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17:45:47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현대 한글의 모든 글자
,
,
,
,
,

가나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유니코드 AC00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
두벌식
( QWERTY)
rk
세벌식 최종
(QWERTY)
kf
현행 로마자 표기법 ga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ka/ga
1. 개요2. 동음이의어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자음 과 모음 로 이루어진 글자.

오늘날 쓰이는 한글 자모의 순서가 훈몽자회에 맞춰져 있으므로 자음의 첫 낱자는 'ㄱ'이고 모음의 첫 낱자는 'ㅏ'이다. 따라서 이 둘을 조합한 '가'가 첫 번째 글자가 된다. 마지막 글자는 ''. 이러한 한글의 순서를 가나다순이라고 한다.

2. 동음이의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순우리말
    • 1: '주변'을 뜻하는 말
    • 2: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여섯 번째 음이름.
    • 11: 가(조사)
    • 가(어미)
    • 가(동남 방언): '걔(그 아이)'를 뜻한다. 대표적인 관련 문장으로 ' 가가 가가'가 있다.
  • 한자 및 한자어
    한국 한자음으로 '가'에 해당하는 한자는 일반 한자 기준으로 29개[1]이다. 이 중에서 읽기/쓰기가 특급에 해당하지 않는 글자는 10개[2]이다.
    • {{{#!folding [ BMP 펼치기 · 접기 ]
  • (U+35CE, 차 이름 가)
  • (U+3699, 가)
  • (U+37B9, 산 이름 가)
  • (U+38A6, 배말뚝 가)
  • (U+3909, 엎드린 모양 가)
  • (U+390E, 법 가)
  • (U+39DD, 잡을 가)
  • (U+3A83, 칠 가)
  • (U+3ABC, 칠 가)
  • (U+3C24, 숨 내쉴 가)
  • (U+3C52, 꾸짖을 가)
  • (U+3E62, 원숭이 가)
  • (U+409F, 돌 이름 가)
  • (U+4214, 갈대 가)
  • (U+445D, 술잔 가)
  • (U+4505, 풀 이름 가)
  • (U+4552, 풀 이름 가)
  • (U+46E9, 바르지 못할 가)
  • (U+4AAA, 음역자 가)
  • (U+4BCA, 무릎뼈 가)
  • (U+4D25, 수사슴 가)
  • (U+4D97, 깨물 가)
  • (U+4EEE, 거짓 가)
  • (U+4EF7, 값 가)
  • (U+4F3D, 절 가)
    가람(伽) 가야금(伽)
  • (U+4F49, 신 이름 가)
  • (U+4F73, 아름다울 가)
    준3급 한자. 점입가경(漸入佳境), 가인박명(佳人薄命), 백년가약(百年佳約) 등 사자성어는 꽤 있으나 일상 한자어 중에서는 쓰이는 예가 적다.
  • (U+4FA1, 값 가)
  • (U+5047, 거짓 가)
    거짓을 뜻한다. 가식(假飾), 가면(假面), 가짜 등. 일본에서는 仮의 형태로 '임시'라는 뜻으로 자주 쓰인다. '가처분', '가집행' 등의 단어가 그 사례.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그렇게 쓰이지 않으므로 일본식 한자어에 속한다.
    • 가-15: 가짜 거짓 임시적인 접두사
  • (U+50A2, 가구 가)
  • (U+50F9, 값 가)
    값을 뜻하는 한자. 가치(價値), 가격(價格), 평가(評價) 따위의 단어에 쓰인다.
  • (U+52A0, 더할 가)
    더할 가. 힘(力)을 써서 무언가(口) 덧붙였다는 식의 회의 문자다(네이버 한자사전). 한국어에서 쓰이는 사례로는 가산점(加算點), 가중(加重), 가미(加味), 가맹점(加盟店) 등이 있다.
    • 3: '가하다'의 어근.
    • 4
      부여는 사출도에 따라 중앙의 왕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지역마다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猪加), 구가(狗加)[3]를 두어 다스리게 했다. 이 가라는 직책은 각 지방에서 사실상 왕에 버금가는 것이어서 독자적으로 밑에 관직을 두고 제사를 지낼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4]
  • (U+5361, 음역자 가)
  • (U+53DA, 빌릴 가)
  • (U+53EF, 옳을 가)
    • 5: 옳거나 좋음. 옳음을 뜻하는 한자이다. 가능(可能), 가능성(可能性) 등이 있다. 수우미양가 중 가장 낮은 등급을 뜻하기도 한다. 여기서의 뜻은 '가능성이 있다'.
  • (U+5475, 꾸짖을 가)
  • (U+547F, 음역자 가)
  • (U+5494, 음역자 가)
  • (U+5496, 커피 가)
  • (U+54C1, 시집갈 가)
  • (U+54E5, 노래 가)
    • -가12
      그 성씨 자채 또는 그 성씨를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보통 어른 앞에서 자신의 성씨를 낮추어 이를 때(ex. "저는 김해 김가입니다") 쓰인다. 간혹 남을 비하할 때 ' X가(놈)' 하는 식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를 이용한 동남 방언 유머로 " 가가 가가가"가 있다.
  • (U+54FF, 옳을 가)
  • (U+5609, 아름다울 가)
    '佳'와 다르다.
  • (U+560F, 클 가)
  • (U+5777, 평탄하지 않을 가)
  • (U+590F, 개오동나무 가)
  • (U+5913, 개오동나무 가)
  • (U+5A7D, 고울 가)
  • (U+5B8A, 집 가)
  • (U+5BB6, 집 가)
    집을 뜻한다. 한자가 만들어질 당시에 돼지(豕)를 키웠다고 이런 모양이 되었다고 한다. 집이라는 뜻 외에도 전문직을 뜻하기도 한다. (Ex: 작가, 대가 등) 가택연금(家宅軟禁), 종가(宗家), 가정(家庭), 가구(家具) 따위의 단어에 쓰인다.
    • 7: 같은 호적에 들어 있는 친족 집단.
    • -가13: '그것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뜻하는 접사
    • -가14: ' 가문'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U+5C1C, 팽이 가)
  • (U+5CA2, 산 이름 가)
  • (U+5E4F, 세마포 가)
  • (U+5F41, 가)
  • (U+5FA6, 이를 가)
  • (U+6213, 땅 이름 가)
  • (U+6228, 말뚝 가)
  • (U+62B2, 움켜쥘 가)
  • (U+62C1, 도리깨 가)
  • (U+659A, 술잔 가)
  • (U+659D, 술잔 가)
    • 9: 제례 때에 쓰던 술잔.
  • (U+65EE, 구석 가)
  • (U+6687, 틈 가/겨를 가)
    4급 한자. '휴가(休暇)'라는 단어가 제일 유명하며, '여가(餘暇)', '한가(閑暇)하다' 등의 단어가 있다.
  • (U+67B6, 시렁 가)
    준3급 한자. ' 가공(架空)', '가교(架橋)'가 그나마 일상적인 예이다.
  • (U+67B7, 도리깨 가)
  • (U+67EF, 가지 가)
    가엽(柯) 부가(柯)
  • (U+6935, 나무 이름 가)
  • (U+698E, 개오동나무 가)
  • (U+69A2, 시렁 가)
  • (U+69DA, 개오동나무 가)
  • (U+6A16, 부딪힐 가)
  • (U+6A9F, 개오동나무 가)
  • (U+6B4C, 노래 가)
    노래를 뜻하는 한자. 군가(軍歌), 유행가(流行歌), 가요(歌謠) 따위의 단어에 쓰인다.
    • -가18: 값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U+6BE0, 털옷 가)
  • (U+6CC7, 물 이름 가)
  • (U+6E2E, 강 이름 가)
  • (U+6E8A, 물 이름 가)
  • (U+6ED2, 진창 가)
  • (U+70A3, 불 가)
  • (U+7241, 배말뚝 가)
  • (U+726B, 뭇 뿔 가)
  • (U+7271, 배말뚝 가)
  • (U+728C, 힘 있을 가)
  • (U+7333, 수퇘지 가)
  • (U+738D, 까불 가)
  • (U+73C2, 마노 가)
  • (U+73C8, 머리꾸미개 가)
  • (U+75B4, 경기 가)
  • (U+75C2, 딱지 가)
    농가진()
  • (U+7615, 뱃병 가)
  • (U+7638, 팔다리 병 가)
  • (U+767F, 땅 이름 가)
  • (U+7822, 옥 버금 가는 돌 가)
  • (U+7A3C, 심을 가)
    가동(稼)
  • (U+7B33, 호드기 가)
    • 8: 짐승의 뿔로 만든 원시적인 악기.
  • (U+7B34, 화살대 가)
  • (U+7CD8, 지명 가)
  • (U+801E, 도리깨 가)
  • (U+80E2, 무릎뼈 가)
  • (U+80E9, 유기 화합물 가)
  • (U+8175, 창자에 생긴 병 가)
  • (U+8238, 배 가)
  • (U+82DB, 가혹할 가)
    가책(苛) 가혹(苛) 가학(苛)
  • (U+8304, 연줄기 가)
  • (U+8377, 잗달 가)
  • (U+83CF, 늪 이름 가)
  • (U+846D, 갈대 가)
  • (U+86B5, 도마뱀 가)
  • (U+8857, 거리 가)
    거리를 뜻하는 한자. 사창가(私娼街), 식당가(食堂街), 학원가(學院街) 따위의 단어에 쓰인다. 법정동에도 쓰이며 일부 도시 중심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ex) 종로3가
    • -가16: 거리 또는 지역의 뚯을 더하는 접미사
  • (U+8888, 가사 가)
    가사(袈) 금가(袈)
  • (U+8A36, 꾸짖을 가)
  • (U+8B0C, 노래 가)
  • (U+8BC3, 꾸짖을 가)
  • (U+8C6D, 수퇘지 가)
  • (U+8C91, 수퇘지 가)
  • (U+8CC8, 값 가)
    '價'와 다른 한자이다.
  • (U+8D3E, 값 가)
  • (U+8DCF, 책상다리할 가)
  • (U+8DD2, 걸을 가)
  • (U+8EFB, 수레 가/사람 이름 가)
  • (U+8F72, 수레 가/사람 이름 가)
  • (U+8FE6, 부처 이름 가)
    석가모니 () 석가 (迦)
  • (U+9160, 쓴 술 가)
  • (U+926B, 갈륨 가)
  • (U+9272, 카드뮴 가)
  • (U+9398, 카드뮴 가)
  • (U+93B5, 갈륨 가)
  • (U+93B6, 니오븀 가)
  • (U+9549, 카드뮴 가)
  • (U+9553, 갈륨 가)
  • (U+99D5, 멍에 가)
  • (U+9A7E, 멍에 가)
  • (U+9ABC, 뼈 가)
  • (U+9AC2, 허리뼈 가)
  • (U+9B7A, 복어 가)
  • (U+9C84, 복어 가)
  • (U+9D10, 거위 가)
  • (U+9D1A, 거위 가)
  • (U+9E9A, 수사슴 가)
  • (U+9FD4, 니오븀 가)}}}
    • {{{#!folding [ SIP 펼치기 · 접기 ]
  • 𠀀(U+20000, 꾸짖을 가)
  • 𠋧(U+202E7, 어리석 가)
  • 𠌳(U+20333, 팔다리 병 가)
  • 𠍟(U+2035F, 옳을 가)
  • 𠖊(U+2058A, 빌릴 가)
  • 𠖔(U+20594, 집 가)
  • 𠬂(U+20B02, 술잔 가)
  • 𠭊(U+20B4A, 빌 가)
  • 𠳌(U+20CCC, 탄식하는 소리 가)
  • 𠵲(U+20D72, 옳을 가)
  • 𠷉(U+20DC9, 상스러운 말 가)
  • 𡃭(U+210ED, 노래 가)
  • 𡤫(U+2192B, 꾸밀 가)
  • 𡧚(U+219DA, 집 가)
  • 𡩅(U+21A45, 집 가)
  • 𡩙(U+21A59, 집 가)
  • 𡩚(U+21A5A, 집 가)
  • 𡩵(U+21A75, 집 가)
  • 𡶐(U+21D90, 연이어져 있는 모양 가)
  • 𢉤(U+22264, 시렁 가)
  • 𢉻(U+2227B, 수사슴 가)
  • 𢎄(U+22384, 배말뚝 가)
  • 𢎅(U+22385, 가)
  • 𢗬(U+225EC, 엎드린 모양 가)
  • 𢜿(U+2273F, 불안할 가)
  • 𢦪(U+229AA, 배말뚝 가)
  • 𢱌(U+22C4C, 시렁 가)
  • 𢼐(U+22F10, 망설일 가)
  • 𢼔(U+22F14, 가)
  • 𣝺(U+2377A, 가지 가)
  • 𣣟(U+238DF, 숨쉴 가)
  • 𣤑(U+23911, 노래 가)
  • 𣤒(U+23912, 노래 가)
  • 𣪇(U+23A87, 가)
  • 𣮫(U+23BAB, 털옷 가)
  • 𣮱(U+23BB1, 가사 가)
  • 𣵣(U+23D63, 강 이름 가)
  • 𣸌(U+23E0C, 좌초할 가)
  • 𣹇(U+23E47, 좌초할 가)
  • 𤇞(U+241DE, 칠 가)
  • 𤕒(U+24552, 가)
  • 𤙑(U+24651, 멍에 가)
  • 𤜊(U+2470A, 가)
  • 𤠙(U+24819, 원숭이 가)
  • 𤹱(U+24E71, 기생충병 가)
  • 𤼾(U+24F3E, 땅 이름 가)
  • 𥋣(U+252E3, 볼 가)
  • 𥝿(U+2577F, 벼 가)
  • 𥯽(U+25BFD, 화살대 가)
  • 𥰮(U+25C2E, 죽순 절임 가)
  • 𥰯(U+25C2F, 죽순 절임 가)
  • 𥹌(U+25E4C, 쌀 가)
  • 𦎮(U+263AE, 숫양 가)
  • 𦙲(U+26672, 딱지 가)
  • 𦙺(U+2667A, 딱지 가)
  • 𦣯(U+268EF, 가)
  • 𦨒(U+26A12, 작은 배 가)
  • 𦨜(U+26A1C, 작은 배 가)
  • 𦽅(U+26F45, 박하 가)
  • 𧉪(U+2726A, 쌀바구미 가)
  • 𧛣(U+276E3, 가사 가)
  • 𧩶(U+27A76, 교묘히 말할 가)
  • 𧪆(U+27A86, 꾸짖을 가)
  • 𧱌(U+27C4C, 시집갈 가)
  • 𧵛(U+27D5B, 가)
  • 𨂥(U+280A5, 허리뼈 가)
  • 𨔣(U+28523, 제지할 가)
  • 𨝆(U+28746, 가)
  • 𩢟(U+2989F, 멍에 가)
  • 𩩱(U+29A71, 허리뼈 가)
  • 𩶛(U+29D9B, 물고기 이름 가)
  • 𪀁(U+2A001, 거위 가)
  • 𪀉(U+2A009, 거위 가)
  • 𪃿(U+2A0FF, 거위 가)
  • 𪆲(U+2A1B2, 새 이름 가)
  • 𪐓(U+2A413, 가지 가)
  • 𪔟(U+2A51F, 가)
  • 𪘺(U+2A63A, 뻐드렁니 가)}}}
  • 음차
    ka/ga 발음을 나타내는 글자 중에서 비교적 간단한 편이라 해당 발음을 상징하는 한자로 자주 쓰였다. 일본 가나 か/カ의 유래가 된 것도 그 때문. 중국어에서는 ka/ga 발음을 음차하는 데 이 한자를 자주 쓴다. 加农炮( 캐논), 伏特加( 보드카) 등. 그런데 정작 표준중국어에서 加는 jiā로 읽힌다(역사적으로는 성모가 g이긴 했다).
    • : 일본어의 조사 か/が
  • 고유명사
    • 인물
      • 전한 초기의 관료(정위)
        嘉. 생몰년도 미상. 이름자에 '가(嘉)'를 쓴다. 성씨는 알려져있지 않다. < 한서> 권19하 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 하(下)에 따르면 문제 10년( 기원전 170년) 정위(廷尉)[5]에 임명된다.
      • 전한 초기의 관료(중위)
        嘉. 생몰년도 미상. 이름자에 '가(嘉)'를 쓴다. 성씨는 알려져있지 않다. < 한서> 권19하 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 하(下)와 권49 원앙조조전(爰盎晁錯傳)에 따르면, 경제 3년( 기원전 154년), 오왕 유비가 다른 여섯 제후왕과 함께 조조 타도를 명분으로 오초칠국의 난을 일으키자 당시 승상 도청적 · 정위 구와 함께 조조를 탄핵한 인물이다. 경제는 가로 하여금 조조를 소환하게 하였고, 조조는 곧 기시[6]되었다.
      • 전한 후기의 관료
        加. 생몰년도 미상. 이름자에 '가(加)'를 쓴다. 성씨는 알려진 바가 없고, < 한서> 권19하 백관공경표(百官公卿表) 하(下)에 따르면 감로[7] 4년( 기원전 50년)에 중산상(中山相)[8]에서 수정위(守廷尉)[9]로 승진하였다고 한다...
    • 노래

3. 둘러보기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1] 家價可加假歌街伽暇 佳架嘉稼賈駕茄苛迦 柯袈嫁哥訶呵跏軻枷 珂痂 [2] 家價可加假歌街暇佳架 [3] 당시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동물들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 후 윷놀이의 유래가 됐다는 게 유력한 가설이다. [4] 참고로, 부여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고구려 역시 지방을 중앙과 동서남북 4방위로 나누어 소노부, 계루부 등 5부 귀족들이 독자적으로 다스리게 했다. 나중엔 중앙집권화에 따라 단순한 행정구역으로 변모하게 되지만. [5] 정위는 고대 중국의 관직으로, 구경(九卿)의 하나이며 진나라 때 처음 생겨나 형벌과 법률을 관장하였다. [6]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죄인의 목을 베고 그 시체를 길거리에 버리던 형벌. [7] 선제(전한)의 여섯째 연호. 기원전 53년에서 기원전 50년까지 4년 동안 사용했다. [8] 중산 군수. [9] 수정위의 '수(守)'는 수습직으로 임명되었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 수정위 = 수습 정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