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9:35:09

유성구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ae4d>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대전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대전광역시) CI.svg
[[대전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
파일:대덕구 CI.svg
대덕구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36eb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36eb8>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36eb8> 진잠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학하동 학하동 덕명동 계산동 복용동
상대동 상대동
원신흥동 원신흥동 구암동
온천1동 봉명동
온천2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노은1동 지족동 노은동 갑동 죽동
노은2동 안산동 수남동
외삼동 하기동 반석동
노은3동
신성동 신성동 도룡동 가정동 하기동
장동 덕진동 화암동 신봉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전민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관평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구즉동 봉산동 송강동 구룡동 둔곡동
금고동 신동 대동 금탄동
}}}}}}}}} ||
대전광역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
儒城區
Yuseong-gu
}}}
<colbgcolor=#036eb8><colcolor=#fff> 구청 소재지 대학로 211 ( 어은동)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3[1]
면적 176.46㎢
인구 369,311명[2]
인구밀도 2,092.88명/㎢[3]
구청장
정용래 (재선)
구의회
9석[4]

5석[5]
시의원
3석[6]

1석[7]
국회의원
<colbgcolor=#036eb8><colcolor=#fff>
조승래 (3선)

황정아 (초선)
지역번호 04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인구4. 지역 특징5. 교통6. 경제7. 주요 시설 및 기업체
7.1.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7.2. 기타연구기관,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7.3. 언론기관7.4. 민간 연구소 및 민간기업7.5. 대형 상업시설7.6. 금융
8. 교육
8.1. 고등교육기관
9. 문화 및 체육시설10. 의료기관11. 정치12. 군사13. 하위 행정구역14. 기타15.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이.jpg 파일:유성구 정책비전.png
마스코트 유성이 정책비전
파일:유성구청.jpg
유성구청
대전광역시의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대전에서 서구 다음으로 인구가 많고, 대전에 있는 자치구들 중 면적이 가장 넓다. 유성구의 면적이 176.53㎢인데, 53.44㎢인 경기도 부천시가 3개 정도 들어가고도 남는 면적이다. 심지어는 넓다는 동구보다도 면적이 더 넓다.

충남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을 비롯한 여러 대학교,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 연구단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 그리고 유성온천으로 유명한 곳이다.

유성네거리( 유성온천역) 일대가 유성구 중심지이다.

2기 신도시 도안신도시가 유성구와 서구에 걸쳐 조성되고 있다.

2. 역사

기록상 최초로 표기된 이름은 백제 우술군(현 대덕구 회덕동 일대)의 산하에 속한 '노사지현(奴斯只縣)' 혹은 '노질지현(奴叱只縣)'으로, 둘 다 동일한 순우리말 지명을 음차 표기한 것이다. 고대 한국어에서 (꾸짖을 질)이 'ㅅ', (다만 지)가 '기'의 음차자로 쓰였음을 감안한다면 실제 발음은 '놋기' 정도로 추정된다. 이후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에는 전국 지명의 한화(漢化)가 추진되면서 '유성(儒城)'으로 개칭되었다.[8]

유성온천 삼국시대부터 알려져 있었으며, 상술했듯 남북국시대에 유성으로 불리기 시작한 뒤 현재까지 그 지명이 사용되고 있다. 고려 시대에는 유성현이 공주의 속현으로 있었으며, 지금의 유성구와는 영역에 차이가 있어 둔산동 은행동을 지나 대전의 남동쪽 끝까지 뻗어 있었다. 한편 유성현 북쪽에는 덕진현(현 신성동 일대), 남서쪽에는 진잠현, 북동쪽에 회덕현이 있었으며, 조선 초에 진잠과 회덕만 별도의 고을로 독립되었고 유성과 덕진은 공주에 편입되었다.

구한말에는 옛 유성현과 덕진현의 상당수 지역이 회덕군으로 넘어갔다. 현 유성구 영역 중에는 북부 지역이 해당한다. 공주군에 잔류했던 지역은 1914년에 대전군 편입. 이후 현 유성구 영역은 대덕군 유성읍, 진잠면, 탄동면, 구즉면 4개 읍면이었다가, 1983년 유성읍 전역 및 진잠·탄동·구즉면의 일부가 먼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고, 1988년 중구에서 서구가 분구되어 서구 관할이 되었으며, 이듬해인 1989년 다시 유성구가 분구되고 대덕군이 폐지되면서 진잠(남선리 제외)·탄동·구즉면의 전역을 편입하면서 현재에 이른다.

3. 인구

파일:유성구 CI.svg 대전광역시 유성구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대전시 중구 유성출장소 설치
1984년 9월 1일 대전시 유성출장소(시 직할)로 승격
1985년 42,454명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
유성출장소 + 대덕군 구즉면·탄동면·진잠면(남선리 제외) → 유성구 승격
1990년 79,305명
1995년 124,684명
2000년 162,261명
2005년 222,649명
2010년 281,692명
2015년 335,312명
2020년 351,047명
2024년 10월 369,3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온천2동 40,458명
노은3동 36,636명
관평동 33,864명
구즉동 33,170명
원신흥동 29,222명
전민동 26,287명
온천1동 26,185명
신성동 25,840명
상대동 25,462명
진잠동 25,061명
노은2동 23,650명
노은1동 21,157명
학하동 19,302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유성구 CI.svg 진잠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440명
1970년 12,327명
1975년 12,478명
1980년 13,167명
1983년 2월 15일 진잠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원내동 신설
1985년 13,305명(진잠면 4,408명 + 원내동8,897명)
1987년 1월 1일 진잠면 계산리 → 원내동 편입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진잠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진잠면 → 진잠동 전환
1990년 18,089명(진잠동 3,810명 + 원내동14,279명)
1995년 5월 20일
진잠동 → 진잠1동 개칭
원내동 → 진잠2동 개칭
1995년 12,713명(진잠1동 2,522명 + 진잠2동 10,191명)
1998년 10월 26일 진잠1동 + 진잠2동 → 진잠동 합동
2000년 22,281명
2005년 25,258명
2010년 29,728명
2015년 34,979명
2020년 35,106명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 + 온천1동 일부 → 학하동 분동
2023년 10월 24,97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학하동 인구 추이
(2021년~현재)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 + 온천1동 일부 → 학하동 분동
2021년 12월 17,045명
2022년 1월 17,032명
2022년 4월 17,161명
2022년 7월 17,218명
2022년 10월 18,258명
2023년 1월 18,463명
2023년 4월 19,003명
2023년 7월 19,179명
2023년 10월 19,2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상대동 인구 추이
(2021년~현재)
2021년 11월 1일 온천1동 일부 + 원신흥동 일부 → 상대동 분동
2021년 12월 22,014명
2022년 1월 23,770명
2022년 4월 24,696명
2022년 7월 25,008명
2022년 10월 25,178명
2023년 1월 25,326명
2023년 4월 25,370명
2023년 7월 25,449명
2023년 10월 25,4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온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631명
1970년 19,988명
1973년 7월 1일 유성면 → 유성읍 승격
1975년 22,809명
1980년 28,888명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 대전시 편입 및 폐지
유성읍 → 온천1동, 온천2동 분리
1985년 16,999명
1990년 19,792명
1995년 17,562명
2000년 19,346명
2005년 23,362명
2010년 33,887명
2013년 9월 16일 온천1동온천1동, 원신흥동 분동
2015년 29,737명
2020년 34,820명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 + 온천1동 일부 → 학하동 분동
온천1동 일부 + 원신흥동 일부 → 상대동 분동
2023년 10월 26,2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온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 대전시 편입 및 폐지
유성읍 → 온천1동, 온천2동 분리
1985년 15,848명
1989년 1월 1일 대덕군 탄동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탄동면 → 탄동 전환 1990년 6월 1일 신성동 일부[9]온천2동 편입
탄동 일부[10] → 신성동 편입
1990년 24,334명(온천2동 21,213명 + 탄동 3,121명)
1995년 38,052명(온천2동 35,786명 + 탄동 2,266명)
1998년 10월 26일 온천2동 + 탄동 → 온천2동 합동
2000년 34,955명
2003년 1월 28일 온천2동온천2동, 노은동 분동
2005년 40,650명
2010년 33,902명
2015년 33,496명
2020년 40,180명
2023년 10월 40,4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노은1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1월 28일 온천2동 → 온천2동, 노은동 분동
2005년 48,378명
2007년 2월 5일 노은동 → 노은1동, 노은2동 분동
2008년 22,859명
2009년 22,937명
2010년 23,991명
2011년 24,187명
2012년 24,069명
2013년 24,811명
2014년 23,789명
2015년 23,470명
2016년 23,517명
2017년 22,884명
2018년 22,741명
2019년 22,281명
2020년 22,203명
2021년 21,827명
2022년 21,431명
2023년 10월 21,1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노은2동 인구 추이
(2008년~현재)
2007년 2월 5일 노은동 → 노은1동, 노은2동 분동
2008년 43,078명
2009년 43,331명
2010년 43,908명
2011년 44,921명
2012년 45,589명
2013년 46,330명
2014년 52,756명
2015년 7월 20일 노은2동노은2동, 노은3동 분동
2015년 25,921명
2016년 26,171명
2017년 25,730명
2018년 25,366명
2019년 25,180명
2020년 24,850명
2021년 24,367명
2022년 23,943명
2023년 10월 23,6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2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노은3동 인구 추이
(2015년~현재)
2015년 7월 20일 노은2동 → 노은2동, 노은3동 분동
2015년 33,153명
2016년 34,197명
2017년 36,187명
2018년 36,616명
2019년 36,299명
2020년 37,832명
2021년 37,318명
2022년 36,888명
2023년 10월 36,7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신성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탄동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신성동 신설
1985년 7,267명
1990년 6월 1일 신성동 일부[11] → 온천2동 편입
탄동 일부[12]신성동 편입
1990년 7,962명
1995년 17,082명
2000년 27,525명
2005년 27,325명
2010년 28,134명
2015년 26,498명
2020년 25,858명
2023년 10월 25,8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전민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구즉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전민동 신설
1985년 2,340명
1990년 2,152명
1995년 22,632명
2000년 26,688명
2005년 27,394명
2010년 26,624명
2015년 25,402명
2020년 27,203명
2023년 10월 26,3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구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778명
1970년 10,644명
1975년 10,221명
1980년 9,543명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구즉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전민동 신설
1985년 6,982명
1989년 1월 1일 대덕군 구즉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구즉면 → 구즉동 전환
1990년 6,976명
1995년 16,643명
2000년 31,466명
2005년 30,282명
2010년 4월 27일 구즉동구즉동, 관평테크노동 분동
2010년 32,617명
2015년 30,862명
2020년 27,835명
2023년 10월 33,16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관평동 인구 추이
(2010년~현재)
2010년 4월 27일 구즉동 → 구즉동, 관평테크노동 분동
2010년 8월 11일 관평테크노동 → 관평동 개칭
2010년 28,901명
2011년 29,897명
2012년 30,169명
2013년 30,592명
2014년 30,060명
2015년 29,677명
2016년 29,655명
2017년 29,130명
2018년 28,990명
2019년 28,865명
2020년 29,057명
2021년 28,750명
2022년 28,396명
2023년 10월 33,8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유성구 CI.svg 원신흥동 인구 추이
(2013년~현재)
2013년 9월 16일 온천1동 → 온천1동, 원신흥동 분동
2013년 30,442명
2014년 40,413명
2015년 42,117명
2016년 45,326명
2017년 46,587명
2018년 46,466명
2019년 46,528명
2020년 46,103명
2021년 11월 1일 온천1동 일부 + 원신흥동 일부 → 상대동 분동
2021년 27,697명
2022년 27,081명
2023년 10월 27,9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4. 지역 특징

유성구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연구단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13]가 있으며, 이곳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26개소, 교육기관 7개소, 국공립 연구기관 3개, 기타 연구기관 10개, 정부기관 10개소, 공공기관 18개소, 기타 비영리기관 등 31개소, 기업 2,356개소가 입주해있으며, 연구인력 38,000여 명을 포함해 86,000여 명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또한 대덕연구개발특구 내에는 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가거점국립대학교 충남대학교, 대학원대학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등이 위치해 대전광역시 고등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그 덕분인지, 유성구는 서구와 함께 대전에서 살기 좋은 지역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전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아 집값도 비교적 비싼 곳이다.

실제로 유성구는 전국적으로도 살기 좋은 기초지자체에 상위권으로 자주 랭크된다. #

또 유성은 과거에는 전국적인 관광지로도 유명세를 떨치기도 했다. 1993년 대전 엑스포를 개최하면서 유성온천이 관광특구로 지정되었고 2002 월드컵 땐 경기장이 지어지는 등 생각 외로 대형 국가 행사의 버프를 많이 받은 편이다.

특히 유성온천은 1993년 엑스포 개최를 이유로 설악산, 제주도와 함께 전국에서 세 군데뿐이었던 관광특구로 지정되어 당시만 해도 건재하던 심야영업 제한의 미적용으로 인한 특수를 입었다.

관광특구 내에서는 합법적으로 심야 영업을 할 수 있었기에 서울에서 한 밤 유흥을 위해 택시를 대절해 놀러 내려오는 인구가 심심찮기도 했다. 당시 충남대와 KAIST 사이의 궁동은 불야성으로 이름 높았다.

유성온천의 경우 전성기 때는 전국구급으로 매우 유명했고 온천 시설과 유흥업소가 공존하는 양상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 급속도로 몰락했다. 성매매 특별법 시행과 KTX 개통 등의 영향으로 유동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도안신도시까지 개발되면서 유흥업소들이 하나 둘 철거되고 주상복합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으로 바뀌어 관광특구의 이미지는 사실상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020년대 기준으로 유성온천 유명 호텔들이 반도 안 되게 남아 있는 것을 빼면[14] 유성온천역 일대는 그냥 평범한 부도심일 뿐이다.

또한 유성구는 여려 군 기관이 밀집되어 있는 국가 핵심 중추 군사 도시이기도 하다. 유성구 관내 자운대에는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의무학교, 국군의학연구소, 국군대전병원, 국방정신전력원, 육군교육사령부, 육군종합군수학교, 육군정보통신학교, 전투지휘훈련단, 육군대학, 해군대학, 공군대학 등이 위치하고 있다. 자운대 외에는 유성구 관내에 국방과학연구소와 칠성대라고 불리는 육군군수사령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유성온천 내에도 계룡스파텔이라는 이름의 군 휴양소가 있다. 다른 민간 호텔과 달리 부지가 대단히 널찍한 것이 특징. 역사도 꽤 오래된 곳으로, 1970년대에 군 휴양소로 지은 계룡호텔을 2001년에 재건축한 것이다. 군 휴양소지만 호텔 객실, 식당, 온천장, 웨딩홀 같은 주요 시설은 민간인도 사용 가능하고, 현역 군인(병사 포함)이나 중사 이상 예비역은 요금을 할인해준다. 굳이 군인이 아니라 일반 이용객 입장에서도 스파 이용료는 다른 온천탕에 비하면 비교적 저렴한 것이 메리트다.

그 외에 공주 방면으로 가는 길에 국립서울현충원에 이어 두번째로 건립된 국립현충원인 국립대전현충원도 있다.

유성은 대전광역시에 속한 지역이지만, 대전 도심에서 거리도 조금 떨어져 있고 대덕군 시절 읍으로 승격했을 정도로 별도의 시가지도 형성되었다. 그래서 고속버스 노선도 따로 있고[15] 다른 구에는 없는 마을버스 체계가 존재하며[16] 5일장도 서는 등 독자적인 지역 색채가 강한 편이다.

단, 여기서 말하는 지역적인 색채가 강한 유성은 유성구 전체가 아닌 구 유성읍 지역, 다시 말해 유성온천과 유성터미널 일대를 말한다. 이는 80년대 이전의 서울 강북과 영등포 간 관계도 이와 비슷했다. 그러나 1990년대 유성 바로 건너편에 대전 신도심인 둔산신도시가 조성되고 아예 2000년대 이후에는 유성온천이 몇몇 대형호텔의 부진과 부도로 몰락하고 주변 지역이 점차 재개발되면서 택지지구가 많이 생기고, 대전의 다른 신도심처럼 변해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이후에는 유성온천 바로 앞에 도안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서로 연담화되는 모양세다. 한편 전민동, 관평동 등의 경우에는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속해있어 수도권 등 타지역에서 이사 온 경우가 많아 지역적인 색채가 강하지 않다는 점에서 대전 여타 지역, 특히 구도심 중구/동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성 출신 유명인으로는 골프선수 박세리가 있다.[17]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성구/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대전에서 가장 경제 상황이 좋은 구이다. 과거에는 정부대전청사, 대전광역시청 등 중앙부처나 관공서 및 공공기관들이 밀집한 서구에 밀려 2인자 신세였지만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규모가 성장하고 한국조폐공사, 한전원자력연료, 한국가스기술공사 등 공기업들도 자리잡고, 대전 5구 중에서 자체 경제력이 상당했었고, 2012년 인근에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고 서구의 개발이 정체되며 개발이 활발한 유성구가 1인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물론 인구 자체는 서구가 15만 명 차이로 대전에서 가장 많지만, 2000년대 들어 노은지구 건설로 인한 인구 유입 등으로 가장 높은 인구 성장률을 보였고, 2010년대 이후로도 도안신도시, 학하지구가 건설되면서 대전 내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구이다. 노은지구 일대가 개발되기 전에는 대전 시내 5개 구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었다.

일단 유성구는 주변 환경도 나쁘지 않고 서구 둔산신도시와 함께 대전에서 교육열이 높은 편이다. 다만 아직까지는 전통적인 유성의 중심지인 중부와 서구와 맞닿아 있는 남부가 많이 발달한 반면, 세종시와 대덕구에 맞닿은 북부는 그린벨트로 묶여 발달이 덜 되었다.

7. 주요 시설 및 기업체

7.1. 정부출연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

7.2. 기타연구기관,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36eb8><tablebgcolor=#036eb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청 |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유성구의회 | 파일:보건소 CI.svg 유성구보건소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학교*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학연구소*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대전병원*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대전지원본부*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지리공간정보여단*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제2정보통신단 제56정보통신대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제5정보통신단 위성관제대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자운대 근무지원단*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교육사령부* 파일:육군종합군수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종합군수학교* 파일:육군정보통신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정보통신학교*
파일:전투지휘훈련단 부대마크.svg 전투지휘훈련단* 파일:육군대학 부대마크.svg 육군대학*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115공병단*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제53군수지원단*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해군대학* 파일:공군대학_마크.png 공군대학* 파일:육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군수사령부 파일:제3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5보병여단 제3대대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중앙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국립대전현충원 파일:정부상징.svg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파일:정부상징.svg 국립문화유산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국제지식재산연수원 파일:정부상징.svg 관세평가분류원 파일:관세청 아이덴티티 마크.svg 대전세관 파일:정부상징.svg 대전과학수사연구소
파일:정부상징.svg 금강유역환경청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지방중소벤처기업청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지방기상청 파일:정부상징.svg 북대전세무서
파일:정부상징.svg 원자력안전위원회 대전지역사무소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대전솔로몬로파크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대전유성우체국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 대전지방법원 등기국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대전유성경찰서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대전광역시경찰청 경찰특공대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경찰인재개발원 경찰견종합훈련센터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인재개발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농업기술센터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북부여성가족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시립박물관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동물보호사업소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교육과학연수원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교육정보원
파일:소방청 마크.svg 대전광역시 119특수대응단 파일:소방청 마크.svg 유성소방서
* 자운대 입주기관 }}}}}}}}}

7.3. 언론기관

7.4. 민간 연구소 및 민간기업

7.5. 대형 상업시설

7.6. 금융

유성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대전유성우체국 (13)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6)
시중은행
신한은행 (4) 우리은행 (8)
하나은행 (9) 국민은행 (9)
지방은행
전북은행 (3)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유성농협 (12) 북대전농협 (3) 탄동농협 (4) 진잠농협 (4)
회덕농협 (1)
새마을금고
유성새마을금고 (3) 유성온천새마을금고 (3) 진잠새마을금고 (3) 탄동새마을금고 (4)
대전온천새마을금고 (1) 한국과학기술원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대전유성신용협동조합 (5) 구죽신용협동조합 (3) 충남대학교신용협동조합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신용협동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1)

8. 교육

파일:유성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유성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구즉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남선초등학교
대덕초등학교 대덕초등학교도룡분교장 대전계산초등학교
대전관평초등학교 대전교촌초등학교 대전노은초등학교
대전대정초등학교 대전동화초등학교 대전두리초등학교
대전둔곡초등학교 대전반석초등학교 대전배울초등학교
대전복용초등학교 대전봉명초등학교 대전상대초등학교
대전상원초등학교 대전상지초등학교 대전새미래초등학교
대전송강초등학교 대전송림초등학교 대전수정초등학교
대전어은초등학교 대전용산초등학교 대전원신흥초등학교
대전자운초등학교 대전장대초등학교 대전전민초등학교
대전죽동초등학교 대전지족초등학교 대전하기초등학교
덕송초등학교 문지초등학교 봉암초등학교
외삼초등학교 유성초등학교 진잠초등학교
학하초등학교 흥도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유성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유성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대덕중학교 대전관평중학교 대전노은중학교 대전덕명중학교
대전동화중학교 대전두리중학교 대전둔곡중학교 대전문지중학교
대전봉명중학교 대전새미래중학교 대전송강중학교 대전어은중학교
대전외삼중학교 대전원신흥중학교 대전자운중학교 대전장대중학교
대전전민중학교 대전지족중학교 대전체육중학교 대전하기중학교
성덕중학교 유성중학교 진잠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유성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유성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대덕고등학교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대전과학고등학교
대전노은고등학교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대전도안고등학교
대전반석고등학교 대전예술고등학교 대전용산고등학교
대전전민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대전지족고등학교
대전체육고등학교 유성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유성여자고등학교 중일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1. 고등교육기관

9. 문화 및 체육시설

  • 대전광역시 북부여성가족원
  • 대전시립박물관
  • 대전월드컵경기장
  • 대전이스포츠경기장
  • 진잠다목적체육관
  • 유성문화원
  • 유성도서관
  • 노은도서관
  • 관평도서관
  • 구암도서관
  • 구즉도서관
  • 진잠도서관
  • 원신흥도서관

10. 의료기관

유성선병원(511병상)이 가장 큰 종합병원이다. 유성선병원은 모체인 중구 대전선병원보다 훨씬 규모가 크고 시설도 좋게 만들었다. 국군병원 국군수도병원 다음으로 위상이 높은 국군대전병원 자운대 안에 위치하고 있으나 일반인들은 이용이 제한되어 있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성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군사

교육기관 중심의 중추 군사시설들이 대거 밀집해 있다.

13. 하위 행정구역

지역은 크게 유성부도심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구 구즉면 생활권, 진잠부도심 생활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실제로 생활권이라고 할만한 곳은 유성부도심 정도이며, 구 구즉면 생활권은 테크노밸리와 전민동으로 나누어져 있고, 진잠부도심은 조성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서구 관저동과 연담된 상태이다. 구 경계가 갑천을 따라 형성된 결과 구 영역이 길게 늘어져 생활권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기묘하게도 대전광역시의 구 중에서 행정동 법정동의 차이가 가장 큰 곳이다. 유성구에서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하는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다. 심지어 지족동 죽동은 1개 법정동이 3개 행정동으로 찢어져 있다.

면적이 넓은 반면에 행정동은 2021년 11월 상대동과 학하동이 분동되기 전까지 대전에서 수가 가장 적었다. 그래서 하위 행정동들이 상당히 큼직큼직하다. 1/2/3동으로 찢겨나간 노은동만 해도 제일 작은 노은3동 하나가 만년동 + 둔산1/2/3동 + 탄방동을 전부 합친 크기랑 거의 비슷하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성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기타

2016년 11월 27일 오전 6시 53분경에 규모 2.5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다. 그리고 얼마 뒤 2017년 2월 13일 오전 3시 8분경에 이곳에서 규모 1.9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북대전IC 부근에 있는 원자력연구소의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유는 이곳에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5번 항목)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에서 롯데마트는 유성구에만 존재한다.[28]

15.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유성구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53개 법정동, 13개 행정동 [2]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유성구 가선거구 (진잠동, 학하동, 원신흥동, 상대동): 김동수, 여성용
유성구 나선거구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송봉식
유성구 다선거구 (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송재만, 양명환
유성구 라선거구 (전민동, 구즉동, 관평동): 이명숙, 이희환, 한형신
유성구 비례대표: 이희래
[5] 유성구 가선거구 (진잠동, 학하동, 원신흥동, 상대동): 박석연
유성구 나선거구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인미동, 최옥술
유성구 다선거구 (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하경옥
유성구 비례대표: 김미희
[6] 유성구 제1선거구 (진잠동, 학하동, 원신흥동, 상대동): 박종선 (재선)
유성구 제3선거구 (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조원휘 (재선)
유성구 제4선거구 (전민동, 구즉동, 관평동): 이금선 (초선)
[7] 유성구 제2선거구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송대윤 의원 사망으로 인한 공석 [8] '놋기'는 '노++기'로 분석될 수 있는데, 여기서 '기'는 백제어을 뜻했으므로 유성의 '성()'과 대응한다. 또한 (선비 유)의 경우 상고한어 재구음이 '노'에 가까우므로 '노사지'의 '노(奴)'와 대응된다. 즉 유성(儒城)이라는 지명은 기존 고유어 명칭인 노사지(奴斯只)를 적절하게 음차, 훈차하여 탄생한 결과인 것이다. [9] 하기동 일부지역 [10] 추목동, 신봉동, 자운동 [11] 하기동 일부지역 [12] 추목동, 신봉동, 자운동 [13] 명칭과는 달리 대덕구가 아니라 유성구에 있다. 낚였다. 엄밀히 말하면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대덕'은 현 대덕구가 아니라 옛 대덕군을 의미한다. 조성 당시에는 해당 위치가 대덕군(유성읍, 탄동면, 구즉면)이었기 때문이다. [14] 그나마 온천탕을 보유하고 있는 역사 깊은 3성급 이상 호텔 중에서는 사실상 계룡스파텔만 건재하고 있다. 또다른 3성급 이상 호텔이었던 유성호텔은 2024년 3월부로 영업을 종료하였다. [15] 유성IC 호남고속도로지선에 위치한 관계로 서울행 고속버스는 경부선터미널이 아닌 센트럴시티로 간다. 호남고속도로 지선은 타자마자 바로 나가는 수준 [16] 유성구 독자 3개 노선. 원도심+둔산+신탄진의 원래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체계에는 마을버스가 없다. [17] 출생은 광주 광산구에서 했고 고등학교는 공주금성여자고등학교를 나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이] 이원화캠퍼스 [본] 본부캠퍼스 [본] [이] [이] [본] [이] [28] 한때 동구 대동에도 하나 있었으나 사라졌다. 남은 세 곳은 관평동, 하기동, 원내동에 위치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