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5:51:24

포르투갈 오프닝

포르투기스 오프닝에서 넘어옴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f4dfc1,#986b52><tablebgcolor=#fff,#444><tablecolor=#373a3c,#fff><#f4dfc1,#986b52><-2> 체스의 오프닝 ||
[ 1...e5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오픈 게임
[ 세미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c5 시실리안 디펜스
[ 1...d5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클로즈드 게임
[ 세미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Nf6 인디언 디펜스
* ⚪ 2.Bf4 런던 시스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그 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플랭크 오프닝 이레귤러 오프닝
}}}}}}}}}
⚪, ⚫는 각각 백, 흑의 수순으로 정렬 순서는 Lichess 오프닝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마스터 사용 빈도를 따름.
포르투갈 오프닝
Portuguese Opening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Bw, c5=, d5=, e5=Pb,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
수순 1.e4 e5 2.Bb5
상위 오프닝 오픈 게임
ECO 코드 C20
1. 개요2. 이론3. 파생형
3.1. 미겔 갬빗3.2. 포르투갈 갬빗
4. 여담

[clearfix]

1. 개요

체스의 오프닝 중 하나로, 오픈 게임에서 백이 2.Bb5를 두는 오프닝을 말한다.

2. 이론

서로간의 나이트가 전개되고 비숍을 b5칸으로 전개하는 루이 로페즈, 오픈 게임에서 바로 비숍을 c4칸으로 전개하는 비숍스 오프닝과 달리 흑의 2...c6에 비숍이 바로 밀려나면서 템포를 빼앗기며, 2수만에 백의 선수 이점을 흑에게 내어주기 때문에 좋지 못한 수로 알려져 있다.

독단적인 라인으로 진행되기보단, 백이 한 수 느린 카로칸 디펜스 형식으로 게임이 가장 많이 진행된다.

3. 파생형

3.1. 미겔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Miguel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Bw, c5=Bb, d5=, e5=Pb, f5=, g5=, h5=,
a4=, b4=Pw,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2.Bc5 3.b4)]
흑이 비숍을 c5칸으로 전개했을 때, b폰을 두 칸 올려 갬빗한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에반스 갬빗과 유사하지만, 아직 백의 나이트가 전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캐슬링이 불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3.2. 포르투갈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Portuguese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Pb,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Nb, g6=, h6=,
a5=, b5=Bw, c5=, d5=, e5=Pb,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2...Nf6 3.d4)]
흑이 나이트를 전개해서 백의 폰을 공격했을 때, 이를 수비하지 않고 d4로 중앙 싸움을 바로 시작한다. Nxe4는 백이 Qe2로 나이트를 쫓아내고 폰을 다시 회수할 수 있기에 보통은 exd4로 폰을 잡는 편이며, 백은 이를 퀸으로 잡거나, e5로 폰을 밀어서 나이트를 공격하는 등의 선택지가 있다.

4.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