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포역 | ||||
동대구· 부전 방면 |
영동선 무궁화호 |
동해 방면
|
||
승 부 ← 7.6 ㎞ |
철 암 10.2 ㎞ → |
|||
동해산타열차
|
||||
분천 방면
|
강릉 방면
|
|||
역명 표기 | ||||
영동선 |
석포 Seokpo 石浦 / ソクポ |
|||
주소 |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로 134 (석포리 590)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춘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
||||
운영 기관 | ||||
영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암선 |
1956년 1월 1일~ 1963년 5월 20일 |
||
영동선 | 1963년 5월 20일 | |||
무궁화호 | 1986년 3월 21일 | |||
동해산타열차 | 2020년 8월 19일 | }}}}}}}}} | ||
철도거리표 | ||||
영주 방면
승 부 ← 7.6 ㎞ |
영동선 석 포 |
청량 방면
동 점 6.2 ㎞ → |
|
현 역사(1996년 준공) |
|
구 역사(1957년 준공, 1996년 철거) |
[clearfix]
1. 개요
지역 산업발전의 주요 거점, 석개천과 석포리천이 합류하는 곳
석포역은 1956년 영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57년에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1971년 영풍제련소 전용선이 신설되며 지역의 산업발전에 중요한 거점으로 역할 해왔다. 기와단층의 작은 역사였지만 수입은 군청소재지인 봉화역을 크게 앞질렀던 주요 역사였다. 1996년 붉은 벽돌 외벽의 현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는데 역사 바로 옆으로 낙동강과 함께 거대한 영풍 석포제련소를 볼 수 있다. 석포는 석개천과 석포리천이 낙동강에 합류하는 교통의 요지로, 금강소나무가 뗏목으로 엮여 낙동강으로 운반되던 곳이다. 지금은 폐광되었지만 석포지역에 큰 영향을 끼친 연화광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납, 아연 광산이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로 134(석포리) 소재.석포역은 1956년 영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57년에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1971년 영풍제련소 전용선이 신설되며 지역의 산업발전에 중요한 거점으로 역할 해왔다. 기와단층의 작은 역사였지만 수입은 군청소재지인 봉화역을 크게 앞질렀던 주요 역사였다. 1996년 붉은 벽돌 외벽의 현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는데 역사 바로 옆으로 낙동강과 함께 거대한 영풍 석포제련소를 볼 수 있다. 석포는 석개천과 석포리천이 낙동강에 합류하는 교통의 요지로, 금강소나무가 뗏목으로 엮여 낙동강으로 운반되던 곳이다. 지금은 폐광되었지만 석포지역에 큰 영향을 끼친 연화광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납, 아연 광산이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1956년 1월 1일 영암선의 마지막 구간인 춘양-철암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7년 7월 17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다, 역명은 역 소재지인 석포리에서 따온 것.1971년 (주)영풍의 석포제련소 전용선이 부설되었고 1996년 12월 20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다.
2024년 6월 30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온산역에 위치한 황산 수송 생산이 만료됨에 따라 7월 1일부로 석포역에서 출발하는 온산행 화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7월 8일부터 운행이 재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1. 승강장
철암 | ||
↑ | ↓ | |
승부 |
영동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동해산타열차|동해산타열차 ]]
|
강릉· 동대구· 부전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역에서 바로 남동쪽으로 영풍그룹 석포제련소가 있으며 전용선을 통해 주로 아연괴나 황산을 영남 지방의 산업단지로 운송하고 있다.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bgcolor=#f55839> 비고 ||
무궁화호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 118명 | |
2005년 | 120명 | |
2006년 | 110명 | |
2007년 | 105명 | |
2008년 | 95명 | |
2009년 | 96명 | |
2010년 | 98명 | |
2011년 | 109명 | |
2012년 | 95명 | |
2013년 | 83명 | |
2014년 | 77명 | |
2015년 | 56명 | |
2016년 | 59명 | |
2017년 | 54명 | |
2018년 | 47명 | |
2019년 | 45명 | |
2020년 | 26명 | |
2021년 | 30명 | |
2022년 | ||
2023년 | 27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연계 교통
5.1.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
석포역(3710527, 2540384) | |
봉화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
태백시 시내버스 | |
일반 |
석포역(3710528, 2540385) | |
봉화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
태백시 시내버스 | |
일반 |
6. 사건 사고
2016년 7월 4일 이 역과 승부역 사이의 굴현터널에서 정동진발 동대구행 무궁화호 제 1671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원인은 장마로 인한 낙석 + 미끄러워진 철로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승객 42명이 열차에 타고 있었으나 다행히 기관사가 선로에 낙석이 있는 걸 발견하고는 곧바로 비상제동을 체결해 비록 탈선되기는 했어도 인명피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후 사고구간은 긴급복구작업을 통해 사고 발생 6시간만에 열차 운행을 정상화했다.
7. 둘러보기
영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북영주† -
문단† - -
거촌† -
봉성† -
법전† - -
녹동† - - - -
비동† - - - -
동점† - -
백산† - -
솔안† - - - - - -
고사리† -
하고사리† -
마차리† - -
상정† -
미로† -
도경리† - - - - -
망상† - -
옥계† - -
안인† - -
청량† - -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