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 밝을 명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日,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メイ, ミョウ, ミン
|
||||||
일본어 훈독
|
あ-かり, あか-るい, あか-るむ,
あか-らむ, あき-らか, あ-ける, あ-く, あ-くる, あ-かす |
||||||
-
|
|||||||
표준 중국어
|
mí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明은 '밝을 명'이라는 한자로, '밝다', '명백(明白)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660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月(AB)로 입력한다.2.1. 자원(字源)
明의
전서 |
朙의 전서 |
갑골문, 금문, 소전까지는 明과 朙의 두 가지 형태가 병존하는데 明은 해( 日) 달( 月)이 결합해 '밝음'을 뜻하는 회의자이고, 朙은 창문( 囧)에 달( 月)이 환하게 비치는 것을 뜻하는 회의자이다. [1]
한편, 이체자 가운데 하나인 眀은 전통적으로 目을 '눈'으로 보아 '밝게 보임'을 뜻한다고 여겼으나, 현대에는 囧의 간략해진 형태로 보고 있다. 덕수궁의 준명당, 중명전에선 眀을 쓰고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간명( 簡明)
- 공명( 公明)
- 광명( 光明)
- 규명( 糾明)
- 극명( 克明)
- 명랑(明 朗)
- 명반(明 礬)
- 명백(明 白)[2]
- 명석(明 晳)
- 명세(明 細)
- 명시(明 示)
- 명심보감(明 心 寶 鑑)
- 명암(明 暗)
- 명일(明 日)
- 명주(明 紬)
- 명징(明 澄)
- 명태(明 太)
- 명확(明 確)
- 문명( 文明)
- 발명( 發明)
- 변명( 辨明)
- 대명( 大明)
- 분명( 分明)
- 불명( 不明)
- 석명( 釋明)
- 선명( 鮮明)
- 설명( 說明)
- 성명( 聲明)
- 실명( 失明)
- 양명학( 陽明 學)
- 여명( 黎明)
- 자명( 自明)
- 조명( 照明)
- 증명( 證明)
- 천명( 天明)
- 총명( 聰明)
- 투명( 透明)
- 해명( 解明)
- 현명( 賢明)
3.2. 고사성어/ 숙어
- 겸청즉명( 兼 聽 則明)
- 대명천지( 大明 天 地)
- 등하불명( 燈 下 不明)
- 명견만리(明 見 萬 里)
- 명경지수(明 鏡 止 水)
- 명명백백(明明 白 白)
- 상명지통( 喪明 之 痛)
- 선견지명( 先 見 之明)
- 천지신명( 天 地 神明)
- 명약관화(明 若 觀 火)
- 청풍명월( 淸 風明 月)
3.3. 인명
3.3.1. 한국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 강명구( 姜明 求)
- 김만명( 金 萬明)
- 김정명( 金 政明)
- 권명철( 權明 哲)
- 김명민( 金明 民)
- 김명순( 金明 淳)
- 남명렬( 南明 烈)
- 류명선( 柳明 善)
- 명림답부(明 臨 答 夫)
- 명림어수(明 臨 於 漱)
- 박명수( 朴明 洙)
- 박명은( 朴明 恩)
- 박명환( 朴明 桓)
- 서명원( 徐明 原)[3]
- 안명근( 安明 根)
- 윤명준( 尹明 準)
- 이명기( 李明 起)
- 이명박( 李明 博)
- 이명수( 李明 洙)
- 이재명( 李 在明)[4]
- 장명부( 張明 夫)
- 전명운( 田明 雲)
- 정명원( 鄭明 源)
- 정명훈( 鄭明 勳)
- 정습명( 鄭 襲明)
- 조명균( 趙明 均)
- 차명석( 車明 錫)
- 차명주( 車明 珠)
- 최명길( 崔明 吉)
- 한명회( 韓明 澮)
- 홍명보( 洪明 甫)
- 성이 명씨인 사람들 모두.
3.3.2. 일본
3.3.2.1. 실존인물
3.3.2.2. 가상인물
3.3.3. 중화권
3.3.3.1. 대만
3.3.3.2. 홍콩
3.3.3.3. 말레이시아
3.3.3.4. 중국
3.3.4. 베트남
3.4. 지명
- 경기도 광명시( 光明 市)
-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昆明 面)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明 湖 面)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東明 面)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華明 洞)
- 함경북도 명천군(明 川 郡)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明 洞)
- 베트남 호찌민시(胡 志 明 市)
- 서울특별시 강동구 명일동(明逸洞)
3.5. 지하철역
3.6. 학교
- 고명중학교(高明中學校)
- 고명외식고등학교(高明外食高等學校)
- 금명여자고등학교(金明女子高等學校)
- 대명여자고등학교(大明女子高等學校)
- 동명대학교( 東明 大 學 校)
- 메이지대학(明治大学)
- 배명중학교( 培明 中學校)
- 배명고등학교(培明 高 等學校)
- 상명중학교( 祥明中學校)
- 상명고등학교(祥明高等學校)
- 상명대학교(祥明大學校)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祥明大學校 師 範大學 附 屬 初等學校)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중학교(祥明大學校師範大學附屬 女 子中學校)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祥明大學校師範大學附屬女子高等學校)
- 선명여자고등학교( 善明女子高等學校)
- 소명여자중학교( 素明女子中學校)
- 소명여자고등학교(素明女子高等學校)
- 숙명여자중학교( 淑明女子中學校))
- 숙명여자고등학교(淑明女子高等學校)
- 숙명여자대학교(淑明女子大學校)
- 인명여자고등학교( 仁明女子高等學校)
- 정명고등학교( 正明高等學校)
- 진명여자고등학교( 進明女子高等學校)
3.7. 창작물
3.8. 기타
- 공명( 孔明)
- 광명망( 光明 網)
- 동명성왕( 東明 聖 王)
- 메이와 덴키(明 和 電 機): 일본의 음악 그룹
- 명낙대전(明 洛 大 戰)
- 명덕태후(明 德 太 后)
- 명릉(明 陵)
- 명박산성(明 博 山 城)
- 명성왕후(明 聖 王 后)
- 명성황후(明 成 皇后)
- 명숙공주(明淑公主)
- 명심보감(明 心 寶 鑑)
- 명종(明 宗)
- 반명( 反明)
- 비명( 非明)
- 설명충( 說明 蟲)
- 세이세이메이가쿠독코쿠무( 成 成明 学 獨 国 武)
- 양명학( 陽明 學)
- 이명박근혜( 李明 博 槿 惠/ 李明 朴 槿 惠)
- 친명( 親明)
- 명나라(明 国)
- 명천견(明 天 见)
- 명안공주(明 安 公 主)
- 명온공주(明 溫公主)
- 숙명공주(淑明公主)
- 정명공주( 貞明公主)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朙쪽이 본자, 明쪽이 고자(옛 글자)이다.
[2]
반대어로는 暗黑(암흑)이 있다.
[3]
대한민국의 축구선수와
대한민국의 전 문교부장관은 한자도 같다.
[4]
정치인 이재명,
독립운동가 이재명,
축구선수 이재명 한자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