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22:33:04

프랑수아 미테랑

미테랑에서 넘어옴
<colcolor=#23235A>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 #23235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제2공화국
초대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제3공화국
<rowcolor=#23235A>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쥘 그레비 사디 카르노
<rowcolor=#23235A>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펠릭스 포르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rowcolor=#23235A>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가스통 두메르그
<rowcolor=#23235A> 제14대 제15대
폴 두메르
제4공화국
<rowcolor=#23235A> 제16대 제17대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제5공화국
<rowcolor=#23235A>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샤를 드골 조르주 퐁피두
<rowcolor=#23235A>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크 · 서프랑크 · 왕국
제1공화국 · 제국 · 7월 왕정 · 제2·3·4·5공화국
}}}}}}}}}}}}
프랑수아 미테랑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0069f 33%,#fedd00 33%,#fedd00 66%,#d50032 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5eb6e4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역대 우르헬 측 안도라 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대주교 문장.png 우르헬교구장
<rowcolor=#23235A>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페레 두르치 기옘 데 몬카다 라몬 트레바이야
<rowcolor=#23235A>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페레 데 나르부나 니콜라 카포치 우고 데즈박 기옘 아르나우 데 파타우
<rowcolor=#23235A>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페드로 마르티네스 데 루나 베렝게 데릴 이 데 파야스
<rowcolor=#23235A>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아르나우 루제 데 파야스 자우메 카르도나 로데리크 데 보르자 이 에스크리바 페드로 폴크 데 카르도나
<rowcolor=#23235A>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조안 데스페즈 페드로 조르다 데 우리에스
<rowcolor=#23235A>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조안 페레스 가르시아 데 올리반 페레 데 카스테예트 조안 디마스 로리스 미켈 제로니 모레이
<rowcolor=#23235A>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우고 암브로스 데 몬카다 안드레우 카페야
<rowcolor=#23235A>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안토니오 페레스 파우 두란 후안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 멜시오 팔라우 이 보스카
<rowcolor=#23235A>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페레 데 코폰스 이 데 테이시도 조안 데즈박 마르토레이
<rowcolor=#23235A>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시메오 데 긴다 이 아페스테히 호르디 쿠라도 이 토레블랑카 세바스티아 데 빅토리아 엠파란 이 로욜라 프란세스크 조제프 카탈란 데 오손
<rowcolor=#23235A>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프란세스크 페르난데스 데 샤티바 이 콘트레라스 호아킨 데 산티얀 이 발디비엘소
<rowcolor=#23235A>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프란세스크 안토니 데 라 두에냐 이 시스네로스 베르나트 프란세스 이 마테트 보니파시오 로페스 이 풀리도 시모 데 구아르디올라 이 호토네다
<rowcolor=#23235A>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조제프 카이샬 이 에스트라데 살바도르 카사냐스 이 파헤스
<rowcolor=#23235A>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조안 조제프 라구아르다 이 페노예라 조제프 푸자르김수교구장 서리 조안 베뇨크 이 비보 자우메 빌라드리크 이 가스파교구장 서리
<rowcolor=#23235A>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주스티 기타르트 이 빌라르데보 리카르트 포르네사 이 푸치데마사교구장 서리
<rowcolor=#23235A> 제61대 제62대
조안 마르티 이 알라니스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역대 프랑스 측 안도라 공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푸아문장.png 푸아 백작
<rowcolor=#23235A> 제1대 제2대 제3대
로제 베르나르 3세 가스통 1세 가스통 2세
<rowcolor=#23235A> 제4대 제5대 제6대
가스통 3세 마티외 이자벨
<rowcolor=#23235A> 제7대 제8대 제9대
장 1세 가스통 4세 프랑수아
파일:나바라 왕국 국장.svg 나바라 국왕
<rowcolor=#23235A> 제9대 제10대 제11대
프란치스코 1세 페부스 카탈리나 1세 헨리케 2세
<rowcolor=#23235A> 제12대 제13대 제14대
호아나 3세 헨리케 3세 루이스 2세
파일:부르봉 왕조 문장.svg 프랑스 국왕
<rowcolor=#23235A>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루이 13세 루이 14세 루이 15세 루이 16세
파일:프랑스 제1제국 국장.svg 프랑스 황제
<rowcolor=#23235A> 제18대
나폴레옹 1세
파일:부르봉 왕조 문장.svg 프랑스 국왕
<rowcolor=#23235A> 제19대 제20대
루이 18세 샤를 10세
파일:프랑스 왕국 7월 왕정 국장.svg 프랑스인의 왕
<rowcolor=#23235A> 제21대
루이필리프 1세
파일:프랑스 공화국의 국새.svg 프랑스 대통령 파일:프랑스 제2제국 국장.svg 프랑스 황제
<rowcolor=#23235A> 제22대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3세
파일:프랑스 대통령 로고.svg 프랑스 대통령
<rowcolor=#23235A>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쥘 그레비 사디 카르노
<rowcolor=#23235A>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펠릭스 포르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rowcolor=#23235A>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가스통 두메르그
<rowcolor=#23235A> 제35대 제36대
폴 두메르
파일:비시 프랑스 국장.svg 프랑스국 국가원수 파일: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국장.svg 임시정부 주석
<rowcolor=#23235A> 비공식 비공식
필리프 페탱 샤를 드골
파일:프랑스 대통령 로고.svg 프랑스 대통령
<rowcolor=#23235A>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뱅상 오리올 샤를 드골 조르주 퐁피두
<rowcolor=#23235A>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rowcolor=#23235A> 제45대 제46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he Greatest Frenchman
※ 2005년 프랑스의 공영방송인 프랑스 2가 발표한 ‘가장 위대한 프랑스인’ 명단이다.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콜뤼슈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장 가방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엠마뉘엘 수녀
장 물랭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볼테르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크리스찬 카브롤
쥘 페리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미셸 사르두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하룬 타지프
에리크 타바를리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다비드 두이예
장 자크 골드만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달리다
레옹 지트론
니콜라스 윌로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파트리크 푸아브르 다르보르
프랑시스 카브렐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르노
베르나르 쿠슈네르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미셸 세로
미셸 드러커
라이무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레이먼드 풀리도르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질베르 베코
조제 보베
장 페라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뤽 베송
티노 로시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세르지 레기아니
프랑수아즈 돌토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파일:사회당 반전.png 사회당 제1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알랭 사바리
제2대
프랑수아 미테랑
제3대
리오넬 조스팽
제4대
피에르 모루아
제5대
로랑 파비위스
제6대
미셸 로카르
제7대
앙리 에마뉘엘리
제8대
리오넬 조스팽
제9대
프랑수아 올랑드
제10대
마르틴 오브리
제11대
아를렘 데세르
제12대
장 크리스토프 캄바델리
제13대
올리비에 포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1960년 8월 13일 윤보선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육영수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홍기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이순자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김옥숙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김영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손명순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이희호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권양숙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김윤옥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김정숙 영부인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하인리히 뤼프케 대통령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왕비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장제스 총통 중화민국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에티오피아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반티에우 총통 남베트남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제1부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하마니 디오리 대통령 니제르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니제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대통령 엘살바도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엘살바도르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오마르 봉고 대통령 가봉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 세네갈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5월 14일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1981년 6월 25일 수하르토 대통령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
1981년 7월 6일 이멜다 마르코스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로드리고 카라소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사무엘 도 대통령 라이베리아
1982년 6월 7일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자이르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압두 디우프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케난 에브렌 대통령 튀르키예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대통령 수단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후세인 1세 국왕 요르단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하사날 볼키아 국왕 브루나이
1984년 4월 21일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국왕 카타르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 감비아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 파키스탄
1985년 5월 20일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 국왕 영국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보두앵 국왕 벨기에
1987년 4월 7일 아메드 압달라 대통령 코모로
1988년 11월 3일 이스칸다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 서독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프랑스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대통령 파라과이
1990년 11월 5일 괸츠 아르파드 대통령 헝가리
1991년 9월 13일 아즐란 샤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대통령 멕시코
1992년 8월 13일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과테말라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대통령 칠레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레흐 바웬사 대통령 폴란드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로만 헤어초크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젤류 젤레프 대통령 불가리아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넬슨 만델라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아르헨티나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알바로 아르수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페르난두 카르도주 대통령 브라질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스페인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우크라이나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대통령 이탈리아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알제리
2007년 3월 26일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카자흐스탄
2009년 11월 12일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페루
2012년 5월 30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스웨덴
2012년 11월 21일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2018년 10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2019년 하랄 5세 국왕 노르웨이
2021년 6월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 오스트리아
2021년 6월 16일 펠리페 6세 국왕 스페인
2021년 6월 16일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왕비 스페인
2021년 8월 25일 이반 두케 대통령 콜롬비아
2021년 9월 21일 보루트 파호르 대통령 슬로베니아
2023년 7월 13일 안제이 두다 대통령 폴란드
2023년 11월 21일 찰스 3세 국왕 영국 }}}}}}}}}
<colbgcolor=#ffffff><colcolor=#23235A>
프랑스 공화국 제21대 대통령
프랑수아 모리스 아드리앵 마리 미테랑
François Maurice Adrien Marie Mitterrand
파일: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jpg
출생 1916년 10월 26일
프랑스 푸아투샤랑트 자냑
(현 프랑스 누벨아키텐 샤랑트 자냑)
사망 1996년 1월 8일 (향년 79세)
프랑스 파리
재임기간 제21대 대통령[1]
1981년 5월 21일 ~ 1995년 5월 17일
서명
파일:프랑수아 미테랑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colcolor=#fff> 신체 170cm[2]
학력 생폴 앙굴렘 고등학교[3] ( 졸업) (-1934년)
파리 대학교 ( 법학 / B.A.) (1934-1937년)
시앙스포 ( 법학[4] / DESS[5]) (1937년)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2, 3, 4, 5, 6
가족 아버지: 질베르 펠릭스 조제프 미테랑
어머니: 마리 가브리엘 이본 로랭
배우자: 다니엘 미테랑 (1944년 결혼)
슬하: 3남 1녀
종교 가톨릭 무종교( 불가지론) }}}}}}}}}}}}
1. 개요2. 생애
2.1. 정치인이 되기 전2.2. 사회당의 기린아2.3. 집권 전2.4. 1981년: 집권 성공2.5. 1988년: 재선2.6. 사망
3. 평가
3.1. 긍정3.2. 부정
4. 기타5. 소속 정당6. 선거 이력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정치가, 제21대 대통령.

프랑스 제5공화국 역사상 사회당이 배출한 최초의 대통령이자 역대 프랑스 대통령 중 최장기간 재임한 대통령이기도 하다.[6] 또한 프랑스 대통령 중 최초로 동거정부 하에서 사실상의 실권을 총리에게 내 준 대통령이기도 하다.[7]

2. 생애

2.1. 정치인이 되기 전

샤랑트 주에서 철도기관사 아버지와 가정주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양친은 보수적인 가톨릭 신자였는데, 미테랑 본인 역시 학창 시절에는 유대인 추방을 주장하는 프랑수아 드 라 로크 극우 단체 크루아 드 푀 (불의 십자단)의 행동대원으로 활동했던 흑역사가 있다.[8] 이에 대해 미테랑은 말년 인터뷰에서 멋모르고 가입했다가 15일만에 환멸을 느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청년 시절이던 1930년대에는 부르봉 왕조 복원을 주장하는 단체에 가입하여 시위를 벌이기도 했었다.[9]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시 프랑스 정부 초기에 하급 관료로서 협력했다. 그러나 후에 전향하여 좌파 계열 레지스탕스에 합류하여 활동하게 된다.

2.2. 사회당의 기린아

자유 프랑스 파리 탈환 이후 사회당의 전신인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에 입당, 1946년 11월 총선에서 부르고뉴 지역에서 하원의원에 출마, 2위로 당선된다. 이후 1958년까지 계속된 제4공화국 내각에서 제대군인부, 해외영토부, 내무부, 법무부 장관을 차례로 역임하며 대중들에게 젊은 행정전문가로 인정받았고, 윈스턴 처칠, 콘라트 아데나워, 엘리자베스 2세 등과 교류하면서 국제적으로도 이름을 알린다.

그러나 미테랑의 정치적 성공과 별개로 좌파 진영이 주도한 제4공화국은 각 정파의 난립, 식민지 정책에서의 혼선, 군부의 쿠데타 협박 등으로 민심을 잃고 있었고, 그 틈을 타 샤를 드골이 정치에 복귀하면서 4공화국 체제는 막을 내리고 5공화국 시대가 막을 올린다.

2.3. 집권 전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가 열렸고, 이 선거는 드골이 압승할 가능성이 유력해 보였다. 승리 가능성이 희박한 가운데 좌파 단일화를 주장하며 출마, 1차 투표에서 31%의 득표를 얻어 돌풍을 일으켰고 2차 투표에서는 무려 45%의 득표를 올리며 선전하였다. 덕분에 좌파의 대표주자로 우뚝서게 되었고, 이어 1967년 총선에서 미테랑이 이끈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와 프랑스 공산당이 합쳐서 드골이 이끄는 여당과 득표율에서 호각을 나타내는 등 선전했다.

전후 내재되어 있던 각종 사회문제가 폭발하면서 68운동이 터지자, 드골은 이를 정치적으로 돌파하기 위해 의회를 해산하여 총선이 치러지게 되었다. 당초 68운동으로 좌파가 선전할 것이 예상되었으나, 좌파의 분열과 드골의 반공주의 정서 자극으로 오히려 좌파는 의석이 대폭 줄어드는 참패를 겪었고[10], 미테랑은 1969년 대선에 불출마한다. 미테랑 대신 출마한 가스통 드페르는 5%의 득표율로 탈락하는 수모를 겪고 공산당 등 다른 좌파 후보들도 중도성향의 알랭 포에르에게 패배하며 1차 투표에서 모두 낙선했다. 2차 투표에서도 공산당이 중도파인 알랭 포에르를 지지하지 않은 결과 드골파의 조르주 퐁피두가 당선되면서, 프랑스 좌파는 급속히 침체되었다.

대선 참패 후 미테랑은 프랑스 사회당을 이끌고 좌파를 재조직하는 데 나섰다. 미테랑의 사회당은 1973년 총선에서 우파의 과반수 확보를 저지하지는 못했지만 상당히 선전하면서 세를 회복했다. 1974년 퐁피두가 임기를 다 마치지 못하고 사망하면서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자, 미테랑은 좌파 단일후보로 출마하여 43%의 득표율을 기록, 1위로 결선에 진출하였지만 지스카르데스탱에게 밀려 49.1%로 석패하고 말았다.

1976년과 1977년 지방선거에서 좌파가 압승을 거두었고, 여세를 몰아 1978년 총선에서도 20년 만의 압승이 예상되었지만, 실제로는 예상을 뒤엎고 우파가 다수 의석을 차지하였다. 사회당은 선전하였지만, 좌파 연합을 구성한 공산당이 부진했던 탓. 1979년에는 소련 아프간 침공으로 의견 대립이 발생하면서 공산당과의 연합이 깨지는 이중고를 겪었다. 그러나 미테랑은 이에 굴하지 않고 1980년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하여 또다시 압승을 거두었다.

2.4. 1981년: 집권 성공

파일:external/pds19.egloos.com/e0022573_4dba0583c54c5.jpg
10 mai 1981 : pourquoi Mitterrand a gagné
1981년 5월 10일 : 왜 미테랑은 승리했는가.

1981년 5월 대통령 당선 직후의 모습.
사진 속에서 들고 있는 장미꽃은 사회당의 상징이기도 하다.

1981년 대선을 앞두고, 미테랑의 지지율은 현직 대통령인 데스탱에게 지속적으로 밀리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오일 쇼크로 인한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데스탱이 자크 시라크의 공격을 받는 상황이 되면서 미테랑의 지지율은 상승세를 탄다. 미테랑은 공산당과의 선거연합이 해소된 상황에서 28%의 득표를 얻어 2위로 결선에 다시 진출하였다. 미테랑은 7년전과 달리 토론회에서 데스탱을 강하게 밀어붙였고, 그 결과 결선에서 51.7%의 득표율을 얻어 승리를 거두었다. 프랑스 역사상 처음으로 사회당 출신 대통령이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이때 미테랑의 선거운동 지휘자 중 한 사람이었던 자크 아탈리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대통령 선거운동의 요소를 모두 갖춘 현대적 대통령 선거운동이 바로 이때 시작되었다." 라고 말했다. 제5공화국 체제 출범 이후 좌파 진영이 처음으로 정권 교체에 성공한 순간이기 때문에 이 시기를 기억하는 진보 성향 프랑스 국민들은 "꿈에서만 그리던 것이 현실이 된 순간"이었다며 이 순간을 좋게 기억하고 있다.

미테랑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의회를 해산한 가운데서 치러진 총선에서도 압승을 거두었고, 공산당은 각료 자리를 얻기 위해서 반쯤 울며 겨자먹기로 사회당과의 연정에 합의하였다. 대통령에 취임한 미테랑은 의욕있게 개혁정책을 펼치며 사형제도를 폐지하였고, 주 39시간 노동제도를 도입하였으며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국유화 정책도 병행하였다. 그리고 민영방송도 개국하였으며[11], 정보화 사회 구축을 위해서 미니텔을 대대적으로 보급하는 작업에도 착수하였다.[12]

그러나 당시 프랑스의 기업들이 기술경쟁력을 잃어가는 상황이라 국유화 정책은 별 실효를 거두지 못했고, 각종 개혁정책도 생각보다 큰 호응을 얻지 못한 채 재정적자만 급속히 늘어나는 상황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결국 미테랑은 연립정당인 공산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긴축정책을 펴기 시작하였다.

이후 경기침체는 계속되었고 장기화된 긴축정책의 부작용으로 실업률이 늘어나면서, 지방선거에 연이어 참패하는 상황이 되었다. 1985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핵실험을 강행하고 그린피스 선박을 폭파하는 상황이 널리 보도되면서 사회주의자로써의 미테랑의 이미지도 땅바닥으로 떨어진다.

결국 1986년 총선에서는 우파에게 원내 다수를 내주면서[13] 자크 시라크를 총리에 임명해야 했다. 미테랑은 시라크에게 군사, 외교 분야를 제외한 모든 권한을 넘겨주면서 실권을 잃었다.[14]사실 미테랑 입장에선 내정을 내려놓지 않고 버틸려고 했지만, 프랑스는 하원(우파)이 총리에 대한 내각불신임안을 발동할 수 있었다. 그렇게 되면 사실상 제4공화국 때 처럼 총리가 계속 교체될 수 밖에 없었기에 울며 겨자먹기로 합의한 것.

그러나 자크 시라크는 무리한 민영화와 긴축정책을 밀어붙인 결과 노조의 총파업을 불러오면서 지지율이 급락하였고, 미테랑은 이 틈을 타서 외교 분야에서 상당한 활약을 보이며 1기 집권 당시의 실책을 만회하고 지지율을 다시 끌어올렸다. 이는 미테랑이 의도한 바라고도 할 수 있는데, 우파 시라크를 총리에 임명하면서 내정에 관한 실권을 잃어버렸지만 그만큼 책임에서도 자유로워진 것이다. 반대로 시라크는 미테랑의 양보로 많은 권한을 넘겨받았지만 그만큼 행정의 총 책임자로서 욕도 바가지로 얻어먹으면서 반전의 계기가 되었다.

2.5. 1988년: 재선

그리하여 1988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1차 투표에서 무려 34%를 얻는 저력을 과시했고 결선투표에서도 54.02%의 여유있는 득표로 재선에 성공한다.[15] 그리고 의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치렀는데, 사회당은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다른 좌파정당과의 연정을 통해 안정적인 정국운영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1기 집권 초기와 다르게 민영화된 기업을 다시 국유화 시키지 않는 등 비교적 보수적인 정책을 집행하였다.[16] 이후에는 유럽통합에 매진하였으며 걸프전에 프랑스군을 파병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 초 들어 각료들의 비리와 경기침체로 미테랑 대통령의 지지율도 다시 떨어졌고 결국 1993년 총선에서 사회당은 단 53석을 확보하는데 그치는 참패를 당하고 말아 미테랑은 다시 실권을 잃게 되었다.[17][18] 거기다 총선 몇 달 뒤에 자기 아래서 총리를 지냈던 피에르 베레고부아[19]가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것을 지켜보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1993년 총선 이후 에두아르 발라뒤르를 총리로 한 동거정부가 다시 한번 수립되었지만 발라뒤르가 시라크의 선례를 거울 삼은 덕분에 이번에는 큰 마찰없이 남은 대통령직을 수행하다가 1995년에 임기를 마치고 퇴임하였다. 리오넬 조스팽이 시라크에게 패하면서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것이 임기 막판 유일한 아쉬움.

물론 당시 여론 지형을 고려할 때, 조스팽이 못해서 정권 유지에 실패한 것이 아니라 미테랑 행정부의 실책과 14년 장기 집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피로감이 조스팽으로서는 극복할 수 없을만큼 커진 탓이 컸다. 오히려 미테랑 행정부의 우클릭에 실망해 와해 직전에 몰린 진보 성향 유권자들을 결집시켜 1차 투표에서 1위, 2차 투표에서 47%를 득표하면서 선전했다는 평을 받았을 정도.
파일:external/jactiv.ouest-france.fr/mes_arc060706a_7.jpg
1995년 퇴임 당시의 모습. 후임자 자크 시라크와 함께

2.6. 사망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527f163574e4f8e4eb943917a7f33329.jpg
미테랑의 타계를 보도한 1996년 1월 22일판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의 표지.

퇴임한지 불과 8개월 후인 1996년 1월 8일에 향년 79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사인은 전립선암이었는데, 대통령 시절부터 이미 증상이 계속되고 있었으나 재임 중에는 비밀에 부쳐졌다.[20] 이 때문에 까딱하면 재임 중 사망하여 조르주 퐁피두처럼 대통령직 공백을 만들 뻔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해서 그의 사후 대통령 임기가 7년에서 5년으로 줄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더 나아가 미테랑의 죽음을 계기로 고령 후보는 아예 출마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여론도 좀 있었다.

죽음을 불과 며칠 앞두고서 주치의에게 "항암제 투약을 중지하면 난 어떻게 되는 겁니까?"라고 묻자, "곧 돌아가실 겁니다"라는 대답을 들었다. 이에 미테랑은 "그럼 투약을 중지해 주시오"라고 요청했다. 의연하게 자신의 최후를 맞이한 셈.[21]

타계하기 며칠 전, 정확히는 1995년 섣달 그믐날에 마지막 만찬을 즐겼는데, 일반 빈티지 와인과 소테른 귀부 와인,[22] 대서양 생, 푸아그라, 거세된 수탉 요리, 그리고 화룡점정으로 평소에 즐겨먹던 오르톨랑[23] 요리까지 포함된 성대한 만찬이었다.[24] 원래 오르톨랑은 한 사람당 한 마리씩만 먹는 것이 원칙이지만, 미테랑의 경우 죽어가는 사람에 대한 마지막 배려 차원에서 두 마리를 먹었다고 한다. 이 많은 음식을 말기 암 환자였음에도 먹어치운 것. 다만 한 번에 다 먹은 것은 아니고 가족과 친지를 초대하여 만찬 자리를 열었고 메뉴 하나를 다 먹고 잠에 들었다가 이후 다시 일어나서 다음 메뉴를 먹는 식이었다고 한다. 이후 미테랑은 8일 동안 그 어떠한 음식에도 입을 대지 않다가 사망했다. 영문 기사, 한글 기사

3. 평가

프랑스 좌파와 사회당을 상징하는 인물들 중 첫 손에 꼽히는 인사로, 프랑스 정치사 특히 제5공화국 이후의 현대 정치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떤 의미로든 매우 크다. 미테랑은 1958년 10월 제5공화국 성립 이후 20여년간 좌파가 정권을 잡지 못했던 상황을 타개하고, 선거를 통해 실권이 있는 대통령제에선 '수평적 정권교체'를 두번째로[25] 실현해냈다.

3.1. 긍정

지금도 프랑스 사회당을 비롯한 프랑스 진보 세력의 정치적 대부 격으로[26] 많은 프랑스인들이 기리는 대통령이다. 특히 제5공화국이 들어선 이후 프랑스에서 최초로 그것도 장기집권한 좌파 지도자였고,[27] 이후 프랑스 좌파와 우파가 평화적으로 정권 교체를 진행하는 기반을 마련한 대통령이 되었다.

내치 부분에서도 임기 초 노동시간 단축(주 40시간→주 39시간)[28], 최저임금 인상 등 진보적 아젠다를 국가 의제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그 외에도 반시위법 및 사형 제도를 폐지하는 등 인권 문제에도 상당히 관심이 많았다.

또한 이전 보수 정권에서는 관심이 없었던 프랑스의 노인 문제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보여 특임 장관을 임명하고 특별위원회를 꾸려 노인 요양 등 맞춤 정책을 입안하는데 노력했다. #

수십 억 유로를 들여 미테랑 도서관을 만들고 영화 산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등 문화 사업에도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다. 미테랑 대통령은 그랑 프로제(Grand Projects)라는 초대형 건축 프로젝트를 사회 각계에서의 반발을 무릅쓰고 추진했다. 이 프로젝트로 지어진 루브르 피라미드, 라데팡스 신개선문, 라빌레트공원 등 현대 파리를 상징하는 여러 랜드마크들은 미테랑의 뚝심 하나로 지어진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또한 외교적으로 미테랑과 마찬가지로 장기 집권한 독일의 헬무트 콜 총리와 손잡고 유럽 통합에 힘써 유럽연합 출범에 기여하고, 유럽 전반에 자유주의 및 민주주의 정착에 노력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3.2. 부정

집권 직후 그가 펼치고자 했던 사회민주주의적인 정책들이 임기 중반부터 재정 문제로 실현되지 못하고, 되레 그 이후론 신자유주의적 긴축정책을 시행하는 방향으로 돌아서면서 지지자들에겐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실제 아탈리에 의하면 미테랑은 초기에 단행했던 개혁들에 대해 상당히 만족감을 보였으나, 이후 추가적인 개혁을 원치 않아보였다고 한다.

때문에 88년도에 좌파가 다시 승리하며 실권을 되찾았을 때도 경제 등 내치 분야는 총리에게 거의 전적으로 일임한 채 거의 간섭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집권 후반부부터는 냉전 종식 관련해서 동유럽 자본주의화와 독일통일, 소련 붕괴 등 워낙에 국제정세가 요동치는 격변기여서 아예 내정에 관심을 기울일 틈이 없었다.

또한 프랑스가 구 아프리카 식민지 국가들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프랑사프리크 정책을 계속 유지해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프랑스는 독립시킨 뒤에도 아프리카 구 식민지 국가들에게 단순한 영향력 정도를 넘어서 국정 전반까지 좌우할 정도였는데 이러한 기조는 샤를 드골 이래 역대 모든 프랑스 정부에서 기조가 바뀌지 않고 미테랑 역시 이러한 정책을 충실히 계승했으며 프랑스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지도자들에게는 단순한 제재를 넘어서 암살 및 쿠데타도 불사하였다. 특히 1987년 10월 15일 반제국주의를 내세우고 개혁적인 성향으로 오늘날까지 존경받는 부르키나파소 대통령이었던 토마 상카라가 동료인 블레즈 콩파오레 쿠데타로 인해서 살해당할 때, 프랑스 미국 CIA와 함께 인근 아프리카의 친불 독재자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무사 트라오레, 냐싱베 에야데마, 오마르 봉고 등과 함께 배후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으며, 당시 프랑스 대통령이었던 미테랑도 큰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은 2020년대 들어 아프리카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가봉등의 국가들에서 오랜 프랑스의 영향력에서 탈피하려는 반불 군사독재정권들이 들어서는 원인들 중의 하나가 된다.

그리고 사후에는 르완다 학살[29]에서 정부군의 학살에 무기를 지원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어 비판받기도 했다. 다만 이건 미테랑에게만 책임을 묻기에는 다소 억울한 측면이 강하다. 르완다 내전이 발생한 1994년 당시 프랑스는 여당이었던 사회당이 하원선거에서 대참패를 겪으며 우파들이 대거 당선되어 에두아르 발라뒤르를 중심으로 2차 동거정부가 구성되어있었기 때문에 그에게만 책임을 묻기는 애매하다.[30] 물론 미테랑의 실권 여부를 떠나서, 본인이 프랑스 대통령으로써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건 국가원수로써 도의적인 책임을 지고 비판받을 수밖에 없으며, 특히 국방, 외교 분야는 외치에 관한 것으로 명백히 대통령 소관이므로 더욱 무거운 책임을 져야만 한다.

1985년 7월 10일, 프랑스의 남태평양 핵실험에 반대하는 시위를 펼치면서 뉴질랜드 오클랜드 항에 정박해 있던 민간환경운동 단체 그린피스 선박 "레인보우 워리어(Rainbow Warrior)" 격침 명령을 내린 것으로도 비판을 받는다. 좌파 정권의 수장이란 사람이 핵실험을 반대한다는 이유로 우파 정권에서도 함부로 안 할 군사작전을, 그것도 우방국인 뉴질랜드에서 저질렀다는 것. 심지어 이 사건으로 사망자도 1명 발생했다. 이는 자크 시라크 대통령 시절까지 프랑스 대통령들은 좌우 가리지 않고 핵무기를 자국의 강대국 지위를 보장하는 기반으로 절대시했기 때문이다.

4. 기타

  • 파일:external/i.telegraph.co.uk/Margaret-Thatcher-_3462045b.jpg
    1980년대 유럽을 함께 이끌었던 영국의 마거릿 대처(왼쪽) 총리, 서독의 헬무트 콜(가운데) 총리와 함께. 이들 가운데 미테랑 대통령이 1996년 가장 먼저 타계했고, 대처 수상은 2013년, 콜 수상은 2017년에 각각 세상을 떠났다. 이로써 탈냉전이란 역사적 전환기 시절 유럽을 대표했던 세 지도자는 모두 역사의 일부로만 남게 되었다.
  • 사상 처음으로 한국에 방문한 프랑스 대통령이다. 1993년 9월에 방한했는데 이때 유명 여배우 소피 마르소와 함께 오는 바람에 소피 마르소를 보려고 엄청난 군중이 밀집했는데, 미테랑은 자기를 보러 한국인들이 온 줄 알고 통역사한테 자기가 한국에서 이렇게 인기가 많은 줄 몰랐다고 말하며 대단히 흡족해했다고 한다. 그래도 병인양요 당시 약탈한 외규장각 도서를 영구대여 방식으로 반환했으며, 이를 반대하던 프랑스 국립도서관 사서들과 대판 싸우기까지 했다. 이렇게 미테랑이 반환을 기정사실화하면서 문화재 반환의 물꼬를 터주었다. 여담으로 이때 TGV를 사는 조건으로 외규장각 도서를 반환받는다는 빅딜을 제시했다니 어쩌니 하는 루머가 있으나 사실무근이다. 당시 대통령 성격상 그런 빅딜을 제시했다간 싸가지없는 불란서넘들이라고 엄청 까였을지도 모른다. [31]
  • 그의 보좌관이었으며 세계적인 석학으로 불린 자크 아탈리가 미테랑 사후 10주년을 기념해 쓴 '미테랑 평전'이 있다. 한국어 번역이 급하게 한거라 좀 어색하다는 평도 있으나 읽는데 그리 문제는 없다. EU의 탄생 과정이나 독일 통일에 대한 자세한 에피소드들도 많으니 유럽, 국제 문제에 관해 관심있는 사람들은 한번 읽어볼만 하다.
  • 1960년대부터 안 팽조와 만나면서 두 집 살림을 시작했고, 마자린이라는 혼외딸도 두었다.
    파일:external/static01.nyt.com/pingeot2-jumbo.jpg
    미테랑의 장례식에 참석한 혼외 딸 마자린(가운데). 뒤쪽에 검은 베일을 쓴 여인은 마자린의 어머니(즉, 미테랑의 내연녀) 안 팽조. 그리고 사진 맨 왼쪽의 여인은 미테랑의 영부인 다니엘 여사다.

    이 스캔들은 1994년에 <파리 마치>지를 통해 폭로되면서 드러나게 된다. 영미권 같았으면 엄청난 공격거리가 되었겠지만 프랑스 언론들은 좌우 가릴 것 없이 대통령 정무와 관계도 없는 사생활 문제를 끄집어내서 선정적 보도나 하고 있다고 <파리 마치>를 실컷 까댔고, 당시 프랑스 여론도 <파리 마치>에게 우호적이지 않았다. 미테랑 이전에 지스카르 데스탱도 여배우와 불륜을 저지르다가 접촉사고가 난적이 있었는데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보도되지 않는 일도 있었으며, 미테랑의 후임인 자크 시라크도 마찬가지로 불륜을 저질렀는데 보도가 되지 않는 일도 있었다. 뇌물을 받아챙긴다거나 누구를 폭행했거나, 공금을 횡령하는 등의 공적으로 심각한 일이 벌어지지 않는 가벼운 수준의 성 일탈 행위의 경우에는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보도를 하지 않았다. 사생활 보호법에 따른 벌금액이 상당하기도 하고, 프랑스 성문화가 개방적인 면도 있고 국민정서상 정치인의 사생활이 관심대상이 아니라서 굳이 사생활을 기사로 써도 별 가치가 없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한 몫하였다. 이러한 프랑스 언론의 기조는 사르코지 초기 때까지 이어져왔다가 2010년대 들어서 확 달라졌다. 물론 이러한 보도는 메이저 언론사가 아닌 단순 가십지가 한 것이고 이 스캔들이 커진 이유는 그가 바람을 피우면서 탄 오토바이가 프랑스에서 만든 오토바이가 아닌 이탈리아제 오토바이라는게 알려졌기 때문이다.
  • 미테랑이 대통령에 당선된 다음 해인 1982년, 우파는 그와 좌파를 공격하기 시작했고 좌파는 이에 대해 크게 반격하지 못했다. 이에 화가 난 미테랑은 정치소설을 쓴 유머 작가 앙드레 베르코프에게 "우파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들" 에 대해 소설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다음 해인 83년 베르코프는 ‘카통’ 이라는 가명으로 우파를 비판하는 책 《탈환》을 출간했고 당시 프랑스에서는 이 카통이 누군지에 대해 한참 화제가 되었다. 미테랑의 측근인 자크 아탈리는 이것을 “가면무도회” 라고 표현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카통은 목소리를 변조해서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를 했는데 그 목소리의 주인이 바로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32]
  • 후임 대통령이었던 자크 시라크와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1988년 대선후보 토론방송을 할 당시에 시라크가 미테랑에게 지금 우리는 대통령과 총리가 아니오. 당신과 나는 대등한 후보로 이 자리에 나왔소.라고 선빵을 날리자, 미테랑이 당신 말이 맞소, 총리!(Vous avez tout à fait raison M. le Premier Ministre)라며 단숨에 반격했다. 이 대화로 선거의 승부가 정해졌다고 분석하는 전문가들도 있을 정도다.[33]
    파일:external/www.politique.net/debat-chirac-mitterrand.jpg
  • 1994년 7월 14일 프랑스 혁명 기념일을 맞아 독일군 부대를 열병식에 초청해서 파리 시내를 행진하게 한 적이 있다. 1944년 파리 해방 이후 50년 만에 독일군이 그것도 프랑스 최대의 국경일에 파리 시내에서 행진한 역사적인 사건. 이 일은 프랑스와 독일이 완전한 협력 관계를 맺었음을 상징하게 되었다.[34]
  • 1984년 스위스 국빈방문 당시 스위스 발레 주 부르생피에르(Bourg-Saint-Pierre)란 마을에서 미테랑 대통령에게 1800년 당시 나폴레옹 나폴레옹 전쟁 중에 마을 물자를 징발한 것에 대한 보상을 청구한 적이 있는데 이 금액을 갚아줬다. 하지만 전부 갚아준 것은 아니고 원래는 184년 동안의 이자를 포함해 약 200억 원 정도를 보상해야 하지만 원금에 해당되는 6억 원(45,334 스위스 프랑) 정도만 갚았다. 링크된 게시글의 정보는 잘못된 정보.
  • 한국에서 90년대 김영삼 대통령의 인기가 높을 당시 YS는 잘맞춰 라는 게임이 등장하기도 했는데, 내용은 YS가 일명 YS파를 쏘며 세계 각국 지도자와 대결을 펼치는 게임이었다. 여기엔 빌 클린턴, 마가렛 대처, 덩샤오핑과 함께 미테랑 대통령도 나왔다.[35]
    파일:external/pbs.twimg.com/CUYNuPWUkAAkvrM.jpg
  • 프랑스는 미테랑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자국에서 발행하는 2유로 동전에 그의 초상을 넣었다.
    파일:external/www.libreriaipzs.com/2%E2%82%ACmitterand_z.jpg
  • 미테랑 집권 시기에 단행한 은행 국유화로 프랑스 로스차일드 가문은 300억 프랑 이상의 손실을 보았는데 당시 1프랑은 요즘 기준으로 200원 정도의 가치였고 아무리 못해도 6조 이상의 손실을 보았을 것이다.
  • 2017년 영화 미스터 앤 미세스 아델만에서 언급된다. 남주인공 빅터의 가족 모임에서 빅터의 아버지는 미테랑을 공산주의자라고 비난한다.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불의 십자단|
불의 십자단
]]
? - 1936 정계 입문
[[혁신민주사회주의자연합|
혁신민주사회주의자연합
]]
1945 - 1964
[[공화헌법회의|
공화헌법회의
]]
1964 - 1971


1971 - 1996 정계 은퇴
사망

6.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1차 득표수 (득표율) 2차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2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니에브르 3구 10,385 (32.72%) 21,705 (67.38%) 당선 (1위) 초선
1965 프랑스 대통령 선거 프랑스
공화헌법회의
8,656,346 (31.72%) 10,619,735 (44.80%) 낙선 (2위)
1967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니에브르 3구 20,394 (56.27%) - 당선 (1위) 재선
1968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15,791 (43.94%) 20,207 (53.83%) 당선 (1위) 3선
1974 프랑스 대통령 선거 프랑스

11,044,373 (43.25%) 12,971,604 (49.19%) 낙선 (2위) [36]
1978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니에브르 3구 17,544 (44.70%) 24,158 (60.21%) 당선 (1위) 4선
1981 프랑스 대통령 선거 프랑스 7,505,960 (25.85%) 15,708,262 (51.76%) 당선 (1위) 초선[37]
1988 프랑스 대통령 선거 10,367,220 (34.10%) 16,704,279 (54.02%) 당선 (1위) 재선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E50040>파일:미테랑 투명.svg 프랑수아 미테랑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50040>생애 <colbgcolor=#fff,#1f2023> 생애 및 정치 경력
정책 미니텔 · 미테랑 도서관 · 외규장각 도서 반환
역대 선거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 1974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 1988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68운동 · 르완다 내전
미테랑 가문 장크리스토프 미테랑 · 질베르 미테랑
관련 정치인 샤를 드골 ·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 자크 시라크 · 피에르 베레고부아 · 에두아르 발라뒤르 · 리오넬 조스팽 · 자크 아탈리
기타 사회민주주의 · 사회당 ·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 · 위대한 프랑스인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

프랑스 좌파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프랑스 좌익 정당
파일:불복하는 프랑스 신 로고.svg 파일:사회당(프랑스) 로고.svg 파일:프랑스 공산당 로고.svg
장뤼크 멜랑숑 올리비에 포르 파비앙 루셀
파일:유럽 생태녹색당 로고.svg 파일:운동세대 로고.svg 파일:프랑스 좌익급진당 로고.png
야니크 자도 브누아 아몽 기욤 라크루아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사상 공화주의 · 자코뱅주의 · 급진주의 · 사회주의 · 아나키즘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트로츠키주의 · 유럽공산주의) · 생디칼리슴 · 신좌파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생태사회주의 · 구조주의 ·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샤를 푸리에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조르주 소렐 · 장폴 사르트르 · 모리스 메를로퐁티 · 시몬 드 보부아르 · 자크 라캉 · 롤랑 바르트 · 루이 알튀세르 · 미셸 푸코 ·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장 보드리야르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자크 데리다 · 피에르 부르디외 · 에티엔 발리바르 · 자크 랑시에르 · 알랭 바디우
정치인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 · 프랑수아 올랑드 · 에마뉘엘 마크롱*
주요 총리 아리스티드 브리앙 · 레옹 블룸 · 에두아르 달라디에 · 기 몰레 · 피에르 모루아 · 미셸 로카르 · 피에르 베레고부아 · 리오넬 조스팽 · 장마르크 에로 · 마뉘엘 발스 · 베르나르 카즈뇌브
기타 장폴 마라 · 조르주 당통 ·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 자크 르네 에베르 ·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 · 자크 루 · 필리포 부오나로티 · 장 조레스 · 자크 도리오 · 모리스 토레즈 · 자크 뒤클로 · 로랑 파비위스 · 세골렌 루아얄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 안 이달고 · 다니엘 콩방디트 · 프랑수아 뤼팽
관련 인물 자크루이 다비드 · 외젠 들라크루아 · 귀스타브 쿠르베 · 빅토르 위고 · 에밀 졸라 · 알베르 카뮈 · 누벨바그( 장뤽 고다르 · 프랑수아 트뤼포 · 클로드 샤브롤 · 자크 리베트 · 에릭 로메르) · 아니 에르노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목수정
관련 집단 클뢰브 데 자코뱅( 몽테뉴파 · 에베르파) · 상퀼로트 · 클뢰브 데 코르들리에 · 마레파 · 앙라제 · 드레퓌스파 · 급진당 · 인민전선 · 레지스탕스 · 신인민전선( 신민중생태사회연합) · 파리 제8대학교 · 파리 낭테르 대학교
언론사 르몽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리베라시옹 · 뤼마니테 · 샤를리 엡도 · 카이에 뒤 시네마
관련 사건 프랑스 혁명 · 리옹 폭동 · 1832년 6월 봉기 · 프랑스 2월 혁명 · 파리 코뮌 · 드레퓌스 사건 · 68혁명 · 노란 조끼 운동
* 대통령 집권 이후로는 좌파 진영의 인사로 분류되지 않는다.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분파 }}}}}}}}}}}}



[1] 안도라 공동 영주 겸임. [2] 젊은 시절의 신장은 173cm이라고 한다. [3] Saint Paul Angouleme. [4] 공법. [5] 전문고등연구학위. DEA처럼 석사 박사 사이라고 보면된다. [6] 2008년 개헌 전까지 프랑스 대통령은 임기 7년에 중임이 가능했는데, 유일하게 미테랑만 14년 간 재임에 성공했다. 재선에 성공했던 샤를 드골은 중도 사임했고 자크 시라크는 중간에 임기를 5년으로 단축해 12년간 재임했다. [7] 그의 임기 중 1986-88년, 1993-95년 두차례에 걸쳐 동거정부가 형성되었다. [8] 재밌는 건 동시대의 우파 대통령 자크 시라크는 젊었을 시절에는 공산당원으로 친 공산당 성향의 신문인 뤼마니테 홍보원으로 일한적이 있다. 나중에 조르주 퐁피두의 눈에 들어 정계에 입문하고 나서는 쭈욱 우익 노선을 걸었지만...그리고 공산당원이었다는 것을 딱히 부끄러워하기는 커녕, 진보적 보수주의자라고 자랑하고 다녔기도 했다. [9] 당시까지만 해도 유럽도 그렇고 세계적으로도 그렇고 군주국들이 공화국보다 더 많았기에, 프랑스가 우방국이 많아지려면 프랑스가 주변국들처럼 입헌군주제로 복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당시에는 나름 많았었다. [10] 샤를 드골 항목에도 설명된 내용이지만, 68년 5월의 소위 '5월 위기'당시 드골 정권은 단순한 정권 붕괴의 수준을 넘어 정부 붕괴의 가능성까지 염려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봉착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프랑스 우파의 상징이던 드골 체제에 대한 불만이 팽배한 상황에서 치러진 총선에서 좌파가 크게 승리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던 것. 하지만 실제 선거 결과는 예상과는 전혀 달리 우파(드골파)가 개헌선을 넘는 초압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①운동(시위)이 격화되어 정권 붕괴는 둘째치고 정부의 붕괴 및 국가 장악력 상실이 우려되는 상황 (즉, 파리 코뮌을 비롯하여 프랑스 대혁명 이후 여러 차례 발발했던 혁명들에 근접한 상황)까지 이르게 되자 이 상황이 지나치게 위험하다고 여긴 중도파 및 온건 좌파 지지자들까지 (68운동의 반대항인) 드골 지지로 집결하였고 ②68운동의 주축으로 드골 정권을 붕괴 직전까지 몰아넣었던 학생들의 다수는 선거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들을 대변하는 조직적인 정치세력도 없었기에 선거에서는 별다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물론 드골파의 초압승과는 별개로 5월 위기가 드골의 리더십에 입힌 타격은 막대했기에 드골 자신은 69년 국민투표의 부결 이후 자진 사퇴하였으나, 그 후임 대통령으로 선출된 것은 드골계 우파(드골 정권의 총리)였던 조르주 퐁피두였던 것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 일이다. 당시 이미 프랑스 좌파 최대의 거물이던 미테랑이 불출마하고, 다수의 좌파 후보들이 난립한 끝에 중도성향의 알랭 포에르에게 모두 패배한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68운동의 주축은 분명 좌파였지만 이들은 제도권 정치와는 사실상 무관한 자생적이고 무당파, 비조직적인 세력이었기에 기존 좌파 정당들로써는 이 흐름에 편승하여 선거에서의 승리를 얻을 수 없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11] 2차 세계대전 이후에 프랑스에서 방송의 공영화를 진행하면서 프랑스 방송은 여러번 재편과정을 거쳤지만 기본적으로 공영독점체제였었다. 그러다가 70년대 말을 전후해서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아 자유라디오가 벌어지기 시작하였고, 프랑수아 미테랑도 방송의 친정부 편향을 이유로 대선 기간에 해적방송을 운영하기도 했다. [12] 90년대 말, 한국에서 국민PC보급 사업을 벌였던 것과 비슷한 아이디어. 다만 사업 자체는 이전 지스카르데스탱 정부때 시작된 것이다. [13] 다만 이때 원내 1당은 계속해서 사회당이었으나 반드골주의파였던 프랑스 민주연합과 드골주의를 계승했던 공화국연합 두 우파정당이 다수를 점했다. [14]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은 직접선거로 뽑힌 대통령과 의회에서 선출한 총리가 공동으로 정부를 책임지는 구조인데, 미테랑 이전까지는 항상 우파가 대통령,총리를 배출해 우리나라처럼 대통령이 모든 권한을 행사했다. 이렇게 좌파 대통령과 우파 총리가 동거하는 정부가 만들어진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15] 다만 프랑스 결선투표제에서는 2명만 대결하기 때문에 차이가 후보간 득표차가 커지는 경우가 많다. 미테랑 자신도 1965년 드골과의 대결에서 10% 이상의 득표차로 낙선했을 정도다. [16] TF1이 현재까지도 민영방송으로 남아있는데 이런 이유가 있다.(미테랑과 부이그사와 사이가 나쁜 편도 아니었다) [17] 얼마나 심각했던 수준이냐면 당시 국민의회(하원) 총의석수가 577석 이었는데 즉 집권여당 의석수가 10%에도 못 미치는 수준 이었다. 후에 후임 대통령인 자크 시라크가 4년뒤 의회를 해산하며 치러진 선거에서 리오넬 조스팽대표가 선거를 지휘하며 다시 원내1당으로 복귀하며 부활했다. [18] 여기서 놀라운 점은 1990년 봄부터 미테랑은 사회당이 하원에서 100석도 못 건질꺼라고 이미 예상하고 있었다고 한다. [19] 프랑스 제162대 총리이자 제5공화국의 13대 총리이다 자신이 총리였던 시절엔 부정부패 척결을 외쳤지만 거꾸로 퇴임 후엔 비리혐의로 곤욕을 겪었다. [20] 한번은 전립선암 수술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EU통합 문제에 관해 몇 시간이나 열렬히 토론하고 곧바로 수술을 받기도 했다. [21] 다만 이에 대해 미테랑의 내연녀였던 안 팽소는 미테랑의 죽음이 단순한 '연명치료 중단'이 아니라, 암 후유증으로 인한 뇌사 가능성을 두려워한 미테랑이 자청한 '안락사'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의연하게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한건 마찬가지. [22] 안 그래도 미식가였던 미테랑이지만, 고향 자르낙은 보르도가 포함된 누벨아키텐 지역이라서 와인에 더 유별난 편이었다. 하기야 지도를 보면 자르낙 바로 옆이 코냑이니까. [23] 촉새의 일종인 회색머리멧새를 구운 요리인데, 맛 자체로만 따지면 '프랑스의 영혼을 구현하는 요리'라는 찬사를 받지만, 문제는 요리법이 현대식 푸아그라마저 따위로 만들 정도로 잔혹하기 그지없어서 요리하는 것이 아예 법적으로 금지될 정도라는 것이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24] 여담으로 이 식사에 디저트와 치즈는 없었다고 한다. [25] 첫번째는 1974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다만 이때는 드골주의 우파 정권에서 비드골주의 중도우파 정권으로의 교체였기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정권교체라고 할 수 없었다. [26] 물론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진보적 인물들은 미테랑 외에도 제법 있지만, 전업 정치인 중에선 미테랑이 대부라 할만하다. [27] 의외라면 의외지만 유럽에서 사민주의 열풍이 불던 당시에도 프랑스는 좌파적 이미지가 강한데 비해 의외로 실제 좌파 집권기는 길지 않았다. 제5공화국 이전으로 돌아가도 리버럴 정당을 제외하면 사회주의 세력은 19세기엔 반란을 일으켜 잠시 위세를 떨치다가 털렸고, 20세기 초중반은 겨우 집권 좀 해보나 했는데, 2차대전으로 나치의 점령을 받으면서(...) 무산되었다. 결국 제4공화국 연정 시절 정도를 빼면 연속된 집권기가 생각보다 길지 않았다. 사회당(프랑스) 항목도 참조. [28] 당초 대선 공약은 주 35시간까지 줄이는 것이었지만 우파 진영의 반발에 일부 타협해 주 39시간으로 단축했다. [29] 홀로코스트, 킬링필드에 비견되는 20세기 최악의 비극 중 하나로 꼽힌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30] 실제 훗날 르완다 정부가 작성한 보고서에 의하면 에두아르와 다른 프랑스 공직자들이 연루되어 있었다고 한다. [31] TGV 개통은 본국인 프랑스에서도 미테랑의 대통령 임기 첫해에 이뤄졌다. [32] 당시에는 엘리제궁 비서관이었고 이때 한 때 여자친구였던 세골렌 루아얄도 만났다(결혼을 안해서 여자친구라 부르는거지 둘이서 아이를 넷이나 가졌고 2007 프랑스 대선때까지 계속 관계를 유지했을 정도로 거의 정실부인이었다). [33] 프랑스인들은 이러한 재치를 정치인이 지녀야 할 덕목으로 상당히 높게 평가한다고 한다. 미테랑 본인도 과거 지스카르데스탱과의 토론에서 'Vous n'avez pas le monopole du cœur.' (사람의 마음을 독점할 수는 없소.') 라는 재치있는 한 방을 먹기도 했다. [34] 이를 놓고 미테랑의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전 대통령이 비난을 퍼부었지만, 정작 그의 재임 시절에도 독일군(당시 서독군)을 파리 행진에 초청했던 사실이 발굴되어 역관광당했다. [35] 참고로 좀 진지하게 얘기하자면 YS야 항상 아침조깅을 뛸 정도로 건강한 상태였지만, 이때 미테랑은 전립선 암 후유증으로 방한 할 당시에 몸이 엄청 쇠약해진 상태라 저렇게 그림처럼 상태가 좋은 상태는 아니었다. [36] 1차 투표 1위, 2차 투표 2위 [37] 1차 투표 2위, 2차 투표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