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로 종종 불리는 한국의 통신위성에 대한 내용은 무궁화 위성 문서 참고하십시오.
2023년 9월부터 이 열차의 후신으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의 열차 등급에 대한 내용은 ITX-마음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국철도공사의 여객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005bac><colcolor=#fff> 고속
|
KTX, KTX-산천, KTX-청룡, SRT( SR 운영) |
준고속 | KTX-이음 | |
특급 | ITX-청춘 | |
급행 |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 |
무궁화호, 누리로 | ||
특급/급행 광역전철 | ||
보통 | 일반 광역전철 | |
관광 | 틀 참고 | |
폐지 | 관광호, 비둘기호, 통근열차, 통일호 | }}}}}}}}} |
한국철도공사의 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005bac><colcolor=#fff> -1969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준급열차 | 보통열차 | |||
1969-1974 | 관광호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
1974-1977 | 새마을호 | |||||||
1977-1982 | 우등열차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
보통열차 | ||||||||
1982-1984 | ||||||||
1984-2000 | 무궁화호 | 통일호 | 비둘기호 | |||||
2000-2004 | - | |||||||
2004-2009 |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09-2010 | ||||||||
2010-2012 | 무궁화호 | |||||||
2012-2014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14-2021 | 무궁화호 | |||||||
2021-2023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23-2024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
2024-현재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
}}}}}}}}} |
<colbgcolor=#f55839><colcolor=#fff> 무궁화호 Mugunghwa Train[1] | 無窮花號 |
|
디젤기관차 견인 무궁화호 | |
전기기관차 견인 무궁화호 | |
운영사 |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1984년 1월 1일 ([dday(1984-01-01)]일, [age(1984-01-01)]주년) |
열차 등급 | 급행열차 |
운행 노선 | 문단 참고 |
사용 차량 |
8200호대 전기기관차 8500호대 전기기관차[임시열차] 7300~7500호대 디젤기관차 4400호대 기관차 교외선 운행 예정 리미트 객차 나뭇결 객차 클래식 객차 발전차 |
[clearfix]
1. 개요
무궁화호는 한국철도공사가 운행하는 열차의 한 등급이다. 광역철도를 제외하면 누리로와 같은 최하위 등급이다.2000년대 초반까지 대한민국의 장거리 철도 교통을 책임지다가 2004년에 생긴 KTX에 밀려 빠르게 쇠퇴하였다. 그나마 철도 여행의 낭만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이나 경제 사정을 고려해야하는 서민층들, 그리고 무엇보다 비싼 돈 주고 가기는 애매한 중단거리[3]나 무궁화밖에 선택지가 없는 교통 취약지역 위주로 꾸준히 수요가 있어서 통일호, 비둘기호, 통근열차가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진 지금도 운행되고 있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2. 운임
무궁화호 운임 및 요금 | |
<rowcolor=#fff> 기본운임(40km 이내) | 이후 1km당 운임 |
2,600원 | 65원 |
해당 이용구간에 따라 기본요금 거리가 달라질 수 있음. (기존선-고속선 연계이동 및 다른 특급/급행등급 열차 환승 등) | |
부가운임 징수: 부정한 방법으로 할인요금 지불, 운임 미지불, 정기 승차권 부정 사용, 불법 발권 등 정당하지 못한 승차권 | |
벌칙: 부가운임 수수 혹은 법률조치(구류, 징역, 과료의 형) |
어느정도냐면, 무려 전철인 신분당선보다 빨리, 멀리, 그리고 싸게 간다.
그러나 200km 이상의 장거리 이동의 경우 고속철도인 KTX, SRT와 저비용 항공사에 밀리는 편이지만,[4] 시외/고속버스의 지속적인 운임 인상과 일반고속/시외버스의 지속적인 폐지로 인해 대부분 구간에서 시외/고속버스에 비해 요금이 더 낮아지게 되었다.[5]
3. 역사
<nopad> | |
<rowcolor=#ffffff> 우등열차 시절 | 1992년 용산역 |
명칭 자체는 1947년 호남선에서 운행을 개시한 서부해방자호가 2년 후 이름을 무궁화호로 바꾼 것에서 시작된다. 이후 이 열차는 6.25전쟁으로 폐지되었다가 1955년 경부선 급행 왕복 1편성에 다시 무궁화호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가 중구난방인 열차이름을 정리하며 이름이 사라졌다. 또 다시 시간이 흘러 1969년 관광호의 운행 개시 이후 특급열차( 통일호)와 관광호의 간극이 너무 크다는 이유로 1977년 8월 13일 우등열차 가 신설된다. 이 우등열차가 1984년 이름을 무궁화호로 바꾸게 된다. 객차는 탕엥과 대우중공업에서 도입했으며 좌석과 시트는 통일호와 동일했지만 에어컨 탑재와 식당차 운용 등의 차이점이 있었다.
1980년 청량리-동해 구간에 EEC 전동차 투입과 함께 침대차의 운행이 개시되었고 1984년 열차 등급 조정에 따라 무궁화호로 개칭되며 무궁화호 동차가 도입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좌석이 리클라이닝 시트로 교체되었고 일반실 좌석 배열을 3-2로 설정하였다. 무궁화호의 수송력 확대와 새마을호의 위상 유지를 위해 이러한 변화를 주었다.
1992년 8월 진행된 열차명 공모에 따라 1993년 평화호로 개명될 뻔했다가 무산된 전력이 있다. 당시 발표된 열차 이름은 다음과 같다.
<rowcolor=#fff> 기존 | 변경 | 비고 |
새마을 | 새나라 | |
무궁화 | 평화 | |
통일 | 통일 | 당선작 없음 |
비둘기 | 삼천리 |
1994년부터 좌석의 간격과 크기가 늘어난 장대형 객차가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1986~1989년에 들어온 객차들의 좌석 변경과 콘센트 설치 등 시설의 개선이 일부 실시되었다. 이후 1997년 도입분부터 전 열차의 1~4, 69~72석에 콘센트를 설치함과 동시에 장대형 객차 이전의 열차는 신형 객차와 동일하게 개조하거나 통일호로 격하되었다.[6]
2004년 3월까지의 무궁화호는 지금의 인식과 달리 차내 승무원 및 식당차가 필수적으로 있었던 고급 열차로서, 중산층 중에서도 소득이 높은 사람들이 주로 이용했다. 그러다가 비둘기호와 통일호의 퇴역으로 무궁화호가 그 역할까지 떠맡게 된 것이다. 그랬던 덕에 초창기 무궁화호는 요즘 새마을급의 정차역 수를 자랑했다. 다음은 노선별 무궁화호의 초창기 정차역이다.
<colcolor=#fff> 1984년 1월 1일 기준 각 노선별 무궁화호 정차역 목록 | |
<colbgcolor=#0054a6> 경부선 | 서울역 - 영등포역 - 수원역 -[7] 천안역 - 조치원역 - 대전역 - 옥천역 - 영동역 - 김천역 - 구미역 - 왜관역 - 대구역 - 동대구역 -[8] 밀양역 - 삼랑진역 - 구포역 - 부산역 |
호남선 | 조치원역/대전역 - 서대전역 - 두계역[9] - 논산역 - 강경역 - 함열역 - 이리역[10] - 김제역 - 신태인역 - 정주역[11] - 장성역 - 송정리역[12] - 영산포역[13] - 학교역[14] - 목포역 |
전라선 | 이리역[15] - 전주역 - 남원역 - 곡성역 - 구례구역 - 순천역 - 여수역[16] |
장항선 | 천안역 - 온양온천역 - 도고온천역 - 신례원역 - 예산역 - 삽교역 - 홍성역 - 광천역 - 대천역 - 웅천역 - 판교역 - 서천역 - 장항역 |
중앙선 | 청량리역 - 양평역 - 원주역 - 제천역 - 도담역 - 단양역 - 풍기역 - 영주역 - 안동역 |
태백- 영동선 | 제천역 - 쌍룡역 - 영월역 - 석항역 - 예미역 - 증산역[17] - 사북역 - 고한역 - 황지역[18] - 통리역 - 도계역 - 북평역[19] |
경전선 | 삼랑진역 - 진영역 - 창원역 - 마산역 - 함안역 - 군북역 - 반성역 - 진주역 - 순천역 - 광주역[20] |
1984년
1월 이후 운행개시 노선의 무궁화호 최초정차역 목록 |
|
경춘선[21] | 청량리역 - 성북역[22] - 청평역 - 가평역 - 남춘천역 - 춘천역 |
동해-영동선[23] | 부산역 - 부전역 - 해운대역 - 좌천역 - 울산역[24] - 경주역 - 영천역 - 의성역 - 안동역 - 영주역 - 봉화역 - 춘양역 - 현동역 - 석포역 - 철암역 - 통리역 |
충북선[25] | 조치원역 - 청주역 - 오근장역 - 증평역 - 음성역 - 주덕역 - 충주역 - 제천역 |
경북선[26][27] | 김천역 - 옥산역 - 청리역 - 상주역 - 백원역 - 함창역 - 점촌역 - 용궁역 - 개포역 - 예천역 - 영주역 |
동부경전선, 동해선 빼고는 계통별로 정차역이 최대 20개 미만이었다. 현재 ITX-새마을의 정차역과 유사하다.
최고 전성기를 달렸던 2000년대 초반에는 (KTX 개통 이전) 경부선, 호남선, 그리고 일부 전라선의 경우 중련 디젤기관차+객차 10-11량+발전차까지 해서 무려 13-14량을 운행한 적이 있었다.[28] 그만큼 철도 수송량이 많았다는 뜻이다.[29]
2001년 침대차[30] 및 식당차 교체, 노후 객차 서비스용 투입[31], 신형 객차 제작 등의 변화가 있었지만 최저 입찰제로 인하여 원가 절감이 이어진 결과 2001년~2003년에 제작한 객차에서는 출입문 감소, 냉방 장치의 하자 등 많은 결점이 발생하였다. 이후 KTX 개통에 따라 사실상 무궁화호가 최하위 등급이 되었고, 특실도 폐지되었다.[32] 또한 디젤기관차를 중련하여 13-14량 운행하던 중련장대편성도 KTX 개통 후 전라선 1편성으로 크게 감축, 2006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바둑 / 인터넷 / 놀이방 객차[33], 식당차 등도 2008년 전라선을 끝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식당차를 대신하여 카페객차가 영업을 개시하긴 했으나 적자 누적으로 2017년에 모두 영업이 중단되었고 이후 입석 객차로 개조되거나 폐차되었다. 따라서 지금의 무궁화호와 과거의 무궁화호의 위상은 완전히 다르며, KTX 개통전의 무궁화호는 지금의 새마을 등급의 열차라고 보면 된다.
2003년부터는 8200호대 전기 기관차가 투입되어 발전차가 없는 편성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높은 가감속으로 운행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경부선과 호남선은 전 구간을 전기기관차가 달리게 되면서 증속이 이뤄졌고, 정차역이 늘어나도 이를 만회할 수가 있었다.
2008~2009년에는 레일크루즈 해랑의 운행을 위해 20량을, 카페열차 운행을 위해 90량을 차출하였고 중단거리 노선의 경우에도 미니 카페가 투입되었다. 이후 새마을호 운행이 축소되자 대체되기도 했으며[34] 지방 중, 단거리 노선에 통근열차가 폐지되자 기존 통근열차를 개조, 승격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2014년 기존 새마을호가 ITX-새마을로 변경되면서 낮시간대 열차 일부가 ITX-새마을로 승격되고 야간열차가 무궁화호로 변경되는 조정이 있었다. 이는 정비에 따른 심야 단전 때문에 전동차인 ITX-새마을을 운행할 수 없기 때문으로, 야간 무궁화호는 디젤 기관차가 견인하다가 선로 점검 시간 확보 및 수익성 악화 등을 이유로 점차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객차 신규 제작은 없는 반면 노후화로 인한 폐차는 계속 진행되어 2023년 1월 한때 10-11량이었던 경부선/호남선 열차는 5~7량으로, 6량이었던 중앙/태백선 열차들은 4량으로, 5량이었던 경북선 열차는 운행 구간 조정과 함께 3량으로, 충북선열차도 3량으로 감축되었다. 또한 저조한 수익성과 야간정비시간 확보 문제로 인해 야간열차가 모두 폐지되었으며, 뿐만 아니라 고속열차 운행 초창기에 시도되었다가 실패했었던 일반열차 셔틀화가 다시 추진됨에 따라 서울 - 부산/용산 - 광주/용산 - 목포/용산 - 여수 등의 장거리 운행 계통에 대한 감축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20년 6월 23일 기준 손병석 사장의 지시로 파란 도색을 없앤 차량이 출현했다가 사장이 바뀌고 다시 복구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여객열차에 동력분산식 차량 위주로 발주를 진행하고 있어서 무궁화호의 퇴역 이후에는 일부 관광열차를 제외하면 객차형 열차는 보기 힘들어질 전망이다.
2028년까지 무궁화호를 ITX-마음 열차로 전부 교체할 계획이 있기 때문에 2028년이 되면 무궁화호 열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4. 특징
새마을호와 같은 급행 열차로 거의 모든 노선에서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과 같이 다니는 서울 - 천안, 청량리 - 용문 구간에서는 급행 역할을[35], 이외의 구간에서는 최하위 등급으로 운행되고 있다. 여기에 새마을호는 주요 간선에서만 운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일반열차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대경선 구미 - 경산 구간에서는 급행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운행 가능한 최고 속도는 150km/h이다. 그러나 선형, 역, 절연구간, 선로전환기, 선로용량 등에 따라 제한되어, 선형이 좋은 일부 구간[36]에서는 150km/h 부근까지 속력을 내기도 하지만 상당수의 노선/구간에서는 120~135km/h 정도까지만 속력을 낸다.
1984년에 운행을 개시한 NDC는 2010년 2월 16일 부로 운행이 종료되었으나 비즈니스 동차가 남아 2015년까지 비정기적으로 운행했으며 현재 철도박물관에 정태보존되었다.
KTX가 개통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까지도 최저요금이 40km까지 2,600원으로 매우 저렴하다.[37] 참고로 1993년 당시 최저운임은 100km까지 2,500원이었다. 단거리를 싸고 빠르게 가는 사람들, 내일로 여행을 하는 대학생들, 국도를 많이 이용하는 시외버스[38]를 꺼리는 사람들이 주로 탄다.
서울 - 수원의 경우 광역 전철[39]로는 1시간, 동대구 - 하양/ 영천의 경우 시내버스로 45분/1시간 10분, 구포 - 부산의 경우 50분이 걸리는 반면 무궁화호의 경우 기본요금 만으로 각각 30분, 20분/30분, 12분만에 도착할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실제로 물금 - 화명 - 구포 - 부산/ 부전 - 신해운대 구간에서도 부산 도시철도의 급행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40]
특히 천안 - 영등포 구간은 경기 이남과 서울을 오가는 사람들로 매진이 일상이고, 위 사진처럼 입석 승객들로 항상 북적인다.[41] 2023년을 기준으로 열차 편성이 짧아지면서 조치원역- 평택역, 동대구역- 하양역 등 출퇴근 수요가 꾸준한 구간에서는 혼잡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배차 간격이 뜸한 시간대에 운행되는 열차는 예전보다 더욱 빨리 매진되고 있다.
2022년 7월 30일을 끝으로 폐지된 야간열차의 경우 모두 무궁화호 열차로만 운행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천안 - 서울 구간에서는 배차 간격도 1시간에 2~5대 수준이고 요금도 수원 - 서울이 2,700원으로 매우 저렴하고[42] 표정속도도 82~99km/h 정도이기 때문에 좌석급행 역할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중앙선에서도 청량리-용문 기준 시간은 약 40분에 표정속도 80~87km/h, 요금은 3,800원으로 유사한 기능을 하긴 하지만 무궁화호의 배차 간격이 2시간에 1대 수준으로 너무 길어[43] 경부선에서만큼 많은 이들에게 확실하게 좌석급행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기엔 어렵다.
5. 누리로와의 관계
2009년 6월부터 누리로가 운행을 시작함에 따라, 한때는 누리로가 이후 무궁화호를[44]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누리로는 최초 도입분 8개 편성 이후의 추가 도입분이 없는 반면, 훗날 ITX-마음의 도입 계획이 수립되면서 사실상 무궁화호 대체 역할은 ITX-마음에게 넘겨졌다. 2024년 현재, 누리로는 열차 이름만 별도 지정되어 있을 뿐, 일종의 전동차형 무궁화호 성격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위탁생산을 맡은 SLS 중공업이 사라져 추가 차량도입도 곤란하다.6. 안내방송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대한민국 문서 참고하십시오.LCD 안내기의 정보표출에 관해서는 차내전광판 문서 참조.
7. 시설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의 객실 |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의 화장실[45] |
무궁화호는 다양한 시기에 도입된 객차들이 혼합되어 운행하기 때문에 복불복이 심각한 편이다.[46] 그러나 현재 오래된 객차는 퇴역 수순을 밟고 있어 이 문제도 줄어들고 있다.
좌석은 장애인석, 미니카페[47], RDC 등을 제외하면 72석이 배치되어 있다. 나뭇결 후기형 객차나 리미트 객차는 양 끝에 콘센트와 테이블도 설치되어 있다.
리미트 객차의 경우 설계 문제로 에어컨 효율도 나쁘고 출입문이 1량당 한곳에만 있어 승하차 지연이 일어나기 쉽다.
카페객차의 경우 각종 편의시설이 있었으나 대부분 입석 전용 객차로 개조되어 운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mini 카페 객차는 개조 없이 운행 중이다.
장애인 객차의 경우 객차 내 안내방송을 위한 방송실 내 Windows XP 운영체제 컴퓨터와 LCD 모니터가 있으며 관광열차 홍보 영상, 철도사진공모전에 입상된 사진들과 도착역명을 보여준다. 그리고 열차속도가 130km/h이상일 경우 화면 좌측상단에 현재 열차속도가 붉은색으로 표시되며, 역사 간 구간의 피크속도가 잠깐 표시되기도 한다.
리미트 객차를 제외한 대부분 객차는 경우 창가 좌석의 발 쪽에 있는 난방기로 난방을 하므로, 다리와 발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부 무궁화호 객차의 좌석 시트가 교체되고 있다. #
2020년 12월 29일부터 통신사와 무관하게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유기 자체는 특정 통신사 제품이지만 통신사와 무관하게 연결할 수 있다. # 다만 2021년 와이파이가 없는 객차나 설치되어 있더라도 고장 등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아직 있다. 또한 동작하더라도 객차 내 사람이 많으면 속도는 기대하지 않는 게 좋다.[48] 만약 와이파이를 우선한다면 입석 전용칸의 경우 100% 와이파이가 설치되었으므로 그곳으로 가는 것을 추천한다.
8. 우편물/병력 수송
KTX 개통 이전 지방 노선에 소화물차나 우편차가 1량 연결되어 정차역마다 소화물/우편물 취급을 수행했는데, KTX 개통 후 한국철도공사가 철도소화물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볼 수 없게 되었다가 2018년 7월, 우정사업본부와의 업무협약에 따라 우체국 당일특급 우편물에 한해 서울-동대구 무궁화호가 다시 우편물을 수송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에코레일 자전거열차로 사용되던 일부 화차가 우편차로 개조되었다.
2023년 3월 경 우체국 당일특급 서비스 종료로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24년 10월부터 롯데글로벌로지스와 업무협약을 맺어 중검수 및 도색변경을 거쳐 운행을 재개하였다.
군용열차로의 이용 역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매주 목요일에 운행하는 장성( 상무대)→ 동두천간[49] #2696열차가 있으며 신연무대( 육군훈련소) → 춘천간 건설무궁화 #1492열차도 있었으나 무궁화 객차 부족으로 인해 2020년 8월부터 리미트 객차 개조형 건설새마을 #2692열차로 변경되어 신병들을 수송하고 있다.
그리고 국군의무대에서도 무궁화호 등급으로 운영되는 특별한 객차를 운행 중이다. 얼핏 봐서는 하체는 새마을호 상체 도색과 창문은 무궁화호 창문에 가까운 이 객차는 국군의무사령부에서 운영하는 병원열차대라고 한다. 1999년에 현대정공에서 5량이 신조 도입된 것이 전부다. 2023년 6월 28일자로 기대 수명 만료로 운행 중단되고 국군의무사령부에 배치되어 열차후송 실습실로 쓰이고 있다. 향후에는 KTX 및 ITX를 활용하여 환자수송을 할 계획이다.
9. 차량
자세한 내용은 무궁화호/차량 문서 참고하십시오.10. 차량 노후화에 따른 퇴역 및 등급 폐지 전망
<colbgcolor=#f55839><colcolor=#ffffff> |
심각하게 노후화된 나뭇결 후기형 장애인 객차 |
<colbgcolor=#f55839><colcolor=#ffffff> | |
한국철도공사 연도별 폐차계획 # |
추가로 2022년 노후 객차 폐차 여파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계통의 상당수 무궁화호 열차들, 그리고 장항선 계통의 전 무궁화호 열차에 대하여 그간 1량씩 조성되어 있던 통근형 객차가 감차되었다. 이에 따라 주요 간선에서는 6량, 이외 노선에서는 2~4량으로 차량 수가 줄어들어 수송량 감소 및 혼잡도 증가 현상이 심회되었으며, 거기에 야간열차가 모조리 폐지된 것에 이어 이듬해인 2023년에는 그나마 버티고 있던 청량리 착발 중앙선, 태백선 무궁화호도 4량에서 3량으로 감차되었다.[51] 동년 말 RDC 디젤동차도 CDC 디젤동차와 함께 모두 폐차된 상황.
10.1. '무궁화호' 등급 폐지 문제 관련 논란
일각에서는 도시화율이 높은 한국 특성상 일부 대도시권에만 사업이 집중된 구조가 큰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하나, 한국 못지 않게 수도 집중으로 악명이 높은 프랑스조차도 각 레지옹 별로 TER 서비스가 활발한 것으로 간단히 반박된다. 애초에 완행열차는 급행이나 특급이 들어가지 않는 지역에 이동 서비스를 공급함으로써 지역 사회를 유지하고 극심한 핵심 도시권 집중을 완화하는 데 목적이 있는데 이를 일부 밀집지역에만 공급해놓고 수혜인원이 많다는 논리는 완행의 존재 의의 자체를 부정하는 말이다.
- 【대한민국의 광역전철 운행사업 계획】
- *
경부선
- 서울 - 천안: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중.
- 천안 - 조치원: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추진 중. #
- 조치원 - 신탄진: 충청권 광역철도 2단계 계획에 포함.
- 신탄진 - 옥천: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공사 중.
- 옥천 - 영동: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에서 충청권 광역철도 영동 연장 추진 중. #
- 영동 - 김천: 경상북도에서 대전-부산 광역철도 구축 추진 중. # #
- 김천 - 구미: 대경선 2단계 계획에 포함.
- 구미 - 경산: 대경선 1단계 공사 중.
- 경산 - 밀양: 대경선 3단계 추진 중.
- 밀양 - 부산진/부전: 밀양-부산 광역철도 구축 논의 중.
- 부산진/부전 - 부산: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역 연장 논의 중.
- 경전선
- 삼랑진 - 마산: 계획 및 연장 요구 X
- 부전 - 마산: 공사 중, 광역전철 사업은 추진 중단
- 마산 - 진주: 부전-마산 광역철도 연장 요구 존재.
- 진주 - 순천: 계획 및 연장 요구 X
- 순천 - 광주송정: 계획 및 연장 요구 X[A]
- 순천 - 목포: 공사 중, 계획 및 연장 요구 X
- 장항선
- 천안 - 신창: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중.
- 신창 - 홍성: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요구 존재.
- 홍성 - 서천: 계획 및 연장 요구 X
- 서천 - 군산: 전북권 광역철도 연장 요구 존재.
- 군산 - 전주: 전북권 광역철도 논의 중.
- 중앙선
- 청량리 - 지평: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행 중.
- 지평 - 양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계획 중.[59]
- 양동 - 단양: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연장 요구 존재.
- 단양 - 영천: 계획 및 연장 요구 X
- 영천 - 경주: 대경선 3단계 논의 중.
- 대구선
- 동대구 - 하양: 대경선 3단계 사업으로 추진될 가능성 존재.
- 하양 - 금호: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추진 중.
- 금호 - 영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나 대경선 연장 논의 중.[60]
- 경강선
- 월곶 - 판교: 수도권 전철 경강선 착공 예정.[61]
- 판교 - 여주: 수도권 전철 경강선 운행 중.
- 여주 - 둔내: 수도권 전철 경강선 연장 요구 존재.
- 둔내 - 강릉: 계획 및 연장 요구 X
- 경춘선
- 청량리 - 춘천: 수도권 전철 경춘선 운행 중.
- 춘천 - 속초: 춘천속초선 착공 예정
- 서해선
- 대곡 - 소사: 수도권 전철 서해선 운행 중.
- 소사 - 원시: 수도권 전철 서해선 운행 중.[62]
- 원시 - 향남: 수도권 전철 서해선, 신안산선 공사 중.
- 향남 - 안중: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연장 요구 존재 및 B/C값 1 초과( 경기도 철도기본계획 본사업 반영)
- 안중 - 홍성: 계획 및 연장 요구 X
- 경원선
- 용산 - 청량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행 중.[63]
- 청량리 - 연천: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중.[64]
- 연천 - 백마고지: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요구 존재.
- 경의선
- 임진강- 서울/용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행 중.
- 충북선
- 조치원 - 청주공항: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계획 중.
- 청주공항 - 제천: 계획 및 연장 요구 X[A]
상기한 완행열차의 부재와 환승 저항 문제로 고속철 개통 후에도 무궁화호가 완행과 급행, 단거리와 장거리가 혼합된 상태로 존치되다 보니 무궁화호 폐지 이후 그 자리를 보완할 만한 해결법이 마땅하지 않은 데에서 이러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23년 현재까지도 공식 내용은 없지만 9월 1일 시각표 개정에서 추가된 ITX-마음이 일부 무궁화호 편성을 대체하는 것을 봤을 때 이후 이동권 개선 문제와 공기업 적자 문제 사이에서 쟁점이 발생할 징조가 있다.
11. 현행 노선
홀수는 하행, 짝수는 상행. 열차 번호는 정규 1300~1900대역, 임시 4300~4400대역이며 권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이하 현재 운행 중인 열차만 기재하며, 누리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할 것.2024년 8월 19일 기준.
<rowcolor=#ffffff> 노선 | 기점역 | 종점역 | 운행횟수(왕복) | 운행거리 | 열차번호 | 선로 | 편성(량) | 비고 |
<colbgcolor=#FFF5EE,#1c1d1f> 경부선 | 서울 | 부산 | 매일 8회 | 441.7km | <colcolor=#f55839> 1301~1316 | [71] | 5~6 | [72] |
서울 | 대전 | 평일 5회, 주말 4회 | 166.3km | 1320~1329[73] | 5~7 | [74] | ||
동대구 | 부산 | 매일 2회 | 115.4km | 1341~1344 | 3/6 | [75] | ||
대전 | 부산 | 매일 6회 | 275.4km | 1351~1362 | 4~6 | [76] | ||
서울 | 제천 | 매일 1회 | 248.2km | 1381~1382 | [77] | 4 | [78] | |
호남선 | 용산 | 목포 | 매일 2회 | 410.9km | 1401~1404 | [79] | 5~6 | [80] |
용산 | 광주 | 매일 2회 | 355.3km | 1421~1424 | [81] | 5 | [82] | |
용산 | 익산 | 매일 1회 | 246.3 km | 1442~1443 | [83] | 5 | [84] | |
서대전 | 광주 | 매일 3회 | 191.2km | 1461~1466 | [85] | 2 | [86] | |
익산 | 목포 | 매일 1.5회[87] | 164.6km | 1469~1470, 1473 | [88] | 2[89] | [90] | |
광주 | 익산 | 매일 0.5회[91] | 109.0 km | 1472 | [92] | 2 | [93] | |
광주 | 목포 | 매일 1.5회[94] | 81.4km | 1474, 1981~1982 | [95] | [96] | ||
전라선 | 용산 | 여수엑스포 | 매일 4회 | 426.7km | 1501~1508 | [97] | 5 | [98] |
익산 | 여수엑스포 | 매일 6회 | 180.4km | 1531~1542 | [99] | 2 | [100] | |
장항선 | 용산 | 익산 | 매일 9회 | 246.2km | 1551~1568 | [101] | 5~6 | [102] |
중앙선 | 청량리 | 부전 | 매일 2회 | 442.3km | 1601~1604 | [103] | 4 | [104][105] |
청량리 | 제천 | 평일 1회 | 132.1km | 1621~1622 | [106] | 3 | [107] | |
태백선 | 청량리 | 동해 | 매일 4회 | 286.3km | 1631~1638 | [108] | 4 | |
제천 | 동해 | 매일 1회 | 154.2km | 1641~1642 | [109] | 2 | [110] | |
영동선 | 동해 | 동대구 | 매일 2회 | 292.6km | 1671~1674 | [111] | 3 | [112] |
영주 | 동해 | 매일 1회 | 147.6km | 1680, 1683 | [113] | 2 | [114] | |
동해 | 부전 | 매일 1회 | 401.6km | 1681~1682 | [115] | 3 | [116] | |
충북선 | 대전 | 제천 | 매일 8회 | 158.9km | 1701~1716 | [117] | 4 | [118] |
동대구 | 영주 | 매일 2회 | 375.1km | 4301~4304 | [119] | [120] | ||
대구선 | 동대구 | 포항 | 매일 1회 | 94.8km | 1752, 1757 | [121] | 2 | [122] |
동해선 | 부전 | 포항 | 매일 1회 | 146.4km | 1762~1763 | [123] | 2 | [124] |
태화강 | 포항 | 매일 1회 | 82.6km | 1761, 1764 | ||||
동대구 | 부전 | 매일 3회 | 169.6km | 1791~1796 | [125] | 2~3 | [126] | |
경북선 | 김천 | 영주 | 매일 5회 | 115.2km | 1801~1810 | [127] | 2 | [128] |
경전선 | 동대구 | 진주 | 매일 5.5회[129] | 157.6km | 1901~1910, 1912 | [130] | 3~4 | [131] |
동대구 | 마산 | 매일 0.5회[132] | 108.3km | 1911 | 4 | [133] | ||
부전 | 순천 | 매일 3회 | 206.9km | 1941~1946 | [134] | 2 | [135] | |
부전 | 목포 | 매일 1회 | 394.9km | 1951~1952 | [136] | [137] | ||
순천 | 광주송정 | 매일 3회 | 121.2km | 1971~1976 | [138] | [139] | ||
건설무궁화 | 장성 | 동두천 | 목요일 상행 1회 | 375.3km | 2696 | [140] | ≤10 | [141] |
장항선 경유 및 경북선 전 열차, 경부선 서울-부산 1302, 1315, 서울-대전 1320, 1323, 1328~1329 열차, 중앙선 청량리-부전 1601~1604 열차와 영동선 1671~1674, 1681~1682 열차(영주역 이남 구간), 경전선 1951~1952, 1971~1976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전기기관차로 운행한다.[142] 중앙선 참고로 영동선 열차들은 2024년 12월 중앙선 전철화가 완료되는대로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 추가로 장항선도 2028년에 전구간이 복선전철화가 되면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143]
현재 전노선을 디젤기관차로만 운행하는 계통은 장항선과 경북선이 유이하다.[144]
11.1. 정차역
연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역은 모든 열차가 필수 정차하는 역, 그 외의 역은 일부 열차만 정차하는 역이다. |
윗첨자는 해당 역에서 분기 또는 합류하는 선로를 의미한다. |
볼드체로 표시되어 있는 역은 시종착역 기능을 하는 역이다. |
경부선 | |||||||||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장항 | |
전의충북 | 조치원충북 | 부강 | 신탄진호남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경전 | 삼랑진경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경전 | 부산 | ||||||||
운행구간 : 경부선(전구간) |
호남선(목포 방면) |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장항 | ||||
전의충북 | 조치원충북 | 부강 | 신탄진경부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
익산전라·장항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광주 | 광주송정경전 | 나주 | 다시 |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 |||||||
운행구간 : 호남선(전구간), 경부선(용산~신탄진) |
호남선(광주 방면) |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장항 | |
전의충북 | 조치원충북 | 부강 | 신탄진경부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전라·장항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광주 | 광주송정경전 | 극락강 | 광주 | |
운행구간 : 호남선(신탄진~광주송정), 경부선(용산~신탄진), 광주선(전 구간) |
전라선 |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장항 | |
전의충북 | 조치원충북 | 부강 | 신탄진경부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호남·장항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경전 | 여천 |
여수엑스포 | |||||||||
운행구간 : 경부선(용산~신탄진), 호남선(신탄진~익산), 전라선(전구간) |
장항선 |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경부 |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호남·전라 | |||
운행구간 : 경부선(용산~천안), 장항선(전구간) |
중앙선 | |||||||||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서원주 | 원주 | 봉양충북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영동·경북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대구 | 영천대구 | 아화동해 | 경주동해 | ||||
운행열차 : 중앙선(전구간), 태백선(청량리~제천), 영동선(영주~경주), 충북선(봉양~영주), 대구선(영천~아화), 동해선(영천~경주) |
태백선 | ||||||||
제천중앙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영동 |
운행열차 : 태백선(전구간) |
영동선 |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태백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중앙·경북 | ||||||
운행열차 : 영동선(전구간), 태백선(동해~동백산) |
충북선 | |||||||||
조치원경부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
삼탄 | 봉양 | 제천중앙 | |||||||
운행열차 : 충북선(전구간) |
동해선 | |||||||||
포항 | 안강 | 서경주대구 | 경주중앙 | 북울산 | 태화강 |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
운행열차 : 동해선(전구간), 중앙선(경주~부전), 대구선(포항~서경주) |
경북선 | |||||||||
김천경부 | 옥산 | 청리 | 상주 | 함창 | 점촌 | 용궁 | 개포 | 예천 | 영주중앙·영동 |
운행열차 : 경북선(전구간) |
경전선 |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145]· 삼랑진[146]경부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전라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호남·광주 | ||||||||
운행열차 : 경전선(전구간) |
대구선 | ||
동대구 | 하양 | 영천[147]· 북영천[148]중앙 |
운행열차 : 대구·영동·동해선(전구간) |
11.1.1. 미개통
교외선 | |||||
대곡 | 원릉 | 일영 | 장흥 | 송추 | 의정부 |
2024년 12월 30일 운행예정 |
경원선 | ||||
백마고지 | 신탄리 | 대광리 | 신망리 | 연천 |
2025년 8월 운행예정 |
12. 기타
- 도색변경이 많았다. 1977년 우등객차 시절에는 상단에 크림색과 하단에 진녹색이었고[149], 1984년 무궁화호로 개칭되면서 크림색 바탕에 창틀과 차체 위아래가 빨간색이었다.[150] 그리고 1994년 역삼각형 마크 시절에는 흰 바탕에 상단 노란색 중앙 주황색 이였으며, 2003년 이후 현재는 상단 파란색 중앙 빨간색 도색이다.
- 무궁화라는 명칭은 1962년 폐지된 특급 열차의 명칭이었다.[151] 그리고 22년 후 1984년에 우등열차 개편 때 무궁화호라는 명칭이 다시 사용되게 되었다.
- 편성 량 수에 관계없이 관광개발 소속 승무원은 탑승하지 않고 여객전무만 탑승한다.
- 통일호 폐지와 함께 통일호 노선이 승격되어 기존 통일호 전용역이 무궁화호 정차역이 되면서 완행 무궁화호와 급행 무궁화호로 나뉘었다.[152]
- 2025년 8월에 경원선 구간인 연천역 ~ 백마고지역 구간까지 무궁화호가 운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기존에 운행했었던 통근열차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무궁화호로 대체할 것으로 보이며 경원선 최초로 무궁화호 열차가 정식 운행하게 되는 것이다.[153]
- 시골 분위기 정도가 아니라 완전한 깡시골 여행을 원하는 이들은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좋다.
- |대중교통 영상 공작소 X 도시교통 동대구 - 울산 KTX - 무궁화호를 승리하여 유일하게 KTX 를 상대로 이긴 일반열차가 되었다.[154]
[1]
1990년대까지 Mugunghwa 뒤에 Express를 붙였으나, KTX 개통을 전후로 하여 바꿨다.
[임시열차]
임시열차에 충당
[3]
대표적으로
구미역-
대구역,
서울역-
수원역 구간. 다만 전자는
대경선이 개통하면 빠르게 이용객이 줄 전망이다.
[4]
단 저비용 항공사는 KTX가 주 경쟁 상대이다.
[5]
이전에는 고속버스는 200km 이상,
시외버스는 400km 이상에서 km당 임률이 무궁화호보다 저렴했다.
[6]
당시 구형 특실과 신형 일반실 객차가 같이 다니다 보니 특실이 일반실보다 열악하여 철도청에 민원이 들어가는 일도 있었다. 이후 구형 특실은 2000년에 일반실로 격하되다가 2003년 폐차되었다.
[7]
평택역은 무궁화호가 이듬해 1월 10일부터 서기 시작했기 때문에 해당 리스트에 없다.
[8]
청도역은 무궁화호가 같은 해의 12월 1일부터,
경산역은 이듬해 11월 16일부터 서기 시작했기 때문에 해당 리스트에 없다.
[9]
現
계룡역
[10]
現
익산역
[11]
現
정읍역
[12]
現
광주송정역
[13]
2001년 폐지 후 구
나주역과 통합하여 이전.
[14]
現
함평역
[15]
現
익산역
[16]
現
여수엑스포역
[17]
現
민둥산역
[18]
現
태백역
[19]
現
동해역
[20]
現 광주선에 속한 광주역으로 광주송정역이 아니다. 그 쪽은 옛 송정리역.
[21]
1984년
11월 26일
NDC 디젤동차로 운행개시
[22]
現
광운대역
[23]
1986년
3월 21일 운행개시
[24]
現
태화강역
[25]
1990년
3월 15일 운행개시
[26]
1998년
2월 3일 운행개시
[27]
단, 당시 운행개시 시점은 비둘기호 폐지로 인한 실질적 격하가 일어나고 있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28]
심지어 10-11량 전부 리미트 객차/또는 무궁화호 유선형 객차로 운행한 적이 있었다!
[29]
경부/호남선의 경우 모두는 아니지만 80% 이상의 열차들이 13-14량으로 운행한 적이 많았다.
[30]
舊 침대차는 2001년 이후 대전차량사업소에서 놀고 있다가 2005년에 고철로 매각되었다.
[31]
놀이방 객차, 바둑 객차, PC방 객차 등.
[32]
2006년 11월, 중앙선/태백선에서의 새마을호 철수에 따른 보상책으로 무궁화호 특실이 부활했었다가 2016년 다시 폐지.
[33]
감자탕집마냥
볼풀장이 설치되어 있는 객차.
[34]
동대구 - 부전 무궁화호 열차 중 정차역이 적은 열차가 이에 해당한다.
[35]
1호선
경부선(서울 - 천안)을 예로 들면 1호선 완행은 37개 역, 1호선 급행은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 13개 역에 정차하고 그 후 서울시내의 모든 역에 정차하여 서울역까지 22개의 역에 정차하지만 무궁화호는 필수 정차역이 천안 - 평택 - 수원 - 영등포 - 서울/용산밖에 없고, 선택 정차역도 성환, 서정리, 오산, 안양 뿐이며 그마저도 일부 열차만 정차한다. 좀더 엄밀히 말하면 광역전철 급행이 따로 있으니 급행보다 상위인
특급 역할을 하는 셈이다.
[36]
경부선 수원-천안/대구-부산,
중앙선 망우-의성/영천-신경주,
호남선 익산-목포,
전라선 전 구간,
장항선 천안-신성/주포-익산,
동해선 일광-덕하/태화강-영덕 구간이 대표적이다. 특히 중앙선, 장항선, 동해선은 2000년대 이후에 이설된 만큼 선형이 정규 고속철도 노선(
경부고속선 등) 다음으로 좋아 빠른 속력을 내기 쉽다.
[37]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요금이 2,800원이며,
신분당선은 신사~광교 운임이 3,650원이다.
[38]
특히
충북선,
장항선 구간에서 입증할 수 있다. 배차 횟수를 볼 때는 시외버스가 압도적이지만 소요시간과 운임 측면에서는 무궁화호의 경쟁력이 압도적이다.
[39]
1호선 전철 완행 기준.
[40]
부산 구간의 경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전에는 초호화 열차인
새마을호가 이 역할을 했을 정도로 부산 교통이 엉망이었다.
[41]
위 사진은 조금 심한 사례이고, 평일 출퇴근 시간에 정기권 탑승객이 대거 탑승해도 입석 승객 사이를 걸어 지나갈 정도는 된다. 1호선 콩나물 시루와는 분명히 비교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사진 속의 객차는
무궁화호 리미트 후기형 객차이다.
[42]
정기권 이용자라면 시내버스보다도 저렴해진다.
[43]
현재 청량리-양평 무궁화는 지속된 감차를 거쳐 1일 6회 밖에 남지 않았다.
[44]
현재 운행 중인 무궁화호 객차들은
2028년~
2029년경 전량 퇴역 예정인 상황이다.
[45]
경전선 남자화장실 기준으로
소변기에서
지린내가 심하게 나는 편이다. 후각이 둔감한 사람이 의식하지 않아도 감지할 수 있을 정도. 곧 퇴역을 앞두고 있어 코레일 측에서 객차 위생 관리를 소홀히 하는 영향으로 보인다.
[46]
2000년대 후반만 해도 연식이 10년 이상 차이나는 리미트 객차하고 1980~199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객차가 묶여 운행하던 경우도 있었다.
[47]
각각 68석과 52석.
[48]
1Mbps 제한걸린 무제한데이터보다도 느린 처참한 속도를 보여준다. PING 500, 다운로드 0.5Mbps, 업로드 14Mbps다.
[49]
2019년 3월 31일 이전까지는 전곡역까지 운행하였으나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 이설 및 전철화 공사 관계로 단축되었다. 2023년 12월 15일 1호선 연천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 기존과 동일하게 동두천역에서 종착하거나, 또는 연천역까지 (일반열차 승강장이 없는 전곡역 무정차) 연장하여 운행을 할 수 있다. 다만 연천역 일반열차 승강장은 3량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에 하차하는데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
[50]
말이 최근이지 도입 년도가 자그마치
2003년이다.
[51]
2023년 7월 3일 코레일톡 확인 결과 중앙선과 태백선 계통 모두 3호차가 아닌 4호차까지 확인되어 3량 감차 예정 시점이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52]
ITX-새마을과
ITX-마음.
[53]
경인선, 경부선, 경춘선은 이미 광역전철이 인천•천안•아산과 춘천까지 운행되고 있다.
경의선과
경원선도 극소수의 최전방 지역을 제외하면 광역전철이 모두 연장되어 있다.
서해선은 수도권 최남단 역(驛)인
안중역의
신안산선 광역전철 연장 방안이 B/C값 1을 넘긴 상태이며, 중앙선은
양동역까지 광역전철 연장을 요구 중이다.
[A]
무궁화호가 사실상 중거리 완행열차 역할을 맡고 있다.
[B]
포항 - 영덕 구간처럼 무궁화호 대체 열차가 사실상 중거리 완행열차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
[B]
[B]
[A]
[59]
-용문역 KTX 정차 등 3건- 민선8기 공약사항 철도업무 추진계획 (PDF)
[60]
렛츠런파크 영천을 앞세워 요구하고 있으나 1호선은 철도 규격 차이 및 수요 문제가 난관이고, 대경선은 구미에게 우선순위에서 밀려서 3단계 사업에 포함돼 있다.
[61]
매화 - 광명 구간은
신안산선 공용 예정.
[62]
시흥시청~원시 구간은
신안산선 공용 예정.
[63]
왕십리~청량리 구간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공용.
[64]
청량리~회기 구간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공용.
[A]
[A]
[A]
[A]
[69]
누리로가 사실상 중거리 완행열차 역할을 맡고 있다.
[A]
[71]
전 구간 경부선
[72]
① #1302, #1315 열차는 전구간 전철화된 구간임에도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1302 열차는 단전 시간대에 출고하고, #1315 열차는 단전 시간대에 입고하기 때문이다.
② #1301~1304, #1306~1308, #1310~1316 열차는 6량, #1305, #1309 열차는 5량 편성.
③ #1305, #1309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 열차들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1302~1305, #1313, #1315~1316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④ #1310에는 평일 한정으로 코레일과 롯데글로벌로지스가 공동 운영하는 화물칸인 '생활물류트레인'이 연결된다. [73] #1320, #1323 열차는 평일에만 운행 [74] ① #1320, #1323 #1328~1329 열차는 전 구간 전철화된 구간임에도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1320 열차는 단전 시간대에 출고하고, #1329 열차는 단전 시간대에 입고하기 때문이다.
② #1322, #1325 열차는 7량, #1320, #1321, #1323, #1324, #1327, #1329 열차는 6량, #1326, #1328 열차는 5량 편성.
③ #1326, #1328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 열차들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1320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75] ① #1341, #1344 열차는 6량, #1342~1343 열차는 3량 편성.
② #1341, #1344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76] ① #1351, 1353, #1355, #1357~1358, #1360 열차는 6량, #1356, #1362 열차는 5량, #1352, #1354, #1359, #1361 열차는 4량 편성.
② #1351, #1353, #1355, #1357~1358, #1360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1352, #1356, #1361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③ 서울 - 대전 / 서울 - 부산 계통과 차량을 공유한다. [77] 경부선(서울~서창) - 오송선(서창~오송) - 충북선(오송~봉양) - 중앙선(봉양~제천) [78]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79]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목포) [80] ① #1401, #1404 열차는 6량, #1402~1403 열차는 5량 편성.
②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81]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북송정) - 북송정삼각선(북송정~동송정) - 광주선(동송정~광주) [82]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83]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익산) [84]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85] 호남선(서대전~북송정) - 북송정삼각선(북송정~동송정) - 광주선(동송정~광주) [86] ①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② 이 계통은 원래 대전 착발이었다. 대전역 착발 당시에는 #1461~1462로 매일 1회만 운행했다. [87] 상행 1회, 하행 2회 [88] 전 구간 호남선 [89] #1469 열차는 회송용 객차 2량이 추가 편성되어 4량으로 운행. [90] ① #1469~1470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② #1473 열차는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91] 상행 1회만 운행 [92] 호남선(익산~북송정) - 북송정삼각선(북송정~동송정) - 광주선(동송정~광주) [93] ①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② 해당 열차는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94] 상행 2회, 하행 1회 [95] 광주선(광주~동송정) - 경전선(동송정~광주송정) - 호남선(광주송정~목포) [96] ① #1981, #1982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② #1474 열차는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97]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익산) - 전라선(익산~여수엑스포) [98] #1502, #1507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모든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99] 전 구간 전라선 [100] ① #1531, #1534, 1538~1541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② 해당 열차들은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101] 경부선(용산~두정) - 천안직결선(두정~천안) - 장항선(천안~익산) [102] 장항선 홍성~대야 구간이 비전철 구간이기에 디젤기관차로만 운행한다.
① #1555~1557, 1562~1564 열차는 6량, #1551~1554, 1558~1561, 1565~1568 열차는 5량 편성.
② #1555~1557, #1562~1564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모든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03] 중앙선(청량리~모량) - 동해선(모량~부전) [104] ① 청량리~영주 구간은 전기기관차가, 영주~부전 구간은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의성~영천 구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 2024년 12월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
②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05] 부전에서 청량리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부전역에서 청량리 가는 것보다는 부산역이나 서울역 KTX,아니면 수서역 SRT에서 경부선이나 경부고속선 울산역, 경주역 이용하는게 빠르고 훨씬낫다. [106] 전 구간 중앙선 [107]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08] 중앙선(청량리~제천) - 태백선(제천~문곡) - 태백삼각선(문곡~동백산) - 영동선(동백산~동해) [109] 태백선(제천~문곡) - 태백삼각선(문곡~동백산) - 영동선(동백산~동해) [110]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1] 영동선(동해~영주) - 중앙선(영주~북영천) - 영천삼각선(북영천~금호) - 대구선(금호~가천) - 경부선(가천~동대구) [112] ① 동해~영주 구간은 전기기관차가, 영주~동대구 구간은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의성~하양 구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 2024년 12월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
②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3] 전 구간 영동선 [114]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5] 영동선(동해~영주) - 중앙선(영주~모량) - 동해선(모량~부전) [116] ① 동해~영주 구간은 전기기관차가, 영주~부전 구간은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의성~영천 구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 2024년 12월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
②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7] 경부선(대전~조치원) - 충북선(조치원~봉양) - 중앙선(봉양~제천) [118]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9] 경부선(동대구~조치원) - 충북선(조치원~봉양) - 중앙선(봉양~영주) [120] ① 충북종단열차라는 별명이 있다.
②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21] 경부선(동대구~가천) - 대구선(가천~영천) - 중앙선(영천~아화) - 경주삼각선(아화~서경주) - 동해선(서경주~포항) [122]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23] 전 구간 동해선 [124]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25] 경부선(동대구~가천) - 대구선(가천~영천) - 중앙선(영천~모량) - 동해선(모량~부전) [126] ① #1793, #1796 열차는 3량, #1791~1792, #1794~1795 열차는 2량 편성.
②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27] 전 구간 경북선 [128] ① 전 구간이 비전철 구간으로, 디젤기관차로만 운행한다.
②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29] 상행 6회, 하행 5회 [130] 경부선(동대구~미전) - 미전선(미전~낙동강) - 경전선(낙동강~마산~진주) [131] ① #1902~1903, #1905, #1908, #1910 열차는 4량, #1901, #1904, 1906~1907, #1909, #1912 열차는 3량 편성.
②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32] 하행 1회만 운행 [133]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34] 부전선(부전~가야) - 가야선(가야~사상) - 경부선(사상~삼랑진) - 경전선(삼랑진~순천) [135] #1941, #1946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36] 부전선(부전~가야) - 가야선(가야~사상) - 경부선(사상~삼랑진) - 경전선(삼랑진~광주송정) - 호남선(광주송정~목포) [137] 경전선 광주송정~순천 구간이 비전철 구간이기에 디젤기관차로만 운행한다.
①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38] 전 구간 경전선 [139] #1971, #1973~1974, #1976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40] 호남선(장성~대전조차장) - 경부선(대전조차장~용산) - 경원선(용산~동두천) [141] 편성이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신병 수송용 열차(민간인 이용 불가) [142] 추후에 디젤기관차로 운행 예정인 교외선 및 경원선 추가 예정 [143] 하지만 2028년 이전에 무궁화호 객차가 퇴역할시 itx 마음 등의 동차형 열차로 대체될 예정이라 전기기관차 운행 여객열차는 보지 못할수도 있다. [144] 추후에 교외선 및 경원선 구간에도 무궁화호가 운행을 시작하면 유일 타이틀은 없어질 예정이다. [145] 동대구↔마산·진주 1901~1912 [146] 부전↔순천·목포 1941~1952 [147] 동대구↔포항 1752,1757 및 동대구↔부전 1791~1796 [148] 동대구↔동해 1680,1683 [149] 특급과 같았으며 보급과 보통은 각각 하단이 갈색과 파란색이었다. [150] 당시 새마을호는 파란색, 통일호는 녹색이었다. 반면 비둘기호는 당시 수도권전철도색과 동일한 파란색 바탕에 창틀이 흰색이였다. 각 디자인을 보면 당시 일본 국철의 도색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보인다. [151] 2등 객차(통일호급) 2량, 3등 객차(비둘기호급) 5량, 식당차 1량, 수화물차 1량으로 이루어진 총 9량 편성 열차였다. [152] 비슷한 사례가 비둘기호 축소 당시 통일호에서도 일어났는데 급행 통일호는 무궁화호로 승격되면서 해결되었다. [153] 다만 무궁화호는 동차형이 모두 퇴역한 상황에 경원선 구간에는 기관차를 돌리는 전차대가 없을 뿐더러 종착역인 백마고지역은 1선 1면의 단선 승강장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 없이 기존의 무궁화호를 그대로 투입하면 회차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운행을 하기 위해선 기관차를 양쪽 끝에 붙이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교외선 역시 이러한 방식으로 운행 될 예정이다. [154] 서대동부 ITX-마음마저도 무려 KTX가 천안까지 1호선 청량리발 천안급행, 천안에서 천안아산까지 1호선 완행을 이용했는데도 졌다.
② #1301~1304, #1306~1308, #1310~1316 열차는 6량, #1305, #1309 열차는 5량 편성.
③ #1305, #1309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 열차들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1302~1305, #1313, #1315~1316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④ #1310에는 평일 한정으로 코레일과 롯데글로벌로지스가 공동 운영하는 화물칸인 '생활물류트레인'이 연결된다. [73] #1320, #1323 열차는 평일에만 운행 [74] ① #1320, #1323 #1328~1329 열차는 전 구간 전철화된 구간임에도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1320 열차는 단전 시간대에 출고하고, #1329 열차는 단전 시간대에 입고하기 때문이다.
② #1322, #1325 열차는 7량, #1320, #1321, #1323, #1324, #1327, #1329 열차는 6량, #1326, #1328 열차는 5량 편성.
③ #1326, #1328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 열차들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1320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75] ① #1341, #1344 열차는 6량, #1342~1343 열차는 3량 편성.
② #1341, #1344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76] ① #1351, 1353, #1355, #1357~1358, #1360 열차는 6량, #1356, #1362 열차는 5량, #1352, #1354, #1359, #1361 열차는 4량 편성.
② #1351, #1353, #1355, #1357~1358, #1360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1352, #1356, #1361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③ 서울 - 대전 / 서울 - 부산 계통과 차량을 공유한다. [77] 경부선(서울~서창) - 오송선(서창~오송) - 충북선(오송~봉양) - 중앙선(봉양~제천) [78]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79]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목포) [80] ① #1401, #1404 열차는 6량, #1402~1403 열차는 5량 편성.
②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81]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북송정) - 북송정삼각선(북송정~동송정) - 광주선(동송정~광주) [82]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83]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익산) [84]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85] 호남선(서대전~북송정) - 북송정삼각선(북송정~동송정) - 광주선(동송정~광주) [86] ①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② 이 계통은 원래 대전 착발이었다. 대전역 착발 당시에는 #1461~1462로 매일 1회만 운행했다. [87] 상행 1회, 하행 2회 [88] 전 구간 호남선 [89] #1469 열차는 회송용 객차 2량이 추가 편성되어 4량으로 운행. [90] ① #1469~1470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② #1473 열차는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91] 상행 1회만 운행 [92] 호남선(익산~북송정) - 북송정삼각선(북송정~동송정) - 광주선(동송정~광주) [93] ①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② 해당 열차는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94] 상행 2회, 하행 1회 [95] 광주선(광주~동송정) - 경전선(동송정~광주송정) - 호남선(광주송정~목포) [96] ① #1981, #1982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② #1474 열차는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97] 경부선(용산~대전조차장) - 호남선(대전조차장~익산) - 전라선(익산~여수엑스포) [98] #1502, #1507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모든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99] 전 구간 전라선 [100] ① #1531, #1534, 1538~1541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② 해당 열차들은 명절연휴에 운행하지 않는다. [101] 경부선(용산~두정) - 천안직결선(두정~천안) - 장항선(천안~익산) [102] 장항선 홍성~대야 구간이 비전철 구간이기에 디젤기관차로만 운행한다.
① #1555~1557, 1562~1564 열차는 6량, #1551~1554, 1558~1561, 1565~1568 열차는 5량 편성.
② #1555~1557, #1562~1564 열차의 4호차에는 통근형 객차가, 모든 열차의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03] 중앙선(청량리~모량) - 동해선(모량~부전) [104] ① 청량리~영주 구간은 전기기관차가, 영주~부전 구간은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의성~영천 구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 2024년 12월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
②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05] 부전에서 청량리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부전역에서 청량리 가는 것보다는 부산역이나 서울역 KTX,아니면 수서역 SRT에서 경부선이나 경부고속선 울산역, 경주역 이용하는게 빠르고 훨씬낫다. [106] 전 구간 중앙선 [107]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08] 중앙선(청량리~제천) - 태백선(제천~문곡) - 태백삼각선(문곡~동백산) - 영동선(동백산~동해) [109] 태백선(제천~문곡) - 태백삼각선(문곡~동백산) - 영동선(동백산~동해) [110]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1] 영동선(동해~영주) - 중앙선(영주~북영천) - 영천삼각선(북영천~금호) - 대구선(금호~가천) - 경부선(가천~동대구) [112] ① 동해~영주 구간은 전기기관차가, 영주~동대구 구간은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의성~하양 구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 2024년 12월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
②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3] 전 구간 영동선 [114]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5] 영동선(동해~영주) - 중앙선(영주~모량) - 동해선(모량~부전) [116] ① 동해~영주 구간은 전기기관차가, 영주~부전 구간은 디젤기관차가 견인한다. 의성~영천 구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 2024년 12월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전구간을 전기기관차로 운행 할 예정이다.
②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7] 경부선(대전~조치원) - 충북선(조치원~봉양) - 중앙선(봉양~제천) [118] 3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19] 경부선(동대구~조치원) - 충북선(조치원~봉양) - 중앙선(봉양~영주) [120] ① 충북종단열차라는 별명이 있다.
②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21] 경부선(동대구~가천) - 대구선(가천~영천) - 중앙선(영천~아화) - 경주삼각선(아화~서경주) - 동해선(서경주~포항) [122]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23] 전 구간 동해선 [124]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25] 경부선(동대구~가천) - 대구선(가천~영천) - 중앙선(영천~모량) - 동해선(모량~부전) [126] ① #1793, #1796 열차는 3량, #1791~1792, #1794~1795 열차는 2량 편성.
②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27] 전 구간 경북선 [128] ① 전 구간이 비전철 구간으로, 디젤기관차로만 운행한다.
②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29] 상행 6회, 하행 5회 [130] 경부선(동대구~미전) - 미전선(미전~낙동강) - 경전선(낙동강~마산~진주) [131] ① #1902~1903, #1905, #1908, #1910 열차는 4량, #1901, #1904, 1906~1907, #1909, #1912 열차는 3량 편성.
②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32] 하행 1회만 운행 [133] 통근형 객차와 장애인 객차는 없다. [134] 부전선(부전~가야) - 가야선(가야~사상) - 경부선(사상~삼랑진) - 경전선(삼랑진~순천) [135] #1941, #1946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36] 부전선(부전~가야) - 가야선(가야~사상) - 경부선(사상~삼랑진) - 경전선(삼랑진~광주송정) - 호남선(광주송정~목포) [137] 경전선 광주송정~순천 구간이 비전철 구간이기에 디젤기관차로만 운행한다.
①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38] 전 구간 경전선 [139] #1971, #1973~1974, #1976 열차의 2호차에는 장애인 객차가 편성된다. [140] 호남선(장성~대전조차장) - 경부선(대전조차장~용산) - 경원선(용산~동두천) [141] 편성이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신병 수송용 열차(민간인 이용 불가) [142] 추후에 디젤기관차로 운행 예정인 교외선 및 경원선 추가 예정 [143] 하지만 2028년 이전에 무궁화호 객차가 퇴역할시 itx 마음 등의 동차형 열차로 대체될 예정이라 전기기관차 운행 여객열차는 보지 못할수도 있다. [144] 추후에 교외선 및 경원선 구간에도 무궁화호가 운행을 시작하면 유일 타이틀은 없어질 예정이다. [145] 동대구↔마산·진주 1901~1912 [146] 부전↔순천·목포 1941~1952 [147] 동대구↔포항 1752,1757 및 동대구↔부전 1791~1796 [148] 동대구↔동해 1680,1683 [149] 특급과 같았으며 보급과 보통은 각각 하단이 갈색과 파란색이었다. [150] 당시 새마을호는 파란색, 통일호는 녹색이었다. 반면 비둘기호는 당시 수도권전철도색과 동일한 파란색 바탕에 창틀이 흰색이였다. 각 디자인을 보면 당시 일본 국철의 도색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보인다. [151] 2등 객차(통일호급) 2량, 3등 객차(비둘기호급) 5량, 식당차 1량, 수화물차 1량으로 이루어진 총 9량 편성 열차였다. [152] 비슷한 사례가 비둘기호 축소 당시 통일호에서도 일어났는데 급행 통일호는 무궁화호로 승격되면서 해결되었다. [153] 다만 무궁화호는 동차형이 모두 퇴역한 상황에 경원선 구간에는 기관차를 돌리는 전차대가 없을 뿐더러 종착역인 백마고지역은 1선 1면의 단선 승강장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 없이 기존의 무궁화호를 그대로 투입하면 회차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운행을 하기 위해선 기관차를 양쪽 끝에 붙이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교외선 역시 이러한 방식으로 운행 될 예정이다. [154] 서대동부 ITX-마음마저도 무려 KTX가 천안까지 1호선 청량리발 천안급행, 천안에서 천안아산까지 1호선 완행을 이용했는데도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