산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철도 호남선 익산역 · 함열역
장항선 익산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25.svg 호남 ( 삼례IC · 익산JC)
국도 1 · 21 · 23 · 26 · 27
국가지원지방도 68
지방도 706 · 711 · 718 · 720 · 722 · 724 · 740 · 741 · 799
익산시의 로
버스 시내버스 익산시 시내버스
시외 · 고속버스 익산 · 금마 · 여산 · 함열 · 익산역 · 원광대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



[1] 일부 열차가 정차하며 대야역을 통과하는 열차의 경우 바로 군산역으로 직행한다. [2] 한국철도공사에서 SRT 매표업무를 위탁계약에 따라 함께 처리한다. [a] 장항선 연결로 노선을 통합한 날짜 [4] 이리~전주 구간 개통일( 협궤로 개설) [5] 표준궤화로 호남선과 직결된 날짜 [b] 現 전라선 구간이 완전 연결된 날짜 [b] [a] [9] 다만 철거가 2014년인 것이고, 사용 자체는 2010년 10월 13일까지만 했다. 출처 [10] 다만 2대 역사의 양 끝 부분은 현재까지도 리모델링하여 사용중이다. [11] 사고 이후에도 건물의 일부만 남아있다가 1978년 말에 철거되었다. [12] 본래 군산선의 시점역이었으나, 장항 - 군산선 통합 이후 장항선의 종점역이 되었다. [13] 동대구역 경부고속선, 경부선, 동해선(동해선은 대구선 경유, 가천역에서 대구선으로 분기한다. 심지어 두 역은 차량 주박시설까지 똑같이 갖추고 있다.), 경전선( 미전신호소 분기)으로 가는 열차가 갈라지는 곳이고, 익산역은 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가 갈라지는 곳이다. [14] 용산 - 익산 - 광주송정에만 정차하는 KTX-청룡 #425 열차 [15] 몇 편성이 빠질 뿐 거의 필수정차나 마찬가지이므로 전라도의 1일 열차 정차횟수 당연히 1위이다. 용산역에서 출발한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3선이 접속되는 역이기 때문. 그런 특성으로 서울까지의 철도접근성이 전라도 전체에서 가장 우수하다. 이용 인원을 놓고 보면 광주송정역보다는 밀리지만 서대전역보다 많다. 한동안 호남선에서 가장 큰 역이라고 볼 수 있었는데, 일단 호남선이 지나가는 도시 중 익산보다 큰 도시는 대전 광주밖에 없다(게다가 광산군/송정시가 존재하던 시절에는 호남선은 광주시 관내를 아예 지나가지도 않았다). 익산의 도시 규모는 대전, 광주에 비하면 한참 밀리지만 대전과 광주의 호남선 주요역인 서대전역 광주송정역은 각각 대전역(경부선)과 광주역(광주선, 광주광역시 관내 고속철도 정차역을 광주송정역으로 일원화하기 전에 한정해서)에 밀리기 때문이다. 물론 현재는 광주역 광주송정역의 위상은 완전히 역전되었다. [16] ITX-청춘은 폐지되었으며 누리로 충북선에서 운행했으나 태백선 차출로 폐지되었으며, 나머지는 경부선을 운행한다. [17] 하지만 KTX-이음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대전역도 모든 열차를 운행해 본 타이틀은 잃게 되었다. [18] 2020년 10월 9일 확인한 결과 서부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이 분기되는 구간은 복복선으로 선로가 변경되었다. [19] 공항에 있는 설비와 거의 유사하다. [20] 2010년 10월까지는 왕복 4편성 [21] KTX 서대전 경유 일부 열차는 2016년 12월 9일 시간표 개정에 따라 목포 여수까지 연장 운행하는 중이며, 이 중 목포행 KTX의 경우 2019년 9월 16일 이후 익산역 이남 고속선 진입 대신 이 역 이남으로도 모두 기존선을 운행하게 된다. [22] 현재는 장항선 경유 서대전행 무궁화호 운행이 폐지되어 용산역에서 시발하여 장항 경유 운행계통, 즉 군산 방면에서 오는 모든 장항선 새마을호 및 무궁화호 열차는 익산역에 종착한다. 다만 광주역에서 착발하는 서대전역 시종착 무궁화호 열차는 남아있다. 오전시간대 1일 1왕복으로 운행하는 실정인데, 본래 이 열차의 경우 대전역 착발이었으나 대전선 대전-서대전 선로 운행 중지에 따라 2015년 4월 2일부터 서대전역 착발로 바뀌었다. 과거 대전발 목포행의 경우에도 옛 호남선의 본선이자 대전역에서 서대전역까지 단선으로 선로가 연결된 대전선을 경유했다. [23] 대야-익산 간 선로 이설 과정에서 임피역과 오산리역이 폐역되었다. [24] 단, 부속건물은 외관 리모델링 후 활용 [25]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추가검토노선에 선정 [26] 2023년 11월 기준, KB국민은행 익산지점, 전북은행 익산지점, 우리은행 익산지점, NH농협은행 익산중앙지점, SC제일은행 익산지점의 1금융권 은행과 익산 농협 창인지점, 익산중앙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 점포도 있다. 하나은행의 경우 익산공단지점으로 통합했기 때문에 톡톡라운지를 설치 했다. [27]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28]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29] 익산역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더라도 인근 정류장인 중앙동이나 삼광교회를 지나간다. [30] 6.25 전쟁 당시 미군 폭격기가 이리역에 공습을 가한 사건. 당초 미 공군의 공습 목표는 평택역이었는데, 이리역을 평택역으로 오인했다고 한다. [31] 그 당시는 이리가 익산에서 떨어져 나가 시(市)로 있었고 역 이름도 익산역이 아닌 이리역이었기 때문에 '이리역 폭발사고'라고 명명함. 무엇보다 그 사고로 인해 이리시라고 하면 "아, 그 열차 폭발한 동네?"라는 안 좋은 인식이 생겼고, 때문에 익산보다 이리의 인구가 더 많았음에도 통합도시명을 익산시로 정했다고 한다.(실상은 옛 익산군의 통합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아서 양보하려는 목적으로 그리 됐다고 한다.) 그리고 이리시가 익산시로 바뀌고 두어 달 후 이리역이 익산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비슷한 경우로 사천군과 통합했지만 관용어구 때문에 도시명을 포기한 삼천포시가 있다. [32] 여권미소지 가 더 적절한 표현이다. [33] 아닌 게 아니라 영국항공 인천 - 런던 이코노미 직항표 가격이 70만원 정도이다. [34] 실제로는 28A석은 한국에서 운행하는 열차에 존재하지 않는 좌석이다. 그도 그럴 것이 28A석이 존재하려면 좌석이 무려 28열이 있어야 한다는 말인데, 이러면 현재 운행하는 차량의 길이를 훨씬 더 늘려야 한다. 참고로 KTX-1 KTX-산천은 최대 15열, KTX-이음, ITX-새마을, 그리고 ITX-마음은 최대 19열까지 있다. 다만 알파벳 표시가 없는 28석은 무궁화호에 존재한다. [35] 장항선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장항과 군산을 경유하여 익산역까지 들어오게 된 시점은 2008년 1월 1일부터였다. 2007년 12월 31일까지는 장항역까지 운행했다. [36] 여담으로, 호남선과 전라선은 경부선, 경전선과 함께 2014년 5월 12일부터 기존 새마을호를 대체하는 ITX-새마을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정규 새마을호 편성은 2014년 6월 30일자로(서류상으로는 2015년 4월 2일 전면 대체) ITX-새마을 열차로 대체되었다. [37] 수원/ 영등포역은 새마을호를 1986년부터 취급하기 시작했고, 용산역은 호남선/전라선/장항선 일반열차의 시종착역이 된 2004년부터 새마을호 및 무궁화호가 모두 시종착하며 그 전까지 무궁화호와 새마을호는 전부 서울역 착발이었다. 참고로 통일호는 2004년 4월 1일 고속철도 개통과 동시에 운행을 종료하고 폐지되었으나, 2008년 1월 군산선 대야역에서 장항선과 직결되기 전까지 군산-전라선 직결 운행 노선에 완행열차가 투입되어 통일호 폐지 이후로도 통근열차로 변경된 상태로 2007년 말까지 군산역에서 전주역(2006년 10월까지 일부 열차는 임실역)까지 이 역을 경유하는 CDC 디젤동차가 운행되어 통근형 통일호는 2008년 1월 1일부터 이 역에서 모두 사라졌다. 당시 통근열차 운행 중지에 따른 대체 편성으로 동년 4월까지 익산-서천 새마을호, 익산-군산 무궁화호가 임시로 운행했다. [38] 중간에 혼동하기 쉬운 구간은 있다. 논산 시내 구간 앞뒤로 있는 화산사거리와 덕지삼거리인데, 대전방향으로는 화산사거리에서 오른쪽 1시방향으로 가야 계백로가 이어진다. 물론 직진해도 어차피 쭉 가다보면 덕지삼거리에서 다시 계백로와 합류하기 때문에 별로 상관이 없다. [39] 단, 세부적으로는 호남선과 미묘한 차이가 존재하며, 오히려 대전-논산 구간에서는 호남선 철도가 계백로 도로보다 굴곡이 심하며 논산시와 계룡시 사이에 일명 개태사 드리프트라고 불리는 등 악명높은 구간이 존재하며, 2015년 4월 호남고속선 개통 직전까지 호남고속철도(호남선 및 전라선 KTX)의 시간이 오래 걸렸던 특징이 있다. 서대전역 계룡역 사이에도 계백로보다 한참 남쪽으로 달리는 구간이 대부분인데, 특히 흑석리역은 국도 지정 구간인 계백로보다 한참 남쪽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