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4:55:39

철암역

철암역
동대구· 부전 방면
석 포
← 10.2 ㎞
동백산
6.1 ㎞ →
시종착
역명 표기
영동선 철암
Cheoram
鐵岩 / 铁岩 / チョラム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389
(철암동 370-1)
관리역 등급
보통역(3급)
( 태백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운영 기관
영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철암선 1940년 8월 1일
영암선 1956년 1월 1일
영동선 1963년 5월 20일[1]
무궁화호 1986년 3월 21일
동해산타열차 2020년 8월 19일
V-train 2013년 4월 12일 }}}}}}}}}
철도거리표
영동선
철 암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_MG_0046_%BE%F7%B7%CE%B5%E5%BF%EB.jpg
현 역사(1985년 준공)[2]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 유래2.2. 역사2.3.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철암역 스탬프.jpg
철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전국에 석탄의 열기를 실어 나르다
1936년, 단일탄광으로는 국내 최대규모인 장성탄전의 석탄이 철암으로 운반되어오면서 이 지역에 본격적인 탄광사회가 형성된다. 1940년 8월 영업을 시작한 철암역이 바로 이 탄광사회의 중심이다. 철도가 없는 장성에서 생산된 석탄이 철암역을 통해 전국으로 퍼져나갔기 때문에 역의 위상은 대단했다. 당시 강릉역 역무원이 28명이던 80년대, 철암역에서 근무하는 역무원이 300여 명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였다.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추진에 따라 활력을 잃어가던 철암역은 2013년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운행과 2014년 문을 연 철암탄광역사촌과 더불어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389(철암동 370-1) 소재.

2. 역 정보

2.1. 역명 유래

철암역이라는 역명은 이 동네에 철도가 개통된 이후 강릉 방면으로 약 4㎞ 부근에 쇠돌바위라는 기암괴석이 형성되어 그 경치가 훌륭했고, 그 이름을 따서 동명을 철암(鐵岩)이라고 칭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2.2. 역사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1.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2.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3.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4.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5. 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6.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7.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8.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9.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0. 서울 구 국회의사당
  11. 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2.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4. 대구 동산병원 구관
  15.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6.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7.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8.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19.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0.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1. 철원 노동당사
  22. 구 철원 제일교회
  23. 철원 얼음창고
  24. 철원 농산물검사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
파일:1940.8-1985.9yuk.jpg
파일:구 철암역.jpg
파일:구 철암역 구내.jpg
구 역사(1956년 준공, 1985년 철거)
한때 한 해 수입이 호남지방 모든 노선을 관할하는 순천지방철도청의 한 해 수입과 맞먹거나 그 이상이었다고 할 정도로 태백시의 무연탄을 취급하는 큰 철도역이었다.

부산~동해간 무궁화호를 포함한 영동선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아직도 화물 수요가 상당하다. 역 구내를 보면 엄청 큰데 화물이 주 업무여서 그렇고, 여객은 그냥 부수업무로 취급된다.[3]

1940년 8월 1일 철암선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6년 7월 1일 영암선이 전통하면서 구 역사가 준공되었으며 1961년 11월 16일에 5급역으로 승격되었다.

1985년 9월 22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고 1986년 9월 1일 4급역으로 승격되었다.

1991년 1월 10일 5급역으로 격하되었고 1999년 7월 1일 열차운행체계 합리화로 인해 철암역 착발 열차가 폐지되었다.

2002년 5월 31일 구내 선탄(選炭)시설이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이란 명칭으로 등록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으며 백두대간협곡열차 탑승 시 간단하게 설명을 들을 수 있다.

2006년 5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10년 5월 17일부로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

2013년 4월 1일 중부내륙순환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가 운행을 개시하면서 닫혀있던 창구를 개방하고 승차권 단말기도 다시 비치, 한켠에는 스토리웨이까지 입점하였다.

2022년 2월 1일부로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다시 지정되면서 승차권 매표업무가 중지되었다.

2.3. 승강장

동백산
| 3 2 | | 1
석포
1 영동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동해· 동대구· 부전 방면
2·3 [[백두대간협곡열차|
V-train
]]·[[동해산타열차|
동해산타열차
]]
강릉· 분천· 영주 방면

3. 역 주변 정보

2014년에는 역전의 폐광촌 일부를 주민과의 협의하에 '철암탄광역사촌'이라는 박물관 및 탄광촌 풍경들을 구현한 시설로 리모델링했다. 덕분에 예전의 썰렁했던 때와 달리 협곡열차 출발 시간이 가까워오면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로 붐빈다.

역 남쪽에 현존하는 유일한 수동식 차단기가 설치된 철암남부건널목이 위치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백두대간협곡열차|
V−train
]]
[[중부내륙순환열차|
O−train
]]
[[동해산타열차|
동해산타열차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bgcolor=#f55839> 총합 ||<bgcolor=#f55839> 비고 ||
2003년 193명
2004년 234명
2005년 184명
2006년 131명
2007년 115명
2008년 105명
2009년 94명
2010년 91명
2011년 72명
2012년 83명
2013년 757명 176명 933명 [4]
2014년 543명 233명 776명
2015년 448명 169명 617명
2016년 282명 191명 473명
2017년 355명 170명 525명
2018년 269명 156명 425명
2019년 268명 146명 414명
2020년 77명 44명 121명
2021년 22명 35명 5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여담

이명세 감독의 대표작인 인정사정 볼 것 없다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박중훈 안성기의 빗속 맨몸 격투장면이 이 곳의 선탄시설에서 촬영되었다.

드라마 굿 닥터의 주인공인 박시온이 성장한 곳이 이 일대로 추정된다. 1회 내용 중 박시온이 레지던트로 근무하기 위해 고향인 태백을 떠나 서울로 가기 위해 청량리역으로 가는 기차를 기다리는 장면이 있는 데 이 장면이 촬영된 역이 철암역이다. 다만 극이 방영되던 시기 철암역에서 청량리역으로 한 번에 연결하는 무궁화호는 지금도 존재하지 않는다. 극 중 고증 오류에 해당.

6. 둘러보기

영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안함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

파일:태백시 CI_White.svg 태백 8경
{{{#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문곡소도동 천제단
구문소동 구문소 곡강 척금대
삼수동 삼수령 매봉산 바람의 언덕 대덕산 금대봉의 야생화 철암역 두선탄장 삼수동 산골마을
}}}}}} ||



[1] 철암선·동해북부선·영암선이 통합된 날짜. [2] 출처 [3] 참고로 매표소 앞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데 도안이 화물열차가 아니라 영동관문이다. [4] O-train, V-train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6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