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00:44:00

에디트 피아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he Greatest Frenchman
※ 2005년 프랑스의 공영방송인 프랑스 2가 발표한 ‘가장 위대한 프랑스인’ 명단이다.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콜뤼슈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장 가방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엠마뉘엘 수녀
장 물랭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볼테르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크리스찬 카브롤
쥘 페리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미셸 사르두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하룬 타지프
에리크 타바를리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다비드 두이예
장 자크 골드만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달리다
레옹 지트론
니콜라스 윌로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파트리크 푸아브르 다르보르
프랑시스 카브렐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르노
베르나르 쿠슈네르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미셸 세로
미셸 드러커
라이무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레이먼드 풀리도르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질베르 베코
조제 보베
장 페라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뤽 베송
티노 로시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세르지 레기아니
프랑수아즈 돌토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000><colcolor=#fff> 에디트 피아프
Édith Piaf
파일:external/img.rsrs.co.kr/32960.jpg
본명 에디트 지오바나 가시옹
Édith Giovanna Gassion
예명 작은 참새
La Môme Piaf | The Little Sparrow
출생 1915년 12월 19일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 벨빌
사망 1963년 10월 10일 (향년 47세)
프랑스 알프마리팀 주 그라스
국적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1915~19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프랑스 군정청(1940~194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1944~194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4공화국(1946~1958)

[[프랑스|]][[틀:국기|]][[틀:국기|]](1958~1963)
직업 가수, 배우
장르 샹송, 카바렛, 토치송[1], 뮤지컬
활동 1935년 ~ 1963년
자녀 딸 마르셀 피아프 (1933 ~ 1935)
신체 142cm
종교 가톨릭 정교회[2]
링크 공식 사이트

1. 개요2. 생애
2.1. 나치 스파이 의혹
3. 음악4. 매체5. 여담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가수. 샹송의 여왕이자 프랑스의 국민가수[3]이며 프랑스의 대중가요 역사상 가장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평가받는다. 프랑스인들 사이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최고의 가수로 불리기도 한다.

2. 생애

에디트 지오바나 가시옹(Édith Giovanna Gassion)은 가난한 서커스 단원 아버지와 얼굴도 모르는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두 달 만에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서커스단 단원으로 한 몸 건사하기조차 벅차했던 아버지는 어쩔 수 없이 포주였던 자신의 어머니(즉, 에디트에게는 할머니)에게 에디트를 맡겼다. 어린 나이에 백내장에 걸려 실명 위기를 겪다가 7살 무렵에야 간신히 회복될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성장한 탓에 키는 142cm에 불과했고, 이것이 피아프(piaf), 참새라는 뜻의 그의 별명의 유래가 되었다.

14살 때부터 어린 에디트 피아프는 아버지를 따라 여기저기를 유랑하면서 노래하며 생활비를 벌기 시작했다. 체계적인 훈련도, 타고난 미성도 얻지 못했던 그였지만, 그가 부르는 노래는 묘하게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었다 한다. 하지만 유랑생활이 다 그렇듯이 벌이는 안정적이지 못했고, 간혹 돈이 다 떨어질 때면 그는 할머니 밑에서 자랐던 시절로 회귀해 매춘으로 생계를 이어나갔다. 또한 열일곱에 첫아이인 딸 마르셀(Marcelle)을 출산했지만 아이는 2살의 나이로 뇌수막염으로 세상을 떠나고 만다.[4]

에디트 피아프의 소문을 들은 클럽 르 제르니의 대표 루이 루플레라는 인물이 그에게 주급이 보장되는 자리를 제안했지만, 그가 얼마 뒤 살해당하면서 관계자였던 피아프는 졸지에 유치장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다행히 얼마 안 가 진범이 잡혔고, 풀려나온 그는 어느 새 퍼진 명성을 바탕으로 노래로 자립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잔인하게도 불행이 끊임없이 뒤를 따라다녔다.

성공한 뒤에도 교통사고를 네 번이나 겪었고, 평생 동안 가장 사랑했던 남자는 비행기 사고로 떠나보내야 했다. 에디트의 연인인 마르셀 세르당(Marcel Cerdan, 1916-1949)은[5] 뉴욕에 있는 에디트 피아프를 만나기 위해 비행기를 탔다가 1949년 10월 28일 포르투갈 인근의 아조레스 제도에서의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하였다. 에디트 피아프는 이때 큰 충격을 받았다. 후술하는 '사랑의 찬가(Hymne à l'amour)'는 바로 이 사고를 계기로 발표한 노래이다.[6] 이후 만난 어떤 애인은 연예계 경쟁자로 변모하고, 어떤 애인과는 폭력을 주고받는 관계를 맺었다.

에디트가 마지막으로 만난 사람은 그리스계 가수인 테오 사라포(Theo sarapo. 본명은 Theophanis Lamboukas). 1936년생으로 에디트 피아프와는 20살 차이였다. 에디트 피아프의 두 번째 남편이었으며 에디트와는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1962년 결혼하였고 다음 해인 1963년에 에디트가 사망해서 두 사람이 함께한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게다가 에디트가 사망한 뒤 약 700만 프랑의 채무를 지게 되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테오 사라포는 1970년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으며 에디트의 무덤 옆에 장례를 치렀다.

말년의 에디트 피아프는 관절염과 불면증으로 수년간 다량의 약물과 알콜을 남용하여 건강이 급격히 안 좋아졌다. 또한 교통사고의 후유증도 있었다. 1951년에 교통사고로 팔과 갈비뼈 두 개가 부러진 후 모르핀과 알콜 중독에 빠졌고 중독 때문에 또 고생하였다. 이후에도 심한 자동차 사고를 몇 번 더 겪어 상태는 더 악화되었다. 그래서 재활치료에 들어갔으나 결과는 신통찮았다. 1959년에는 위궤양으로 수차례 수술을 받았다. 간이 급격히 나빠졌고 수혈도 필요했다. 체중도 심각히 줄어 1963년에는 30kg밖에 되지 않았다. 수개월간 의식이 오락가락하는 가운데 결국 1963년 10월 10일 프랑스 남동부 그라스(Grasse)에 있는 그녀의 빌라에서 간부전으로 인한 동맥류로 47세에 사망하였다. 시신은 파리의 페르라셰즈 묘지에 묻혔다.

2.1. 나치 스파이 의혹

프랑스 국영 채널 다큐멘터리 《의혹의 그림자》(L'Ombre d'un Doute)에서 에디트 피아프가 나치의 스파이였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하필 그녀의 최대 히트곡인 <사랑의 찬가>에 '당신을 위해서라면 조국도 친구도 버리겠다'는 가사가 있어 의혹이 더해진 듯하다. 이 다큐멘터리에선 코코 샤넬, 모리스 슈발리에 등 유명인사들의 나치 의혹을 다뤘다.

3. 음악

창법은 프랑스 고전 샹송의 전형으로서 격정적이고 때로는 극적이며, 폭넓고 빠른 떨림의 비브라토로 가사의 마지막 하나까지도 심금을 울리게 한다. 링크[7] 'La vie en rose', 'Non, je ne regrette rien' 등의 r (ʁ, 구개수음)을 보통 프랑스인들과는 다르게 치경 전동음 (r)으로 발음했다.

그녀의 노래는 비극적인 삶이 반영되었고, 특기인 심금을 울리는 발라드는 애끓는 목소리로 가창되었다. 주요곡으로는 "Les Trois Cloches"(골짜기에 울리는 세 개의 종, 1946), "La vie en rose"(장밋빛 인생, 1946), "Hymne à l'amour"(사랑의 찬가, 1949), "Milord"(신사, 1959),[8] "Non je ne regrette rien"(아니요, 후회하지 않습니다, 1960) 등이 있다.
Les Trois Cloches(골짜기에 울리는 세 개의 종) (1946年)
이 노래는 1959년에 The Browns 라는 미국의 3인조 남매 가수가 영어버전인 "The Three Bells"로 리메이크하여 그 해에 빌보트 차트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많은 가수들도 역시 이 곡을 리메이크했다.
La Vie en Rose(장밋빛 인생) Live (1946年)
La Vie en Rose(장밋빛 인생) (1946年)
많은 가수들이 커버하는 노래 중 하나인데 배우 오드리 헵번이 영화 사브리나에서 직접 부르기도 했다.
Hymne à l'amour(사랑의 찬가) (1949年)
에디트 인생에서 가장 사랑다운 사랑이었던 마르셀 세르당을 잃고 절망에 빠졌다가 부른 사랑과 희망의 노래이다. 에디트 피아프 50주기를 맞아 파트리샤 카스가 리메이크해 부른 버전도 있다. 2019년 대한민국의 게임인 리니지 2M의 광고음악으로 쓰였고, 이후 2024 파리 올림픽의 개막식에서 셀린 디온에 의해 에펠탑 위에서도 울려 퍼졌다.[9]
Non, Je ne Regrette Rien(아뇨, 전혀 후회하지 않아요) (1960年)
제목이나 가사 내용에서 알 수 있듯 프랭크 시나트라의 ' 마이 웨이'와 비슷한 성격이며, 일명 '프랑스의 마이 웨이'로도 불린다. 하지만 발표된 시기는 이 노래가 '마이 웨이'보다 수년 앞섰다. 90년대 중반에 영화 《 파니 핑크 (Keiner Liebt Mich, Nobody Loves Me, 1994)》에서 인상적으로 쓰여서 국내 영화 영화 음악 팬들에게 사랑받은 곡. 사실상 인셉션 나오기 전까지 이 노래 하면 이 영화였다.
이후 파리의 빈민가에 대해 다룬 영화 《 증오(La Haine, 1995)》에서 미국의 힙합 그룹 N.W.A의 곡 Fuck Tha Police 매쉬업한 버전이 삽입되기도 했고, 에디트 피아프의 생애를 다룬 영화 《 라비앙 로즈(La Mome, The Passionate Life of Edith Piaf, 2007)》와 《 인셉션 (Inception, 2010)》에도 삽입되었다.[10] 그리고 2017년 기아 스팅어 차량 광고음악으로도 쓰였고, 2021년 《 펜트하우스 II》에도 삽입되기도 하였다.

4. 매체

2003 Ver. 2022 Ver.
  • Hymne à l'amour: 대한민국의 펑크 록 밴드 검엑스의 일본 메이저 데뷔 앨범 6번 트랙에 Hymne à l'amour(사랑의 찬가) 리메이크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 KT: Padam Padam이 "빠름 빠름 빠름 LTE WARP"라는 가사로 한국 KT 광고에 쓰였다.
  • 라 몸(La Môme): 올리비에 다앙이 감독을 맡았으며 에디트 피아프의 일대기를 영화화한 것이다. 2007년 2월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피아프 역을 맡은 마리옹 코티야르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영문, 국내 개봉명은 라비앙 로즈(La Vie en Rose)이다.
  • 루미너스 위치스: 엘레오노르 지오바나 가시옹 모티브가 되었다.
  • 빠담빠담: 영혼기병 라젠카의 기획 시나리오였던 마술피리의 작가 원종우, 정경아 부부가 만든 만화. 제목인 빠담빠담[11]이 에디트 피아프의 히트곡 중 하나에서 따왔다. 에디트 피아프의 삶 전체를 다룰 예정이었으나[12] 첫딸과 첫 남자와의 이별을 다룬 4권을 끝으로 연재 중단되었다.

5. 여담



[1] 간단히 설명하자면 비극적인 사랑노래 정도. [2] Anastasia Parkhomchik, " Edith Piaf: Miraculous Healing and Conversion to Orthodoxy", catalog.obitel-minsk.com, 2020.11.5. [3] 에디트가 프랑스에서 가지고 있는 위상은 미국에서는 프랭크 시나트라,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영국에서의 비틀즈, 일본에서의 미소라 히바리나 한국에서의 조용필과 같다고 보면 편하다. 문자 그대로 국민가수. [4] 하나뿐인 딸을 잃고 크게 충격을 받고 자신은 부모 자격이 없다며 다시는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5] 본래 알제리 출신의 권투선수로, 일용 노동자 출신 아버지에게서 나서 미들웨이트급 세계챔피언에 올라 프랑스의 유명인이 되었다. 자식이 셋인 유부남이었으나 1948년 여름부터 에디트 피아프와 연인관계가 되었다. [6] 당시 이 비행기에는 천재 여류 바이올리니스트 지네트 느뵈(Ginette Neveu)도 피아노 반주자인 오빠 쟝(Jean Neveu)과 미국으로의 연주 여행을 위해 탑승하고 있었다. 공항에서 출국 직전에 이들 - 마르셀 세르당, 지네트 & 쟝 느뵈 - 이 담소를 나누며 찍은 마지막 모습이 남아 있다. [7] 죽고난 몇 년 후에 미레유 마티외가 비슷한 창법으로 명성을 얻어 제2의 피아프라는 별명을 갖기도 하였다. [8] 이탈리아의 유로 팝가수 in-grid가 이를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덧붙여서 앨범 이름부터가 La vie en rose. [9] 노래 자체가 희망을 이야기하는데 셀린 디온의 투병 이후 복귀 무대라는 점까지 더해져 개막식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었다는 평이 다수. [10] 인셉션의 경우 단순한 삽입곡 수준이 아니라, 한스 짐머가 OST 중 상당수의 곡을 Non, Je ne Regrette Rien을 느리게 한 것을 기반으로 작곡했다. [11] padam padam [12] 프롤로그부터가 죽은 에디트 피아프가 자신을 추모하기 위해 몰려든 참배객들을 바라보며 회상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