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0:21:51

최기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Leaper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리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73312><tablebgcolor=#e73312>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KWANGDONG FREECS
2024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e73312><colcolor=#fff>감독 [[김대호(e스포츠)|김대호
cvMax
]]
코치 [[정명훈(e스포츠)|정명훈
FanTaSy
]]|[[김건우(e스포츠 코치)|김건우
Millimas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주(프로게이머)|이동주
DuDu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우찬|문우찬
Cuzz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태영(프로게이머)|이태영
BuLLDoG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기명|최기명
Leap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선규|송선규
Bul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관빈|문관빈
Andil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정환(프로게이머)|손정환
Quantum
]]
LCK 참가팀 로스터 }}}}}}}}}}}}
최기명 관련 틀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CK 로고 흰색.svg 펜타킬 달성 선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c192b><colcolor=#fff> 2012 시즌 Hiro 이우석 1호 · Locodoco 최윤섭 2호 · Hermes 김강환 3호 · Imp 구승빈 4호
2013 시즌 Ambition 강찬용 5호 · Riris 백승민 6호 · PraY 김종인 7호
2014 시즌 Imp 구승빈 8호 · Emperor 김진현 9호 · Bang 배준식 10호
2015 시즌 Faker 이상혁 11호 · Rain 박단원 12호 · Smeb 송경호 13호 · Arrow 노동현 14·16호☆ · Nagne 김상문 15호 · Bang 배준식 17호 · Pilot 나우형 18호 · Ssumday 김찬호 19호
2016 시즌 Stitch 이승주 20호 · Pilot 나우형 21호 · Crown 이민호 22호 · Bang 배준식 23호 · Sangyoon 권상윤 24호
2017 시즌 Tempt 강명구 25호 · Kramer 하종훈 26호 · ikssu 전익수 27호 · Crown 이민호 28호
2018 시즌 Lava 김태훈 29호 · Khan 김동하 30호 · Teddy 박진성 31·33호☆ · Pilot 나우형 32호 · Ruler 박재혁 34호
2019 시즌 Viper 박도현 35호 · SSUN 김태양 36호 · ShowMaker 허수 37호
2020 시즌 Mystic 진성준 38·46호☆ · Ruler 박재혁 39·40·50호★ · Aiming 김하람 41호·49호☆ · HyBriD 이우진 42·43·45호★ · SoHwan 김준영 44호 · ShowMaker 허수 47호 · Canyon 김건부 48호
2021 시즌 Gumayusi 이민형 51호 · Ghost 장용준 52·53호☆ · Ruler 박재혁 54호 · Pyosik 홍창현 55호 · Lava 김태훈 56호 · Chovy 정지훈 57호
2022 시즌 deokdam 서대길 58호 · Ghost 장용준 59호 · Aiming 김하람 60호 · Bdd 곽보성 61호 · Gumayusi 이민형 62호 · Ruler 박재혁 63호 · Prince 이채환 64호
2023 시즌 Taeyoon 김태윤 65호 · Gumayusi 이민형 66호 · Peyz 김수환 67호·70호·71호★ · Viper 박도현 68호 · ShowMaker 허수 69호
2024 시즌 Aiming 김하람 72호 · ShowMaker 허수 73호·76호☆ · Peyz 김수환 74호·78호☆ · Deft 김혁규 75호 · Pyosik 홍창현 77호 · Leaper 최기명 79호 · BuLLDoG 이태영 80호
※ 국내 대회이나 LCK가 아닌 대회는 제외 (LoL 마스터즈, 예선, 프리시즌, 챌린저스, 승강전, 케스파컵 등)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스타피쉬 엔터테인먼트 소속 크리에이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저라뎃 꿀탱탱 전수찬 준밧드 염보성
토마토 오세블리 린다랑 오뀨 트할
다쁘 라미 땡지 만기퇴소 걸뽀
최기명 여우비 금똥왁왁 김레인 박사장
조경훈 싸패 유혜디 미키 보혜
수미 깅예솔 서도일 냥슬 시간의 숲
제동빠 보고니 박나닝 데스티니 이톨
임진묵 박수범 라봉 구자명 뚜밥
사랑e 하블리 으댜다 김홍주 미니쉘
황핫바 럭뜨 늑대채린 경짱 야옹민지
프발 또루시 다린 구보라 뀨알
조기석 만다 아띠 킥갓 히댕
슉맨 홍혜리 구본좌 레이지 라로시
상덕 김빵귤 다뉴 니니밍 렘레미
설채이 려원님 이치리272 규폿 경여
한아밍 강희또 온차 크라니쉬 설아콩
쫄랑 티오형 눈가루 주드 밍가
먹체토
}}}}}}}}} ||

<rowcolor=#fff> 2020 LoL BJ멸망전 시즌1
<rowcolor=#fff> TEAM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UP
저쥐문데기 푸른문어 저라뎃 최기명 괴물쥐 데스티니:D

<rowcolor=#fff> 2022 GAMST MINGYO CUP
<rowcolor=#fff> TEAM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UP
00s Trap
진출하다봉검사단
Natalie
포식자
Baekk
지훈백크
Leaper
소년가장 원딜
Jeonghoon
정훈이의 모험

<rowcolor=#fff> 2023 LoL BJ멸망전 시즌1
<rowcolor=#fff> TEAM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UP
v빡친코 항상#킴성태 나탈리-[1] 전하._. 최기명 하이요__
}}}}}} ||
파일:KDF_Leaper_2024_Split_2.png
<colbgcolor=#e73312><colcolor=#fff> KWANGDONG FREECS
Leaper
최기명 (Choi Gi-myeong)
출생 2000년 5월 18일 ([age(2000-05-18)]세)
거주지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지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68cm[2]
ID Leaper 계정 목록 #
소년가장 원딜 #KR1 #
최기명 #2024 #
춘봉박 #0518 #
Leaper #2024 #
포지션 바텀
데뷔 2024년 6월 13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4-06-12)]일째, [age(2024-06-13)]주년)
소속 DRX Academy
(2019.11.05 ~ 2020.01.10)
KWANGDONG FREECS
(2024.05.22 ~ 2024.11.18예정)
소속사 스타피쉬 엔터테인먼트[3]
슈퍼전트[4]
서명
파일:leapersignature.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선수 경력
3.1. 데뷔 이전3.2. 2024 시즌
4. 솔로 랭크5.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인터넷 방송인 출신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 광동 프릭스 소속 바텀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

현재는 완전히 원딜러로 전향했으나, 과거에는 3라인(미드, 정글, 원딜) 챌린저를 찍을 정도로 다른 라인도 잘하는 편. 솔랭을 돌리다 라인이 꼬여도 캐리하는 게임이 많다.

2021년, 솔로랭크나 아마추어 대회 기준으로 라인전과 한타에서 피지컬을 앞세워 승부하며[5] 굉장히 공격적인 면모를 보인다. 이전까지는 미드 라이너와 정글러로도 괄목할 만한 실력을 보여주었다. 한편 탱커 챔피언보다는 캐리형 챔피언들을 선호하는 성향을 보인다.

3. 선수 경력

3.1. 데뷔 이전

2019년 11월 ~ 2020년 1월 DRX의 연습생이었다. 연습을 꾸준하게 열심히 하는 데프트에게 벽을 느껴서[6] 그만뒀다고 밝혔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프로게이머를 재도전하게 되었던 계기도 데프트였다. 2022년 월드 챔피언십이 끝난 후 데프트를 보며 개인방송에서 그냥 나이를 떠나서 열정이 있으면 되지 않을까?라는 말과 함께 생각이 바뀌었으며 프로게이머를 준비하고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3.2. 2024 시즌

2024년 5월 18일 자정, 방송국 공지를 통해 슈퍼전트와 에이전시 계약을 했다고 밝히며 프로팀 입단이 임박했음을 드러냈다. 팀에 대해서 언급한 바는 없으나 정황상 광동 프릭스로 가는 것이 유력해 보였다. 이후 5월 22일, 공식적으로 광동에 입단했다.

광동 입단 계기는 바로 김대호 감독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직접 테스트 제의를 했고 이에 본인은 처음에 거절 의사를 밝혔으나 계속되는 설득에 마음을 바꿔 입단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광동 입단 후 맞이하는 첫 시즌이다. 김대호 감독은 인터넷 방송인을 바로 LCK 주전으로 기용해 표식이라는 최고의 결과를 낸 적이 있는데, 또 다시 그러한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실제로 김대호 감독은 과거 DRX 소속이었고 표식과 최기명이 아마추어였을 때,[7] 육성해보고 싶은 아마추어 두 명으로 자주 언급했으며[8] 이를 계기로 DRX 연습생으로 잠깐 들어갔다가 나오기도 했었는데, 몇 년 만에 다시 연이 닿게 되어 드디어 꿈꿔오던 프로게이머 데뷔와 함께 첫 LCK 데뷔전을 치를 수 있게 되었다.

5월 말 기준으로 꾸준히 스크림에 참여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되었기 때문에[9] 일단 주전으로 시즌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3.2.1.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모두가 예상하던 대로 2024 서머 개막전인 KT와의 경기에 선발로 첫 출전했다.

데뷔전인 KT전 1세트에서 애쉬를 잡고 자신이 존경하던 선수인 데프트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2세트 때는 진을 들고 하드 캐리를 선보이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데뷔 첫 경기만에 POG를 수상한 것은 덤.

특히 이 날 1세트에서 플레이한 애쉬로는 매우 뛰어난 수정 화살 적중률과 플레이 메이킹을, 진으로는 엄청난 무빙과 아슬아슬한 거리 조절 줄타기로 딜을 꽂아넣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 그의 프로 데뷔전을 지켜본 이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다. 특히 애쉬으로 유틸형 원딜의 진수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프레이 고스트가 떠올랐다는 반응이 많았을 정도였다.[10]

오프 더 레코드에서 '벽을 깼어요'라고 말하며 데뷔 첫 출전과 동시에 거머쥔 첫 승리에 감격해하는 모습과 경기 종료 후 씨맥과 뜨거운 포옹을 하는 모습은 뭉클함을 자아내기도 했다. 이러한 리퍼의 첫 프로 데뷔전은 여러모로 성공적이었다고 평가 받는 중이다.

이어지는 브리온전에서는 1세트에 제리를 잡고 12킬 1데스 4어시로 16이라는 어마무시한 KDA와 더불어 데뷔한지 단 두 번째 경기만에 LCK 통산 79호 펜타킬[11]을 기록하는 등, 신인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압도적인 모습으로 만장일치 POG를 받았다. 이후 2세트에서는 세나를 픽하고 아직은 숙련도가 부족한지 무색무취하게 패배하였으나, 3세트에서는 다시 제리를 픽해 무난하게 성장하고 스태틱의 단검을 통해 불독에게 펜타킬 어시스트까지 해주면서 승리를 따냈다. 이때까지 브리온에게 당해왔던 광동의 브리온전 연패를 끊어내는 데에 크게 일조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4. 솔로 랭크

계정 시즌 최고 티어 최종 티어
소년가장 원딜 시즌 10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
시즌 11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 파일:lol_grandmaster_1.png 그랜드 마스터
시즌 1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시즌 13_1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시즌 13_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시즌 14_1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시즌 14_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Leaper 시즌 1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시즌 13_1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1 파일:lol_platinum_s2022.png 플래티넘 1[휴면강등]
시즌 13_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grandmaster_s2022.png 그랜드 마스터
시즌 14_1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시즌 14_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5. 여담

  • 챌린저를 찍는 과정 속에 많은 판수와 함께 정글, 미드, 원딜 등의 여러 포지션을 경험해서 넓은 챔프폭과 타 포지션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종합해 보자면 약 7000판만에 챌린저를 단 셈. 브론즈 ~ 실버 구간에서 약 2000판 이상을 했다고 하며 엄청난 노력형임을 알 수 있다. 프로게이머 평균 기준으로 봐도 챌린저를 찍기까지 판수가 적지만은 않은데, 특히 그 시기 브실에서 판수가 약 2000판을 웃도는 일은 드문 편이다. 게임을 계속하면서 어느 순간 깨달아 버린 건지 저티어에서 판수는 많은데 티어가 점점 올라갈수록 적은 판수로 최고 티어를 갱신했다. 본인 스스로도 롤을 굉장히 많이 했다고 한다. #


[1] #아프리카, 롤 ID: eilataN [2] 본인이 밝혔다. [3] MCN [4] 에이전시 [5] 그렇다고 뇌지컬도 안 좋은 편은 아니다. 오히려 좋은 편으로 팬들이나 선수들로부터 똑똑하게 플레이한다는 평을 받는다. [6] 본인이 말하길, "실력적인 부분을 떠나서 데프트를 보면서 저렇게 열심히 살 수 있구나, 나는 저렇게 열심히 살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그만두었다"고 했었다. [7] 또한 같은 2000년생이다. [8] 김대호 감독은 2019년 경 부터, 과거 방송에서 육각형 그래프가 있으면 표식은 공격형 쪽에 특화되어 있고 최기명은 육각형이 고루 분배되어 있는 스타일에 가깝다고 생각하는데, 자기는 피지컬에 특화되어있는 애를 찾아서 뇌지컬을 심어주는 쪽이 자신이 있다 보니 표식이 육성해보고 싶은 플레이 스타일에 좀 더 가깝다는 말을 자주 하기도 했었다. 물론 당시 김대호 감독이 두 명 모두 DRX로 데려갔었던걸 보면, 약간의 플레이 성향 차이가 있었다는 말에 가깝고, 최기명 또한 원래부터 육성해보고 싶어하던 선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9] 5월 중순부터 선수단 중 불과 퀀텀만 스크림 시간대에 솔랭을 돌리는 모습이 잡혔다. [10] 특히 진을 플레이한 2세트에서 화려한 무빙과 극한의 거리재기로 상대방을 코앞까지 끌어들이다 스킬을 피해버리는 플레이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ROX 시절 프레이의 플레이 스타일과 정확히 일치하며 이외에도 자로 잰 것 같은 스킬샷과 궁극기 적중도 역시 '신궁', '진종인' 등의 별명으로 유명했던 프레이를 연상시키게 만드는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11] lck 데뷔이후 2번째로 빠른 펜타킬이다. [휴면강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