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20:57:04

임(성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1. 개요2. 林 (수풀 림)
2.1. 국내
2.1.1. 본관2.1.2. 인구2.1.3. 인물
2.2. 중화권 린(Lín)2.3. 일본 하야시
3. 任
3.1. 인물3.2. 중화권 인물
4. 한자 미상5. 예명6. 가상 인물
<colbgcolor=#dddddd,#222>로마자 표기
RR식 표기 Im, Rim[1]
MR식 표기
통용 표기 Lim, Im[2]

1. 개요

임씨는 2015년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1,016,559명으로 윤씨에 이어 전국 인구 순위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성씨다.

2. 林 (수풀 림)

원음이 '림\'이지만, 두음 법칙 적용 대상 성씨이므로 '임'으로 발음하여 읽는다.[3] 로마자 표기할 때는 한자 원음을 살려 'Lim'으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가장 많고, Im이나 Yim도 쓰이며, 그 외에 Rim, Leem, Rhim 등도 사용된다.

아래의 任씨와 다르다. '任'은 '림'으로 읽을 수 없고 원음이 그냥 '임'이다. 심지어 장흥 임씨의 경우 장흥 林씨와 장흥 任씨가 모두 존재한다. 전라남도 제주도에서는 林씨와 任씨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는 편이라 임씨라고 하면 십중팔구 '任이냐 林이냐'라고 물어본다.

2.1. 국내

2.1.1. 본관

약 91여본.

* 나주 임씨
* 평택 임씨
* 안동 임씨
* 진천 임씨 (상산 임씨)
* 밀양 임씨
* 부안 임씨
* 보성/조양 임씨
* 예천 임씨
* 논산/은진 임씨
* 순창 임씨
* 울진 임씨
* 전주 임씨
* 김해 임씨
* 경주 임씨
* 옥야 임씨
* 선산 임씨
* 청주 임씨
* 양산 임씨
* 조양 임씨
* 풍천 임씨[4]
* 신림 임씨
* 장흥 임씨
* 진주 임씨
* 비인 임씨
* 동래 임씨
임비 시조로 하는 나주 임씨를 제외한 대부분의 林씨 본관들은 에서 동래(東來)하여 신라에서 이부상서를 역임한 임팔급(林八及)을 시조로 하는 평택 임씨에서 분관되었다. 그 후 평택 임씨에서 나온 조양 임씨에서 나머지 林씨들이 분리되었다.

상나라의 마지막 군주 제신의 숙부인 비간의 아들 견(堅)이 장림산(長林山)에 들어가 살면서 성을 임(林)으로 정했다고 전해진다.

조양(兆陽)은 고려시대에 존재했던 속현으로 주현은 보성군이었으며 조선시대에 주현인 보성군에 편입되었는데, 현재의 조성면, 득량면 지역에 해당한다.

보통 '장흥 임씨'라고 하면 任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평택 임씨에서 분관된 장흥 林씨가 존재한다. 장흥 林씨 대종회

2.1.2. 인구

통계청 인구조사
연도 인구
1985년 총 672,755명
2000년 237,145가구, 총 762,767명
2015년 총 823,921명 (전체 약 1.61%)
임씨의 연도별 총 인구수.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위.[5]

인구 비율은 나주 임씨와 평택 임씨가 대부분이다.

2000년 통계청 기준, 나주 임씨는 약 23만 명으로 본관별 성씨 순위 34위, 평택 임씨는 약 21만 명으로 39위에 랭크되어 있어, 나주 임씨가 평택 임씨 보다 아주 약간 더 많다.

2015년 통계청 기준, 나주 임씨가 277,699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평택 임씨 225,872명, 부안 임씨 76,154명, 예천 임씨 66,492명, 조양 임씨 42,844명 순이다.

2.1.3. 인물

2.2. 중화권 린(Lín)

중국, 대만 할 것 없이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성씨이다. 중화권 남부에서 더 흔한 성씨이기에 대만에서는 매우 흔한 성씨. 싱가포르에서는 씨 다음으로 흔한 성씨다. 그리고 임(林)씨 성을 가진 한국인이 중화권으로 귀화하면 성이 임씨에서 린씨로 바뀐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 중국으로 귀화한 쇼트트랙 선수인 임효준( 린샤오쥔)을 예로 들 수 있다.

홍콩, 마카오에서 사용되는 광동어로는 '람'(Lam), ''(Lum)이라고 읽는다. 민남어로는 한국과 같은 표기법인 Lim을 사용하며, 오어로는 Ling이라고 한다.

2.3. 일본 하야시

이쪽은 훈음으로 읽기 때문에 린(림)이라고 읽지 않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야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김씨
신성태후
정안임씨
공예태후
경원이씨
인예태후
안산김씨
원성태후
당성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파평윤씨
윤관
해주최씨
최충
청주이씨
이자림
언양김씨
김취려
황려민씨
민영모
동주최씨
최유청
평양조씨
조인규家
횡천조씨
조영인
평강채씨
채송년
공암허씨
허재
}}}}}}}}}

맡길 임 任

본관은 장흥과 풍천으로 나뉜다. 장흥은 현 전라남도 장흥군이고 풍천은 현 황해도 과일군에 해당한다.[9]

장흥 임씨(정안 임씨)는 고려시대 재상지종 3번째 가문으로 왕당파에 속한다. 장흥 일대의 토착 성씨로 예종(고려)대에 평장사(平章事)에 오른 임의(任懿)의 아버지 임호(任顥)를 시조로 한다. 고려시대에 3명의 재상과 여러 명의 상서(장관급에 해당)를 배출하는 등 충절의 집안으로 유명하다. 조선시대 호남의병장 임계영 선생과 다수의 문인과 무인을 배출하였다. 대한민국에 이르러서는 6.25 전쟁에서 백골부대( 제18보병연대)장으로 용명을 떨친 임충식 장군(합참의장, 국방부 장관) 등 많은 고위 관료를 배출하였다. 장관급 인사로만 임상규 농림부장관,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 임종룡 금융위원장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항일 무장 투쟁을 주도한 인물들이 존재한다.

풍천 임씨는 현재 인구가 10만을 넘어 다성을 이루고 있다. 풍천 임씨의 시조는 임온(任溫)으로 관작이 은자광록대부에 이르렀다. 고려 충렬왕대에 그의 6대손 임주(任澍)가 원나라에서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살았기에 황해도 풍천에 사적(賜籍)된 것으로 전해진다. 임주는 경상도안찰사(慶尙道按察使), 조봉대부(朝奉大夫), 감문위대장군(監門衛大將軍)을 역임하였다. 풍천 임씨는 조선시대에 특히 비약적으로 벌열하였다. 특히 인구수 대비 조선시대 과거 (문과) 급제율이 최상위권에 위치한 문중이다.

삼국시대 백제에 최고위 대신인 좌평직에 있던 임자(壬子)라는 인물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자가 任에서 사람 인 변이 빠져있다는 점이 다르고 무엇보다 아직 성씨의 사용이 보편적이지 않던 시대라 이름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크나 또한 고려시대까지는 한자의 획을 바꾸거나 사성받는 식으로 변성하는 경우도 흔했기 때문에 만약 壬이 성씨였다면 任씨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당장 위의 林씨도 백제의 대성팔족이었던 목(木)씨와의 연관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쪽은 원음도 '임'이다. 따라서 로마자로 적을 때는 한자 원음을 존중한다면 Yim 내지 Im과 같이 적는 것이 좋다. 다만 여권에서도 任 씨를 LIM으로 쓰는 것 자체는 가능하다(사례: #1, #2, #3). 가수 임희숙(任喜淑)도 Lim Hee-sook으로 표기했다.[10] 가수 임창정의 경우 任 씨이지만 앨범 등에서 Lim으로 표기했다가 13집 앨범부터는 Im으로 표기하고 있다. 앨범 외에서도 그냥 Im. 공군에서 보급받는 포체 명찰에는 LIM으로 표기된다. 바꾸고 싶다면 기훈단에서 명찰 수정 사항을 조사할 때 조교한테 말하면 된다.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국내에 191,261명이 살고 있으며 인구 순위는 44위이다. 주요 본관으로는 풍천 장흥 등이 있다. 풍천 임씨는 충청남도, 대전광역시에 가장 많다.[11] 반면 장흥 임씨는 전라남도 장흥, 보성, 순천, 해남, 진도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3.1. 인물

3.2. 중화권 인물

4. 한자 미상

5. 예명

6. 가상 인물

비교적 흔한 성씨인만큼 임씨 주조연들이 많이 나온다. 어감이 비교적 단아하고 차분한 편이라 여성 캐릭터가 많다. 특이하게도 애니메이션에는 별로 없고 웹툰에서 성씨로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


[1] 두음법칙을 무시하는 경우 [2] 수풀 林의 경우는 Lim, 맡길 任의 경우는 Im이다. [3] 북한에서는 두음 범칙을 적용하지 않아 림씨로 표기한다. [4] 황해남도 과일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5] 김, 이, 박, 최, 정(鄭), 강(姜), 조(趙), 윤, 장(張)에 이은 10위이다. 다만 9위 성씨인 장씨와는 인구가 약 15만 명 이상으로 꽤 격차가 있다. [6] 의적 임꺽정. [7] 한중혼혈이지만 성이 Lum씨다. [8] 쑨원의 주치의로 활동한 적이 있는 계몽운동가로 OCBC의 전신이 되는 세 은행의 설립자. 싱가포르의 지명인 '분켕 로드'는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9] 원래 황해도 풍천군이었으나 북한 김일성의 지시로 과일군으로 개명되었다. 보통 과일하면 떠올리는 그 과일 맞다. 물론 북한에서 개명한 지명이기도 하고 어차피 본관은 옛 지명이더라도 그대로 쓰므로 본관 얘기를 할 때는 당연히 '풍천 임씨'로 사용한다. [10] Lim으로 쓰는 건 별 생각 없이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Im으로 적으면 I'm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묻어가 쓰는 것도 있고, Y를 붙이는 것은 최근 이씨 인물들의 이름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Yi) 쓰기 시작하긴 했어도 아직 다수 대중들(쓰는 입장이건, 보는 입장이건)에게 익숙하지가 않아서 그런 것도 있다. [11] 충남 홍성군, 보령시 일대에 대대적으로 집성촌을 이루었다. [12] 출가 이전 속명 [13] 임현식의 부친이다. [14] 임지훈의 차남이다. [15] 이북 출신임에도 "림"이라고 안 하는 것을 보면 맡길 임(任)자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