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5 23:17:50

장성역

폐역 장성 - [ruby(옥정, ruby=1959~2006)] - 임곡
장성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 ·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남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김제·장성 경유)
정 읍
← 32.4 ㎞
}}}}}}}}}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마자 Jangseong
한자 長城
간체자 长城
가나 [ruby(長成, ruby=チャンソン)] }}}}}}}}}
주소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역전로 87 (영천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3급)
( 광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남선 1914년 1월 11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2015년 4월 2일
2019년 9월 16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2면 8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장 성
파일:장성역.jpg
현 역사(1987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열차 운행 상황
3. 승강장4. 일평균 이용객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호남선 철도역.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역전로 87 (영천리 1273-5)에 위치해 있다.
1914년 1월 목조건물로 영업개시
장성역은 1914년 1월 11일 목조건물로 영업을 시작, 남도의 관문이자 전남의 시작의 역사로 역할해왔다. 1927년 동아일보 장성군민대회 집행위원회 개최를 다룬 기사에 따르면 역 건립 위치에 따른 다양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다는데 원래 철길이 지나갈 예정이었던 구읍에서 철마가 지나가면 흉년이 계속된다는 반발로 지금의 위치에 역사가 지어졌다고도 한다. 백양사역, 신흥리역을 관리하던 주요 역으로, 한국전쟁 당시 소실된 역사를 복원한 평면도에 따르면 수하물 영업 창고를 별개의 건물로 갖추고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장성일대에는 매장량이 7천 8백t 규모의 석회석광맥이 발견되면서 1973년 고려시멘트 전용선이 부설되어 전국으로 시멘트를 실어나르던 곳이다. 1987년 준공된 철근콘크리트의 슬라브 2층 역사를 오늘날까지 사용해오고 있다. 오늘날 장성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노란 도시'이다. 역사 광장 역시 옐로우시티 장성을 느낄 수 있는 노란 꽃 광장이 설치되었으며 홍길동의 고장을 상징하는 테마역이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호남선 광주선, 경전선의 실질적인 분기를 이루는 역이다. 광주행은 북송정역을 거쳐 광주선을 타고 광주역까지 가며, 순천행은 서광주역으로 목포행은 그대로 광주송정역으로 간다.

2004년 4월부터 11년 동안 KTX가 정차하기도 했으나[2], 2015년 4월부터 호남선 KTX 호남고속선을 달리게 되면서 고속선과 만나지 않는 장성역에서는 더 이상 KTX를 볼 수 없게 되었다.[3]전라선을 장성을 ] 수서평택고속선 완공에 따른 KTX 다이어 조정에서 서대전역 경유 용산 - 익산 노선이 상하행 각각 2회씩 목포로 연장되기로 결정되어 KTX 재정차가 성사될지 귀추가 주목되었지만 서대전 경유 열차 또한 익산 - 광주송정 구간은 호남고속선을 경유하게 되면서 앞으로 KTX를 이용할 수 없게 될 거라 예상했지만, 2019년 9월 16일부터 김제역과 함께 다시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일 4회 정차가 확정됐으며, 4년만에 다시 부활했다. 이 열차는 호남고속선이 아닌 전구간 호남선(기존선)으로 운행하여[4]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열차이므로 장성에서 서울까지 약 2시간 40분 정도 소요된다.[5] 2004년 당시 운행하였던 KTX 소요시간과 비슷하다. 경부고속선 김천(구미)역처럼 고속열차 전용 장성역을 따로 만들면 되겠으나 역이 들어설 마땅한 곳을 찾기 힘들고 광주송정 - 정읍 구간도 짧아서 통과 열차도 많은데 그 사이에 또 장성에 역을 만들면 저속철이 되는 관계로 KTX가 장성역에 정차하려면 지금처럼 기존선을 탈 수밖에 없다. 또 고속선에 신역을 만들면 광주광역시 첨단지구에서 광주송정역보다 더 가깝다는 장점이 퇴색될 가능성도 있고. 2019년 9월 재개통 후 3개월 동안 총 이용객이 8,000여 명 정도 이용했으며 하루 평균 이용객은 76명이라고 한다.

TMO가 위치한 몇 안 되는 역으로 인근의 상무대가 위치하고 있어 군인 수요가 많은 편이다. 2018년 9월 현재 역사 내 유일한 상업시설으로는 뜬금없지만 카페가 한 곳 있다. 역 주변을 보아도 시골 읍내 치고는 은근히 카페가 많아서, 역 앞 3분 이내 거리에 카페들이 있다. 또한 장성군청, 터미널 등 장성 번화가와 매우 인접해 있어 카페 뿐만 아니라 롯데리아, 분식집, 편의점 등도 쉽게 찾을 수 있다.

2.1. 열차 운행 상황

읍소재지 지역이지만 1990년대부터 모든 새마을호가 정차하고 있다.

상무대의 영향으로 매주 한두 번씩 역 구내를 가득 채운 군인들을 볼 수 있고 광주광역시 첨단지구에서는 광주송정역보다 더 가까운데다 교통혼잡이 적다보니 이 역을 선호하여 역세권 인구가 더 많은 김제역보다도 이용객이 더 많았었다.

현재도 첨단, 비아에서는 광주송정역보다 가깝고 교통혼잡도 없는데다 무엇보다 자가용 이용 시 주차 비용이 없다보니 광주에서도 이용하는 승객들이 있다. 다만, 대중교통 이용이 다소 불편하고 고속철도도 큰 효과가 없어 승객이 종전보다 감소한 건 사실이다. 시내버스나 군내버스는 첨단을 경유하는 버스가 없어 첨단20번을 이용하여 비아동에서 장성군내버스로 광역환승을 해야 하며, 그것도 장성터미널까지만 운행하기 때문에 터미널에서 장성역까지 걸어야 한다. 터미널에서 역까지 도보로 약 5분 거리에 있어 그렇게 멀진 않으며, 장성군내버스도 배차간격이 15 ~ 20분 정도다[6]. 따라서 승용차를 이용하면 장성역이 편리하지만,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광주송정역을 가는 만큼 불편하다.

근처에 시멘트 공장이 위치해 있어 장성역에서 양회조차를 입환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가 있다.

일 4회 KTX가 정차하지만 문제는 서대전 경유 + 김제 경유라 소요시간이 오래걸린다. 열차번호는 다음과 같다.
  • 하행: #475(용산 -> 목포)[7], #481(용산 -> 목포)[8]
  • 상행: #472(목포 -> 서울), #482[9]/#488[10](목포 -> 행신)[11]

3. 승강장

백양사
4 3 2 1
광주송정· 극락강
1·2 호남선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주· 나주· 목포 방면
3·4 익산· 서대전· 용산 방면

승강장과 본 역사는 지하도를 통해서 연결된다. 2016년 경 지하도와 연결되는 곳에 설치되어 있던 휠체어 리프트를 대신할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다만 기존의 지하도 구조와 계단을 그대로 둔 채로는 엘리베이터 자리가 부족했던 듯 상행(용산) 방향 계단을 가로막는 형태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상행 방향 계단은 한 사람 지나갈 정도의 폭만 남겨놓은 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144999><bgcolor=#144999>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144999> 총합 ||<bgcolor=#144999> 비고 ||
2004년 160명 158명 690명 1,008명 [12]
2005년 262명 150명 601명 1,013명
2006년 371명 133명 466명 970명
2007년 411명 169명 497명 1,077명
2008년 407명 160명 479명 1,046명
2009년 408명 154명 465명 1,027명
2010년 452명 138명 470명 1,060명
2011년 563명 118명 514명 1,195명
2012년 609명 123명 524명 1,256명
2013년 587명 111명 499명 1,197명
2014년 569명 124명 477명 1,170명
2015년 509명 153명 440명 1,102명
2016년 미운행 242명 439명 681명
2017년 230명 414명 644명
2018년 221명 429명 650명
2019년 79명 223명 448명 750명
2020년 41명 134명 274명 449명
2021년 44명 139명 272명 455명
2022년 60명 185명 295명 541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둘러보기

호남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1] 목포 착발 ITX-새마을은 백양사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2] 2014년 기준 하행 10회, 상행 12회 정차 [3] 호남고속선 호남고속도로와 함께 호남선을 지나가는 통로임에도 불구하고, 이 역과 떨어진 약 1KM에 호남고속선이 달리고 있다. [4] 장성 - 서대전( 호남선), 서대전 - 금천구청( 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용산( 경부선) [5] 이 역에서 KTX를 타는 것보다 무궁화호 ITX-새마을을 타고 또 아니면 버스를 타고 정읍역에서 내려 고속선 경유 KTX, SRT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르다. 물론 요금은 더 비싸다. [6] 다만, 군내버스에 따라 경유지가 있는데, 장성터미널로 바로 가는 버스가 있는 반면, 남면 등을 경유하는 버스도 있다. 만약 남면을 경유하는 버스를 이용할 경우 약 15분 정도 더 소요된다. 이런 상황이면 광주송정역을 가는 시간과 차이가 없다. [7] 통과역: 1개 (오송) [8] 통과역: 2개 (천안아산, 오송) [9] 월요일 ~ 목요일 [10] 금요일 ~ 일요일 [11] 통과역: 2개 (나주, 천안아산) [12]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