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병현(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
|||
<colbgcolor=#ffffff><colcolor=#000> 김병현 金炳賢|Kim Byung-hyun |
|||
출생 | 1979년 2월 15일[1] ([age(1979-02-15)]세) | ||
광주광역시 북구 | |||
거주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위시티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광주수창초등학교 (졸업) 무등중학교 (졸업)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중퇴) |
||
신체 | 178cm, 87kg, A형 | ||
포지션 | 투수[2] | ||
투타 | 우언우타 | ||
프로 입단 |
199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ARI) 2007년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 (5번, 현대)[4] |
||
소속팀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1999~2003) 보스턴 레드삭스 (2003~2004) 콜로라도 로키스 (2005~2007) 플로리다 말린스 (2007)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7) 플로리다 말린스 (2007) 오렌지 카운티 플라이어스 (2010)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1) 넥센 히어로즈 (2012~2014) KIA 타이거즈 (2014~2016) |
||
멜버른 에이시스 (2018/19) | |||
지도자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 투수 인스트럭터 (2018) | ||
해설위원 | MBC 야구 해설위원 (2019~2020)[5] | ||
병역 |
예술체육요원 (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
||
상훈 | 체육훈장 거상장 | ||
기록 | 무결점 이닝 (MLB/2002.5.11.)[6][7] | ||
소속사 | 이엘파크[8]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000> 가족 | ||
<colbgcolor=#fff><colcolor=#000> 배우자 | <colcolor=#373a3c,#ddd>한경민(1981년생, 2010년 결혼)[9] | ||
자녀 |
장녀 김민주(2011년생) 장남 김태윤(2014년생) 차남 김주성(2017년생) |
||
형제자매 | 1남 3녀 중 장남[둘째] | ||
종교 | 불교 → 개신교[11] | }}}}}}}}} | |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 방송인. 아시아인 최초[14]로 내셔널 리그[15]에서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한 선수이자 한국인 최초로 월드 시리즈란 큰 무대를 밟아본 선수이자[16] 아시아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인터 리그 월드시리즈 우승을 경험한 선수이다.한국, 일본, 미국, 호주, 도미니카 공화국 등 무려 5개국의 프로야구 리그에서 뛴 저니맨이기도 하다.
은퇴 이후에는 방송인 겸 ' 광주제일햄버고'라는 햄버거집 등 여러 식당을 운영하는 요식업 사업가로 활동 중이다.
2. 선수 경력
김병현의 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통합 선수 경력: 김병현/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 |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03 ARI | 03 BOS | 2004년 | COL 시절 | |||||||
PIT 산하 마이너 | SF 산하 마이너 | |||||||||
2011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 ||||
2017년 | ||||||||||
2018-19년 |
2.1. 수상 경력
- 1995년 청룡기 MVP
-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남자 야구 금메달
- 2007년 A 어워즈 선정 패션부문 가장 성공적인 남성상
- 2019년 MBC 방송연예대상 인기상
- 2021년 KBS 연예대상 리얼리티 부문 베스트 엔터테이너상
- 2022년 KBS 연예대상 리얼리티 부문 우수상
- 2022년 MBC 방송연예대상 베스트 팀워크상
3. 플레이 스타일
자세한 내용은 김병현/플레이 스타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은퇴 이후
4.1. 해설자
은퇴 이후 경력을 살려 메이저리그 경기 해설을 시작했다. 2019년 5월 2일 객원해설을 통해 MBC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류현진 선수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경기를 김나진 아나운서와 허구연 해설위원과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2019년 6월 5일에도 지난 5월 2일에 이어 MBC 류현진 선발경기 9승 도전 경기를 중계했다. 이날은 허일후 아나운서와 김형준 기자와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이번엔 류현진이 상대할 팀으로 자신이 전성기를 보낸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의 중계를 맡았다. 그리고 중계전 이 날 아침에는 김선우 해설과 함께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류현진 선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2019년 6월 23일 경기에서도 김선우 해설위원과 함께 류현진 경기를 중계했다.
사실상 2019년에 MBC 해설위원으로 데뷔하였다.
7월 15일(한국시간),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경기에 허구연 해설위원과 함께 해설을 맡았다.
2020년 5월 5일 MBC에서 중계한 KBO 리그 키움 대 KIA 경기의 해설을 맡으며 KBO 리그 경기의 해설도 맡기 시작했다. 이 후 5월 24일 기아 타이거즈 대 SK 와이번스의 경기의 해설도 맡았다.
호주리그에서 뛰었던 경험을 살려 간만에 질롱코리아 22-23시즌 해설을 하고 있다.
전체적인 평가는 꽤나 준수한 편. 같은 투수 출신인 김선우가 투수와 타자 사이의 수싸움과 심리전, 예측에 강점을 보인다면, 김병현은 투구 구종 분석과 폼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는 편. 류현진의 제구 난조 원인으로 틀어진 자세를 지적하고, 양현종의 투구 폼을 후배들이 반드시 따라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발언 등으로 자신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전달한다. 중간중간 유머도 곁들이면서 중계를 잘 하고 있다.
다만 전달하는 내용이 호평받는 것과 달리 전문 해설이 아니었고 특유의 말끝을 흐리는 말투 때문에 해설위원들에 비하면 전달하는 방법 측면에서는 부족한 편이다. 말투로 인해 전달력이 다소 불분명하고 멘트 톤도 졸리다는 말이 있으며, 무의식 중에 가끔 전라도 사투리 억양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그래도 사투리 억양이 나오는 일은 많지 않은 편이고[17][18], 전달력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해설의 내용 자체가 좋다보니 종합적인 평가는 좋았다.
4.2. 방송 활동
<rowcolor=#fff> 출연 날짜 | 방송사 | 방송명 | 역할 | 비고 |
2013년 | ||||
8월 4일 | 맨발의 친구들 | 특별출연 | 16회 | |
2019년 | ||||
7월 10일 | 라디오 스타 | 게스트 | 625회 | |
9월 28일 ~ 12월 7일 | 정글의 법칙 in 순다열도 | 출연진 | ||
10월 6일 | 뭉쳐야 찬다 | 게스트 | 16회 | |
11월 5일 ~ 2020년 7월 10일 | 편애중계 | MC | ||
11월 25일 ~ 12월 2일 | 자연스럽게 | 게스트 | 17회 ~ 18회 | |
12월 4일 | 2019 Mnet Asian Music Awards | 시상자 | ||
12월 22일 ~ 2021년 1월 31일 | 뭉쳐야 찬다 | 출연진 | 27회 ~ 82회 | |
2020년 | ||||
2월 18일 | 정산회담 | 게스트 | 2회 | |
2월 29일 | 아는 형님 | 219회 | ||
3월 22일 | 복면가왕 | 참가자 | 247회 | |
6월 3일 | 백종원의 골목식당 | 특별출연 | 120회 | |
7월 26일 ~ 8월 2일 | 서울촌놈 | 게스트 | 3회 ~ 4회 | |
7월 28일, 8월 18일 | 코리안 몬스터 - 그를 만든 시간 | 1회, 4회 | ||
12월 5일 ~ 2021년 2월 20일 | 트롯 전국체전 | 출연진 | ||
12월 14일 ~ 2021년 1월 4일 | 축구 야구 말구 | 6회 ~ 9회 | ||
12월 7일 | 펜트하우스 | 특별출연 | 12회 | |
2021년 | ||||
2월 7일 ~ 7월 18일 | 뭉쳐야 쏜다 | 출연진 | ||
7월 24일 ~ 10월 2일 | 내일은 야구왕 | |||
7월 27일 | 해방타운 | 게스트 | 10회 | |
8월 16일 ~ 현재 | 안싸우면 다행이야 | 출연진 | [19] | |
8월 29일 ~ 현재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 121회 ~ | ||
9월 5일 ~ 9월 12일 | 슈퍼맨이 돌아왔다 | 게스트 | 397회 ~ 398회 | |
2022년 | ||||
1월 10일 ~ 현재 | 슈퍼 DNA 피는 못 속여 | 출연진 | ||
5월 7일 ~ 8월 20일 | 청춘야구단: 아직은 낫아웃 | |||
10월 18일 | 신발 벗고 돌싱포맨 | 출연진 | with 유희관, 홍성흔 | |
2023년 | ||||
8월 4일 ~ 10월 27일 | 조선체육회 | 출연진 | with 전현무, 허재, 이천수, 조정식 | |
2024년 | ||||
4월 22일 | 찐팬구역 | 출연진 | with 이채연, 윤경호 | |
7월 11일 | 마법의 성 | 고정출연 |
2019년 7월 10일 MBC 라디오스타에 출연했다. 이 자리에서 김수철의 '못다핀 꽃 한 송이'를 열창했는데 숨겨온 노래실력을 과시했다.
2019년~2020년 MBC 편애중계에 야구팀 해설위원으로 고정 출연했다.
2019년부터 JTBC 예능 뭉쳐야 찬다에 고정 출연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뭉쳐야 찬다 - 전설들의 조기축구/선수단 문서를 참조. 2021년 뭉쳐야 찬다의 후속작인 뭉쳐야 쏜다 - 전설들의 농구대잔치까지 출연하게 되었다.
2020년 12월 5일부터 방영중인 KBS 트로트 서바이벌 프로그램 트롯 전국체전에 전라도팀 코치로 출연한다. 가수 출신이 아닌데 트로트 서바이벌에 멘토로 출연하는 것에 대해 제작진 측은 편애중계에서 보여준 트로트에 대한 애정을 보고 캐스팅했다고 밝혔다. #
2020년 12월 7일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에 특별출연해 대사 한줄 없지만 충공깽을 선사하였다. # 참고로 이 장면은 같이 등장한 배우들이 꼽은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었다고.
2021년 7월 24일부터 채널A에서 내일은 야구왕에 출연한다. 김병현은 감독 역할로, 초등학생 어린이 야구팀을 꾸려 제1회 황금사자기 어린이 야구대회에 출전시킨다고 한다.
4.3. 자영업자
|
5. 성격 및 일화
자세한 내용은 김병현/성격 및 일화 문서 참고하십시오.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김병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체육훈장 수훈자 | |||||||||||||||||||||||||||||||||||||||||||||||||||||||||||||||||||||||||||||||||||||||||||
<colbgcolor=#EF8B01><colcolor=#F8D1A6> 연도 | <colbgcolor=#F8D1A6><colcolor=#EF8B01> 2005년 | |||||||||||||||||||||||||||||||||||||||||||||||||||||||||||||||||||||||||||||||||||||||||||
이름 | 김병현 | |||||||||||||||||||||||||||||||||||||||||||||||||||||||||||||||||||||||||||||||||||||||||||
분야 | 스포츠 | |||||||||||||||||||||||||||||||||||||||||||||||||||||||||||||||||||||||||||||||||||||||||||
사유 | 체육발전유공 | |||||||||||||||||||||||||||||||||||||||||||||||||||||||||||||||||||||||||||||||||||||||||||
체육훈장거상장(3등급) |
어쩌다 FC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역대 소속 선수 | |||
종목 | 이름 | 역할 | 등번호 | |
축구 | 안정환 | 감독 | - | |
씨름 | 이만기 | 선수 | 49 | |
농구 | 허재 | 선수 | 90 | |
야구 | 양준혁 | 선수 | 10 | |
육상 | 이봉주 | 선수 | 41 | |
체조 | 여홍철 | 선수 | 7 | |
레슬링 | 심권호 | 선수 | 55 | |
사격 | 진종오 | 선수 | 5 | |
격투기 | 김동현 | 부주장/선수(GK) | 8 | |
테니스 | 이형택 | 주장/선수 | 3 | |
배구 | 김요한 | 선수 | 25 | |
빙상 | 모태범 | 선수 | 89 | |
수영 | 박태환 | 선수 | 11 | |
야구 | 김병현 | 선수 | 18 | |
유도 | 김재엽 | 선수 | 88 | |
태권도 | 이대훈 | 선수 | 77 | |
배드민턴 | 하태권 | 선수 | 2 | |
배드민턴 | 이용대 | 선수 | 45 | |
펜싱 | 최병철 | 선수 | 9 | |
연예 | 김용만 | 선수 | 19 | |
연예 | 김성주 | 중계/선수 | 28 | |
연예 | 정형돈 | 해설/선수 | 99 |
상암 불낙스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역대 소속 선수 | |||
<rowcolor=#FFFFFF> 종목 | 이름 | 역할 | 등번호 | |
농구 | 허재 | 감독 | - | |
농구 | 현주엽 | 해설/코치 | - | |
쇼트트랙 | 김기훈 | 선수 | 7 | |
체조 | 여홍철 | 선수 | 15 | |
유도/격투기 | 윤동식 | 선수 | 11 | |
배구 | 방신봉 | 선수 | 5 | |
축구 | 안정환 | 선수 | 19 | |
테니스 | 이형택 | 선수 | 36 | |
야구 | 홍성흔 | 선수 | 22 | |
야구 | 김병현 | 선수 | 18 | |
축구 | 이동국 | 주장/선수 | 20 | |
격투기 | 김동현 | 선수 | 9 | |
핸드볼 | 윤경신 | 선수 | 77 | |
연예 | 김용만 | 선수 | 10 | |
연예 | 김성주 | 중계/선수 | 6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ACTOR / ACTRESS | ||||
김성현 | 류수영 | 이다해 | 소희정 | 손성윤 | |
신다은 | 신성우 | 안도규 | 안우연 | 양주호 | |
오정연 | 허율 | 왕빛나 | 윤소이 | 김가연 | |
이시원 | 이정준 | 장의수 | |||
SPOTAINER | |||||
김병현 | 이대은 | 허재 | |||
ENTERTAINER | |||||
권감각 | 양쥐언니 | 윤남기 | 은보아 | 이다은 | |
이혜련 | 전다빈 | 정서진 | 트루디 | 조수연 |
김병현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9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MVP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
2001 | 2004[20]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2002 |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
1998 |
좋아하는 국내외 활동 야구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한국갤럽은 매년 초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좋아하는 국내외 활동 야구 선수'를 선정하고 있다. |
2000년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5년 | ||||
※ 2010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박찬호 | 최희섭 | 이승엽 | 김병현 | 이종범 | |
2008년 | |||||
※ 2010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공동 5위 | |
이승엽 | 박찬호 | 양준혁 | 이대호 | 김병현 / 이종범 |
2010년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10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이종범 | 이대호 | 양준혁 | 김현수 | 최희섭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류현진 | 김상현 | 봉중근 | 강민호 | 이용규 | |
2011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이용규 | 류현진 | 이종범 | 홍성흔 | 김광현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강민호 | 김현수 | 김상현 | 이용규 | 최희섭 | |
2012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박찬호 | 이승엽 | 이대호 | 추신수 | 류현진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이종범 | 김태균 | 김병현 | 윤석민 | 홍성흔 | |
2013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류현진 | 이승엽 | 이대호 | 추신수 | 강민호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공동 9위 | ||
이용규 | 윤석민 | 홍성흔 | 김태균 / 오승환 | ||
2014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공동 5위 | |
류현진 | 추신수 | 이대호 | 이승엽 | 강민호 / 윤석민 | |
<rowcolor=#fff> 7위 | 8위 | 9위 | 10위 | ||
오승환 | 이병규 | 김태균 | 김현수 | ||
2015년 | |||||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 |||||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류현진 | 추신수 | 이대호 | 오승환 | 강정호 | |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 |||||
<rowcolor=#fff> 1위 | 공동 2위 | 공동 4위 | |||
이승엽 | 강민호 / 윤석민 | 박병호 / 김태균 / 홍성흔 | |||
<rowcolor=#fff> 7위 | 8위 | 공동 9위 | |||
손아섭 | 김현수 | 양현종 / 김광현 | |||
2016년 | |||||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 |||||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공동 4위 | ||
류현진 | 추신수 | 이대호 | 박병호 / 강정호 | ||
<rowcolor=#fff> 6위 | 7위 | ||||
김현수 | 오승환 | ||||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공동 4위 | ||
이승엽 | 강민호 | 이용규 | 양현종 / 김태균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공동 10위 | |
김광현 | 윤석민 | 이병규 | 손아섭 | 구자욱 / 정근우 / 나성범 | |
2017년 | |||||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류현진', '추신수' 등 해외 진출 선수들이 맹활약하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 응답이 크게 줄어 국내 프로야구 선수와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를 분리. | |||||
좋아하는 해외 활동 한국인 야구 선수 | |||||
<rowcolor=#fff> 1위 | 2위 | 공동 3위 | |||
류현진 | 추신수 | 김현수 / 박병호 / 오승환 | |||
<rowcolor=#fff> 6위 | 7위 | ||||
강정호 | 황재균 | ||||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이대호 | 이승엽 | 강민호 | 이용규 | 김태균 | |
<rowcolor=#fff> 6위 | 공동 7위 | 9위 | 10위 | ||
정근우 | 김광현 / 양현종 | 서건창 | 손아섭 | ||
2018년 | |||||
좋아하는 국내 프로야구 선수 | |||||
※ 2018년은 해외파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국내 프로야구 선수만 선정. 2019년은 좋아하는 선수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다. # | |||||
<rowcolor=#fff> 1위 | 2위 | 공동 3위 | 공동 5위 | ||
이대호 | 양현종 | 김선빈 / 김태균 | 김광현 / 김현수 | ||
<rowcolor=#fff> 7위 | 공동 8위 | 10위 | |||
강민호 | 박병호 | 손아섭 | 나성범 |
2020년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20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공동 3위 | 공동 5위 | ||
류현진 | 추신수 | 이대호 / 이정후 | 김광현 / 양현종 | ||
<rowcolor=#fff> 공동 7위 | 9위 | 10위 | |||
최지만 / 박병호 | 김태균 | 양의지 | |||
2021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공동 4위 | ||
추신수 | 류현진 | 이대호 | 김광현 / 양현종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이정후 | 양의지 | 김하성 | 최지만 | 손아섭 | |
2022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류현진 | 추신수 | 이정후 | 김광현 | 이대호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양현종 | 구자욱 | 나성범 | 양의지 | 강백호 | |
2023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이정후 | 류현진 | 김하성 | 추신수 | 김광현 | |
<rowcolor=#fff> 공동 6위 | 8위 | 공동 9위 | |||
양현종 / 양의지 | 최지만 | 김현수 / 최정 | |||
2024년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공동 5위 | |
류현진 | 이정후 | 김하성 | 추신수 | 문동주 / 양현종 | |
<rowcolor=#fff> 7위 | 8위 | 공동 9위 | |||
오지환 | 손아섭 | 전준우 / 구자욱 |
같이 보기: 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 | }}}}}}}}} |
2001 제일화재 프로야구시상식 특별상 |
김병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49번 | ||||
브라이언 코리 (1998) |
→ |
김병현 (1999~2003) |
→ |
에드가 곤잘레스 (2003) |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1번 | |||||
케빈 톨라 (2003) |
→ |
김병현 (2003~2004) |
→ |
테리 아담스 (2004) |
|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49번 | |||||
제이슨 영 (2004) |
→ |
김병현 (2005) |
→ |
호세 메사 (2006) |
|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48번 | |||||
팀 올슨 (2005) |
→ |
김병현 (2006) |
→ |
제이슨 허쉬 (2007~2008) |
|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49번 | |||||
호세 메사 (2006) |
→ |
김병현 (2007) |
→ |
팀 하리칼라 (2007) |
|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49번 | |||||
맷 허지스 (2006) |
→ |
김병현 (2007) |
→ |
아르만도 베니테즈 (2007) |
|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38번 | |||||
브라이언 몰러 (2006) |
→ |
김병현 (2007) |
→ |
다니엘 바론 (2007) |
|
{{{#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32번}}} | |||||
랜디 초트 (2006~2007) |
→ |
김병현 (2007) |
→ |
밥 위크먼 (2007) |
|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23번 | |||||
랜디 메신저 (2005~2007) |
→ |
김병현 (2007) |
→ |
앤드류 밀러 (2008~2010) |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99번 | |||||
나카무라 노리히로 (2009~2010) |
→ |
김병현 (2011) |
→ |
카와타 히사시 (2012~2013) |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49번 | |||||
조평호 (2011. 8. 19.~2011) |
→ |
김병현 (2012~2014. 4. 9.) |
→ |
김영광 (2014. 4. 10.~2014) |
|
KIA 타이거즈 등번호 45번 | |||||
김영광 (2014~2014. 4. 9.) |
→ |
김병현 (2014. 4. 10.~2016) |
→ |
팻 딘 (2017~2018) |
|
멜버른 에이시스 등번호 18번 | |||||
미첼 레이 (2017-18) |
→ |
김병현 (2018-19) |
→ |
라스 리구오리 (2019-20) |
A대표팀 참가 경력 | |||||||||||||||||||||||||||||||||||
|
[1]
음력 1월 19일.
빠른년생 적용으로
1978년생과 학교를 다녔다. 그래서 같은 해에 태어났지만 빠른 생일이 아니라 1년 후배인 박용택이 김병현을 깍듯이 대한다.
[2]
마무리 투수,
선발 투수
[3]
지명 거부 후 성균관 대학교 입학.
[4]
현대의 후신
히어로즈로 지명권이 인계되었고, 한국 복귀 후 계약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5]
2019년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해설만 했지만 2020년부터는
KBO 리그 해설도 하게 되었다.
[6]
스캇 롤렌, 마이크 리버설,
팻 버렐
[7]
한 이닝 동안 9구로 3K를 잡은 경우를 의미하며 해당 이닝은 유튜브 등에 널리 퍼져 있을 정도로 유명한 장면이다.
영상
[8]
2023년 5월 25일 전속계약을 체결하였다.
관련 기사
[9]
배우로
단국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졸업했다. 2002년 영화 'YMCA야구단'에 단역으로 출연했으며, 2005년 뮤지컬 '그리스', 2006년 풀무원 CF에 출연했다.
[둘째]
[11]
인스타그램 게시물로 보아 현재는 개신교이다. 집에 십자가도 박혀 있다.
[12]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시절 팀 동료였는데, 이 말을 한
랜디 존슨은 4시즌 연속 300K+에 절대 경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놀란 라이언의 탈삼진 기록 다음가는 역대 2위의 통산 탈삼진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삼진이 대폭 증가한 2012년 이전까지 한 시즌 좌완 K/9 기록 1~6위를 독식했고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등 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탈삼진형 투수 중 하나이다. 그런 그 존슨이 인정했을 정도면 말 다했다.
[13]
2018년 명예의 전당에서 2회만에 92%의 득표율을 받고 명전에 들어간 MLB 역사상 최고의
배드볼 히터로,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내야수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존 바깥으로 빠지는 공도 홈런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몇 안 되는 선수이다. 게레로는 2009년 8월 15일 볼티모어와의 경기에서 크리스 틸먼이 던진 홈플레이트 앞에서 바운드된 공을 안타로 만들어 내기도 했다. 저런 배드볼 히터가 저런 말을 하면서 극찬할 정도면 웬만한 선수들은 치는 게 힘들 정도 라는 말이 된다.
[14]
아시아인 최초로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한 선수는 1998년 뉴욕 양키스의
이라부 히데키다. 단 이라부는 월드 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되었으나 등판을 하지 않았기에, 김병현은 아시아인 최초로 월드 시리즈에 출전하고 우승한 선수라는 표현이 정확하다.
[15]
Baseball Reference 참고. 김병현의 월드 시리즈 우승기록은 2001년 애리조나만 해당된다. 2004년은 월드 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2004년 포스트시즌 엔트리에 아예 들지 못했다). 월드 시리즈 우승기록은 월드 시리즈 엔트리에 들은 경우에만 인정된다. 예시로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의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는
2021년 월드 시리즈 엔트리에 들지 못했기 때문에 팀인 애틀란타가 우승했는데도 아직 개인 커리어 월드 시리즈 우승은 0회이다. 그러므로 김병현은 양대리그에서 우승반지를 받은 것은 맞지만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한 것이 아니다.
[16]
날고기는 선수들도 월드 시리즈 우승은 고사하고 월드 시리즈란 큰 문턱에 발도 못디뎌보고 은퇴하는 케이스가 수두룩한 메이저리그에서는 엄청나게 복받은 케이스다.
코리안특급
박찬호조차도 전성기 시절이었던 LA 다져스 소속으로는 월드 시리즈 무대는 밟아보지도 못하다 선수 생활 황혼기였던 2009년에서야 월드 시리즈 무대를 처음 밟았을 정도. 그러나 아쉽게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우승 반지는 얻었지만 끝내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는 못 얻고 은퇴했으며,
노모 히데오와
스즈키 이치로,
추신수는 아예 월드 시리즈 무대를 밟아 보지도 못하고 은퇴했다.
다르빗슈 유와
류현진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으로 각각
2017년,
2018년 월드 시리즈에 출전했지만 팀이 준우승에 그치면서 우승 반지를 얻지 못했다.
다나카 마사히로 역시 월드 시리즈을 경험하지 못하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17]
단적으로
이순철,
박재홍 등 광주 출신 중에서도 비교적 표준어 억양을 잘 유지하는 해설위원보다도 사투리 억양이 드물다.
서재응,
최희섭,
이종범은 아예 사투리 억양을 고치지 못하기도 했으니 해설로서는 장점. 사실 사투리 억양 자체가 생활하는 지역에 따라 변할 수 밖에 없는데, 김병현은 성균관대 진학과 오랜 해외 및 타지 생활, 히어로즈 경력 등으로 억양이 많이 바뀌었다. 라쿠텐 시절이나 히어로즈 입단 당시 인터뷰를 들어보면 사투리 억양을 찾기 힘든 편. 나중에 KIA로 이적하며 고향에 돌아오고 사업도 고향에서 하게 되면서 다시 내재돼있던 사투리가 나온 듯 하다.
[18]
참고로 앞 각주에 언급된 다른 해설자들과 비교하자면 이순철의 경우 선수생활은 주로 해태에서 보냈지만 지도자 생활의 대부분을 타 지역에서 보내서 억양이 조금 덜하고, 박재홍의 경우는 선수생활의 대부분을 수도권에서 보냈어서 억양이 심하지 않다. 반면 서재응, 최희섭, 이종범 세명은 해외시절을 제외하곤 거의 모든 커리어를 해태, 기아에서 보내서 해설직을 역임하면서 사투리를 교정해야 했기 때문에 억양이 크게 강조된 것. 참고로 동남방언 억양을 구사하는 해설인 양준혁, 이승엽도 선수생활의 거의 대부분을 삼성에서 보냈다.
[19]
42 ~ 43회, 46 ~ 47회, 50~51회, 58 ~59회에 출연. 사실상 반고정 출연진이다.
[20]
포스트시즌 로스터에 들지 못했기 때문에 공식적인 수상 경력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