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06:57:50

밀양역

폐역 밀양 - [ruby(대성, ruby=1945~?)] - 상동
밀양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주 방면
진 영
25.0 ㎞ →
수서 방면
동대구
← 55.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 동
← 9.4 ㎞
}}}}}}}}} ||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마자 Miryang
한자 密陽
간체자 密阳
가나 [ruby(密陽, ruby=ミリャン)] }}}}}}}}}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62 (가곡동)
관리역 등급
관리역
(2급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1905년 1월 1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 2023년 9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4년 5월 1일(예정)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파일:누리로 BI.svg 2022년 11월 5일 }}}}}}}}}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부선
밀 양
파일:밀양역.jpg
현 역사(1982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열차 운행 정보2.2. 수요
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사건사고6. 역 주변 정보7. 주변 교통
7.1. 버스7.2. 택시
8. 기타9. 둘러보기

1. 개요

파일:밀양역 배선도.jpg
밀양역 배선도
파일:밀양역 스탬프.jpg
밀양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밀양아리랑을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낙동강 곡창지대의 교통중심
밀양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낙동강이 흘러 전국에서 손꼽는 곡창지대로 일찍 철도가 들어섰으며, 일제강점기에 한차례 역사 위치를 옮겼다고 전해진다. 1962년 화재로 소실되었던 역사 신축에 이어 1982년 12월에 이르러 오늘날 역사가 완성되었다. 1971년 9월 1일에 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으로 지정, 현재도 역 한 편에 저탄장이 있어 석탄화물운송차가 이따금 오가기도 한다. 2004년 KTX 정차가 시작하고, 대구부산고속도로와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이 확대되면서 명실상부한 영남의 교통중심 도시로 발돋움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 철도역, 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62 ( 가곡동) 소재.

2. 역 정보

현재 역사는 1982년에 준공된 것으로 2004년 경부고속선이 개통할 때부터 KTX를 취급했다. 현재 일부 경전선 KTX와 모든 구포 경유 KTX, 경전선 SRT가 정차하고 있다.

2.1. 열차 운행 정보

이 역에는 ITX-마음을 제외한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가 모두 정차한다.경부고속선 1단계 개통시에는 마산, 창원 쪽 환승 수요를 받기 위해 KTX를 많이 세웠고[1], 2단계 개통 후에는 동대구 ~ 부산 간에 운행하는 구포 경유 KTX가 반드시 정차하는 필수정차역이 되었다. 진주 방면으로 오가는 경전선 KTX는 #211, #212, #216, #217, #221, #222, #285(주말) 열차가 통과하지만, 진주 방면으로 오가는 경전선 SRT는 모두 정차한다.

2022년 11월 5일 부터 부산~동대구간 #1345, #1346 누리로 열차가 1왕복 정차한다.

2023년 9월 1일 부터 수서~진주 SRT 고속열차가 밀양으로 입성하게 되어 2왕복 정차한다. 정작 같은 날 개통한 경부선 ITX-마음 열차는 무정차 통과했으나 2024년 5월 1일부터 열차시간표 개정으로 #1105, #1106, #1107, #1108 ITX-마음 열차가 2왕복 신규 정차할 예정이다.

2.2. 수요

밀양은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철도 초강세 지역이다.

밀양에도 고속도로가 들어오면서 2015년 4월 21일 동서울 시외버스 노선이 생겼고, 2016년 5월 4일 서울 ↔ 밀양 고속버스 노선이 신설되었지만, 동서울행은 2016년 10월에 폐지됐다. 대구 방면의 경우 동대구터미널 개장으로 남부정류장이 폐쇄되고 남부기점 노선의 대다수가 경산까지 단축되어 1일 3회 다니는 울산 완행노선만 동대구와 밀양을 오고가는 노선으로 남았다. 따라서 경산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상, 대구 방면은 여객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 거기에다가 코로나로 서울경부 방면도 운행중지 되었다.

다만 밀양에서 전라도로 가기에는 굉장히 어렵다. 만약 전라도를 가고 싶으면 대구 부산, 마산 등 인근 대도시에서 환승하여야 한다. 이마저도 시내교통수단을 이용해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부산의 경우 사상역을 이용해야 그나마 가까우며[2], 마산역에서 하차한다면 600미터 정도 도보로 이동하여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할 수는 있다. 굳이 열차를 이용하고 싶다면 삼랑진역까지 이동해야 하고, 그마저도 순천과 광양이 한계이다. 광주나 목포, 영광, 전주, 군산 등지가 목적지라면 철도로 가기에는 매우 어렵기에 차라리 오송이나 천안아산까지 올라갔다 오는 게 나을 지경이다. 이 중 가장 나은 방법은 동대구역으로 간 후 거기서 호남행( 광주, 전주 등) 고속버스를 타는 것이다. 동대구에서 최종 목적지로 가는 버스가 없다면,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서부정류장으로 가야 된다.

전라도 도시별로 자세히 따져보자면, 목포, 광주는 밀양역에서 부산행 무궁화호를 타고 삼랑진역까지 가서 (광주는 서광주역, 광주송정역 하차.)목포행 무궁화호 이용하면 되고, 전주는 밀양역에서 삼랑진역으로 이동하여 목포행 무궁화호를 타고 순천역에서 하차하여 용산 KTX, 무궁화호, ITX-새마을을 이용해야 한다. 빨리 가고 싶다면 밀양역에서 서울행 KTX를 타고 오송역에서 하차 후 여수EXPO행 KTX로 환승해서 전주역에서 내리면 된다. 군산은 그냥 밀양역에서 대전역까지 간 다음 대전역에서 택시를 타고 대전복합터미널로 이동하여 군산행 시외버스를 타자.1시간 20분 소요. 대구서부에서 탈 수 있지만 동대구역, 대구역에서 서부정류장까지는 멀다.(대구서부 갈 사람은 아예 밀양역에서 서울행 무궁화호, ITX-새마을을 타고 대구역에서 하차. 1호선 설화명곡 방면을 타고 서부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144999><bgcolor=#144999>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SRT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144999> 총합 ||<bgcolor=#144999> 비고 ||
2004년 1,340명 미개통 478명 6,135명 7,953명 [3]
2005년 2,230명 362명 6,750명 9,342명
2006년 2,748명 324명 6,297명 9,369명
2007년 3,279명 704명 5,939명 9,922명
2008년 3,435명 1,025명 5,819명 10,279명
2009년 3,206명 988명 5,451명 9,645명
2010년 3,386명 1,021명 5,729명 10,136명
2011년 2,010명 725명 5,814명 8,549명
2012년 1,867명 639명 5,838명 8,344명
2013년 1,761명 477명 6,122명 8,360명
2014년 1,701명 512명 5,907명 8,120명
2015년 1,428명 547명 5,631명 7,606명
2016년 1,465명 627명 5,073명 7,165명
2017년 1,425명 785명 4,663명 6,873명
2018년 1,490명 775명 4,548명 6,813명
2019년 1,506명 885명 4,293명 6,684명
2020년 949명 529명 2,808명 4,286명
2021년 1,043명 641명 2,859명 4,543명
2022년 1,407명 754명 3,391명 5,552명
2023년
출처
철도통계연보

이용객이 2010년 이후로 급락하였는데, 이는 기존에 마산역, 창원역 등지에서 일반열차를 타고 밀양역에 와서 KTX로 갈아타던 수요가 2010년 12월 경전선 KTX의 개통으로 인해 전부 다 빠져나가면서 생긴 일이다.
2013년 경부고속철도 기존선(+ 김천구미역) KTX 정차역별 승하차 인원 현황
출처: 2013년 철도통계연보
승차 하차 승차+하차
역 목록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승차합계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하차합계 승하차 총합
행신역 357,863 - - 357,863 318,803 - - 318,803 676,666
영등포역 73,819 859,997 4,435,118 5,368,934 62,217 777,931 4,447,639 5,287,787 10,656,721
수원역 588,786 1,089,850 4,938,725 6,617,361 607,028 1,074,588 4,948,550 6,630,166 13,247,527
김천(구미)역 470,851 - - 470,851 467,826 - - 467,826 938,677
경산역 46,027 33,043 1,074,453 1,153,523 36,543 27,768 1,055,728 1,120,039 2,273,562
밀양역 322,015 92,574 1,091,657 1,506,246 320,875 81,672 1,142,911 1,545,458 3,051,704
구포역 759,372 125,471 1,136,948 2,021,791 777,765 111,370 1,133,586 2,022,721 4,044,512
진영역 51,246 8,080 114,762 174,088 41,729 7,536 123,973 173,238 347,326
창원중앙역 495,407 11,565 330,479 837,451 484,666 30,670 310,155 825,491 1,662,942
창원역 187,720 7,654 173,090 368,464 168,879 10,492 187,706 367,077 735,541
마산역 350,280 10,777 218,353 579,410 329,917 14,813 219,226 563,956 1,143,366
함안역 7,886 1,100 27,892 36,878 6,431 1,403 29,092 36,926 73,804
진주역 77,625 6,238 145,170 229,033 77,840 6,858 153,912 238,610 467,643

4. 승강장

파일:20230616 밀양역 상동방면.jpg
상동 방향 승강장
파일:20230616 밀양역 삼랑진방면.jpg
삼랑진, 한림정 방향 승강장
상동
1 2 3 4
삼랑진, 한림정
1·2 경부선· 경전선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
]]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 대전· 서울· 수서 방면
3·4 경부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
]]
파일:누리로 BI.svg
구포· 부산· 부전·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
]]
진영· 창원· 마산· 진주 방면

5. 사건사고

2019년 10월 22일 오전 10시 16분경 하장내 부근에서 ITX-새마을 제1001열차가 선로작업중이던 직원과 접촉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직원 1명은 현장에서 사망하였고 2명이 중상을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다. 그 후 한국철도공사는 이에 대한 책임을 물어 부산경남본부장을 직위해제하였다.

6. 역 주변 정보

  • 역 대합실을 나와 정면을 보면 시내버스 정류장[4], 좌측을 보면 택시 승강장, 우측을 보면 자전거 주차장이 있다.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204호 205호 206호
밀양 상동터널 구 밀양역 파출소 밀양 구 비행기 격납고
  • 구 역사 인근에 일제강점기 당시 파출소인 등록문화재 205호 구 밀양역파출소가 존재한다.
  • 역 플랫폼에서 보이는 절벽이 꽤 아름답다. 봄/여름에 꽃이 필 때 한번 보자.

7. 주변 교통

  • 웬만한 시내지역은 시내버스로 갈 수 있으며, 택시를 기준으로 삼문동은 4천원대, 시내는 5~7천원대에 갈수있다.
  • 평촌이나 수산쪽을 갈것이라면 반드시 시내버스 혹은 예림으로 가서 시외버스를 이용하자.[5]

7.1. 버스

7.2. 택시

  • 밀양시의 택시 기본요금(2km)은 4000원이며, 2km 초과시 133m당 100원[거리운임], 34초당 100원씩 추가된다[시간운임]. 목적지가 읍, 면 지역일 경우 경계 지점부터 기본 요금 +800원과 거리운임 및 시간운임 40%의 복합 할증이 붙는다.

8. 기타

영화 밀양에서도 촬영지로 쓰였다. 역전에서 촬영하는 장면 등.

역사는 작은데 앞쪽 광장은 큰게 장점이다.[12]

9. 둘러보기

경부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1] 그래서 경전선 복선전철화 전까지는 마산, 창원 쪽 환승객들이 더 많은 기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2] 무궁화호 외에는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대개는 구포역에서 하차 후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나 시내버스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이동해야 한다. [3]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 우측부터 1, 2, 3번 승강장으로 나뉜다. [5] 택시타면 복합할증(기본요금+800원, 거리운임 및 시간운임 +40%)이 붙어서 1만원을 훨씬 넘은 요금이 나올수도있으니 주의 [6] 시내 경유 (터미널, 시청, 교동) [7] 시내 경유 (터미널, 시청, 교동) [8] 미리벌초교 경유 [9] 신촌, 춘기 경유 (미리벌관, 현대아파트) [거리운임] [시간운임] (시속 15km 이하시에만 적용) [12] 추정하기론 공연같은걸 대비하기위해 크게 만든걸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