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우리말
1.1. 분, 존칭 의존명사
본인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 또는 성인 이상의 상대인 사람을 높여 부르는 한국어의 의존명사.본래 '어떤 분', '하시는 분' 등 '~ㄴ 분' 형태로 쓰여 '사람'이라는 단어를 높일 때 혹은 사람을 세는 단위로 쓰는 말이다.
최근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대상 뒤에 바로 붙어 대상을 높이는 '-님'과 비슷한 접미사적 용법으로 쓰는 사례도 발견된다. '소설가분', '박○○ 가수분' 같은 예가 그러하다. # 그러나 규범문법 상으로는 '분'의 의존명사적 용법만 인정된다. 즉, 관형절 뒤에 띄어쓰기로 사용된다. '보호자 되시는 분', '자녀 되시는 분', '티엔 코스하신 분'처럼 풀어쓰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국어 사전에서는 의존 명사인 분 외에도 접미사 -분을 따로 사전에 등재해 놓았다. #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이면 되며, 이 용례를 따르면 '친구분', '환자분', '보호자분'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 즉, 최근 발견되고 있는 이름 뒤에 붙이는 용법은 문법상 어긋나는 사례라는 것이다(예: '홍길동분'은 잘못된 표현이다).
사람을 세는 단위인 명(名)의 존칭으로도 쓰인다. ex)몇 분 오셨습니까? 또한 '이분, 그분, 저분' 등은 '이+분'이 한 단어로 합쳐진 합성어이다.
위키위키 사이트들에서는 존칭이 금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여러 사람이 쓰는 곳이기에 인물에 대한 관점을 중립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나무위키 역시 마찬가지로 이 표현이 보인다면 수정하는 게 좋다.
2. 1자 한자어
2.1. -분( 分), 시간의 단위
자세한 내용은 分 문서 참고하십시오.시간 체계와 그 기준 (협정 세계시) | ||
연 |
1
태양년에 근사 31,536,000초 평년 31,622,400초 윤년 31,557,600초 율리우스년 |
|
월 |
달의 삭망 주기에 근사 2,419,200초 28일 2,505,600초 29일 2,592,000초 30일 2,678,400초 31일 |
|
주 | 604,800초 | |
일 | 1 태양일에 근사: 86,400초 | |
시 | 3,600초 | |
분 | 60초 | |
초 | 세슘-133 원자의 진동 | |
시간대 | 윤초 | |
- 1분 = 60초 = 1/60시 = 1/1440일
이 시간의 '분'은 아래 각도의 단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기계식 시계가 발명, 개량되면서 시를 잘게 쪼갤 수 있게 되면서 각도의 단위를 쓰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1시간이 60분으로 나눈 이유는 오래전 일이라 다양한 가설로 전해지나, 시계 눈금판에는 이미 시를 가리키는 12개[2] 눈금이 있었으니, 어찌되었든 분은 편의상 12의 배수로 나뉘었을 터이다. 시간을 나누는 것과 그 필요성에 대한 자세한 역사는 시계, 시간 그리고 초(단위)[3] 문서에 잘 정리되어 있다.
군대에서 분 단위의 숫자를 읽을 때 9 이하의 숫자는 공일분(01분), 공이분(02분), 공삼분(03분), 공사분(04분), 공오분(05분), 공육분(06분), 공칠분(07분), 공팔분(08분), 공구분(09분) 이렇게 앞에 ' 공'을 일일이 붙여줘야 한다. 0일 경우는 '정각'이라고 붙인다.[4]
2.2. -분( 分), 각도의 단위
위 시간 단위와 구분하기 위해 각분(arcminute)이라고 하며 1 도의 1/60에 해당한다. 기호는 프라임(′)이나 작은따옴표(')로 쓰는 경우도 있다.2.3. 분( 扮), 배역을 맡은 배우
자세한 내용은 扮 문서 참고하십시오.배역 뒤에 '홍길동(아무개 분)' 식으로 붙는 분은 '분장(扮裝)하다'의 분(扮)으로, 홍길동 배역을 배우 아무개가 맡았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배우 아무개가 홍길동 역으로 분한(했)다‘로도 표현하기도 한다.
3. 한자
한국 한자음 빈도 |
[11~106위] 부18 주17 계 조 지16 소 우15 고 비 위 제14 호13 서 연 자 적 전12 공 단 모 시 원 재11 가 방 선 성 신 오 의 진 화10 간 관 리 반 양 영 인 천9 강 개 거 교 대 동 무 미 배 복 순 역 이 초 한8 각 견 량 련 망 매 보 분 석 아 여 증 창 축 파 포 현7 감 과 근 금 명 박 봉 세 속 숙 식 안 종 청 취 치 침 편 폐 하 항 해 형 환6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 중 '분'으로 읽는 글자는 다음 7자이다.
- 分 (나눌 분): 주로 무언가를 나눠서 떼어 놓을 때 쓰인다. ex)분해, 분리, 분열, 분담
- 粉 (가루 분): 밀가루의 중력분. 박력분이나 분진폭발의 분이 이 분이다.
- 憤 (분할 분): 주로 화가 날 때에 쓰인다. ex) 울분(鬱憤), 격분(激憤)
- 奮 (떨칠 분): 憤과 유사하지만 다소 긍정적인 일에 쓰인다. 대표적 예는 흥분(興奮)이다.
- 墳 (무덤 분): 다소 옛날 무덤에 쓴다.[5] 고분(古墳)이 대표적이다.
- 奔 (달릴 분): 대표적 용례는 '분주(奔走)하다'이다. '광분(狂奔)하다'도 이 글자를 쓴다.
- 紛 (어지러워질 분): 분쟁(紛爭), 분규(紛糾), 분란(紛亂) 등 다툼에 주로 쓰인다. 분실(紛失)은 다소 특이한 예이다.
그 밖에 간간이 쓰이는 글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扮 (분장할 분)
- 糞 (똥 분): 분뇨(糞尿) 등의 단어가 있다. 오줌과 함께 이르는 변( 便)이 더 폭넓게 쓰이는 감이 있다.
- 噴 (뿜을 분): 주로 무언가를 방출할 때에 쓰인다. ex) 분출(噴出), 분사(噴射), 분화(噴火)
4. 일본어
일본어에서는 聞, 文을 ぶん으로 읽는다.[6] 한국 한자음은 둘 다 '문'이며, 이 두 한자는 모두 오음으로 もん( 몬)이라고도 읽는다. ん의 발음 특성상 한글로는 '분', '붕' 모두에 대응될 수 있으나 한글로 '붕'이라고 적을 때는 별로 없고 보통은 표준대로 '분'이라고 적는다.한국 한자음으로 '분'이라고 읽는 글자는 대부분 ふん( 훈)으로 읽는다. 粉, 紛, 雰, 噴, 墳, 憤, 奮, 이 그 예이다.
分의 경우 (누군가의) 몫; 분수, 직분; 부분, 정도 등을 뜻하는 명사로 쓰일 때는 단독으로 ぶん이 되며, 기타 접미사로 쓰일 때도 발음 편의상 탁음화하여 ぶん이 되곤 한다. 시간 단위의 발음은 分 문서를 참조하라.
5. 영미권 인명
로마자 철자는 대개 Boone으로 쓴다.- 제시카 분: 미국의 성우
- 벤슨 분: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 밥 분: 미국의 전 야구 선수
- 레이 분: 미국의 전 야구 선수
- 브렛 분: 미국의 전 야구 선수
- 애런 분: 미국의 전 야구 선수. 現 뉴욕 양키스 감독
- 분 제너: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