申 납, 아홉째 지지 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田,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ン
|
||||||
일본어 훈독
|
もう-す, かさ-ねる, さる
|
||||||
-
|
|||||||
표준 중국어
|
shē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거듭, 이야기, 아뢰다 등을 뜻하는 한자이다. 아홉째 지지, 거듭 신, 펼 신 등으로도 불리지만 나무위키에서는 '납 신'으로 통일한다. '납'은 흔히 생각하는 금속 원소가 아니라[1] 원숭이의 옛말로, 현대에도 잔나비라는 낱말에 흔적으로 남아 있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납 |
음 | 신 | |
중국어 | 표준어 | shēn |
광동어 | san1 | |
객가어 | sṳ̂n | |
민북어 | séng | |
민동어 | sĭng | |
민남어 | sin[文] / chhun[白] | |
오어 | sen (T1) | |
일본어 | 음독 | シン |
훈독 | もう-す, かさ-ねる, さる | |
베트남어 | thân |
유니코드에는 U+753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中田中(LWL)으로 입력한다.
갑골문 | 금문 | 전서 | 해서 |
하늘에 번개가 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형자로, '번개'를 뜻한다. 후에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雨를 추가하여 나타난 글자가 電(번개 전)이다. 또한 '연장하다(to extend)'. '펼치다(to stretch)'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후에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人를 추가하여 나타난 글자가 伸(펼 신)이다. 또한 '아뢰다', '알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삼령오신(三令五申), 신신당부(申申當付), 신명기(申命記)에서 그 뜻이 남아 있으며, 일본어 훈독 '모스'(もうす)도 이 뜻이다. 또한 神(신령 신)의 본자(本字)이기도 하다.
2.1. 지지로서의 의미
간지 (干支) | ||||||||||||||||||||||
십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십이지 | ||||||||||||||||||||||
- 申은 12지지의 9번째이면서, 물상으로는 원숭이, 큰 바위, 돌, 쇠, 큰 칼, 도끼에 해당하고, 천간에서 庚금과 같은 물상이다.
- 색상은 은색, 회색, 하얀색이다.
- 지장간은 戊토, 壬수, 庚금이 들어 있다.
- 음력 7월 4일 ~ 7월 10일은 戊토 지장간에서 담당한다.
- 음력 7월 11일 ~ 7월 17일은 壬수 지장간에서 담당한다.
- 음력 7월 18일 ~ 8월 4일은 庚금 지장간에서 담당한다.
십이지에서 아홉번째 지지에 배속된 동물 원숭이를 나타낸다.
- 신군(申 君):신년에 태어난 사람
- 신년(申 年):원숭이띠 해
- 신시(申 時):하루를 12등분 했을 때 9번째 등분에 해당하는 시각으로, 오후 3시부터 5시까지다. [4]
- 신월(申 月):음력 7월. 양력으로는 8월에 해당. 윤달은 9월에 해당.
- 갑신 (甲 申)
- 병신 (丙 申)
- 무신 (戊 申)
- 경신 (庚 申)
- 임신 (壬 申)
2.2. 납음 오행
申이 들어 있는 오행- 갑신(甲申) 泉中水, 천중수
- 병신(丙申) 山下火, 산하화
- 무신(戊申) 大역土, 대역토
- 경신(庚申) 石榴木, 석류목
- 임신(壬申) 劍鋒金, 겅봉금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