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을 대용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胛 문서 참고하십시오.
甲 갑옷, 첫째 천간 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田,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コウ, カン
|
||||||
일본어 훈독
|
かぶと, きのえ, つめ, よろい
|
||||||
-
|
|||||||
표준 중국어
|
jiǎ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한자
1.1. 개요
갑옷 갑(甲). '갑옷', '껍데기', '갑', '첫째'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며 간지에서는 4로 끝나는 해에 쓰고있다.1.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갑옷 |
음 | 갑 | |
중국어 | 표준어 | jiǎ |
광동어 | gaap3 | |
객가어 | kap | |
진어 | jiah4 | |
민북어 | gă | |
민동어 | gák | |
민남어 | kap[文] / kah[白] | |
오어 | jiaq (T4)[文] / kaq (T4)[白] | |
상어 | ga6 | |
일본어 | 음독 | コウ[한음] / カン[관용음] |
훈독 | かぶと, きのえ, つめ, よろい | |
베트남어 | giáp |
갑골문 | 금문 | 소전 |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十과 田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물고기 비늘, 가죽의 균열, 보관용 상자, 별자리 등의 여러 설이 있다.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의미로 활용되는 단음절어로, 한마디로 특정하여 정의 내리기 곤란하다. 구태여 개념을 정립하자면 순서상 첫째 혹은 서열상 으뜸, 그리고 갑옷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통용된다.
중국어에서는 탄소가 1개 있는 화합물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ex> 甲醇
일제강점기 당시 성적 체계에서 가장 높은 점수이다.
1.3. 용례
1.3.1. 단어
- 갑골 문자(甲 骨 文 字)
- 갑상선(甲 狀 腺)
- 갑옷(甲-)
- 갑자(甲 子)
- 갑인(甲 寅)
- 갑진(甲 辰)
- 갑오(甲 午)
- 갑신(甲 申)
- 갑술(甲 戌)
- 동갑( 同甲)
- 장갑차( 裝甲 車)
- 해동갑(해 同甲)
- 환갑( 還甲)
- 흉갑( 胸甲)
- 갑주(甲 冑)
1.3.2. 고사성어/ 숙어
1.3.3. 인명
- 강기갑( 姜 基甲)
- 김갑수( 金甲 洙)
- 보응우옌잡( 武 元甲)
- 우갑린( 禹甲 麟)
- 윤재갑( 尹 在甲)
- 이토 카시타로( 伊 東 甲 子 太 郎)
- 코다 코지( 口 田 甲 司)
- 코우가 겐노스케(甲 賀 弦 之 介)
- 코우가 단죠(甲 賀 弾 三)
- 코우카와 아스카(甲 河 アスカ)
- 카이 아사미(甲斐 麻 美)
1.3.4. 지명
1.3.5. 창작물
- 昏き甲鉄のヴェルガ(어두운 갑철의 베르가)
1.3.6. 기타
- 대갑서사항청사건(大甲西社抗清事件)
1.4. 유의자
1.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6. 여담
2. 십간의 첫째
2.1. 개요
간지 (干支) | ||||||||||||||||||||||
십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십이지 | ||||||||||||||||||||||
- 甲은 10천간의 1번째이면서, 물상으로는 큰나무, 나무에 해당하고, 지지에서 寅목과 같은 물상이다.
- 색상은 초록색, 연두색, 파란색이다.
본디 갑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등으로 이루어진 십간의 첫 번째 단위로, 십이지와 함께 육십갑자를 구성한다.
2.2. 납음 오행
甲이 들어 있는 오행- 갑자(甲子) 海中金, 해중금
- 갑인(甲寅) 大溪水, 대계수
- 갑진(甲辰) 覆燈火, 복등화
- 갑오(甲午) 沙中金, 사중금
- 갑신(甲申) 泉中水, 천중수
- 갑술(甲戌) 山頭火, 산두화
2.3. 설명
위에서 언급된 십간의 순서에서 따서, 한국의 법학계에서는 무기명의 법적 주체를 '갑', '을', '병'[7] 식으로 부른다. 그래서 ' 갑남을녀'라는 말은 흔히 있는 평범한 사람, '어중이떠중이'의 순화된 표현이기도 하다. 그런데 개중에서도 순서상은 첫째인 갑이 가장 1차적이자 능동적인 법적 주체를 담당하기에, 결과적으로 갑은 수많은 사례와 판례의 홍수 속에서 실로 천의 얼굴을 가진 괴인이 되었다.그의 아내, 친구, 자식이자 상해를 입는 점원, 하여튼 갑의 영원한 파트너는 을이다. 그리고 갑의 아내가 을인 경우에는 갑과 내연의 관계에 있거나 자식인 병이 등장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 비범한 면모는 빠르면 수능 사회탐구 영역의 정치와 법 과목에서부터 엿볼 수 있다. 보통 죽거나 실종되어 수험생에게 재산 분배를 맡기고는 하고, 인터넷 게시판에서 답변을 달기도 하며, 학생으로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물론 사기를 치기도 하고 다치기도 하고 몹쓸 부모로 나와서 친권이 있네 없네 다투거나 몹쓸 자식으로 나와서 상속권이 있네 없네 다투기도 하거나 아니면 나이 어린 책임 무능력자인데 불법행위를 저질러 부모에게 빅엿을 먹이기도 한다.[8] 자기 땅이라고 다른 사람들이 못 지나가게 하는 모습도 보이기도 한다. 불법 행위에서는 가게 사장인데 허구한 날 직원이 사고를 쳐서 같이 배상해야 하는 억까를 당하기도 한다. 물론 갑이 물건을 박살내거나 사람을 때리는 경우도 있다.
법대에 진학해서 조금 더 본격적으로 법학을 공부하면 점입가경이다. 겁도 없이 계약을 체결하고, 하나의 재산을 각자 다른 두 사람에게 이중매매를 하기도 하며, 살인· 강도· 강간· 폭행· 사기· 배임· 횡령· 명예훼손· 모독 등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 더군다나 자신의 기본권이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면서 헌법재판소로 달려가는 바람에 익혀야 할 판례의 양이 늘어나서 법대생에게 원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오죽하면 법대생은 이 세상에서 갑이 제일 나쁜 놈이라고 공공연하게 말하고 다니겠는가. 다만 법대생이 사법연수생으로 전직하면 갑과 을보다는
법학이 아니더라도 사회문화에서도 갑의 일생이 서술되거나 사회학자를 흉내내어 사회 이론을 주장하는 모습이 많이 나오고, 윤리와 사상에서도 동서양의 여러 사상가들을 흉내내고 다닌다. 한국지리와 세계지리에도 갑이 등장해서 자기가 살거나 방문 중인 동네의 모습을 말하고 선생님의 질문에 답하기도 한다.
국회의원 선거 때에 갑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노원구 갑, 중랑구 갑, 고양시 갑, 수원시 갑, 마포구 갑 등등. 이는 국회의원 선거구를 갑을병 순으로 구분하기 때문이다. 다만, 모든 지역들을 이렇게 다 구분하는 것은 아니고, 한 개의 어떤 특정 지역을 한 사람이 홀로 다 관할하기에는 지역도 너무 크고 인구도 너무 많을 경우 이렇게 조금씩 분할을 하며, 특정 한 지역만이 단일 선거구이거나 2개 이상의 지역을 하나의 선거구로 통합하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시군구청이 위치하고 있는 중심 지역의 선거구를 갑 선거구로 하는 듯 하다. 참고로 광역의원은 123순으로, 기초의원은 가나다 순으로 선거구를 구분한다.[9]
과거 병역판정검사에서 갑종은 무조건 현역이었다.
2.3.1. 참조 문서
2.4. 업계 은어
법학계의 이 같은 용법은 비즈니스 현장의 언어로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니까 사법적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업상의 각종 계약서에서 계약의 주체를 편의상 법률가에게 익숙한 표현인 갑, 을 식으로 표기하던 것이 어느 순간부터 비즈니스 은어로 정착한 것.예컨대 갑은 판매계약에서는 "판매자", 근로계약에서는 "사업장" 등을 의미한다. 막말로 칼자루 쥐고 있는 쪽. 근로계약서를 쓸 경우에는 갑이 주로 고용인, 사장, 기타 등등 하여튼 우위에 있는 측이고 을이 꿀리는 측이다. 그래서 갑을관계라는 말이 나오면 이는 상하관계라는 말과 동일시된다. 근로계약서 상 원청, 즉 일거리를 제공하는 주체를 의미하기도 하며, 이 경우 하청은 을, 재하청은 (십간의 순서대로) 병, 정 식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재하청만 받아서 먹고 사는 경우를 '병정놀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런식으로 만들어진 갑과 을의 관계에서 갑이 유리한 위치를 이용하여 을측에게 무리한 압력, 요구를 하는 경우에는 '갑질한다'라고 하기도 한다. 자세한 사항은 갑과 을 문서를 보자.
그리하여 특정에서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거나 파워가 있는 사람을 가리킬 때 간단히 갑이라고 일컫게 되었다. 이는 뉴스에서도 심심찮게 등장하는 대중적 표현이다. 사회 나가서 직장 생활 좀 하다보면 어느 순간 인생의 목표가 갑이 되는 것으로 바뀔 정도. 그런데 분야를 막론하고 공통적인 갑은 전문직과 공무원.
쌉니다 천리마마트의 등장인물 '김갑'의 이름이 이 갑에서 유래했다.
물론 세상에서는 예외도 있는 법. 이따금씩 갑보다 을 쪽이 깡패스러운 경우도 있다. 슈퍼 을 참조.
2.5. 야갤 은어
위에 통용되는 것 하고는 관계 없이 신(神)의 대체어로 사용되는 가짜동족어 인터넷 은어. 그러나 의미가 약간 통하는 부분이 있어서 연관되어 같이 쓰이기도 한다.
|
처음에는 이종범만을 종범갑이라고 칭하는 등 주로 부정적인 뉘앙스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갑의 영원한 파트너인 을은 이종범과 이름이 같아서 짭종범이라고 불리는 채종범에게 사용한다. 종범乙이라고.
그러나 점차적으로 쓰임새가 확장되면서 갑이라는 글자가 기존부터 가지고 있었던 첫째, 으뜸이라는 용법에서 착안하여, 아예 본좌나 느님 비슷하게 어느 분야에서 으뜸 가는 성과를 선보인 대상을 치켜세우는 용법으로 정착되었다.
그리고 야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타 갤러리에서도 사용하기 시작한다. 해외축구 갤러리의 경우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에게 '이바갑'이라는 별명을 붙여 많이 언급하고 심지어 야갤의 주적인 엠엘비파크에서도 애용한다. 이처럼 널리 쓰이니까 기사에서 언급되기도 한다. #
종종 "XX 종결자" 비슷하게 "XX류 甲" 같은 형식으로도 응용한다. 야갤에서 이호성과 지역드립이 흥하면서 유행어 장사셨제를 "갑이셨제" 등으로 바꿔서 사용하기도 한다.
|
급기야 2012년 6월 사회문화 모의고사에서까지 등장. 물론 여기서는 임의의 익명을 표현하는 용도이다. 정답은 3번. |
갓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면서 이 표현도 다소 대세가 바뀐 듯 하다.
2.6. 파생어
- 오리갑
- 삼한갑족(三韓甲族) - 삼한에서 갑인 씨족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명문가문을 지칭하는 말이다.
2.7. 창작물
3. 갑옷
갑옷의 의미를 가지는 형태소. 예컨대 플레이트 앤 메일은 경번갑으로 부른다.암드히비키의 이마에 있는 갑자는 이 갑. 물론 2번 항목의 갑과 연관되어 생각하면 곤란하다. 실제로 스펙은 갑이긴 하지만...
[文]
문독
[白]
백독
[文]
[白]
[한음]
[관용음]
[7]
이걸로 부족하면 '정', '무' 등을 추가한다.
[8]
이 경우는 행위자가 책임을 질 수 없으므로 부모가 그 피해 보상을 해야 한다.
[9]
창원시만이 유일하게 가 ~ 하를 모두 쓴 것으로도 모자라 거, 너, 더, 러 선거구를 만들었다.
[10]
神자는 알고 보면 申자에서 파생된 글자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잘못된 게 아니다. 따라서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을 것이나 문제는 그 다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