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8:43:29

정지훈(2001)

냥똥벌레에서 넘어옴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2024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colcolor=#aa8a00> 감독 [[김정수(e스포츠)|김정수
KIM
]]
코치 [[권영재|권영재
Helper
]]
로스터
파일:TOP_icon_geng.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김기인|김기인
Kiin
]]
파일:JGL_icon_gen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 [[김건부|김건부
Canyon
]]
파일:MID_icon_gen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ADC_icon_gen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9. [[김수환(프로게이머)|김수환
Peyz
]]
파일:SUP_icon_geng.png
SPT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 [[손시우|손시우
Lehend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조세형(e스포츠)|조세형
Mata
]]
LCK 참가팀 로스터 }}}}}}}}}}}}
정지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레드.svg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2023_MSI_TOP_Icon.png
TOP
파일:2023_MSI_JGL_Icon.png
JGL
파일:2023_MSI_Mid_Icon.png
MID
파일:2023_MSI_Bot_Icon.png
BOT
파일:2023_MSI_SPT_Icon.png
SPT
파일:2023_MSI_Sub_Icon.png
SUB
파일:2023_MSI_Coach_Icon.png
COACH
<colbgcolor=#000><rowcolor=#000> 2015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 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중국 국기.svg
Koro1
파일:중국 국기.svg
Clearlo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aw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eft
파일:중국 국기.svg
Meiko
파일:중국 국기.svg
U
파일:중국 국기.svg
Aar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eapered
2016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uk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l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ng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ar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ohManDu
20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un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anu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l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ar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pidstar
2018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중국 국기.svg
Letme
파일:중국 국기.svg
Mlxg
파일:중국 국기.svg
Xiaohu
파일:중국 국기.svg
Uzi
파일:중국 국기.svg
Ming
파일:대만 국기.svg
Kars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zm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art
2019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Wunder
파일:폴란드 국기.svg
Jankos
파일:덴마크 국기.svg
Caps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Perkz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Mikyx
파일:스웨덴 국기.svg
promisq
파일:독일 국기.svg
GrabbZ
파일:영국 국기.svg
Duffman
2021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중국 국기.svg
Xiaohu
파일:중국 국기.svg
Wei
파일:중국 국기.svg
Cryin
파일:중국 국기.svg
GALA
파일:중국 국기.svg
Ming
파일:중국 국기.svg
Xiaoba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Tabe
<rowcolor=#000> 파일:중국 국기.svg
Lele
파일:대만 국기.svg
Poppy
2022 파일:중국 국기.svg
Bin
파일:중국 국기.svg
Wei
파일:중국 국기.svg
Xiaohu
파일:중국 국기.svg
GALA
파일:중국 국기.svg
Ming
파일:중국 국기.svg
Bunny
파일:중국 국기.svg
KenZhu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Tabe
2023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중국 국기.svg
36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navi
파일:중국 국기.svg
knigh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uler
파일:중국 국기.svg
MISSING
파일:중국 국기.svg
Lzq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omme
파일:중국 국기.svg
Viod
2024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ny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ov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yz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ehend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lper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f05c><tablebgcolor=#d7f05c>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 (블루).svg League of Legends
Season Kickoff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001ab6> 시즌
<rowcolor=#001ab6> 파일:TOP_icon_SKE.png
TOP
파일:JGL_icon_SKE.png
JGL
파일:MID_icon_SKE.png
MID
파일:BOT_icon_SKE.png
BOT
파일:SPT_icon_SKE.png
SPT
2023 LCK
Team Deft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orga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uzz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hovy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eft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Peter
LCS
Zoomers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Revenge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Spica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jojopyu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erserker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Busio
LEC
Team Dynasty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Evi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Finn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Exakick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Rekkles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
Trymbi
LPL
Create Our Legacy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TheShy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XLB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Yagao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JackeyLove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Wink
CBLOL
Team dyNquedo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Tay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Aegis
[[대한민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
dyNquedo
[[대한민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
DudsTheBoy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Cavalo
LJL
Team Recruit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Nap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achamecha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Ar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Yutapon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Raina
LLA
La Grellneta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Kaze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Grell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cody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Ceo
[[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
Ackerman
PCS
Team Nash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Likai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Gemini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ubao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Wako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Enso
VCS
Team Artemis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Kiaya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DNK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Glory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Artemis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Taki
2024 LCK
Team JGL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On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IDEON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Lucid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Sylvie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Peanut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7f05c><tablebgcolor=#d7f05c>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 (블루).svg League of Legends
Season Kickoff

역대 준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001ab6> 시즌
<rowcolor=#001ab6> 파일:TOP_icon_SKE.png
TOP
파일:JGL_icon_SKE.png
JGL
파일:MID_icon_SKE.png
MID
파일:BOT_icon_SKE.png
BOT
파일:SPT_icon_SKE.png
SPT
2023 LCK
Team Fak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uDu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ill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ak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Vip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eryL
LCS
Boomers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olo
[[미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
Contractz
[[미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
Jensen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Array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oreJJ
LEC
Team Legacy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Odoamne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Yike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Perkz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Sheo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Hylissang
LPL
Make it Possible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Breathe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Tarzan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Harder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Hope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Meiko
CBLOL
Team Robo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Robo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Ranger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NOsFerus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micaO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RedBert
LJL
Team Jaegar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Kinatu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lank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Jett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dresscode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Dicey
LLA
La Tukineta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Buggax
[[우루과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Mataz
[[칠레|
파일:칠레 국기.svg
]]
Aloned
[[아르헨티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Josedeodo
[[멕시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IgnaVilu1
PCS
Team Zod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Rest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Kongyue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Minji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Shunn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Kino
VCS
Team Levi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Hasmed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Levi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Artifact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Shogun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
Pallete
2024 LCK
Team MID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hovy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ak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Cloze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aris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dd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2012 스프링 파일:600px-MiG_Frost_logo.png FantasyStar · Helios · Ambition · Jack Sparrow · Lustboy
서머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Shy · Templar · Rapidstar · Woong · MadLife
League of Legends Champions
2013 윈터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MakNooN · Watch · SSONG · PraY · Cain
스프링 파일:Team MVP.png Homme · DanDy · Dade · imp · Mata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2014 윈터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Acorn · Spirit · Dade · Deft · Heart
서머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Ssumday · KaKAO · Rookie · Arrow · Hachani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15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Piccaboo
서머 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2016 스프링 Duke · Blank · Bengi · Faker · Bang · Wolf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IA
2017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Huni · Profit · Peanut · Blank · Faker · Sky · Bang · Wolf
서머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Khan · Rascal · Cuzz · Bdd · Justice · PraY · Lucy · GorilIA · Zzus
2018 스프링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Khan · Peanut · Cuzz · Bdd · PraY · GorilIA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meb · Kingen · Score · Rush · Ucal · PawN · Deft ·
Mata · Mia
2019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Teddy · Leo · Mata ·
Effort
서머 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Gori · Teddy · Leo ·
Effort · Mata
2020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Canna · Roach · Cuzz · Ellim · Faker · Gori · Teddy ·
Gumayusi · Effort · Kuri
서머 파일:DAMWON.png Nuguri · Flame · Canyon · ShowMaker · Ghost · Nuclear · BeryL · Hoit
2021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Khan · Canyon · ShowMaker · RangJun · Ghost · BeryL
서머 Khan · Canyon · Malrang · ShowMaker · Ghost · Rahel ·
BeryL
2022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Zeus · Oner · Faker · Gumayusi · Keria · Asper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oran · Peanut · YoungJae · Chovy · Ruler · Lehends
2023 스프링 Doran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서머 Doran · Museong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2024 스프링 Kiin · Canyon · Chovy · Peyz · Lehends · Mata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파이널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LCK 포스트시즌 MVP
2020 스프링 2020 서머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Cuzz
문우찬

T1 | JGL
Nuguri
장하권

DWG | TOP
Khan
김동하

DK | TOP
ShowMaker
허수

DK | MID
Oner
문현준

T1 | JGL
2022 서머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Peanut
한왕호

GEN | JGL
Peyz
김수환

GEN | BOT
Chovy
정지훈

GEN | MID
Kiin
김기인

GEN | TO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정규시즌 MVP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 역대 구 롤챔스 MVP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2017 스프링
Duke
이호성

NJF | TOP
Ssumday
김찬호

kt | TOP
Smeb
송경호

ROX | TOP
Crown
이민호

SSG | MID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2019 스프링
Kuro
이서행

AFs | MID
Bdd
곽보성

LZ | MID
Bdd
곽보성

KZ | MID
Khan
김동하

KZ | TOP
Chovy
정지훈

GRF | MID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2021 스프링 2021 서머
Canyon
김건부

DWG | JGL
Bdd
곽보성

GEN | MID
ShowMaker
허수

DWG | MID
Canyon
김건부

DK | JGL
Peanut
한왕호

NS | JGL
2022 스프링 2022 서머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Keria
류민석

T1 | SPT
Ruler
박재혁

GEN | BOT
Keria
류민석

T1 | SPT
Lehends
손시우

KT | SPT
Chovy
정지훈

GEN | MID
2019 시즌까지는 POG 포인트로 MVP를 시상하다가 2020 시즌부터 투표제로 바뀌었다.
2020 시즌부터 POG 포인트 1위에게는 Player of the Split 상을 시상한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Player of the Split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0 스프링 2020 서머 2021 스프링
Bdd
곽보성

GEN | MID
ShowMaker
허수

DK | MID
Pyosik
홍창현

DRX | JGL
Chovy
정지훈

HLE | MID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2023 스프링
Gori
김태우

NS | MID
Canyon
김건부

DK | JGL
Ruler
박재혁

GEN | BOT
Prince
이채환

LSB | BOT
Keria
류민석

T1 | SPT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2025 스프링
Canyon
김건부

DK | JGL
Zeka
김건우

HLE | MID
Chovy
정지훈

GEN | MID
2015 ~ 2019 시즌까지는 POG 점수가 가장 높은 선수에게 정규시즌 MVP를 시상했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1st All-Pro Team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f> 시즌 대회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20 스프링 파일:DAMWON.png Nuguri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Clid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Bdd 파일:T1 LoL 로고.svg Teddy 파일:DRX 로고(2020~2022).svg Keria
서머 파일:DAMWON.png Nuguri 파일:DAMWON.png Canyon 파일:DAMWON.png ShowMaker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uler 파일:DAMWON.png BeryL
2021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Khan 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파일:DWG KIA 엠블럼.svg ShowMaker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uler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서머 파일:Afreeca_Freecs.png Kiin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Peanut 파일:DWG KIA 엠블럼.svg ShowMak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deokdam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2022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Zeus 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파일:T1 LoL 로고.svg Faker 파일:T1 LoL 로고.svg Gumayusi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서머 파일:T1 LoL 로고.svg Zeus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anut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hovy*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Ruler*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Lehends
2023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Zeus 파일:T1 LoL 로고.svg Oner 파일:T1 LoL 로고.svg Faker 파일:T1 LoL 로고.svg Gumayusi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Kiin*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Cuzz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Bdd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Aimin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Lehends
2024 스프링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Kiin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anyon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hovy*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yz 파일:T1 로고.svg Keria
* 만장일치 퍼스트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nd All-Pro Team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f> 시즌 대회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20 스프링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ascal 파일:T1 LoL 로고.svg Cuzz 파일:DRX 로고(2020~2022).svg Chovy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Aiming 파일:T1 LoL 로고.svg Effort
서머 파일:T1 LoL 로고.svg Canna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Clid 파일:DRX 로고(2020~2022).svg Chovy 파일:DAMWON.png Ghost 파일:DRX 로고(2020~2022).svg Keria
2021 스프링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ascal 파일:DRX 로고(2020~2022).svg Pyosik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Chovy 파일:T1 LoL 로고.svg Teddy 파일:DWG KIA 엠블럼.svg BeryL
서머 파일:DWG KIA 엠블럼.svg Khan 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Bdd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ul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Kellin
2022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Rascal 파일:T1 LoL 로고.svg Oner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Chovy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uler 파일:DRX 로고(2020~2022).svg BeryL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oran 파일:T1 LoL 로고.svg Oner 파일:T1 LoL 로고.svg Faker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Prince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2023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Kiin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anut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hovy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Deft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Kellin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oran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anut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hovy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yz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elight
2024 스프링 파일:T1 로고.svg Zeus 파일:T1 로고.svg Oner 파일:T1 로고.svg Faker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Viper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Lehends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3rd All-Pro Team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f> 시즌 대회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20 스프링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oran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bonO 파일:T1 LoL 로고.svg Faker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eft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Life
서머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ascal 파일:T1 LoL 로고.svg Cuzz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Bdd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eft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Life
2021 스프링 파일:DRX 로고(2020~2022).svg Kingen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Clid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Bdd 파일:DWG KIA 엠블럼.svg Ghost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Life
서머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ummit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Croco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Chovy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Prince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Effort
2022 스프링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iin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Peanut 파일:DWG KIA 엠블럼.svg ShowMaker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eft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Lehends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Rascal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Croco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Clozer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Aiming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Kael
2023 스프링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oran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Canyon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Bdd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yz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Lehends
서머 파일:T1 LoL 로고.svg Zeus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Canyon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Zeka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Viper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Life
2024 스프링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Doran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Peanut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Zeka 파일:T1 로고.svg Gumayusi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Delight
}}}}}}}}} ||

{{{#!wiki style="margin:-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HP OMEN Best KDA Awar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1 2022 2023 2024 2025
ShowMaker
허수

DK | MID
Chovy
정지훈

GEN | MID
Aiming
김하람

KT | BOT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HYPE MOMENTS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2 서머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Canyon
김건부

DK | JGL
DuDu
이동주

KDF | TOP
Chovy
정지훈

GEN | MID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OP.GG Player of the Week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3 서머 1주 2023 서머 2주 2023 서머 3주 2023 서머 4주 2023 서머 5주
Peyz
김수환

GEN | BOT
Cuzz
문우찬

KT | JGL
Kiin
김기인

KT | TOP
Peyz
김수환

GEN | BOT
Canyon
김건부

DK | JGL
2023 서머 6주 2023 서머 7주 2023 서머 8주 2023 서머 9주 2024 스프링 1주
Peanut
한왕호

GEN | JGL
Lehends
손시우

KT | SPT
Croco
김동범

DRX | JGL
Pyosik
홍창현

KT | JGL
2024 스프링 2주 2024 스프링 3주 2024 스프링 4주 2024 스프링 5주 2024 스프링 6주
Zeus
최우제

T1 | TOP
Keria
류민석

T1 | SPT
Pyosik
홍창현

KT | JGL
Viper
박도현

HLE | BOT
Keria
류민석

T1 | SPT
2024 스프링 7주 2024 스프링 8주 2024 스프링 9주 2024 서머 1주 2024 서머 2주
Chovy
정지훈

GEN | MID
Peanut
한왕호

HLE | JGL
Viper
박도현

HLE | BOT
}}}}}}}}} ||
{{{#!wiki style="margin:-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WOORI BANK
Gold King of the Week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4 스프링 1주 2024 스프링 2주 2024 스프링 3주 2024 스프링 4주 2024 스프링 5주
Aiming
김하람

DK | BOT
BuLLDoG
이태영

KDF | MID
Bdd
곽보성

KT | MID
DuDu
이동주

KDF | TOP
Zeka
김건우

HLE | MID
2024 스프링 6주 2024 스프링 7주 2024 스프링 8주 2024 서머 9주 2023 스프링 PO
Aiming
김하람

DK | BOT
Clear
송현민

FOX | TOP
Jiwoo
정지우

NS | BOT
Chovy
정지훈

GEN | MID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c1c><tablebgcolor=#1c1c1c> 파일:LCK white.pn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KDA 챔피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c1c1c> 시즌 대회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2013 윈터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Shy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Watch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SSONG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Score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Cain
스프링 파일:CJ Entus BLAZE.png Flame 파일:Team MVP.png DanDy 파일:Team MVP.png dade 파일:Team MVP.png imp 파일:Team MVP.png Mata
서머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inSec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engi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Faker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Piglet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PoohManDu
2014 윈터 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png Looper 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png DanDy 파일:attachment/Sktt1_k.png Faker 파일:attachment/Sktt1_k.png Piglet 파일:attachment/Sktt1_k.png PoohManDu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Acorn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Spirit 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png PawN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Deft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Heart
서머 파일:Samsung white.png Looper 파일:Samsung white.png DanDy 파일:attachment/Sktt1_s.png Easyhoon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Arrow 파일:Samsung white.png Mata
2015 스프링 파일:GE_Tigerslogo_square.webp Smeb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Chaser 파일:GE_Tigerslogo_square.webp Kuro 파일:GE_Tigerslogo_square.webp PraY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sumday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core 파일:external/oi67.tinypic.com/2qams1e.png Kuro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Arrow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2016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Peanut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Kuro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PraY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GorillA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core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Kuro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a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2017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Huni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Peanut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Faker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a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meb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core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Bdd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Deft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Mata
2018 스프링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Khan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Peanut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Bdd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an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Mata
서머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meb 파일:Griffin_logo.png Tarzan 파일:Griffin_logo.png Chovy 파일:Griffin_logo.png Viper 파일:Griffin_logo.png Lehends
2019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han 파일:Griffin_new_logo.png Tarzan 파일:Griffin_new_logo.png Chovy 파일:Griffin_new_logo.png Viper 파일:Griffin_new_logo.png Lehends
서머 파일:Griffin_new_logo.png Sword 파일:Griffin_new_logo.png Tarzan 파일:DAMWON.png ShowMaker 파일:Griffin_new_logo.png Viper 파일:Griffin_new_logo.png Lehends
2012-2013 윈터부터 포지션별 KDA 1위를 뽑아 시상했었고, 수상자들에겐 각각 20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2014 서머까지는 전 경기를 대상으로 시상하다가, 리그제 전환이 이뤄진 2015 스프링부터 정규 시즌 경기를 위주로 집계되었다.
해당 부문은 2020 스프링부터 LCK All-Pro Team의 신설로 폐지되었다.
사실상 올-프로 1st 팀을 과거에는 통합 지표가 아닌 KDA 스코어로 구분하여 따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300승 달성 선수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이름
ID
당시 소속 팀 현 소속 팀 포지션 달성일자 최종 기록
[[고동빈|고동빈
Score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19.03.14 319승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19.04.07 -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
PraY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19.08.17 300승
[[강범현|강범현
GorillA
]]
파일:sandbox_gaming_logo.png 은퇴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0.07.26 308승
[[김혁규|김혁규
Deft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1.02.04 -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2.01.14 368승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2.06.24 -
[[곽보성|곽보성
Bdd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3.01.20 -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3.03.12 -
[[허수(프로게이머)|허수
ShowMaker
]]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3.07.21 -
[[김기인|김기인
Kiin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_white1.png 2023.07.29 -
[[손시우|손시우
Lehends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3.07.29 -
[[문우찬|문우찬
Cuzz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3.08.19 -
[[김건부|김건부
Canyon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4.01.20 -
[[류민석|류민석
Keria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4.02.24 -
[[박진성(프로게이머)|박진성
Teddy
]]
파일:DRX 로고.svg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4.03.06 -
[[최현준(프로게이머)|최현준
Doran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_white1.png 2024.03.21 -
,,
ID
: 현 LCK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350승 달성 선수
★ : 400승 달성 선수,,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2000킬 달성 선수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이름
ID
당시 소속 팀 현 소속 팀 포지션 달성일자 최종 기록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0.03.05 -
[[김혁규|김혁규
Deft
]]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2.02.24 -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2.07.22 2152킬
[[박진성(프로게이머)|박진성
Teddy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3.07.23 -
[[곽보성|곽보성
Bdd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3.08.10 -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4.04.06 -
,,
ID
: 현 LCK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2500킬 달성 선수
★ : 3000킬 달성 선수,,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이름
ID
당시 소속 팀 현 소속 팀 포지션 달성일자 최종 기록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16.07.11 -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
PraY
]]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은퇴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16.07.21 1685킬
[[배준식|배준식
Bang
]]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은퇴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17.03.02 1679킬
[[고동빈|고동빈
Score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17.03.05 1509킬
[[이서행|이서행
Kuro
]]
파일:Afreeca Freecs logo.png 은퇴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17.06.08 1556킬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
Smeb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_white1.png 2018.03.01 1340킬
[[강찬용|강찬용
Ambition
]]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은퇴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18.07.26 1009킬
[[권상윤|권상윤
Sangyoon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은퇴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19.02.13 1191킬
[[김혁규|김혁규
Deft
]]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19.03.21 -
[[박진성(프로게이머)|박진성
Teddy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0.02.26 -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0.04.01 2152킬
[[곽보성|곽보성
Bdd
]]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0.04.08 -
[[장용준|장용준
Ghost
]]
파일:DWG KIA 엠블럼.svg 은퇴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1.02.20 1487킬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1.06.24 -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1.07.01 -
[[송용준|송용준
Fly
]]
파일:Afreeca_Freecs.png 은퇴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1.07.29 1041킬
[[허수(프로게이머)|허수
ShowMaker
]]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1.08.28 -
[[김기인|김기인
Kiin
]]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_white1.png 2022.03.05 -
[[김하람|김하람
Aiming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2.07.06 -
[[김광희|김광희
Rascal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DRX 로고.svg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_white1.png 2022.07.29 -
[[서대길|서대길
deokdam
]]
파일:DRX 로고.svg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3.03.04 1013킬
[[김건부|김건부
Canyon
]]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3.03.10 -
[[문우찬|문우찬
Cuzz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3.06.30 -
[[박도현(2000)|박도현
Viper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3.07.09 -
[[이민형|이민형
Gumayusi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3.08.02 -
[[최현준(프로게이머)|최현준
Doran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TOP.png 파일:LCK_TOP_white1.png 2023.08.03 -
,,
ID
: 현 LCK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달성 선수,,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3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이름
ID
당시 소속 팀 현 소속 팀 포지션 달성일자 최종 기록
[[강범현|강범현
GorillA
]]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은퇴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17.08.26 4137어시스트
[[이재완|이재완
Wolf
]]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은퇴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18.03.04 3096어시스트
[[고동빈|고동빈
Score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18.06.23 3549어시스트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0.07.03 -
[[박종익|박종익
TusiN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0.07.26 3152어시스트
[[김혁규|김혁규
Deft
]]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2.02.19 -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2.07.22 -
[[손시우|손시우
Lehends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2.08.10 -
[[곽보성|곽보성
Bdd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3.03.05 -
[[류민석|류민석
Keria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3.03.11 -
[[김정민(2000)|김정민
Life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3.04.02 -
[[조건희|조건희
BeryL
]]
파일:DRX 로고.svg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3.06.29 -
[[김건부|김건부
Canyon
]]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3.07.16 -
[[문우찬|문우찬
Cuzz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3.08.10 -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4.03.06 -
[[김형규(프로게이머)|김형규
Kellin
]]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4.03.31 -
,,
ID
: 현역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35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4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펜타킬 달성 선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c192b><colcolor=#fff> 2012 시즌 Hiro 이우석 1호 · Locodoco 최윤섭 2호 · Hermes 김강환 3호 · Imp 구승빈 4호
2013 시즌 Ambition 강찬용 5호 · Riris 백승민 6호 · PraY 김종인 7호
2014 시즌 Imp 구승빈 8호 · Emperor 김진현 9호 · Bang 배준식 10호
2015 시즌 Faker 이상혁 11호 · Rain 박단원 12호 · Smeb 송경호 13호 · Arrow 노동현 14·16호☆ · Nagne 김상문 15호 · Bang 배준식 17호 · Pilot 나우형 18호 · Ssumday 김찬호 19호
2016 시즌 Stitch 이승주 20호 · Pilot 나우형 21호 · Crown 이민호 22호 · Bang 배준식 23호 · Sangyoon 권상윤 24호
2017 시즌 Tempt 강명구 25호 · Kramer 하종훈 26호 · ikssu 전익수 27호 · Crown 이민호 28호
2018 시즌 Lava 김태훈 29호 · Khan 김동하 30호 · Teddy 박진성 31·33호☆ · Pilot 나우형 32호 · Ruler 박재혁 34호
2019 시즌 Viper 박도현 35호 · SSUN 김태양 36호 · ShowMaker 허수 37호
2020 시즌 Mystic 진성준 38·46호☆ · Ruler 박재혁 39·40·50호★ · Aiming 김하람 41호·49호☆ · HyBriD 이우진 42·43·45호★ · SoHwan 김준영 44호 · ShowMaker 허수 47호 · Canyon 김건부 48호
2021 시즌 Gumayusi 이민형 51호 · Ghost 장용준 52·53호☆ · Ruler 박재혁 54호 · Pyosik 홍창현 55호 · Lava 김태훈 56호 · Chovy 정지훈 57호
2022 시즌 deokdam 서대길 58호 · Ghost 장용준 59호 · Aiming 김하람 60호 · Bdd 곽보성 61호 · Gumayusi 이민형 62호 · Ruler 박재혁 63호 · Prince 이채환 64호
2023 시즌 Taeyoon 김태윤 65호 · Gumayusi 이민형 66호 · Peyz 김수환 67호·70호·71호★ · Viper 박도현 68호 · ShowMaker 허수 69호
2024 시즌 Aiming 김하람 72호 · ShowMaker 허수 73호·76호☆ · Peyz 김수환 74호 · Deft 김혁규 75호 · Pyosik 홍창현 77호
※ 국내 대회이나 LCK가 아닌 대회는 제외 (LoL 마스터즈, 예선, 프리시즌, 챌린저스, 승강전, 케스파컵 등)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d3736> 파일:Rift_Rivals_Red_2019.png Rift Rivals Red Rift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Sub_icon_RR.png
SUB
파일:Coach_icon_RR.png
COACH
<colbgcolor=#fd3736> 2017 파일:lpl.png 파일:external/d210291ab9f7bdac17b0762c548995bc948b09a029e057e326383751676d7435.png 파일:중국 국기.svg
957
파일:중국 국기.svg
Condi
파일:중국 국기.svg
Xiy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ysti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ro
파일:중국 국기.svg
LaoZho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omme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RNG.png 파일:중국 국기.svg
Letme
파일:중국 국기.svg
Mlxg
파일:중국 국기.svg
Xiaohu
파일:중국 국기.svg
Y4
파일:중국 국기.svg
Ming
파일:중국 국기.svg
Koro1
파일:대만 국기.svg
FireFo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art
파일:대만 국기.svg
Dog4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중국 국기.svg
Mouse
파일:중국 국기.svg
Clearlove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cou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t
파일:중국 국기.svg
Meiko
파일:중국 국기.svg
Audi
파일:중국 국기.svg
Aar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oF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rmes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OMGlogo300.png 파일:중국 국기.svg
Xiyang
파일:중국 국기.svg
World6
파일:중국 국기.svg
Icon
파일:중국 국기.svg
SmLz
파일:중국 국기.svg
Five
파일:중국 국기.svg
Jiekou
파일:중국 국기.svg
MingZhe
2018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중국 국기.svg
Zz1tai
파일:대만 국기.svg
Karsa
파일:중국 국기.svg
Xiaohu
파일:중국 국기.svg
Uzi
파일:중국 국기.svg
Ming
파일:중국 국기.svg
Mlx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zm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art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y
파일:중국 국기.svg
Ha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cout
파일:중국 국기.svg
iBoy
파일:중국 국기.svg
Meiko
파일:중국 국기.svg
Clearlove
파일:중국 국기.svg
Aar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oF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rmes
파일:300px-Rogue_Warriorslogo_square.png 파일:중국 국기.svg
Mous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awles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inb
파일:중국 국기.svg
Smlz
파일:중국 국기.svg
Killu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older
파일:대만 국기.svg
Steak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heShy
파일:중국 국기.svg
N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ookie
파일:중국 국기.svg
JackeyLove
파일:중국 국기.svg
Baol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uk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fa
2019 파일:LCK_Logo_2018.png 파일:LCK 2018 로고화이트.jp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l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edd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r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f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y
파일:Griffin_new_logo.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wor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arz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ov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p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ehend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r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vMa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aos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sc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uzz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ae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ef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us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ira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cor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upreme
파일:DAMWO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ugur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ny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howM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ucle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ry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a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ic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rave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55d9><tablebgcolor=#bf55d9> 파일:CK_logo_white.png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2015 스프링 1차 파일:600px-Anarchylogo_square.png Vitamin · Bubbling · Mickey · Sangyoon · SnowFlower
스프링 2차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Winners_Logo.png Lego77 · Murphy · Moon · GankZero · BokGu
서머1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Dark_Wolveslogo_square.png Cube · Krvavy · Kyle · Chelly · Jelly
서머2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TrAce · Winged · Chaser · Kuzan · GBM · Pilot · Cpt Jack · Sweet · Chei
2016 스프링 파일:ESCEVER.png Crazy · Ares · Bless · Ryan · Tempt · LokeN · Key · Totoro
서머 파일:y0HwV1E.png Roach · Hipo · Punch · Crush · Edge · SSol · GuGer
2017 스프링 파일:external/s20.postimg.org/Ever_Eight_Winners_Logo.png Helper · Malrang · OldB · Cepted · Deul · Ella · Kkyul
서머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Soul · Racoon · Winged · Candy · Veritas · Avenger · Pure
2018 스프링 파일:griffin.png Sword · Tarzan · Gankster · Rather · Chovy · Viper · Lehends · Newt
서머 파일:DAMWON.png <colcolor=#fff> Nuguri · Punch · ShowMaker · Nuclear · Hoit · BeryL
2019 스프링 파일:300px-ES_Sharkslogo_square.png Jisu · Catch · Kuzan · Light · GuGer
서머 파일:Team Dynamics.png Jisu · Ganknam · Vins · Danchung · Light · GuGer · Starrain
2020 스프링 파일:Seorabeol_Gaminglogo.png
Thal · Lapis · KaKAO · DanChung · Gone · Sangyoon · Bini · Nova · Harp
서머 파일:AWESOME_SPEAR.png Chasy · Crush · Crow · cepted · Prince · Zzus
리그 구조 개편으로 CK 폐지, 2군 리그 LCK CL 및 연습생 리그 LCK AS 신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20237><tablebgcolor=#020237> 파일:KeSPA_Cup_logo_white.png League of Legends
KeSPA Cup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연도 우승팀 선수
2015 파일:ESCEVER.png Crazy · Ares · Ryan · Athena · LokeN · Police · KeY · Totoro
2016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lA
2017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meb · Score · PawN · Deft · Mata
2018 파일:Griffin_new_logo.png Sword · Tarzan · Chovy · Viper · Lehends · Kabbie
2019 파일:아프리카 프릭스(2016~2020.11) 로고.png Kiin · Hoon · Spirit · Dread · Fly · SSUN · Mystic · Ssol · Jelly · Ben
2020 파일:DWG_square.png Khan · Chasy · Canyon · ShowMaker · Ghost · BeryL
2021 파일:DWG KIA 엠블럼.svg Thanatos · Lucid · Pullbae · Saint · Rahel · Bible
2021 케스파컵은 LCK 소속의 1군 팀들이 전부 참여하지 않았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20237><tablebgcolor=#020237> 파일:KeSPA_Cup_logo_white.png League of Legends
KeSPA Cup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15 2016 2017 2018 2019
Key
김한기

ESC | SPT
공석 PawN
허원석

KT | MID
Chovy
정지훈

GRF | MID
Kiin
김기인

AF | TOP
2020 2021
ShowMaker
허수

DWG | MID
Thanatos
박승규

DKC | TOP
대회 폐지
2021 케스파컵은 LCK 소속의 1군 팀들이 전부 참여하지 않았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b732>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Asian Game
League of Legends
역대 금메달리스트
}}}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연도 우승국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SUB_icon_black.png
SUB
파일:Coach_icon_black.png
COACH
<colbgcolor=#ffb732><rowcolor=#000> 2018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Letme
파일:중국 국기.svg
Mlxg
파일:중국 국기.svg
Xiye
파일:중국 국기.svg
Uzi
파일:중국 국기.svg
Ming
파일:중국 국기.svg
Meiko
파일:중국 국기.svg
Aar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zm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art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J. CHO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H. SE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H. J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H. PAR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S. R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H. L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G.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M. L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H.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W. LE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f2023>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균|김정균
kkOma
]]
분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민(e스포츠)|이재민
Zef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하(프로게이머)|김동하
Kha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완|이재완
Wolf
]]
로스터
파일:TOP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T1 LoL 로고.svg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JGL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서진혁|서진혁
Kanavi
]]
파일:MID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crwn.png 파일:T1 LoL 로고.svg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ADC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파일:SUP_icon_black.p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T1 LoL 로고.svg [[류민석|류민석
Keria
]]
}}}}}}}}} ||
파일:24쵸비프로필.webp
<colbgcolor=#000><colcolor=#aa8a00> Gen.G No.3
Chovy[1][2]
정지훈 (鄭智勳 | Jung Ji-hun)
출생 2001년 3월 3일 ([age(2001-03-03)]세)
인천광역시 서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63kg[3], O형
학력 제물포중학교 (졸업)
가좌고등학교 (중퇴)[4]
병역 예술체육요원[5]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부문)
MBTI ISTJ[6]
ID Chovy 계정 목록 #
허거덩 #0303 #
게임유저1 #user #
GG XD #KR1 #[7]
포지션 미드[8]
데뷔 2018년 3월 8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8-03-07)]일째, [age(2018-03-08)]주년)
소속
[ 펼치기 · 접기 ]
KeG Gwangju
(2017.11.19 ~ 2017.11.21)
Griffin
(2018.03.07 ~ 2019.11.25)

DRX[9]
(2019.12.04 ~ 2020.11.17)

Hanwha Life Esports
(2020.11.24 ~ 2021.11.15)
Gen.G
(2021.11.24 ~ 2024.11.18예정)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 2023[10])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부문
서명
파일:쵸비 서명.svg
에이전시 비클래씨[직계존속]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선수 경력
3.1. 대회 경력3.2. 주요 경력
4. 솔로 랭크5. 6. 여담
6.1. 남다른 기부 선행
7. 쵸비에 대한 언사8. 바깥 고리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 Gen.G 소속 미드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지훈(2001)/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지훈(2001)/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대회 경력

  • MSI 우승 1회, LCK 우승 4회, 준우승 5회,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1회, CK 우승 1회, KeSPA Cup 우승 1회
  • LCK 정규시즌 MVP 2회, LCK 파이널 MVP 1회, KeSPA Cup MVP 1회, Player of the Split 2회
  • 역대 우승 8회, 역대 준우승 5회, 역대 MVP 선정 4회

3.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18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정규시즌 우승[12]
CJ Entus Griffin DAMWON Gaming
2018 LoL KeSPA Cup 우승
kt Rolster Griffin Afreeca Freecs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LPL[13] LCK[14] 폐지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T1 Gen.G 미정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우승
대회 출범 Team Deft Team JGL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중국[15] 대한민국 미정
2024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JDG Intel Esports Club Gen.G 미정
준우승 경력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Afreeca Freecs Griffin Gen.G Esports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Gen.G Esports DRX Gen.G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T1 Gen.G T1
2023 상하이 e스포츠 마스터스 준우승
대회 출범 Gen.G 미정
2024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오프닝 준우승
Team Faker Team MID 미정
수상 경력
2018 LoL KeSPA Cup HyperX MVP
허원석
( kt Rolster)
정지훈
(Griffin)
김기인
( Afreeca Freecs)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MVP
김동하
( KING-ZONE DragonX)
정지훈
(Griffin)
김건부
( DAMWON Gaming)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 Player of the Split
곽보성
( Gen.G Esports)
정지훈
(Hanwha Life Esports)

허수
( DWG KIA)
홍창현
( DRX)
김태우
( NongShim REDFORCE)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파이널 MVP
김수환
( Gen.G)
정지훈
(Gen.G)
김기인
( Gen.G)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Player of the Split
김건부
( Dplus KIA)
김건우
( Hanwha Life Esports)
정지훈
(Gen.G)
미정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정규시즌 MVP
손시우
( kt Rolster)
정지훈
(Gen.G)
미정
e-스포츠 명예의 전당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LCK All-Pro Team 선정
2020 LCK SPRING 2ND TEAM
2020 LCK SUMMER 2ND TEAM
2021 LCK SPRING 2ND TEAM
2021 LCK SUMMER 3RD TEAM
2022 LCK SPRING 2ND TEAM
2022 LCK SUMMER 1ST TEAM
2023 LCK SPRING 2ND TEAM
2023 LCK SUMMER 2ND TEAM
2024 LCK SPRING 1ST TEAM
LCK 어워드 선정
2022 LCK 어워드 HP OMEN 실력으로 증명한 베스트 KDA 상

4. 솔로 랭크

시즌 최고 티어 최종 티어
2018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1192LP)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2019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440LP) 파일:lol_master_1.png 마스터[휴면강등]
2020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202LP) 파일:lol_master_1.png 마스터[휴면강등]
2021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1337LP) 파일:lol_master_1.png 마스터[휴면강등]
202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1749LP)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휴면강등]
2023(스플릿 1, 스플릿 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1744LP, 2087LP)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2024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

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지훈(2001)/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 프로게이머 중 롤 모델로 삼는 선수가 있나.

"없다. 저는 저로서 살아가려고 한다."
* 2019년 스스로에 대한 프로게이머 롤 모델을 묻는 질문에 대해 짧게 답을 하고 간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이후 2020년 Sunday Night LCK에서 쵸비는 자신의 지향점으로 "라인전은 루키, 후반 운영은 페이커처럼 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
  • 제물포중학교, 가좌고등학교 출신으로, 중학교 장래희망에 '프로게이머'라고 썼다. 좌우명은 '성실하게 살자.' #
  • 왼쪽 손목에 점이 있다.
  • 이전 솔랭 계정 닉네임이 '댕 체'였기에 연예인 정채연의 팬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았으나, 본인이 밝히길 댕 체 닉네임은 이전에 사용했던 '미율치당신은대체'에서 두 글자 닉네임을 만들고 싶어 변형을 준 것이라고 한다. '미율치'는 멸치의 변형으로, 몸이 말라서 학창 시절 별명이었다고 한다. 프로 닉네임 쵸비도 멸치의 영문명인 anchovy에서 따온 것이라고.
  • 2019년 4월 말에 스트리머 연초봄과 노말 및 무작위 총력전을 같이 플레이한 것이 확인되었는데, 여기서 연초봄의 닉네임인 '첫 봄'에 맞추어 닉을 '첫 새싹'으로 변경하였다. 쵸비만 한 게 아니고 주변 스트리머들( 이초홍, 견자희 등)과 다른 프로게이머(일례로 더샤이는 '첫 기적'으로 변경하였다)들도 다 같이 바꾼 걸 보면 아무래도 주변 지인들과 장난삼아 단체로 닉네임을 맞춘 것인데, 이 때문에 쵸비에게 연초봄의 광팬 밈이 생겼다. 롤갤에서 시작된 밈인 만큼 처음에는 여성 스트리머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는 식으로 오르내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전 프로게이머 너구리의 롤나봉쓰 짝사랑 밈처럼 변질되어 연초봄 방송에 푹 빠진 트수 밈으로 자리잡았다.[20] 그리고 2020년 3월부터 DRX 프런트 피셜로 개인 채널이 트위치에 생겼다.
    • 이후 한동안 묻혔다가 2022 스프링 결승 이후에 다시 발굴되었는데, 연초봄의 방송에서 상당히 씹덕스러운 내용의 채팅을 보내는 모습이 포착된 것이다. 말투에 내용까지 LCK 팬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는데, 거기에 더해 타팀 프로게이머 엄티가 쵸비는 가우르 구라를 좋아한다고 밝혔다는 일화, 유럽 슈퍼 계정인 'Shrimp Shark' 역시 가우르 구라와 관련된 작명이라는 추측까지 가세하며 쵸비의 이미지가 한순간에 씹덕으로 탈바꿈하였다. 워낙 이미지가 급격하게 바뀌어서 쵸비의 팬들은 'T1, 담원 극성팬들이 쵸비의 이미지를 망치기 위해 만든 합성일 것이다'라는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하였다.
  • 타팀 프로게이머 로컨과 잘 알고 지내는 사이인듯 하다. 쵸비를 옛날부터 넷상에서만 알고 지내다 2019 리프트 라이벌즈 때 처음 현실에서 만났는데 키가 너무 커서 놀랐다고. 한때 사용했던 소환사명 'Nekol OwO'도 뒤집으면 로컨이었다.
  • 아마추어 시절엔 카시오페아만 했는데, 그때를 돌이켜보면 롤이 아닌 ' 철권'을 하고 있었던 것 같다고 회고했다.[21] 진에어에서 인생 처음 입단 테스트를 봤는데, 당시 쵸비는 카시오페아만 다룰 수 있었고 카시오페아를 필밴하니 할 수 있는 게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 당시 스크림 상대였던 진에어 소속 쿠잔에게 라인전부터 밀렸고, 쿠잔이 소속팀 감독 한상용에게 "제가 이런 선수한테 지면 프로게이머를 은퇴하겠다"[22]라고 말할 정도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실제로 스크림 결과도 안 좋아서 결국 입단 테스트에 떨어졌다. #1 #2 이후 '씨맥' 김대호 감독이 자신의 게임 지식을 전수하면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다며 먼저 연락을 했고 테스트 절차를 거친 다음 그리핀에 들어가게 되었다. # 이하 쵸비를 처음 본 씨맥의 감상.
    쵸비의 관전을 봤는데, 와... 롤을 너무 못하더라. 너무 신기하게 못해. 이렇게 못하는 사람은 처음 봤다.

    롤을 끔찍하게 못하는데, 이 점수가 신기할 정도로 못했다.

    이렇게 롤을 못하는데 400점? 이건 미친 피지컬이다. 이건 대박이다. 피지컬 하나로 다구리 치는 거다.

    사이드 운영도 어마어마하게 못하고, 스킬을 다 피하고 자기 스킬은 다 맞춰서 라인전을 이겼는데

    서로 귀환하고 오면 레벨이든 CS든 상대에게 져있다. 별 잡기술에 다 당해있다.

    잘 해놓고서 자기가 잘 해놓은 것을 누리지 못했다. 그런데도 피지컬로 패서 이기는 재능러였다.
  • 씨맥이 개인 방송에서 밝히길 쵸비를 영입하기 전에 그리핀 팀의 미드로 뽑으려 했던 것이 쇼메이커였으나, 이미 담원 테스트에 합격한 상태여서 계약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후에 발견해서 영입한 선수가 쵸비. 다만 이후엔 완전히 쵸비 맘이 되어서 쵸비가 가진 특이점과 독보적인 장점을 어필하며 현재 LCK에서 쵸비가 최고의 미드라고 생각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 씨맥의 말에 의하면 머리가 좋아서 가르쳐주는 걸 엄청나게 빠른 시간 안에 이해하고 리액션을 보여준다고 한다. 애초에 미드에서 탱커를 잘 쓰는 축에 속하는 선수가 운영 능력이 부족할 수가 없다.
  • 외모만 보면 덤덤하고 조용한 성격을 가지고 있을 것 같지만 나이가 어린지라 텐션이 높은 편. 그리핀 시절에 형들한테 앵기는 것을 보면 그 나이대의 장난스러움이 배어있는 듯하다. DRX 시절에는 그 텐션이 터져 굉장히 하이텐션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면 숙소 내에서 데프트 앞에서 다른 이들과 함께 알몸으로 춤을 춘다든가[23] 팀원들과 같이 합창한다든가 데프트의 침대를 빼앗는 중이다든가. 데프트가 말하기를 팀원들 중에 쵸비와 케리아가 제일 정상이 아니고, 오히려 표식이 제일 정상적이라고 할 정도. 이는 개인 방송에서도 예외가 아닌지라 반전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성격 형성에는 김대호 전 감독이 영향을 끼친 모양. 쵸비 본인이 방송에서 성격이 바뀌는 것에 영향을 준 사람이 있냐는 질문을 받자 김대호 전 감독을 언급하며 그리핀에 들어간 전후로 성격이 많이 바뀌었다고 코멘트한 바가 있다.
  • 2020년 3월 1일 2020 스프링 1R 그리핀과의 경기에서 승리하고, 일요일 2경기 승리팀 자격으로 Sunday Night LCK 2화에 출연하였는데, 클템 해설의 "탑으로 갔을 때 어땠냐"는 질문에 "재밌고, 행복하다. 갱 올 곳이 한곳밖에 없고, 탑은 상대를 때려놓으면 게임이 풀려있다"라는 말을 남겼다.[24] 이후 성캐의 "미드는 미드 나름의 재미가 있고, 탑은 탑대로의 신선한 재미가 있냐"라는 물음에 "미드는 재미없다"[25]라는 말을 남겼다.
  • DRX 시절 같은 팀 서폿 케리아가 전 프로게이머 으로부터 '데프트가 케리아는 자기를 형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고 네 욕을 많이 했다'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받은 것이 개인 방송에서 포착되자 # 롤갤 이용자들은 쵸비도 과거 데프트와의 시트콤 영상에서 듀오 랭크 도중 본인보다 5살 나이 많은 형인 데프트에게 반말로 싸가지 없게 말했다면서 케리아와 쵸비를 싸잡아 비난하기도 했다. # 그러나 데프트 본인은 개인 방송에서 동생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은 일은 없으며 자신을 이용해서 동생들을 공격하지 말라고 당부하였고, 그렇게 사람들 사이에서 떠돈 불화설이 거짓인 것으로 밝혀져 데프트 관련 논란은 일단락되었다. 특히 데프트 본인은 화가 잔뜩 나서는 본인의 생각을 대신 추측해서 동생들을 이간질하지 말라며 토할 것 같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사람들은 안될 것 같다고. 데프트 발언 전문[26]

    본래 데프트와의 시트콤 영상이었던 해당 영상은 롤갤에서 쵸비를 욕하는 데 사용되자 연령 제한이 걸리고 댓글 사용이 중지된 이후 결국 삭제된 상태이다. 폰은 애초에 떠도는 그 데프트 하소연이란 거 자체가 없었던 일이라며 허탈해했다. # 사태의 시발점인 롤갤에선 책임을 다른 팬덤에게 전가하는 추함을 보이다 내부에서도 까였고 커뮤니티 중에서 유일하게 중립을 지킨 펨코가 재평가받기도 했다. 나발좌만 아무 언급도 없어져서 억울해졌다[27]
  • 가장 좋아하는 순간은 모찌피치의 솔랭 연패라고 한다. 실제로 이퀄라이저가 떨어진 모찌피치의 솔랭 전적을 보고 심신의 안정을 찾았다고. 솔랭 관련 여담으로 당시 DRX에서 도 - 쵸 듀오는 빡종 유발자로 악명이 높았다. 아군일 땐 밑도 끝도 없이 망해서, 적일 땐 잘해서.
  • 오버워치 리그 워싱턴 저스티스 소속 디케이의 배틀넷 아이디가 Chovy인데, 이 아이디는 무려 쵸비가 LCK에 데뷔하기 전 장 선수가 경쟁전 시즌 8에서 1위를 찍은 아이디이기도 하다.[28] 실제로 쵸비는 오버워치 그랜드마스터 티어까지 찍어볼 정도로 FPS 실력이 뛰어나다.
  • 2020 서머 2R 담원과의 경기에서 4대 리그 통틀어서 080이라는 노킬 노어시 중 역대 최다 데스를 찍으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쵸비는 "비난을 많이 받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못한 사람에게 격려보다 몰아세우는 것이 기본이 된 흐름 속에서 내가 잘 버텨야겠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함과 동시에 "노킬 8데스로 많이 화가 나셨을텐데 격려해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감사드린다. 내가 비난 당하는 글을 보더라도 마음에 담아두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비난을 하는 사람들을 상대하시는 데 팬 여러분의 중요한 시간이 뺏기는 것도 효율적이지 않고, 키보드로 욕하는 사람은 말에 힘이 없다는 것을 안다. 내가 잘 버텨보겠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
    • 여담으로 같은 시즌 아프리카의 미스틱도 똑같은 스탯을 찍으면서 타이 기록을 달성했고, 한 시즌에 2번의 080이 나오는 진귀한 시즌이 되고 말았다. 이후 2022 서머 PO 2R에서 쵸비가 소속된 젠지 상대로 리브 샌드박스의 도브090을 기록하며 노킬 노어시 중 역대 최다 데스를 갱신했다.
  • 조이를 잘 다루기로 정평이 나있지만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2020 스프링만 해도 종종 조이로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였으나 서머에는 단 한 번도 조이를 꺼내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의아하게 여기는 시각이 많았는지 조이를 쓰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잊을만하면 질문이 들어왔는데, 이에 대한 관련 질문을 받은 본인은 개인 방송에서 "조이 왜 안 하냐는 사람들은 솔랭에서 조이 해보고 말하는 거 맞냐"라며 "장담하는데 요즘 메타에서는 오른 - 볼리베어 둘만 있어도 조이를 없는 챔프로 만들 수 있다"라고 메타가 조이와 맞지 않아 쓰지 않는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다만 아예 버린 픽은 아닌지 월즈에서 상대팀에 오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이를 꺼내 맹활약하며 승리했다.[29]
  • 2020 월즈 기간 중 DRX 숙소에 찾아온 옛 동료 카나비와 유니폼을 교환했다. #1 #2
  • 2020 월즈가 끝나고 귀국한 이후 자가격리 기간에 개인 방송 도중 의문의 폭로를 남겼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너무 지친다 그냥. 하고 싶은 건 하나도 못하고. 방송 때문에 힘든 건 아니고, 주변에서 날 너무 건드려서 짜증 나가지고 힘들어요 그냥"이라고 말하며 운을 뗐다. "이적시장 문제, 개인적인 가족사는 아니고, 필요 없는 것까지 해달라고 해서 너무 귀찮게 한다", "당연한 거를 안 지킨다", "당연한 건 안 하면서 바라는 건 너무 많다"와 같은 말을 이어갔다. "제가 말하는 사람은 인간 취급하기도 싫다"라는 언급을 봐서 팀에 확실한 문제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2020 시즌 종료 이후 휴식기인 11월에 타팀 프로게이머 로컨과 함께 이터널 리턴을 플레이했다. 서로 스팀 친추도 되어있고 스쿼드도 돌린 모양.
  • 등 번호가 3번인 이유는 3월 3일생이어서라고 한다. #
  • 2021년 5월 4일 기준 한국서버 솔로랭크 1위를 달성했다. 쵸비 본인으로서도 솔랭 1위는 처음이다.
  • 2021년 7월 1일 2021 서머 4주차 DRX전에서 1,000킬을 달성했다. 데뷔전 이후 1,115일만에 달성하며 기존 테디의 1,134일을 갱신하고 최단기간 1000킬 달성의 기록을 함께 세웠다. 이후 같은 시즌 쇼메이커가 결승전에서 1,000킬을 기록, 955일만에 달성하는 기록을 세워 현재는 2위다.
  • DRX 시절과 한화생명 시절 팀의 맏형이었던 데프트와 매우 친한 듯하다.[30] 데프트를 따르는 모습이 자주 보이는 편이고 개인 방송에서도 데프트에게 훈수를 두거나 장난을 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대회 전 데프트한테 매달려 있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팬들은 쵸비가 한화생명으로 이적한 것 역시 데프트의 영향이 크지 않겠느냐고 많이 추측 중이며 내년에도 팀 생활을 같이 할 것으로 예상했다.
    • 그러나 2022 시즌에는 서로 다른 팀에서 선수 생활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20 DRX 멤버들의 끈끈한 우정을 엿볼 수 있었는데, 데프트가 팀을 정한 뒤 개인 방송에서 밝히길 본인의 마지막 선수 생활이 될 가능성이 높아서 다른 팀에 가면 대우를 더 잘 받을 수 있는 선수들이 함께하자고 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데프트는 앞에선 미처 말하지 못했지만 말만이라도 고맙다고. 팬들은 도란과 쵸비가 데프트와 함께하려고 한 것 같고, 데프트가 동생들을 생각해 제의를 거절한 것으로 추측한다.
  • 2022년 2월 20일 개인 방송에서 MBTI가 기존의 유형인 INTJ에서 ISTJ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 웃을 때 눈과 덧니 때문에 포켓몬스터 에나비를 닮았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턱이 좁아 지속적인 염증으로 인해 치과에서 치아 교정을 권유받았고 2022 스프링이 끝난 이후 교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 쵸비 본인이 가장 뛰어났던 시즌으로 2021 스프링을 뽑았다. #
  • 2022년 9월 2일 개인 방송에서 T1 정글러 오너와 관련된 썰을 풀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결승전이 끝난 뒤에 해변가를 걷고 있던 도중 오너와 케리아를 만났을 때, 쵸비가 결승전을 이긴 상태에서 서로 만났기에 뻘쭘한 상황이라 긴장하고 있었는데 오너가 먼저 우승 축하한다고 말을 건네서 좋은 사람 같다고. 그것과는 별개로 2021 시즌에 한화생명 소속이었을 때 게임 중 닉네임이 수영장파티문현준 킨드레드가 같은 팀에 있었는데 쵸비가 부진하자 킨드레드가 쵸비에게 핑을 엄청나게 찍었고, 처음엔 "문현준이 누구지?"라고 생각했다가 문현준이 오너의 본명이라는 것을 알게 된 쵸비는 오너가 화가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으나, 알고 보니 그 킨드레드의 정체는 한때 한화생명에서 같은 팀 정글러로 활동한 윌러였다고 한다.[31]
  • 2022년 9월 18일 오후 5시 20분 기준 미친 듯이 솔랭을 돌리며 좋은 폼을 보여준 끝에 한국 서버에서 1,622 LP를 기록하며 담원 기아 정글러 캐니언을 23LP 차로 제치고 다시 한번 솔랭 1위에 올랐다.
  • 2022 월즈 8강 이후 LoL e스포츠 공식 유튜브에서 'The One & Only Chovy'라는 제목으로 쵸비에 대한 헌정 영상이 올라왔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LCK 미드 중 크산테를 잘 다루는 선수중 한명이지만, 스킬 구조가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크산테가 출시된 이후 윤민섭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LoL도 슬슬 신챔을 낼 때 유저 익명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만 출시 가능하게 바꿔야 한다"라고 말했다. 일명 신챔 투표론을 제안한 것. #[32]
  • 2022년 기준 같은 팀원 도란과 함께 아이폰 13 프로를 사용한다. 맥스인지는 불명.
  • 2023 스프링 시작 전 국민일보가 LCK 참가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익명 설문을 진행한 결과 6개 부문[33]에서 1위 표를 받았다. #
  • 2023 프리시즌 LoL 방송 중 밸런스에 관해 소신 발언을 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브루저가 신파자/몰왕검 같은 사기 아이템에 고정 피해, 흡혈 등 지나치게 강한 옵션들이 덕지덕지 붙어 너무 강하다는 것. 솔랭 유저들도 느끼는 바가 비슷하기 때문에 큰 반향을 얻었다.
  • 2023년 1월 13일 유튜버 보물섬 김동현과 패널티를 부여받은 채로 LoL 1대1 대결을 한 결과 패배했다. 해당 유튜버는 보상으로 '쵸비를 이긴 남자' 닉네임 변경, 쵸비와의 친구 추가를 받았다. 쵸비의 스킨 선물까지 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4][35]
  • LCK 공식 유튜브에서 쵸비를 주인공으로 한 2023 월즈 티저 영상이 올라왔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2023 스프링 우승 이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밝히길, 2021 서머 당시 개인적으로 힘든 일도 있었고 건강도 좋지 않았는데 팀 성적도 나오지 않아 '롤을 그만둬야 하나'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늘 쉴 시간에 한 판이라도 더 하자는 생각으로 훈련에 임했고, 지금 자기 실력의 성장을 위해서 집중하자고 스스로를 다독였다고. #
  • 2023년 7월 16일 LCK 공식 유튜브에 올라온 LCK 단합대회 - 탑 라이너편에서 탑으로 포지션을 변경했을 때 가장 어울릴 것 같은 선수 1위로 뽑혔다. 이에 대해 쵸비 본인은 개인 방송에서 "미드나 탑이나 스킬 맞추고 평타 섞고 하는 건 똑같다. 다만 미드는 위 아래로 신경 쓸 게 많고 탑은 실수 한 번 하면 끝없이 말리고"라는 평을 남겼다.
  • 2023년 8월 22일 SSG 랜더스의 시구자로 나설 예정이었으나, 해당 경기가 우천 취소되어 불발되었다. 이후 젠지 공식 유튜브에 박성한 선수에게 시구를 배우는 쇼츠가 업로드되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박성한 선수가 쵸비의 엄청난 팬이라고. 일부 팬들은 이 모습을 보고 쵸현진의 현현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후, 한 기자가 "군대 가는 청년들에게 한 말씀 해달라"라고 질문했다. 이에 쵸비는 "저희가 병역 혜택을 받았는데, 시대를 잘 타고 태어나서 감사하게 생각한다"라며 "군대에 가는 분들 모두가 다 존경스럽다"라고 말했다. 쵸비는 자신과는 다른 삶을 살며 병역의 의무를 지는 이들에 대한 감사와 존경심을 전한 것이다. 팬들은 함정에 빠질 수 있는 질문을 잘 피해 가면서도 겸손함과 감사함을 잘 담아 마음을 표현한 쵸비에게 찬사를 보냈다. #
  • 2023년 10월 17일 역대 최초로 리그 오브 레전드 한국서버 솔로랭크 2,000점을 넘긴 2,008점을 달성하며 화제가 되었다. 본인도 기분 좋다는 소감을 밝히며 인스타그램에 인증글을 올렸다.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쵸비솔랭인증2.jpg
  • 한화를 제외하면 게임 외적으로 팀운이 유독 좋지 않다. 그리핀 시절에는 스토브리그를 뒤흔들었던 그리핀 사건이 일어났었고, DRX 시절에는 무분별한 BL물 제작 등으로 인한 팀 공중분해 사건으로 팀이 폭파되는 경험을 겪었다. 그나마 한화생명은 사건 사고가 없었지만, 그마저도 프런트의 모두아요 신인 로스터 선정으로 고통의 원장 롤을 했다는 이야기가 나왔을 정도로 소속된 팀에서 프런트의 뻘짓을 많이 겪었다. 그리고 젠지 프런트는 이전 팀들이 약과로 보일 정도의 대형 사고를 치기도 했다.
  • 전 스트리머 애디에 대해 극대노하면서 "자기가 진리의 문이야?"라고 한 것으로 보아 강철의 연금술사를 아는 듯하다. 해당 사건 직후 LCK에서 기인이 탑 우디르를 픽하자, 댓글로 '왜 기인은 3렙에 미드 로밍을 오지 않느냐'라는 드립이 도배되기도 했다.
  • 승부욕이 대단한 것 같다. 젠지 유튜브에 공개된 영상에서 "눈 앞에 다가오는 경기들은 다 이긴다. 이기는 게 당연한 자리라고 생각을 한다"라고 말하기도 했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개인 방송에서 미드 단합대회 후기를 묻는 질문에 "당연히 어색하다. 리그로 돌아가면 적이다"라고 대답하기도 했다.
  • 테트리스를 잘하는 편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가끔 방송에서 큐를 돌리며 TETR.IO에서 테트리스를 플레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1. 남다른 기부 선행

쵸비는 다른 프로게이머에 비해 많은 기부를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쵸비의 어머니는 쵸비에게 "모두가 그만하라 할 때에도 포기하지 않고 게임을 할 때에는 그 게임밖에 없는 것처럼 행동하고, 대신 지더라도 길게 간다는 마인드로 오래 후회하지 말아라"라는 조언을 했고, "자신이 버는 돈에서 일정 비율만큼 사회에 환원하는 멋진 어른이 되라"라는 가르침을 주었다. 쵸비는 그 말을 기부를 통해 꾸준히 실천하는 중인 것.[36] 2022년 기준 기부 금액은 1억 7천만 원을 넘겼으며, 공개되지 않은 것까지 합치면 총 기부 금액이 2억 원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2020년 자신의 생일인 3월 3일에 비디디에 이어서 코로나 퇴치를 위해 1000만 원을 기부했다. # 당시 DRX의 주장 데프트 역시 쵸비의 뒤를 이어 1,000만 원을 기부했다.
  • 2021년 3월 3일 자신의 생일을 맞아 결손가정 아동 및 독거노인을 위해 1,000만 원을 기부했다. #
  • 2021년 7월 6일 장애인 및 노인지원사업을 위해 2500만 원을 기부했다. #
  • 2022년 2월 25일 자신의 출생지인 인천 서구에 3,301만 원을 기부했다. #
  • 2022년 8월 15일 저소득층과 수해피해 지역을 위해 3,500만 원을 기부했다. #
  • 2023년 7월 19일 수해피해 지역을 위해 2,000만 원을 기부했다. #
  • 2024년 3월 18일 자신의 팀이 운영하는 젠지 아카데미에 6,000만 원을 기부했다. #

7. 쵸비에 대한 언사

파일:1000005466.jpg
'쵸비' 정지훈은 신체(피지컬, 메카닉)적인 능력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뛰어난 편이라 정글이나 다른 라인의 개입이 없다면 1대1 교전에서 이기고 들어간다는 장점이 있어 밴픽과 팀 스타일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 준다.
김대호(현 KDF 감독), 2019 LCK 스프링 #
쵸비 선수는 같이 해보기 전까지는 막연하게 그냥 잘하는 미드 라이너겠거니 했는데, 같이 경기하고 또 연습하면서 느낀 건... 쵸비 선수가 제일 잘하는 것 같아요, 세상에서. 해외 팀들과 국내 팀들 다 합쳐서도 쵸비 선수가 제일 잘하는 것 같아요.[37]
Q : 젠지 쵸비는 예전에 같은 팀으로 활동했는데, 이번 대회에서는 어떤 플레이를 보였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A : 지훈이가 예전보다 자기 객관화를 잘하는 거 같습니다. 본인도 스스로 알고 있었을 거로 생각하는데, 예전에는 후반에 경기를 주도할 수 있는 챔피언보다 초반 라인전에 힘을 주는 챔피언을 선택했거든요. 하지만 이제는 후반 캐리형 챔피언을 들고 나와서 라인전을 잘하니까 상대 입장에서는 정말 힘들 거라고 봐요.[38]
데프트(현 KT 원거리 딜러)
말이 이상할 수 있는데, 이 게임 캐리하고 있어요. (0/0/0) 쵸비가. (중략) 미쳤습니다. 이거 경기력. (중략) 그래서 경기력이... 다른 선수들의 활약도 눈부시지만 아무리 봐도 쵸비가 좀 이상한 거 같아요, 경기력이. 그니까 이게, 다시 전 거듭 생각해 봐도 라인전 찍어누르고 개입 계속하는데 CS가 저렇고... 좀 이상하거든요?[39]
여기서 요네를 고를 수 있는 그 깡다구가, 그 슈퍼 솔저 모드가 대단하다. (중략) 난 그냥 쵸비가, 역시 이 친구 괴물인 거 같긴 해. 아니 그니까 이게 요네를 원래 쓸 수 있는 구도가 (아니거든), 너무나도 어렵거든. 근데 완벽에 가깝게 플레이했어. 말도 안 되게 개사기처럼 게임했습니다.[40]
쵸비를 보면서 내가 다시 한번 느낀 건... 역시 그냥 말 그대로 개같이 잘하면, 괴물같이 잘하면, 언젠가 우승하는구나. 이건 그냥 확실히 느꼈어. 그냥 계속 잘하면... 아무리 말 그대로 온 세상이 억까해도, 하늘이 억까해도, 누구 말마따나 운이 없어도, 결국 가챠처럼 계속 긁다 보면 천장 치는 거거든.[41]
클템(현 LCK 해설가)
만약 LCK에 감독으로 복귀해 '쵸비' 정지훈 선수와 함께 상위권 팀인 젠지, 그리고 T1 아프리카 프릭스 같은 팀에 갈 수 있다면 롤드컵 우승 팀인 담원을 상대할 팀을 만들 수 있다.
윤성영(전 JDG 감독), 2020 월즈 종료 이후 #
강한 미드는 코칭 스태프 이상의 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미드가 왕입니다. 미드가 세면 다 돼요.[42]
정지훈 씨는 더 잘하네? 왜 이렇게 잘해 이거. '분명히 원래 잘했는데 여기서 더 잘한다고?' 이런 느낌이야.[43]
진짜 너무 충격적인 시리즈다. 고일 대로 고인 롤판에서 이런 게 되나? 고이고 고여서 다들 상향 평준화가 되어 있는 이 시점에서 혼자 우뚝 솟아 있는 거 이거 맞냐? 한 명의 게이머로서 진짜 충격적이다. 이렇게 하면 상대 입장에선 그냥 벽이야.[44]
강퀴(전 LCK 해설가)
케스파컵에서도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줬던 것 같은데, 롤챔스 어떤 경기력이 나올지 저는 기대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45]
오히려 저는 저만큼 잘하는 선수가 나왔으면 하는 생각이 항상 있었는데, 이번에 쵸비 선수가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저 또한 많은 발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 같고 더 열심히 하는 계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46]
(쵸비, 비디디) 두 선수 모두 굉장히 잘하는 선수다. 결승전에 누가 올라와도 방심하지 않고 최선을 다할 것 같다. 두 선수 모두 플레이스타일이 공격적이고 활동적인 스타일로 변한 것 같아 눈여겨보고 있다.[47]
월즈에 참가한 미드 중 쵸비가 최고의 미드 라이너라고 생각합니다. 쵸비는 과거에 비해 많이 성장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는 그의 약점들을 지워냈고, 꾸준한 활약을 펼쳐오고 있습니다. 저는 그의 안정감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원문A]
“라이벌이 계속 바뀌는 시대에 있어서 누구 한 명만을 고르기는 좀 어려운 것 같다. 최근 자주 만나는 ‘쵸비’ 정지훈 선수와 다른 많은 선수가 라이벌로 계신 것 같다. [49]
페이커(현 T1 미드 라이너)[50]
정지훈은 그와 연관된 키워드 '구도 비틀기'에서도 볼 수 있듯 정도(正道)가 아닌 길을 걷는다. 그러나 수많은 정파의 고수들과 비교했을 때도 어느 하나 모자란 부분이 없다.
윤민섭( 국민일보 기자), 2021 LCK 스프링 #
흔히들 팀 게임을 두고 '팀을 뒤에서 받쳐줄 선수가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이를 반대로 돌려보면 ' 누군가는 확실한 에이스가 되어야 한다'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겁니다.
플레이오프에 가고싶다면 확실한 에이스, '쵸비'를 품어라 기사 中, 2021 LCK 스프링
Q. 프로게이머로서 롤 모델이 있다면 누구인가?
A. '쵸비' 정지훈 선수다. 개인적으로 라인전을 강하게 가져가는 플레이를 좋아하는데 쵸비 선수의 라인전과 CS 수급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본받을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피에스타(현 NS 미드 라이너), 2021 LCK 스프링 #
(상대하기에) 가장 힘들었던 미드는 '쵸비' 선수였던 거 같다.[51]
오늘 나는 99명의 르블랑이었던 것 같다. 쵸비 선수가 100명 중 1명의 아칼리였다. 라인전에서 내가 너무 말렸다. 원래대로라면 르블랑이 아칼리를 더 압박해야 하는데, 내가 밀리는 타이밍이 예상보다 빨리 왔다.[52]
Q. 리그에서 주목하고 있는 미드 라이너 3명은?
A. 이번 시즌에는 나는 순위권에서는 빠졌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미드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번 시즌 확실히 최고의 미드는 '쵸비' 선수.[53]
쇼메이커(현 DK 미드 라이너)
LCK는 지금, 이번 시즌 경기를 많이 보진 않았지만 제가 본 걸 바탕으로 생각하면 꽤 강한 것 같아요.

상위권 팀들은 강하고, 쵸비와 같이 경기력이 좋은 선수도 많다고 생각해요. 저는 쵸비 선수의 경기를 보는 것을 매우 좋아합니다.
퍽즈(현 TH 미드 라이너), 2021 LCK 스프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번 메이지 메타에서는 ' 비디디' 선수가 제일 잘했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제가 추구하는 승리 패턴과 가장 다른 스타일로 플레이한 건 '쵸비'였어요. 그래서 더 눈이 가고, 많이 배우려고 노력했어요. 피지컬 같은 건 현실적으로 쉽게 흡수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지만, 쵸비 선수의 습관이나 장점은 자주 따라 하려고 해요.

다른 선수들이 메이지 메타에서 좋은 챔피언을 위주로 했잖아요. 하지만 쵸비 선수는 주류가 아니어도 활용 가치가 있는 챔피언을 잘 찾아서 썼어요. 특히, 라인전에서 라인 관리를 굉장히 까다롭게 하는 게 정말 대단했어요. 쵸비 선수는 자신이 어떻게 플레이해야 상대가 힘든지를 잘 아는 선수에요.
페이트(전 DRX 미드 라이너), 2021 LCK 스프링 종료 이후 #
Q. 가장 까다로웠던 팀과 선수를 각자 뽑아보자면?
A. 한화생명e스포츠의 '쵸비' 정지훈이 제일 까다로웠다. 라인전에서 내가 유리하게 가져가도 쵸비는 말린 것에 대한 복구 속도가 빠르더라. 그게 제일 까다로웠다. 팀은 담원 기아가 제일 힘들었던 것 같다.
유칼(현 TT 미드 라이너), 2021 LCK 스프링 종료 이후[54] #
Q. 비디디 선수는 그동안 아칼리로 3레벨까지 Q→W→E를 찍었는데, 오늘은 Q→W→Q를 찍었습니다.
A. 쵸비 선수가 대회에서 항상 Q에 2레벨을 주더라. 생각해보니 라인전 초반에 E를 쓸 상황이 자주 나오지 않는 것 같았다.[55]
쵸비 선수는 라인전 디테일 부분이 너무 뛰어나기 때문에 거의 모든 리플레이를 챙겨본다.[56]
쵸비 선수는 배울 점이 정말 많은 선수라고 생각하고... 리플레이도 사실 쵸비 선수 것밖에 안 보긴 하거든요? 쵸비 선수 라인전 디테일이라든지 그런 게 너무 좋아가지고... 너무 리스펙하는 선수고, 재밌게 했으면 좋겠어요.[57]
비디디(현 KT 미드 라이너)
LoL 기술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 뭔지 알아? 쵸비의 방송을 봐. 그게 진리야.
현재 LCK에서 나에게 가장 두려운 상대는 바로 쵸비야. 그를 라인에서 상대하는 것은 아주 까다롭고 또 신중해야만 해. 그렇지 않으면 어느 순간 터져버릴지 모르니까.
도인비(전 FPX 미드 라이너), 2021 LCK 서머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팀 관계자들이 '영입하고 싶은 선수'를 꼽을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선수는 '쵸비' 정지훈이다. 한 팀의 선수들은 정지훈을 ' 르브론'이라고 부른다. 다재다능한 농구선수 르브론 제임스처럼 라인전, 운영, 사이드 플레이 등 모든 걸 잘해서 그렇다고 한다. 모여서 경기를 보다가 정지훈이 슈퍼 플레이를 할 때마다 "ㅇㅅㅊㅅ(역시 쵸비신)"이라며 다 같이 감탄할 정도다.
쵸비 데리고 9등 기사 中, 2021 LCK 서머
Q. 한화는 미드 의존도가 높은 팀인 것 같은지?
A. 아무래도 그렇다고 생각하고, 정글러 입장에서 봐도 진짜 쵸비 선수는 정글러를 엄청 편하게 해주고 팀원을 편하게 해주고 심지어 캐리력도 높은 선수라고 생각해서 좀 다재다능한 선수라고 생각해.[58]
확실히 지훈이(쵸비)가 이번 스프링부터 MSI까지 엄청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다른 선수들에 비해 확실히 넓은 챔피언 폭이 강점이다. 챔피언을 많이 쓰는 선수는 많지만 상대 팀이 까다롭다고 생각하게 만들기는 어려운데 (쵸비는) 이를 해냈다고 생각한다.[59]
피넛(현 HLE 정글러),
LoL은 결국 미드 게임인데, 개인적으로 (쵸비, 도인비) 두 선수가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다고 본다.[60]
(제가) 정글을 가는 게 맞는 게, 미드 갔으면 제카, 쵸비 절대 못 이겨요.[61]
카나비(현 JDG 정글러)
Q. LCK 4대 미드(비디디, 쵸비, 페이커, 쇼메이커)에 대한 평가는?
A. 난 쵸비가 세계 최고의 미드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의 실력에 가까운 선수도 찾아볼 수 없다.[원문B]
네메시스(현 GEN 크리에이터 및 전 FNC 미드 라이너), 2021 월즈를 앞두고 #
Q. 지금 제일 잘하는 미드 라이너는?
A. 난 무조건 쵸비. (중략) 쵸비는 미드의 그거야... 로망. (중략) 쵸비는 라인전을 그렇게 할 수가 없는데 그렇게 해. 라인전이... CS를 다 먹으면서 견제를 다 해. 그리고 이겨, 라인전을. 상성 지는데 이겨. 반반을 가, 최소.
(전 SSW 미드 라이너), 2021 월즈를 앞두고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죽기 살기로 전력투구하는 맹렬한 게임플레이의 제왕인 Chovy 선수에게 타협이란 없습니다. 월드 챔피언 타이틀은 아직 없지만, Chovy 선수가 써 내려갈 역사는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그리고 목표는 최정상입니다.
2021 월즈 글로벌 파트너 Spotify의 Chovy 소개문 #
개인적으로 쵸비는 LoL에서 가장 뛰어난 피지컬을 갖고 있는 선수라고 생각한다.
크라인(현 IG 미드 라이너), 2021 월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인게임적으로 보면 5명 선수 다 메카닉이 뛰어나다? 거기에 더해서 그냥 뭐... 우리 미드 쵸비? 장점으로는 그런 게 있었던 것 같습니다. (중략) 팀에서 국밥 같은 선수라고 해야 하나? 최소한 2인분은 해주는 선수? 그때 당시? 그냥 듬직했어요. 미드에 쵸비 선수가 상대방을 계속 압박하고 라인전을 이겨주니까.
케리아(현 T1 서포터), 2020 DRX를 회상하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제일 상대하기 힘들었던 선수도, 배울 게 가장 많았던 선수도 '쵸비' 정지훈 선수였다. 라인전을 해보면 '다름'이 느껴진다. 자신이 뭘 하면 이기는지 다 알고 있단 느낌을 받았다. 어떤 구도든 마찬가지였다.
카리스(현 BRO 미드 라이너), 2022 LCK 스프링 종료 이후 #
쵸비 선수와 플레이한 후에는 스스로의 폼도 올라가는 것 같다. 쵸비 선수처럼 잘하는 미드 라이너와 게임을 하다 보면 저도 발전하는 느낌이다.
클로저(현 FOX 미드 라이너), 2022 LCK 서머 #
라인전을 해봤을 때 '쵸비' 정지훈 선수에게 배울 점이 많았던 것 같다. 저는 중국에서부터 스크림을 하면 라인전 구도에 대해 자세하게 연구하고 알아가려고 노력하는 편인데 그때마다 정지훈에게 많은 영감을 받았다.
제카(현 HLE 미드 라이너), 2022 월즈를 앞두고 #
쵸비, 현재 세계 최고 미드 라이너
미국 e스포츠 매체 '너드 스트리트', 2022 월즈 #
어떤 선수가 최고의 미드 라이너인가?
'쵸비' 정지훈(GEN)-40.9%(9)
'페이커' 이상혁(T1)-31.8%(8)
'제카' 김건우(HLE)-18.2%(4)
'비디디' 곽보성(KT), '쇼메이커' 허수(DK)-4.6%(1)
LCK 참가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국민일보의 익명 설문 진행 결과, 2023 LCK 스프링을 앞두고 #
젠지의 쵸비 선수 경기를 보면서 느낀 건데, 아마 MSI 내에서 가장 잘할 수밖에 없는 미드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일단 아마 어떤 메타였어도 이제 라인전 실력 부분에 있어서는 가장 잘했을 거라고 생각을 하고... 쵸비 선수가. 그래서 오늘 나이트 선수와 붙어봤을 때는 '아마도 쵸비 선수가 더 힘들 거다'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고리(현 CFO 미드 라이너), 2023 MS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저를 포함 모두 쵸비가 강한 미드 라이너라는 걸 알죠. 그래서 기회가 된다면 한번 맞라인을 서보고 싶어요.
(현 BLG 탑 라이너), 2023 MS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Q. 쵸비와의 대결은 어땠나?
A. 쵸비 선수는 항상 잘하는 선수다. 오늘 미드에서 좀 힘들었는데, 팀원들이 너무 잘해줬다. 한타에서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야가오(현 JDG 미드 라이너), 2023 MSI #
Q. 롤 모델로 삼는 선수가 있다면?
A. '쵸비' 정지훈을 롤 모델로 삼고 있다. CS 수급 능력이나 한타에서 보여주는 퍼포먼스나 기복 없이 꾸준히 잘하는 선수다.
콜미(현 NS 미드 라이너), 2023 LCK 서머 #
(쵸비의) 가장 무서운 점은, 아직도 매년 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많은 선입견과 프레임을 순수하게 실력으로 돌파했다. 거대한 과제가 나타나면 더욱 큰 성장으로 뚫어냈다. 이번이 최고점이구나 싶으면 또다시 상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플레이를 보여준다.
[LCK] "파이널 MVP 쵸비" 이 말에 팬들은 왜 울었을까 기사 中, 2023 LCK 서머
LCK는 제가 많이 챙겨보진 않았지만, 결승전 때 쵸비 선수가 비주류 픽도 하고... (예를 들면) 크산테를 했었거든요? 그리고 다양한 챔프 풀을 쓸 수 있는 걸 보고 좀 잘한다고 생각했어요.
스카웃(현 LNG 미드 라이너), 2023 월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쵸비' 정지훈 선수가 암살자 같은 챔피언을 잘 다룬다. 한번 맞붙고 싶다.
샤오후(현 WBG 미드 라이너), 2023 월즈 #
(쵸비, 나이트) 두 선수는 세계에서 가장 잘하는 미드 라이너다. 만나게 된다면 굉장히 기쁠 것이다.
정지훈 선수가 같은 구도(대 오리아나전)에서 아칼리를 선택한 것이 기억에 남았다. 이에 나도 선택했다. 후반 오리아나가 더 강해지는 것은 맞지만, 아칼리는 초-중반 교전에서 강점이 있기 때문에 뽑았다.
휴머노이드(현 FNC 미드 라이너), 2023 월즈 # #
쵸비를 상대하게 돼서 기쁩니다. 최고의 미드, 넘어야 할 미드로 손꼽히잖아요. 도전해서 제 실력을 증명하고 싶습니다.
캡스(현 G2 미드 라이너), 2023 월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Q. 월즈 2023에서 어떤 팀을 만나고 싶나?
A. 젠지. 쵸비가 최근 미친 폼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그와 맞붙고 싶다.
나이트(현 BLG 미드 라이너), 2023 월즈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팀 게임이기 때문에 개개인이 잘하고 싶다고 해서 게임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쵸비'라면 모를까. 저희는 합을 맞추며 팀으로 잘 풀어나가고 싶다.
팔라폭스(현 NRG 미드 라이너), 2023 월즈 #
쵸비의 플레이는 비현실적이다. 너무 놀랐다. 올해 경기 중 가장 미친 캐리 퍼포먼스의 게임이다.[원문C]
캐드럴(현 FNC 크리에이터 및 전 프로게이머), 2024 LCK 스프링 PO 3R 승자전 GEN - HLE 이후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개인적으로 ‘쵸비’ 정지훈은 이번 대회(2024 MSI)에서 정점을 찍었다고 생각한다
커즈(현 KDF 정글러), 국민일보 인터뷰 #

8. 바깥 고리



[1] 前 ji hun, Miulchi [2] 영어로 멸치를 뜻하는 anchovy에서 따왔다. 프로 이전 닉네임도 '가좌고 미율치'임에서 별명이 멸치였음을 알 수 있다. [3] 파일:쵸비 신장체중 오피셜.jpg
2022년 5월 13일 기준 키. 젠지 팬미팅에서 어느 팬이 물어본 질문에 185cm로 기존에 알고 있던 183cm보다 더 자랐다고 언급하였다.
[4] KronG와의 듀오에서 중졸이라고 언급. [5] 2024년 말 훈련소 입소 예정. 케리아 역시 비슷한 시기에 입소한다고 하였으며, 본인이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정황상 2022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였던 제우스, 카나비, 룰러와 같이 훈련소에 입소할 것으로 보인다. 페이커는 전시근로역이므로 제외. [6] 이전에는 INTJ로 나왔다가 바뀌었다. [7] 슈퍼 계정 [8] 과거 2020 스프링 1주차 경기 2022 스프링 4주차 경기, 2023 롤 상하이 마스터즈에 탑으로 출전한 경험이 있다. [9] 팀명 변경: DragonX → DRX, 2020년 6월 8일 [10]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2022년에 진행되었어야 할 아시안 게임이지만, 실제로는 2023년에 진행되었다. [직계존속] # [12] 2018 스프링 시즌부터 정규시즌 우승팀은 포스트시즌을 거치지 않고 LCK 승강전을 직행한다. [13] 2018 RNG, EDG, RW, IG [14] 2019 SKT, GRF, KZ, DWG [15] 시범종목 [휴면강등] [휴면강등] [휴면강등] [휴면강등] [20] 이 때문에 데프트가 개인 방송에서 DRX 멤버들이 스트리머 탱글다희 방송을 봤다고 밝혔을 때 아예 쵸비는 용의선상에서 빠졌다. [21] 여담으로 2020 시즌 당시 같은 팀 서브 미드였던 솔카(쿼드)도 카시오페아 장인이었다. [22] 이후 시간이 흘러 쵸비가 LCK 데뷔 3년차에 접어들자 쿠잔은 쵸비를 '정말 잘하는 미드 라이너'라고 평가했다. # [23] 같은 팀 서폿 케리아만 옷을 입고 있었다고. [24] 이날 그리핀과의 경기 1세트에서 도란이 소라카를 들고 쵸비가 럼블을 들고 라인스왑을 해서 상대팀 탑 라이너였던 소드의 빅토르를 아무것도 못하게 했다. [25] 미드이기 때문에 '또 미드야?'라는 느낌이 든다고 해서 그런 것일 뿐이라고 하니 오해하지 말자. [26] 장난삼아 해당 메시지를 보낸 폰은 뭔 말을 못하겠다며 어이없어 했고, 같은 팀 감독 씨맥도 이와 관련된 떡밥에 대해 억지 떡밥이라고 일축했다. [27] 해당 영상의 중간에서 쵸비가 "다윤이고 나발이고"라는 말을 했는데, 데프트는 같은 팀 소속이고 데프트 본인이 괜찮다고 하니 말을 편하게 해도 상관없다고 할 수 있지만 스피릿은 같은 팀이었던 적이 없는 생판 남인데 이렇게 반말을 해도 되냐는 것이 문제. 쵸비가 인지하고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스피릿은 쵸비의 5살 위로 데프트와 동갑이다. [28] 참고로 그 전 아이디는 deft1234였다. [29] 비슷한 케이스로 에코가 있다. 2020 서머 PO 2R 젠지와의 경기에서 에코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었으나 해당 챔피언 또한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기용을 하지 않고 있다. [30] 사실 비단 쵸비뿐만 아니라 데프트와 같은 팀이었던 거의 모든 선수들이 데프트를 매우 잘 따르고 친한 것으로 봐야 한다. 20 DRX는 물론이고 킹존 시절의 라스칼, 내현, 투신, 커즈와도 친분이 두터웠으며 KT 시절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EDG 시절 때 바텀 듀오였던 메이코도 데프트와 여전히 두터운 친분을 유지하고 있을 정도. [31] 윌러는 T1 아카데미 소속이었던 시절이 있어서 현재 T1 1군에서 뛰고 있는 오너와 친분이 있다. 윌러 개인 문서에도 적혀있으니 윌러 문서로 가봐도 좋다. [32] 여담으로 2022년 기준 소속팀 젠지의 이지훈 단장은 해당 내용에 격하게 동의한다는 트윗을 했다. [33] 모든 팀의 로스터가 리셋된다는 가정 하에, 한 명의 선수와 자유롭게 계약할 수 있다면?
어떤 선수가 최고의 미드라이너인가?
어떤 선수가 가장 적은 자원과 투자를 받는 플레이를 잘하는가?
어떤 선수가 본인 위주 게임을 가장 잘하는가?
어떤 선수가 가장 메카닉(피지컬)적으로 뛰어난가?
어떤 선수가 가장 라인전을 잘하는가?
[34]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을 하자면, 보물섬 김동현은 이전에 전 프로게이머 샤이와의 이벤트 매치에서 승리한 전적을 가지고 팀원인 이현석한테 한참을 놀려댔었던 전적이 있다. 그래서 화가 난 이현석으로부터 현역 프로를 상대로도 이길 수 있냐는 질문을 받은 이후에 4세트 패널티전에서 쵸비를 이긴 것이다. [35] 다만 이 부분은 쵸비가 브라움, 김동현이 블라디라서 원래도 힘든 싸움을 CS도 이겨가고 있었는데 브라움이 생각보다 약해서 싸움을 먼저 걸었다가 진 것이다. [36] 아너 소사이어티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아너 소사이어티는 사랑의열매 기부 한정이라 여러 곳에 기부를 한 정지훈은 여기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 아너 소사이어티 프로게이머는 '더샤이' 강승록과 '바이퍼' 박도현 둘뿐이다. [37] 2020 LCK 스프링 종료 이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8] KT 데프트의 특별하지만 특별하지 않은 여름 https://www.fomos.kr/esports/news_view?entry_id=133114 [39] 2020 LCK 서머 PO 2R DRX - GEN 4세트 중계 중 [40] 2023 LCK 서머 PO 3R 승자전 T1 - GEN 이후 개인 방송에서 [41] 2023 LCK 서머 결승 GEN - T1 이후 개인 방송에서 [42] 2021 LCK 스프링을 앞두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3] 2023 LCK 서머 결승전을 시청하며, 개인 방송에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4] 2024 LCK 스프링 PO 3R 승자전 GEN - HLE 경기를 시청하며, 개인 방송에서 [45] 2021 LCK 스프링을 앞두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6] 2022 월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7] 2023 LCK 스프링 # [원문A] Among the players that reached Worlds, I think Chovy is the best. Chovy seems to have improved a lot compared to the past. He got rid of his weaknesses and has been playing steadily. I think his stability is really great. ( 2023 월즈) # [49] https://www.kf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3450 [50] 타팀 선수에 대해 물었을 때 주로 팀원들을 다독이는 말을 남기는 페이커가 실력에 직접 칭찬을 보낸 선수는 쵸비, 쇼메이커, 비디디, 캐니언을 제외하면 없다. [51] 2021 LCK 스프링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52] 2021 LCK 서머 2R HLE - DK 2세트에 대한 코멘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53] 2021 LCK 서머 # [54] 유칼은 시즌 중에는 쇼메이커를 1위로, 2위를 쵸비라고 생각한다는 인터뷰를 했으나 # 시즌 종료 이후에는 말을 바꾸었다. [55] 2021 LCK 서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56] 2022 LCK 서머 # [57] 2023 LCK 스프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8] -2 2021 LCK 서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9] 피넛 “젠지와 PO 대결 가장 아쉬워...서머 결승 꼭 갈 것”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032566i [60] 2021 월즈를 앞두고 # [61] 2023 LCK 스프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원문B] I think Chovy's the best mid laner in the world and I can't see anyone being close to him. [원문C] chovy is so fucking unreal its mind blowing. one of the most insane carry performances of the year. [64] 의류 및 쵸비 굿즈 판매 [65] 쵸비 팬 커뮤니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