權 권세 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1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2획
|
||||
중학교
|
|||||||
権
|
|||||||
일본어 음독
|
ケン, ゴン
|
||||||
일본어 훈독
|
|||||||
权
|
|||||||
표준 중국어
|
qu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權은 '권세 권'이라는 한자로, '권세(權世)', ' 권력(權力)', ' 권리(權利)' 등을 뜻한다. '저울추 권'이라고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B0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木廿口土(DTRG)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雚(황새 관)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설문해자와 이아에서는 이 글자가 원래 황화목(黃華木)이라는 관목을 가리키는 글자였다고 설명한다. 황화목은 저울의 추를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중국 권나라(權國)의 귀족들은 자신의 성씨를 권씨로 바꿨다. 한반도에서는 고려때 왕건이 경주김씨의 김행이 공을 세워 권행으로 성이 바뀌며, 안동권씨의 시조가 되며, 권씨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 가장 많고, 중국은 100대성에 들어가고, 일본은 전국에 80명 정도 거주하고 있다. #[1] 일본의 권씨는 한국과 중국의 도래인이다.
3. 용례
3.1. 단어
여기에 모두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법에 등장하는 수많은 '권리'라는 뜻을 가진 접미사 '-권'은 다 權을 쓴다.- 거부권( 拒 否權)
- 결정권( 決 定權)
- 경영권( 經 營權)
- 교권( 敎權)
- 권능(權 能)
- 권력(權 力)
- 권리(權 利)
- 권문세가(權 門 勢 家)
- 권세(權 勢)
- 권위(權 威)
- 권익(權 益)
- 권한(權 限)
- 기권( 棄權)
- 기득권( 旣 得權)
- 기본권( 基 本權)
- 면책특권( 免 責 特權)
- 복권( 復權)
- 분권( 分權)
- 불가침권( 不 可 侵權)
- 사법권( 司 法權)
- 사회권( 社 會權)
- 삼권분립( 三權 分 立)
- 상표권( 商 標權)
- 생존권( 生 存權)
- 선택권( 選 擇權)
- 소유권( 所 有權)
- 여권( 女權)
- 월권( 越權)
- 이권( 利權)
- 인격권( 人 格權)
- 인권( 人權)
- 자연권( 自 然權)
- 자유권( 自 由權)
- 재산권( 財 産權)
- 저작권( 著 作權)
- 전권( 全權)
- 주권( 主權)
- 주도권( 主 導權)
- 지휘권( 指 揮權)
- 직권( 職權)
- 집권( 執權)
- 참정권( 參 政權)
- 채권( 債權)
- 청구권( 請 求權)
- 통수권( 統 帥權)
- 특허권( 特 許權)
- 판권( 版權)
- 패권( 覇權)
- 평등권( 平 等權)
- 행복추구권( 幸 福 追 求權)
- 혐연권( 嫌 煙權)
- 흡연권( 吸 煙權)
3.2. 고사성어/ 숙어
- 경달권변( 經 達權 變)
- 권모술수(權 謀 術 數)
- 권모술책(權 謀 術 策)
- 권불십년(權 不 十 年)
- 권서국사(權 署 國 事)
- 권수(權 數)
- 권술(權 術)
- 권여(權 輿)
- 권재족하(權 在 足 下)
- 권지국사(權 知 國 事)
- 금권만능( 金權 萬 能)
- 대권재민( 大權 在 民)
- 살활지권( 殺 活 之權)
- 생살지권( 生 殺 之權)
- 천부인권( 天 賦 人權)
- 탐권낙세( 貪權 樂 勢)
3.3. 인명
자세한 내용은 권(성씨) 문서 참고하십시오.- 강인권( 姜 仁權)
- 곤겐자카 노보루(権 現 坂 昇)
- 곤다가와라씨(権 田 瓦さん)
- 곤도 겐(権 堂 厳)
- 김현권( 金 玄權)
- 리선권( 李 善權)
- 무소 곤노스케( 夢 想 権 之 助)
- 박권세( 朴權 世)
- 박정권( 朴 正權)
- 박혁권( 朴 赫權)
- 사사하라 곤바치로( 笹 原 権 八 郎)
- 시카바네 곤타( 鹿 羽 権 太)
- 심권호( 沈權 虎)
- 야마모토 곤노효에( 山 本 權 兵 衞)
- 우시마타 곤자에몬( 牛 股 権 左 衛 門)
- 유성권( 劉 聖權)
- 이후권( 李 厚權)
- 조권( 趙權)
- 진중권( 陳 重權)
- 허려권거( 虛 閭權 渠)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상용 범위 내에서는 훈독은 따로 없고 음독만이 있는데, ケン 또는 ゴン으로 읽는다. 다만 ケン으로 읽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ゴン으로 읽는 경우는 적다.예) 権勢(けんせい): 권세, 権力(けんりょく): 권력
4. 유의자
- 勢(권세 세)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𩪼(광대뼈 관)[2]
- 鑵/ 礶(두레박 관)
- 灌(물댈 관)
- 罐(물동이 관)
- 爟(봉화 관)
- 矔(부릅뜰 관)
- 鱹(사람이름 관)
- 𤜍(쇠뿔 관)
- 瓘(옥 관)
- 䙮(옷고름 관)
- 𪈩(황새 관)[3]
- 𤬠(구를 권)
- 䠰(구부리고걸을 권)
- 𢑆(굽을 권)
- 蠸(노린재 권)
- 𥤊(누런모양 권)
- 䌯(두건 권)
- 巏(산이름 권)
- 孉(예쁠 권)
- 㩲(주먹 권)[4]
- 䑏(추할 권/환)
- 𨽧(고을이름 환)
- 驩/ 懽(기뻐할 환)
- 𩁧(달아날 환)
- 䝔(멧돼지 환)
- 讙(시끄러울 환/훤)
- 貛(오소리 환)
- 獾(오소리 환, 고을이름 권)
- 𥐓(짧을 환)
- 壦(질나팔 훈)[5]
- 䚭(뿔휘두르는모양 훤)
- 嚾(지껄일 훤/환)
- 𣌓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𪈻(구관조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