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고속·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
행신 방면
|
진주 방면
마 산 3.6 ㎞ → |
|||
창원중앙 ← 10.3 ㎞ |
|||||
수서 방면
|
|||||
서울 방면
|
|||||
창원중앙 ← 10.3 ㎞ |
|||||
경전선 무궁화호 |
목포 방면
마 산 3.6 ㎞ → |
||||
부전· 동대구 방면 |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순천 방면
|
|
|
|
||||
|
|||||
|
|
역명 표기 | |||||
경전선 |
창원 Changwon 昌原 / [ruby(昌原, ruby=チャンウォン)] |
||||
진해선 | |||||
덕산선 | |||||
주소 |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의창대로 67 ( 동정동)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2급) ( 마산역 관리 / 코레일 부산경남본부) |
|||||
운영 기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전선 | 한국철도공사 | |||
진해선 | |||||
덕산선 | }}}}}}}}}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마산선 |
1905년 5월 1일 ~1931년 3월 31일[1] |
|||
경전남부선 |
1931년 4월 1일 ~1968년 2월 6일[2] |
||||
경전선 | 1968년 2월 27일[3] | ||||
진해선 | 1926년 11월 11일 | ||||
덕산선 | 2009년 12월 15일 | ||||
2010년 12월 15일 | |||||
2023년 9월 1일 | |||||
2014년 6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대합실, 지상 2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3면 12선 쌍섬식
승강장 ( 경전선, 진해선) |
|||||
철도거리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랑진 방면
용 강 ← 3.3 ㎞ |
경전선 창 원 |
광주송정 방면
마 산 3.6 ㎞ → |
||
기점
|
진해선 창 원 |
통해 방면
신창원 4.8 ㎞ → |
|||
덕산선 창 원 |
덕산 방면
용 강 3.3 ㎞ → |
}}}}}}}}} |
4대 역사 (2010년 준공) |
임시역사 (2009년 준공, 2010년 철거) |
[clearfix]
1. 개요
경전선과 진해선의 분기가 되는 철도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의창대로 67 ( 동정동)[4] 소재.팔각기와지붕에서 현대식 고속열차 정차역으로
창원역은 1903년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 감시 군용선으로 부설된 뒤 1905년 경전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진해선의 분기역으로 역할하였다. 때로는 독립운동의 장으로, 때로는 산업발전의 거점이던 역사. 옛 창원역은 1988년 12월에 준공된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단층의 팔각기와지붕 형태가 매우 특징적이었다. 최근 공원화가 추진 중인 옛 해운대역과 유사한 모습이었다. 이후 2010년 현대식 역사로 건립되면서 옛 창원역의 모습도 사라지고, 2014년 12월 진해선 운행 중지 신청이 받아들여지면서 진해역으로 향하는 열차도 보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창원역은 여전히 고속열차가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역사이자 오랜 시간 동안 산업도시 창원을 대표해온 역사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창원역은 1903년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 감시 군용선으로 부설된 뒤 1905년 경전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진해선의 분기역으로 역할하였다. 때로는 독립운동의 장으로, 때로는 산업발전의 거점이던 역사. 옛 창원역은 1988년 12월에 준공된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단층의 팔각기와지붕 형태가 매우 특징적이었다. 최근 공원화가 추진 중인 옛 해운대역과 유사한 모습이었다. 이후 2010년 현대식 역사로 건립되면서 옛 창원역의 모습도 사라지고, 2014년 12월 진해선 운행 중지 신청이 받아들여지면서 진해역으로 향하는 열차도 보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창원역은 여전히 고속열차가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역사이자 오랜 시간 동안 산업도시 창원을 대표해온 역사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colbgcolor=#003da5><colcolor=#fff> 3대 역사 (1988년 준공, 2009년 철거)[5] |
2대 역사 (1931년 준공, 1988년 철거[6] |
지리적으로는 창원시의 정중앙에 가깝지만 인근 창원중앙역과 마산역에 비하면 이용률이 떨어진다. 이 역이 있는 지역은 창원군 시절까지만 해도 창원의 중심지였던 곳이기에 창원역이란 이름이 붙었지만[7] 창원시 승격 이후 도심이 상남동, 용지동 일대로 이동해버렸기 때문에 쇠락하얐다. 그래도 인근 팔용동, 소답동, 명곡동의 거주인구가 제법 있고 상업시설들이 꽤 많아 유동인구는 많은 편이라서 수요는 항상 적당히 있어왔다. 제39보병사단도 이용률에 많이 기여했지만 2015년 함안으로 이전해버렸다. 대신 그 자리에 창원 중동 유니시티가 들어서서 전망이 마냥 나쁜 건 아니다.
번외로 역 뒤쪽에 웬 전동차들이 놓여있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현대로템에서 생산한 것이다. 해당 전동차는 필리핀 마닐라 7호선에 이용될 예정이지만 아직 해당 노선이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2018년도부터 임시로 이 역에 보관하고 있다가 일부는 송정역등 다른 역으로 이동했다.
2023년 9월 1일부터 SRT가 일 2왕복 정차한다.
2.1. 지위
1992년에 진주행 새마을호가 첫 운행을 개시하였다. 마산역에도 정차하였으며 인접한 두 역을 모두 정차하는 것으로는 첫 번째 사례로 추측된다. 이 새마을호가 참 기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녀석이다.[8] 그리고 공단 출장이 잦은 비즈니스 수요로 인해 증차가 필요하다는 민원이 제기되어 1995년 47-48 열번의 PP동차형 열차가 추가 운행되며 63-64로 개정된다.1990년대까지는 서울발 열차가 창원역에 도착하면 창원역의 역무원이 직접 방송으로 "여기는 창원역입니다. 창원에 오신 손님 여러분 환영합니다."를 내보냈다.
창원시의 4개 여객취급역[9] 중 역의 중요성은 마산역과 창원중앙역에 비해 떨어진다. 더군다나 KTX 개통 후 KTX가 창원역과 창원중앙역에 나눠서 정차하면서 실 이용객 수에서는 거의 반토막 수준. 실제로 2013년을 제외하고는 이용객 수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2019년 들어서 구 제39보병사단 부지에 지은 창원 중동 유니시티 입주가 시작되었고, 그 옆에는 대규모 쇼핑몰인 스타필드가 들어설 예정이라 이 역의 미래가 마냥 어둡지만은 않다. 오히려 부전-마산 복선전철의 공사가 완료되면 창원 소재 역 중 수요가 가장 떡상할 가능성이 높은데, 팔용동, 의창동, 북면 등 의창구 대부분 지역에서 부산광역시로 갈 때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창원종합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빠르고 편리하기 때문이다.[10][11]
본래 창원시내의 KTX 정차역은 창원중앙역과 마산역으로 지정되고 창원역에는 일반열차만 정차할 예정이었으나 지역구 국회의원 등의 반발로 창원역에도 KTX가 서게 되었다. #
한 때 관리역이었던 적도 있으나, 2009년 9월 코레일 지사가 지역본부로 통폐합되면서 보통역으로 격하당했다. 2010년 10월 21일, 경전선 복선전철화 사업에 따라 현 역사를 신축했다. 신축 전 승강장은 2면 3선이었으나, 신축 후 3면 5선으로 꽤 규모가 커졌다. 진해선 열차를 단선 1면 1선으로 처리하는 것은 신축 전과 동일하고,[12] 경전선 열차 승강장이 1면 2선에서 2면 4선의 쌍섬으로 늘어났다. 쌍섬 승강장의 외측 승강장은 고상홈을 미리 설치했으나 아직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2004년 | 미운행 | 미개통 | 481명 | 1,425명 | 1,906명 | |
2005년 | 487명 | 1,677명 | 2,164명 | |||
2006년 | 499명 | 1,736명 | 2,235명 | |||
2007년 | 735명 | 1,719명 | 2,454명 | |||
2008년 | 882명 | 1,741명 | 2,623명 | |||
2009년 | 861명 | 1,712명 | 2,573명 | |||
2010년 | 881명 | 891명 | 1,809명 | 3,581명 | [13] | |
2011년 | 783명 | 222명 | 1,001명 | 2,006명 | ||
2012년 | 768명 | 154명 | 872명 | 1,794명 | ||
2013년 | 977명 | 50명 | 988명 | 2,015명 | ||
2014년 | 986명 | 48명 | 928명 | 1,962명 | ||
2015년 | 1,006명 | 35명 | 803명 | 1,844명 | ||
2016년 | 1,021명 | 미운행 | 62명 | 658명 | 1,741명 | |
2017년 | 954명 | 110명 | 569명 | 1,633명 | ||
2018년 | 1,000명 | 108명 | 562명 | 1,670명 | ||
2019년 | 1,036명 | 125명 | 565명 | 1,726명 | ||
2020년 | 618명 | 73명 | 374명 | 1,065명 | ||
2021년 | 701명 | 89명 | 386명 | 1,176명 | ||
2022년 | 985명 | 119명 | 447명 | 1,551명 | ||
2023년 | 1,711명 | 50명 | 127명 | 488명 | 2,376명 | [14]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4. 승강장
창원중앙 방향 승강장 |
마산 방향 승강장 |
용강 ↑ | |||||||||||
| | 7 | 6 | | | | | 5 | 4 | | | | | | | | | 1 |
마산 ↓ |
1 | 진해선 |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
4 | 경전선 | 부전-마산 광역철도 운행예정 | |
5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마산· 진주· 목포 방면 | |
6 | 서울· 수서· 부전 방면 | ||
7 | 부전-마산 광역철도 운행예정 |
4번과 7번 승강장에는 승강장 도중에 광역전철 대응 고상홈과 4도어 전동차 규격 안전펜스를 미리 설치해 놓았다. 때문에 외선에 고상홈 승강장만 설치해 놓은 창원중앙역과는 달리, 일단은 4번과 7번에도 이론적으로 일반열차의 정차가 가능하다.
역사와 붙어있는 1번 승강장은 재건축 후에도 진해선 열차 전용 승강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동대구-진해 새마을호 운행 시기를 기준으로 동대구 방면, 진해 방면 모두 이 승강장으로 정차했었다가, 마산-진해 단거리 열차로 환원된 후에는 표지판의 동대구 표기를 가려놓았다. 다만 2015년 2월부터는 아예 진해선 여객열차가 운행하지 않아, 평상시에는 이 승강장을 활용할 일이 없어졌다. 창원 발착 임시열차가 잠깐 사용하는 정도로 뜸하게 활용 중이다. 다만 만약 창원 도시철도 2호선이 건설된다면 1번 승강장을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
역 구내에 0.4퍼밀의 구배가 있다.
5. 연계 교통
이 역은 교통 연계가 굉장히 편리하다. 창원시의 주요 간선도로인 창원대로, 3.15대로, 의창대로, 정렬대로가 만나는 소계광장 바로 옆에 있기 때문. 이 덕분에 의창구 서부권 최대의 실질적인 시내버스 환승센터 역할도 겸하고 있다. 시에서 환승센터로 지정한 의창구환승센터보다도 경유 노선이 더 많고 규모도 더 크다. 사실 공식적으로 환승센터로 지정만 안 됐을 뿐이지 철도,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다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또한 창원과 부산을 오갈 때 진영, 진해, 장유, 김해를 중간 기점으로 갈 수 있는 버스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즉, 순수하게 시내버스만 타고 시외로 나갈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이론상으로는 울산광역시까지 시내버스로만 오갈 수가 있다.[15]
5.1. 시내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창원역 경유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창원역(115301) | |
좌석 | ||
간선 | ||
마을/읍면/지선/공단 | ||
김해일반 | ||
창원역(115302) | ||
좌석 | ||
간선 | ||
마을/지선/공단 | ||
창원역(115304) | ||
마을/읍면 | ||
김해일반 | }}}}}}}}} |
이 역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할 시에 주의할 것은 의창대로 건너편에 있는 정류장이 행선지에 따라 둘로 나눠져 있다는 것이다. 일반 시내행/좌석 노선[16]은 횡단보도 우측, 읍면/마을 노선은 횡단보도 좌측의 정류장[17]에 정차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5.2. 시외고속버스 정류소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15a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창원시 | 거제시 | 김해시 | 밀양시 | |||||
창원 · 창원역 · 가술 · 동읍ㆍ일동ㆍ 남산 · 진동 · 용원 · 마산고속 · 마산시외 · 마산남부 · 내서 · 진해 | 사곡 · 고현 · 옥포 · 장목 · 하청 · 장승포 | 김해 · 진영 · 장유시외 · 장유고속 · 장유(공항) | 밀양· 구기 · 무안 · 예림 · 평촌 · 은산 · 파서 · 금곡 · 송백 · 남명 · 수산 · 얼음골 · 유천 · 옥산 · 표충사 · 삼랑진 | ||||||
사천시 | 양산시 | 진주시 | 통영시 | ||||||
사천 · 곤양 · 용현 · 사천공항 · 선진 ·완사 · 곤양 · 삼천포 | 양산 · 통도사신평 | 진주고속 · 진주시외· 경상대 · 개양 · 진성IC · 진주혁신도시 · 정촌 · 봉곡 · 이현 · 문산 · 국제대 · 진성 · 사봉 · 반성 · 수목원 · 한골 · 길성 · 발산 | 통영 · 무전동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거창군 | 고성군 | 남해군 | 산청군 | 의령군 |
거창 · 가조 · 위천 | 고성 · 배둔 · 부포 · 상리 | 남해 | 산청 · 원지 · 생초 · 덕산 · 중산리 · 대원사 | 의령 · 대의 · 신반 · 이방 | |||||
창녕군 | 하동군 | 함안군 | 함양군 | 합천군 | |||||
창녕 · 남지 · 부곡 · 영산 | 하동 · 진교 · 화개 · 옥종 | 함안 · 군북 | 함양 · 마천 · 백무동(지리산) · 서상 · 수동 · 안의 · 추성 | 합천 · 가야 · 적교 · 해인사 | }}}}}}}}} |
참고사항
창원시의 버스 터미널 및 정류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84e0f><colcolor=#fff> 의창구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고 / 시 · 창원역 정류장 고 / 시 · 가술정류소 시 |
성산구 | 남산시외버스정류소 시 | |
마산합포구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시 진동시외버스정류장 시 | |
마산회원구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고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시 · 내서고속버스터미널 고 | |
진해구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고 / 시 · 용원시외버스센터 시 · 진해경찰서 정류장(서울) 시 | |
시내버스 | 도계동 만남의 광장 · 진동 환승센터 · 원포동 만남의 광장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90px" | }}}}}}}}}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시외, 고속버스 중 해당 지역을 오가는 노선은 창원역 정류장에 중간 정차한다. 대구서부, 사천, 삼천포행 노선은 마산시외버스터미널도 경유한다.
그리고 건너편에서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을 출발해서 가술( 대산면사무소), 수산(하남읍)을 거쳐 밀양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를 탈 수 있다.
6. 여담
- 이 역에서 육군군수사령부 창원 9탄약창으로 가는 연결 선로가 있다. 신창원역 근처에서 분기된다.
7. 둘러보기
경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낙동강† - - - - - -
용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화† - - -
원창† -
구룡† - - - - - -
광곡† - - - - - - - - - -
남평† - - - - - - - - - |
}}}}}}}}} |
진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신창원† -
남창원† -
성주사† -
경화† -
진해† - †:여객영업 안함 |
}}}}}}}}} |
덕산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용강† -
덕산† †:여객영업 안함 |
}}}}}}}}} |
부전-마산 광역철도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부전 -
강서금호 -
에코델타시티 -
부경경마공원 -
장유 -
신월 -
창원중앙 -
창원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창원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word-break:keep-all" |
철도 |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 ||||
경전선 |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 중리역 | |||||
도시철도 |
|
|||||
도로 | 고속도로 | 남해선 ( 북창원IC32, 창원JC33, 동창원IC34) · 남해1지선 ( 내서IC2, 서마산IC3, 동마산IC4, 창원JC5) · 남해3지선 ( 신항IC?, 진해IC1) · 중부내륙선 ( 내서IC1) | ||||
국도 | 2 · 5 · 14 · 25 · 58 · 77 · 79 | |||||
지방도 | 30 · 60 · 67 · 1002 · 1020 · 1021 · 1029 · 1030 | |||||
로 | 의창구의 로 · 성산구의 로 · 마산합포구의 로 · 마산회원구의 로 · 진해구의 로 | |||||
버스 | 시내버스 | 창원시 시내버스 · 창원 S-BRT | ||||
버스 터미널 | 고속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 ||||
시외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
시외 · 고속버스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경상남도의 교통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84e0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84e0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창원, 창원중앙 | ||
─ | 덕산, 신창원 | ||
}}}}}}}}} |
[1]
삼랑진역 ~
구마산역 구간 운영
[2]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 운영
[3]
삼랑진역 ~
광주송정역 구간 운영
[4]
동정동 708-63
[5]
우동 시절
해운대역과 외관이 비슷하다.
[6]
1978년 당시의 모습이며, 저기 멀리 보이는 기와 건물이 역사였다.
[7]
비슷한 이유로 창원여중, 창원여고 등도 모두 이 쪽에 있다.
[8]
진주역 문서 참고. 49-50열차였다가 61-62열차로 열번 개정.
[9]
중리역,
마산역, 창원역,
창원중앙역. 그러나 마산역 서쪽부터는 열차편수가 반토막 나면서 중리역은 듣보잡 수준이다.
[10]
창원중앙역은 시가지에서는 가까우나 연계 대중교통이 아직까지는 부실하고, 마산역은 연선 인구가 줄어드는데다가 광장 아래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내린 뒤 위에 있는 역까지 걸어서 올라가야 한다. 젊은 사람들에게는 별 문제가 아니겠지만, 노년층의 인구 구성 비율이 높은 구 마산 지역에서는 나름 치명적인 요소. 단 광역전철이 개통되면 창원중앙역 연계 교통이 늘어서 창원중앙역 수요가 크게 늘고 창원역 수요는 크게 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11]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은 의창구에 있지만 의창구 주민들에게 의외로 접근성이 영 좋지 않다.
합성동과
구암동 등 마산회원구 동부에서 성산구로 넘어가는 경로는
창원대로와
의창대로-
원이대로 경로로 나누어지는데, 팔용동을 제외한 의창구의 거주지는 모두 의창대로-원이대로 축선에 위치하는 반면,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은 창원대로 축선에 있다. 때문에 의창대로-원이대로 축선에 위치한 의창동-명곡동 지역에서 창원종합버스터미널로 통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없다. 때문에 이 지역 주민들은 부산으로 갈 때 창원종합버스터미널 대신 교통이 편리한
마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가거나, 아예 시가지 반대편에 있는
남산시외버스정류소까지 가는 경우도 많다.
[12]
어차피 이렇게 해도 진해선 자체의 열차 통행량이 적기 때문에 단선 운용이 가능하다.
[13]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4]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5]
이 경우 버스가 가는 동안 시내가 어떤 상황인지 관광하듯 관찰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돈과 시간이 많이 들긴 하나 시외버스와 달리 중간에 관심을 가는 곳을 발견하면 바로 중간에 내릴 수 있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16]
140번을 제외한 세 자릿수 또는 네 자릿수 대 노선. 정류장 번호 115302.
[17]
한 자릿수&두 자릿수 대 노선&
140번. 정류장 번호 115304.
[18]
창원역 경유 대전행이 운행 중지.
마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용 또는 열차 이용 필요.
[19]
해당 버스는
창원이 아닌 마산에서 출발하는 버스이기 때문에 팔용동으로 가지 않는다. 또한 건너편에서 타야 한다.
[20]
바로 앞이 역이기 때문에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 다만 경전선 열차의 운행 횟수가 적다는 것은 감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