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4:48:21

갑천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일본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구즈류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아가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츠강
대만 지룽강 ·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강 · 일리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강 · 스와니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
국가하천
갑천

| Gapcheon
파일:2304061359098411.jpg
<colcolor=#fff> 위치 <colbgcolor=#fff,#38383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수계 금강 수계
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대둔산
합수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산동
유입 벌곡천 등
유출 금강
길이 73.7㎞
유역 면적 648.87km²
유량
하천 코드 3001490

1. 개요2. 교량과 지류 3. 기타

[clearfix]

1. 개요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대둔산 북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금강의 제1지류로, 길이 73.7km, 유역면적 648.87km²이다.

대둔산 북동쪽 기슭에서 발원한 갑천 본류는 먼저 서쪽으로 향하여 논산시 벌곡면 소재 수락폭포와 수락계곡을 거친다. 이후 수락저수지를 지나면서부터 갑천으로 불리기 시작한다. 계룡산에서 발원하는 두계천과 대둔산에서 발원하는 또 다른 하천인 벌곡천이 서구의 용천동에서 합류하여 가수원동부터 완만히 흐르다가 진잠천[1], 유성천[2], 탄동천[3]이 합류하여 흐른다. 그리고 다시 삼천동 부근에서 유등천[4], 대전천[5]과 합류하여 북쪽으로 흘러 봉산동 부근에서 금강 본류로 흘러든다.[6]

대전광역시의 구 경계이기도 하다. 북쪽에서부터 유성구 대덕구를 가르며, 남쪽에서는 유성구 서구를 가른다. 더 남쪽으로부터는 갑천 서쪽이 서구가 되기도 한다.

Karr의 생태적 수질 측정 방법에 따르면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수질이 안 좋아지며, 상태는 좋음~나쁨 사이이다. 또한 대한민국의 도심 인근 하천 중에서 가장 새가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7]

대전광역시 갑천도시고속도로가 있다. 말 그대로 갑천을 건너지는 않고 강줄기를 따라간다. 단, 갑천에서 유등천이 갈라지는 바로 그 지점에서 유등천을 건너기는 한다.

가끔씩 갑천과 감천을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감천은 경상북도 김천시에 있는 감천이며, 받침 하나로 헷갈리는 경우가 되게 많다.

2. 교량과 지류

  • 하류부터 상류로 올라가는 순서로 작성했다.
금강에 합류
불무산 불무교
(불무로)
대전 제3일반산업단지
오봉산 문평대교
( 구즉세종로)
갑천 야구장
신구교네거리 신구교
( 대덕대로)
대덕우체국네거리
관평천
용신교네거리 용신교
(테크노7로/신일서로126번길)
시알들네거리
오송역 갑천교[8]
( 경부고속선)
대전역
탑립삼거리 한빛대교
( 배울1로)
갑천도시고속도로
북대전IC 갑천교[9]
( 호남고속도로지선)
회덕JC
신대천
[10]법동천
원촌삼거리 원촌교
(아리랑로)
원촌교네거리
유등천
컨벤션센터네거리 둔산대교
(유등로)
서구 만년동
엑스포공원 엑스포다리
(인도교)
한밭수목원방면
엑스포공원방면 제2엑스포교 한밭수목원방면
과학공원네거리 대덕대교
( 대덕대로)
대덕대교네거리
탄동천
KAIST 카이스트교[11]
( 둔산대로)
갑천사거리
유성천
유림공원 유림교
(인도교)
월평중로
유림공원 갑천대교[12]
( 한밭대로)
갑천대교네거리
온천북로 구억보
(인도교)
갑천역
용반네거리 만년교[13]
( 계룡로)
만년교네거리
계룡대교네거리 계룡대교
( 월드컵대로)
계룡지하차도네거리
진잠천
원신흥네거리 도솔대교[14]
(원신흥로)
갑천도시고속도로
원신흥로 원신흥보
(인도교)
갑천도시고속도로
서구 도안동 승적보
(인도교)
서구 도안동
옥녀봉네거리 도안대교
( 동서대로)
도솔터널
구봉천
서구 가수원동 구룡보
(인도교)
서구 정림동
가수원네거리 가수원교
( 계백로)
정림삼거리
서구 가수원동 가수원다리
(인도교)[15]
서구 정림동
흑석리역 가수원철교
( 호남선)
서대전역
서구 가수원동 잠수교
(벌곡로1328번안길)
서구 정림동
빼올교차로 정림대교
(구봉로)
서구 괴곡동
서대전IC 모새골교
(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안영IC
서구 괴곡동 중보
(괴곡1길)[16]
서구 괴곡동
서구 흑석동 상보안교
( 벌곡로 4차선)
서구 괴곡동
서구 흑석동 상보안다리[17] 서구 괴곡동
서대전역 괴곡철교
( 호남선)
흑석리역
서구 흑석동 괴곡교
( 벌곡로 2차선)
서구 괴곡동
서구 흑석동 노루벌다리
(적십자길)[18]
서구 흑석동
서구 흑석동 정성다리
(안물안길)[19]
서구 흑석동
서구 흑석동 사진개다리
(안물안길)[20]
서구 흑석동
매노천
서구 흑석동 물안리다리
(물안길)[21]
서구 흑석동
금곡천
서구 봉곡동 봉곡교
(세점길)[22]
서구 흑석동
서구 봉곡동 봉곡2교
(승상골길)[23]
서구 용촌동
두계천
서구 용촌동 잠수교
(정방길)[24]
서구 용촌동
원정역 갑천철교
( 호남선)
흑석리역
서구 용촌동 용촌교
(방앗간길)
서구 용촌동
증촌천
서구 평촌동 증촌교
(길마루길)
서구 평촌동
서구 평촌동 장발다리
(증촌1길)[25]
서구 평촌동
장바탕천
서구 우명동 우명구교
( 벌곡로 2차선)
서구 오동
서구 우명동 우명교
( 벌곡로 4차선)
서구 오동
어곡천
서구 우명동 어곡교
(만어길)[26]
벌곡면 어곡리
벌곡면 어곡리 조동교
(벌곡로330번길)[27]
벌곡면 조동리
벌곡면 신양리 조동보
(인도교)
벌곡면 조동리
벌곡면 신양리 을원교[28] 벌곡면 신양리
벌곡면 신양리 신양교
( 벌곡로)
벌곡면 신양리
벌곡면 신양리 무명교[29] 벌곡면 신양리
벌곡면 신양리 조령교
( 벌곡로179번길)[30]
벌곡면 신양리
계룡IC 공수교
( 호남고속도로지선)
양촌IC
벌곡면 양산리 휴게소다리
( 호남고속도로지선)[31]
벌곡면 신양리
양촌IC 벌곡천교
( 호남고속도로지선)
계룡IC
벌곡면 양산리 양산교
( 벌곡로)
벌곡면 양산리
양산천
벌곡면 한삼천리 물방아교 벌곡면 양산리
한덕 삼거리 한삼천교
( 수락로)
벌곡면 사정리
한덕 삼거리 한삼천구교[32] 벌곡면 사정리
한삼천
벌곡면 사정리 농원다리[33] 벌곡면 사정리
벌곡면 사정리 유원지다리[34] 벌곡면 사정리
벌곡면 사정리 농로다리[35] 벌곡면 사정리
벌곡면 사정리 종점다리
(수락로 803번길)[36]
벌곡면 사정리
벌곡면 사정리 부엉골교[37] 벌곡면 사정리
벌곡면 사정리 어로보[38] 벌곡면 사정리
벌곡면 대덕리 대덕보
(인도교)
벌곡면 대덕리
벌곡면 대덕리 대덕교
(수락로517번길)[39]
벌곡면 대덕리
벌곡면 대덕리 가정교
(수락로443번길)[40]
벌곡면 대덕리
벌곡면 검천리 거먹바위다리
(수락로443번길)[41]
벌곡면 검천리
벌곡면 검천리 검천교
(검천로)[42]
벌곡면 검천리
검천천
벌곡면 검천리 덕곡다리
(검천로)[43]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덕곡교
(수락로237번길)[44]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유원지다리
(인도교)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유원지교[45]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용두다리[46]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중보실1교
(매죽헌로)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중보실구교[47]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뿌리다리
(수락로237번길)[48]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덕곡리 돌다리
(인도교)[49]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수락리 수락계곡3교[50] 벌곡면 덕곡리
벌곡면 수락리 수락계곡2교
(수락계곡2길)[51]
벌곡면 수락리
벌곡면 수락리 둑다리[52] 벌곡면 수락리
벌곡면 수락리 웃다리[53] 벌곡면 수락리
벌곡면 수락리 수락계곡1교
(수락계곡2길)[54]
벌곡면 수락리
벌곡면 수락리 수락계곡교
(수락계곡길, 인도교)[55]
벌곡면 수락리
벌곡면 수락리 승전다리
(수락계곡길, 인도교)[56]
벌곡면 수락리
수락계곡에서 발원

3. 기타

갑천은 대전광역시의 3대 하천들 중 가장 긴 천인 만큼 산책로가 가장 길다. 금강합류 기점부터 괴곡동까지 장시간 산책도 가능하다. 단, 갑천 기준으로 동쪽으로 있는 산책로를 가다 보면 갑천교와 원촌교 사이[57]에 산책로 없이 자전거로만 있는 구간이 있어 이 구간을 산책시 자전거 통행유무를 잘 살펴야 한다.[58] 또 계룡대교(만년교 바로 근처)~가수원교 구간에 산책로가 그냥 비포장 형식인 오솔길 형태로 된 길로 접근하는 일도 생기게 된다.[59] 게다가 그 구간에서 갑천 기준 서쪽으로는 산책로 없이 자전거로만 둑방길 형식으로 있어 이 구간도 산책하기가 유등천 산책로보다는 아무래도 불편하며 그 둑방길과 갑천 사이에는 온통 갈대밭 천지다.
괴곡동에서 하류 방향으로 산책로를 타다 보면 중간에 징검다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2024년 11월 기준으로 모세골교(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불무교 사이에 총 8개의 징검다리가 있다. 그 중 도안대교 접근 직전에 나오는 1개[60], 갑천대교~카이스트교 사이에 있는 1개, 원촌교 이후로 있는 2개[61]는 징검다리 형태가 쌍길 형식이 아닌 외길 형식[62]으로 되어 있고, 우천시나 이로 인해 수심이 높아지면 징검다리가 물에 잠기게 되어 건널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유등천처럼 중간에 징검다리가 많은 것도 아니고 산책로 양 옆을 연결해주는 인도교도 많지 않아[63] 천을 가로질러 가기도 비교적 어렵다.[64] 다만, 가수원교를 지나다 보면 다시 잘 포장된 산책로로 진입할 수 있고 그 곳에서 수변생태공원도 볼 수 있다.

갑천(괴곡동)에서 유등천(안영동)으로 바로 넘어올 수 있는 방법도 있다. 갑천 구간들 중 반자리길(괴곡동)[65]방향으로 들어가다 보면 중간에 이정표가 나오는데 유등천을 가리키는 곳으로 계속 가면 된다. 산을 두번 타게 되는데 첫번째는 포장도로인데데가 경사도 비교적 완만해서 넘어오기 수월하다. 산을 넘고 바로 나오는 밭에 길을 넘어서 아스팔트 도로로 접근하다 보면 우측으로 버스정류장(반자리) 표지판이 보이는데 그 방향으로 계속 내려간다. 그러다가 버스정류장(선골)이 또 보이는데 그 곳에 커다란 나무 한 그루가 있고 아랫선골 마을입구가 있다. 바로 거기에 이정표가 있고 거기서부터 계속 이정표가 가리키는 유등천 방향으로 가면 된다. 마을을 지나면 또 산을 넘어야 하는데[66] 비포장 도로인데다가 경사도 꽤 높아서 난이도가 좀 높다. 특히 산길에서 유등천 방향으로 내려오는 구간이 급경사다. 산길을 타고 내려오면 다시 포장도로로 접어드는데 조금 더 가면 남부순환그속도로 밑에 작은 터널을 지나서 안영교 방향으로 걷다 보면 유등천으로 넘어올 수 있다. 단, 자전거로 가기에는 MTB로도 힘든 편이다.

경부고속선이 본래 갑천을 따라 대전으로 들어오기로 되었지만, 신탄진을 경유해 대전조차장역으로 들어오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래도 신탄진 쪽으로 좀 붙어서 그렇지, 조차장에서 경부고속도로 신탄진졸음쉼터 인근 지점 까지는 갑천을 따라가기는 한다.


[1] 대전교도소 인근 봉우산에서 발원 [2] 국립대전현충원 인근 갑하산에서 발원 [3] 자운대 뒤편 금병산과 수양산 사이에서 발원 [4] 금산군 금산읍 월봉산에서 발원한 삼가천과 진산면 만악리에서 발원한 금성천이 진산면 부암리에서 합류 후부터 유등천이 된다. [5] 대전 동구 만인산에서 발원. 유등천의 갑천 합류 지점 직전에서 합류. [6] 두계천과 합류하기 이전의 갑천을 벌곡천으로 치면 갑천은 오로지 대전광역시만을 흐르는 강이 된다. 벌곡천-두계천 합류 지점은 계룡시~논산시 경계에서 약 4km 떨어져있으며, 금강 합류지점은 청주시와의 직접적인 경계이다. [7] 백로, 왜가리, 청둥오리, 원앙 등. [8] 두번 지난다. 갑천이 그 지점에서 굴곡이 져 있는데 그 굴곡진 부분을 직선으로 관통하는 형식으로 되어 한빛대교와 갑천교(호남고속도로지선)도 위로 관통한다. 원촌교에서 신구교 방향으로 산책로나 자전거도로를 타고 내려가다 보면 갑천교 동쪽으로 철교가 비스듬히 보이면서 갑천교를 지나면 바로 철교가 비스듬히 있고 조금 더 가면 한빛대교가 있다. 그러다 굴곡진 부분을 지나고 나면 그 철교가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9] 편도 3차선 도로이고 고속도로 일부인 만큼 양 옆으로 인도가 없다. 회덕JC와 호남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교량이므로 당연히 호남고속도로가 개통된 1970년도에 개통되었다. [10] 거의 모든 구간이 복개되어 드러나 있지 않다. [11] 2016년 12월 개통하였다. [12] 편도 5차선 도로이고 도심에 위치한 다리인 만큼 양 옆으로 인도도 있다. 이미 위에 서술한 갑천교보다 훨씬 더 늦게 개통된 다리이고(1993년 개통) 규모도 더 크기 때문에 대교로 차별화해서 지은 듯 하다. [13] 100년 전부터 이 자리에 '만년교'라는 이름의 다리가 확인된다. 그 때문에 현재의 만년동과는 약간 거리가 있다. [14] 2023년 5월 개통하였다. [15] 이륜차 및 자전거 통행 가능 [16]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17]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18]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19]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20]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21]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22] 단선차로 [23] 단선차로 [24] 단선차로, 이름과는 달리 2013년 재건축하여 호우시에도 통제되지 않는다. [25]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26] 단선차로 [27] 단선차로 [28] 단선차로 [29] 단선차로 [30] 단선차로 [31]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32] 단선차로 [33]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34]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35]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36]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폭이 극히 협소하고 가드레일이 없어 소형차만 통행 가능 [37] 단선차로 [38]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39] 단선차로, 호우 시 통제 [40] 단선차로 [41]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42] 단선차로 [43]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44] 단선차로 [45]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46]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47] 단선차로, 관리상태 부실 [48] 단선차로, 호우 시 침수 [49] 호우 시 침수 [50] 단선차로 [51] 단선차로 [52] 단선차로, 수락저수지 둑 [53] 단선차로 [54] 단선차로 [55] 복개구간, 이륜차 및 자전거 통행 가능 [56] 이륜차 및 자전거 통행 가능 [57] 갑천을 지나는 교량은 신대천과 법동천 사이에 문지동(문지네거리)에서 대덕구 신대동(신탄진로 115번길)을 잇는 교량 1개가 더 건설될 예정이라 한다. [58] 반면, 갑천교와 원촌교 사이 구간 중 갑천 서쪽으로는 엑스포아파트가 있는 곳으로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등 체육시설이 잘 되어 있고, 3월 말~4월 초에는 벚꽃이 가득 피어 산책이나 구경오기 좋다. 갑천은 대전의 다른 하천에 비해 벚나무가 잘 조성되어 있는 편이다. [59] 해당 구간은 갑천 국가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 예정된 구간이다.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2753 [60] 그 구간에는 하천의 폭이 좁아서 징검다리 길이가 짧으나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와 거리가 제법 된다. 게다가 우천으로 인해 징검다리가 하천에 잠겨서 건너지 못하는 경우가 다른 징검다리에 비해 많이 발생한다. [61] 하천 폭이 매우 넓은 만큼 징검다리 길이도 길다. [62] 외길 형식이면 행인이나 다른 물건으로 인해 막혀 있을 시 피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므로 쌍길 형식에 비해 아무래도 더 위험하다. [63] 2024년 11월 기준 모세골교와 불무교 사이에 총 4개가 있다. 정림대교와 가수원교 사이 2개, 갑천대교와 카이스트교 사이, 신구교와 문평대교 사이. 이 외에 괴곡철교 상류 방향으로도 소수의 인도교도 있다. [64] 사실상 남쪽(상류) 방향으로 갔을 때를 기준으로 갑천교 지나서 바로 나오는 징검다리부터 대덕대교와 카이스트교 사이에 있는 징검다리까지는 징검다리는 물론 인도교도 없기 때문에 산책로 타다가 갑천 건너서 반대편으로 갈아타려면 산책로를 벗어나서 교량(원촌교,둔산대교,엑스포다리,대덕대교)를 통해서 건너는 방법이 유효하다. [65] 모세골교(남부순환고속도로)에서 더 내려오면 중보가 있는데 거기에서 반자리길 방향을 가리키는 표지판이 보인다. [66] 괴곡동 선골마을과 안영동을 지나는 산길을 안영고개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