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5:34:59

한국수력원자력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기업을 모기업으로 하는 K3리그 참가 세미프로 축구단에 대한 내용은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해당 기업을 모기업으로 하는 WK리그 참가 세미프로 축구단에 대한 내용은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축구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다른 공공기관에 대한 내용은 한국수자원공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산업통상자원부_국문_흰색글자.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전력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한전KDN 한전KPS
한전MCS 한국전력거래소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무역안보관리원 한국제품안전관리원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강원랜드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4098><tablebgcolor=#004098> 파일:한국전력공사 심볼마크.svg 한국전력공사
그룹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발전사
파일:한국남동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중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서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남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동서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수력원자력 로고.svg
그룹사
파일:한국전력기술 로고.svg 파일:한전KPS 로고.svg 파일:한전원자력연료 로고.svg 파일:한전MCS 로고.svg 파일:한전CSC 로고.svg 파일:한전KDN 로고.svg
파일:한전FMS 로고.svg 파일:한전산업개발 CI.svg [1] 파일:한일병원_로고_.png [2]
기타
스포츠단
,[1] 민영화했지만 그룹사로 분류한다.
[2] 한일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로 분류한다.
,
}}}}}}}}}

<colbgcolor=#00a040><colcolor=#fff> 한국수력원자력
韓國水力原子力 株式會社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파일:한국수력원자력 로고.svg 파일:한국수력원자력 로고 (흰색 글자).svg
설립일 2001년 4월 2일
설립 목적 친환경, 고품질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및 우수 기술의 공유를 통해 국가 에너지 경쟁력과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 관한 법률
업종명 원자력 발전업
대표자 황주호
주무 기관 산업통상자원부
모회사 한국전력공사
주요 주주 한국전력공사: 100%
기업 분류 시장형 공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12,786명(2024년 2분기 기준)
자본금 1조 2,122억 1,419만원(2024년 기준)
매출액 연결: 9조 4,690억 8,097만 8,493원(2021년 기준)
별도: 9조 3,243억 9,119만 6,915원(2021년 기준)
영업 이익 연결: 8,044억 3,855만 2,468원(2021년 기준)
별도: 7,968억 3,185만 2,515원(2021년 기준)
순이익 연결: 2,867억 307만 7,860원(2021년 기준)
별도: 3,022억 3,225만 5,111원(2021년 기준)
자산 총액 연결: 65조 1,357억 3,802만 5,002원(2021년 기준)
별도: 64조 6,386억 9,021만 8,034원(2021년 기준)
부채 총액 연결: 38조 8,270억 8,305만 4,648원(2021년 기준)
별도: 38조 3,613억 3,687만 4,850원(2021년 기준)
부채 비율 연결: 147.58%(2021년 기준)
별도: 145.99%(2021년 기준)
자회사 퍼스트키퍼스
시큐텍
그 외 자회사 목록 보기
경기그린에너지
인천연료전지
에너지혁신성장펀드1호
KHNP Canada Energy Ltd.
KHNP USA LLC
KHNP Chile SpA
LSG Hydro Power Ltd.
KHNP Spain, S.L.
(2021년 12월 31일 기준)
미션 친환경 에너지로 삶을 풍요롭게
비전 탄소중립 청정에너지 리더
소재지 본사 -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불국로 1655 (장항리)
인재개발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해맞이로 658-91 (신암리)
중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1312번길 70 ( 장동)
방사선보건원 -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38 ( 중림동, 센트럴타워)
사업소 소재지 보기
고리원자력본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길 96-1 (고리)
한빛원자력본부 -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홍농로 846 (성산리)
월성원자력본부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동해안로 696-13 (나아리)
한울원자력본부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울진북로 2040 (부구리)
새울원자력본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해맞이로 658-63 (신암리)
한강수력본부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영서로 3741 (용산리)
청평양수발전소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지로 1012-22 (복장리)
삼랑진양수발전소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로 26-27 (안태리)
무주양수발전소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로 893 (북창리)
산청양수발전소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지리산대로1088번길 20-18 (신천리)
양양양수발전소 - 강원도 양양군 서면 산얏골길 23-51 (영덕리)
청송양수발전소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양수상부길 186 (신흥리)
예천양수발전소 - 경상북도 예천군 하리면 도효자로 1210 (송월리)
관련 웹 사이트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웹 사이트
한국수력원자력노동조합 공식 웹 사이트
공식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블로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유튜브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인스타그램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페이스북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포스트
관련 전화번호
대표 전화: 054-704-2114
본사: 054-704-2203[1]
인재개발원: 051-745-6800
중앙연구원: 042-870-5114
방사선보건원: 031-719-8780

1. 개요2. 본사
2.1. 사가2.2. 조직
3. 역대 사장4. 주요 사업부
4.1. 발전본부4.2. 수력양수본부
4.2.1. 한강수력본부4.2.2. 양수 발전소
4.3. 축구단4.4. 이외
5. 채용
5.1. 성별5.2. 나이5.3. 학력5.4. 지역5.5. 기타
6. 근무 환경
6.1. 급여 수준6.2. 근무 강도6.3. 직군
6.3.1. 원자력 직군6.3.2. 일반(사무) 직군6.3.3. 통신 직군6.3.4. 토건 직군
6.4. 모성 보호 정책6.5. 학력 수준6.6. 결혼
6.6.1. 배우자
6.7. 여가
7. 해외 근무
7.1. 해외 지사 및 파견7.2. 바라카 원전 (BNPP)7.3. 이집트 엘다바 원전
8. 사건·사고9. 노동조합 현황10. 여담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국수력원자력의 경관, 홍보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홍보영상

▲ 한국수력원자력(주) 공식 PR

파일:한국수력원자력_HQ.png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불국로 1655 (장항리)에 위치한 한국수력원자력(주) 본사 사옥
}}}}}}}}} ||
대한민국원자력발전소수력발전소[2]를 관할하는 국내 최대의 발전사업자[3]이자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이다.[4] 약자로 한수원이라 불리는데 이 때문에 취업준비생이나 일반인 중에는 한국수자원공사[5]와 헷갈리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6] 기관 명칭에 수력이 들어가기 때문에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군침을 흘릴 만한 덩어리가 있다. 무려 9차례에 걸친 정치적 로비를 통해 수자원공사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의 발전용 댐을 가져오려 했으나 최종적으로 실패하였다. 참고로 수자원공사의 댐은 국가가 건설하여 수자원공사가 위탁 운영하는 것이나, 한수원의 댐은 한수원이 회삿돈으로 건설하여 직접 운영하던 것이므로 수자원공사의 물관리 일원화를 위한 발전댐 통합 요구는 타 회사의 고유 자산을 빼앗겠다는 것과 다름없다.

한국전력공사와는 조금 미묘한 관계인데, 엄연히 한국전력공사와는 법인과 정관이 분리된 다른 회사이나 주식지분은 한전이 모두 가지고 있다. 이 때문인지 한국전력공사와의 통합 떡밥도 간간이 등장한다.[7] 원자력발전소의 외국인투자를 금지하는 전기사업법 때문에 상장이 불가능하여 비상장기업이다.[8] 박근혜 정권기인 2016년에 상장 떡밥이 돌다가 정권 교체로 흐지부지된 듯 하다.[9] 2003년 당시 자산총액이 무려 20조원 가량이다.

UAE 원전 수출로 원자력산업이 국가산업으로 주목받자 한국전력공사를 중심으로 원자력 산업을 재편하기 위해 한전과 한수원을 통합하는 논의가 있었으나 2016년 6월에 발표된 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 방안에 따라 원자력 수출 사업에 대해 한수원이 총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한전이 관리하던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도 한수원으로 이관되었다.[10] 단, 이 방안에 따르면 하천수계 관리의 일원화를 위해 모든 댐관리를 한국수자원공사로 일원화하기로 하여 한수원의 발전용 댐을 한국수자원공사로 이관해야 한다.[11] 이 외에도 경주시에 유치된 중저준위 방사능폐기물처리장에 대한 대가로 한수원 본사를 경주로 이전하기로 예정되었기 때문에 한전-한수원 통합에 대해 경주시민들이 반대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전 본사는 전라남도 나주시로 이전했기 때문에 한전과 한수원이 통합되면 한수원 본사 경주 이전이 무산될 수 있었다.

1996년, 전력산업구조개편 기본계획 확정됨에 따라 한전에서 분리된 6개 발전회사로 분리된 회사들 중 하나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국내의 거의 모든 수력발전소와 원자력 발전소를 관할한다. 이외에도 발전소 부지에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비율을 맞추기 위하여 풍력/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해서 운영하기도 한다.

2011년에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때문에 감시의 눈총을 많이 받고 있는 중이고 때마침 고리 1호기의 계속운전 인허가여부를 놓고 시민사회및 환경단체로 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도쿄전력보다는 건전한 발전소 운영을 하였으며, 2011년 기준 원전 이용률도 90.7%로 우수한 편이었다.

최근의 발전소 이용률은 2010년 91.2%, 2011년 90.7%, 2012년 82.3%, 2013년 75.5%, 2014년 85.0%[12], 2015년 85.3%, 2016년 79.7%, 2017년 71.2%, 2018년 65.9%, 2019년 70.6%, 2020년 75.3%, 2021년 74.5%, 2022년 81.6%, 2023년 81.8% 를 기록하고 있다. 2010년 이전 평균 90% 이상으로 이용률을 기록하던 것에 비해 2012년 이후 시험성적서 위조부품 교체와 일부 원전의 계획예방정비 장기화로 인해 이용률이 낮아졌고, 2014년 이후 다시 회복하는 추세이다.

최근의 발전소의 정지와 고장을 합한 건수는 2012년 16건, 2013년 8건, 2014년 15건, 2015년 6건, 2016년 23건, 2017년 7건, 2018년 14건, 2019년 9건, 2020년 10건 2021년 10건, 2022년 10건, 2023년 11건 등이다.[13] 이는 원자로의 정지 뿐만 아니라 사고조사 보고서가 작성되는 모든 고장 건수를 합한 숫자이다. 2016년에는 신고리3호기 등 시운전 발전소의 상업운전 준비로 인한 고장건수가 모두 반영되어 있다. 국내의 모든 원자력 고장에 관한 사항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웹 사이트 통해 공개되어 있으며 관련 보고서도 모두 조회가 가능하다. 링크

한수원 산하 수력발전소는 화천, 춘천, 의암, 청평, 팔당, 칠보, 괴산, 보성강, 강림, 강릉 총 10곳이 있다. 본부인 한강수력본부는 춘천댐에 위치해 있다.

한수원 블로그를 운영 중이다. 한수원 블로그 트위터도 운영한 바 있으나 2016년에 SNS 홍보를 블로그로 일원화하면서 종료되었다. 한수원 트위터

2. 본사

파일:external/static.wixstatic.com/7a5c2e_beeba6cc30b74b18b69e3fa3a8f18865.jpg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는 방폐장을 유치한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장항리로 2016년 3월에 본사를 이전하였다. 토함산을 기준으로 경주 시내 쪽의 평지가 아닌 시내 반대편의 협곡에 신사옥을 지어놓은 모습이 꽤나 경이롭다.[14]

이런 시골에 본사가 들어온 건 문무대왕면 일대에 방폐장이 들어선 데 따른 보상이다. 경주시에서는 시내권에 이전하기를 원했지만 방폐장 인근 주민들이 강력히 반대했다.

위치가 워낙 외진 곳이다 보니 대중교통이 부실해 논란이 있었다. 버스를 타려면 본사 근처의 장항삼거리 정류장에서 탈 수 있는데, 100번(시외버스터미널~감포)이나 150번(시외버스터미널~양남) 등이 지나가긴 가나, 모두 경주역까지는 가지 않는 노선이며 배차가 다소 적다. 택시를 이용하면 복합할증이 적용되어 택시비가 만만치 않다. 그리하여 경주시 새천년미소 측에서 2016년 5월부로 700번 노선을 연장하여 평일에 35분 간격으로 운행하기로 합의하였다.

경주시로 이전하기 전의 한수원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타워에 있었다. 아이파크타워는 원래 HDC현대산업개발 본사가 있던 건물이다.

2.1. 사가

솟아나는 태양처럼 힘차게 뛰는 맥박이여
도전의 열정은 드 넓은 온 세상을 밝힌다
최고의 신뢰로써 사랑받는 우리 한수원
안전하고 풍요로운 전력문화 창조해 가자
2절)
퍼져가는 불꽃처럼 온누리 밝힐 큰 빛이여
원대한 의지는 드 높은 정상 향해 달린다
최고의 기술로써 믿음직한 우리 한수원
쾌적하고 더 편리한 전력시대 열어 나가자
후렴)
세계의 전력산업 이끌어 가며
더 나은 인류의 삶 밝혀 가리라
아 - 우리는 자랑스런 한국수력원자력

2.2. 조직

사장 아래에 경영부사장과 기술부사장이 있고, 상임감사위원이 있다.

3. 역대 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수력원자력 심볼.svg 한국수력원자력
역대 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최양우
2대
정동락
3대
이중재
4·5대
김종신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6대
김균섭
7대
조석
8대
이관섭
9대
정재훈
10대
황주호
}}}}}}}}}


임기는 3년이다.

선출 방식은 한수원 주주총회→산업부 장관제청→대통령임명→한수원 통보 순으로 진행된다.

4. 주요 사업부

4.1. 발전본부

4.2. 수력양수본부

4.2.1. 한강수력본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한국수력원자력 심볼.svg 한국수력원자력
수력본부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팔당댐 화천댐 춘천댐 청평댐 의암댐
괴산댐 보성강댐 도암댐
(강릉수력)
안흥댐 섬진강댐
(칠보수력)
}}}}}} ||
  • 칠보수력발전소(섬진강댐): 원래는 섬진강수력발전소라고 불렸다가 나중에 발전소가 위치한 칠보면의 지명을 따서 개칭하였다. 섬진강 유역과 동진강 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유역 변경식 발전소이다. 또한 칠보수력발전소의 전신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수력발전소인 운암수력발전소 역시 근처에 있다가 현재는 폐쇄되었다.
  • 보성강수력발전소(보성강댐): 남한 최장수 수력발전소이다. 보성강 유역과 해안의 고도차가 많이 나는 보성의 지형을 이용한 유역 변경식 발전소.
  • 강릉수력발전소(도암댐): 대관령 서쪽 도암댐의 물을 태백산맥 동쪽으로 보내 경사가 급한 동쪽 사면에서 큰 낙차를 얻어 발전하는, 유역 변경식 발전소의 대표적인 예시.

4.2.2. 양수 발전소

  • 청평양수발전소
  • 삼랑진양수발전소
  • 청송양수발전소
  • 산청양수발전소
  • 양양양수발전소
  • 무주양수발전소
  • 예천양수발전소
  • 영동양수발전소(건설중)
  • 홍천양수발전소(건설중)
  • 포천양수발전소(건설중)
  • 합천양수발전소(건설예정)
  • 영양양수발전소(건설예정)

4.3. 축구단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파일: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엠블럼.svg 파일: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단 엠블럼.svg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남자 축구)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여자 축구)

4.4. 이외

5. 채용

5.1. 성별

정부정책에 따라 양성 채용목표제를 운영중이다. 사무직이나 화학분야 합격자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29]
회사 내 성비는 8:2로 남초 회사이다.

5.2. 나이

나이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한수원의 기업문화적인 측면에서나 혹은 업무적으로나 나이는 문제가 되지않는다. 대졸수준 신입사원 채용을 통해 대학교 막학기인 23~24세 신입사원부터 타 기업에서 10년 이상 재직하다 이직한 40대 사원도 같은 기수로 들어온다.

5.3. 학력

학력에 대한 제한이 없다. 대신 대졸수준신입사원/고졸수준신입사원 채용을 통해 선발된 사원은 본인의 실제 학력과 관계 없이 전형에 따라 주임(대졸), 사원(고졸) 직급으로 대우한다.

일반공채 외에도 마이스터고와 발전소주변지역 특성화고 2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고졸 전형이 있다. NCS직무역량검사 및 인성, 심리검사와 블라인드 면접을 진행하며, 면접에 합격하면 졸업 후 여자와 군필자, 군면제자는 그 해에 입사를 하고, 군미필자는 군 제대 후 입사를 하게된다.[30] 거제공고생 채용기사

5.4. 지역

부모 또는 본인이 원자력 발전소, 방폐장 인근 거주자일경우 입사 전형에서 5~10% 가산점이 주어지며 본사이전지역인재 채용목표제를 30% 시행하고 있어 대구, 경북의 대학과 서울 명문대학 출신의 비중이 큰 편이다.

5.5. 기타

이 회사에는 서류전형이 없었다가 2021년도에 생겼다.
  • 나이 제한이 없다. 2012년 합격자 중 1977년 여성(만 35세)이 있고, 2016년 합격자 중 1988년 남성(30세)이 있다.
  • 출신대학에 따른 차별을 하지 않는다. 자기소개서에 학교 이름, 지역 이름을 적는 걸 금지하며, 적발시 탈락 처리한다.
  • 2020년까지는 회사에서 제시하는 지원 기준(토익 점수, 사무직 750, 기술직 700)만 만족하면 모든 사람이 시험을 볼 기회가 있었으나 현재는 배수 제한이 존재한다.
  • 기사, 자격증이 없다면, 서류전형을 통과할 가능성이 사실상 0이다. 기술직의 경우 기사 자격증을 최대 3개까지 인정해주기 때문에 서류전형을 통과하고 싶다면 3기사를 따야 안전하다.

채용전형이 계속 바뀌므로 응시할 생각이 있다면 가서 채용공고를 읽어보자. 2013년 이전에는 논술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폐지되는 등 계속해서 변화가 있다.

2019년 신입사원 채용부터 인턴기간을 없애고 수습 3개월로 뽑고 있다. 교육과정을 일정 점수 이상으로 수료해야 정직원으로 전환한다. 만약 점수가 미달된다면 재시험을 치르게 된다.

산하 연구원은 그래도 대도시에 자리잡고 있긴 하지만, 고작 대졸 공채로 갈 수 있는 데가 아니니 역시 패스.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다.

2021년 채용 사전공개가 됐는데, 어학, 자격증을 점수화 시켜 서류배수 제한이 생겼다. 사무는 100배수, 기술직은 40배수를 통과해야 필기시험을 치를 수 있다. 아무래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대규모 시험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응시인원을 제한한 것도 있다.

6. 근무 환경

6.1. 급여 수준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 사이트인 알리오를 통해 급여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평균 급여가 9,500만원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다만, 교대근무자를 포함한 수치이므로 일근직의 급여는 이보다 낮은 수준에서 형성된다. 또한, 공기업의 특성상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연봉 수준이 왔다 갔다 한다.

6.2. 근무 강도

24시간 감시와 제어를 수행하므로 근무강도가 어느정도 있는 편이다. 후쿠시마 사고 등으로 안전 관련 규제가 강화되었고 민간의 감시와 국민의 관심도 늘어나고 있어 이와 관련된 각종 규제 대응, 질의 응답 대관 및 의전 등 이벤트성 업무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중 삼중 사중으로 관리, 감시, 관심의 대상[31]이 되기에 강도가 높은 편이다.

6.3. 직군

6.3.1. 원자력 직군

원전의 운전, 정비 및 안전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가장 많은 인원을 가지고 있다. 원전의 운영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 인원들이며, 지속적인 교육 훈련과 타 직군의 지원을 통해 원활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 운전 업무는 발전팀 중심으로 교대 근무를 하며 원전의 24시간 감시 및 각종 정비와 점검을 위한 밸브 조작, 기기 운전 등을 수행한다. 발전소 비정상 및 비상에 가장 먼저 대처하도록 훈련되며, 화재 및 재해시 초동 소방대 역할도 발전팀이 수행한다.
  • 정비 업무는 기계/전기/계측제어 등의 각 전문부서가 수행한다. 자기 분야의 발전소 설비에 대해 정비 계획을 수립하며, 그에 따라 점검, 정비, 교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기기의 불시 고장 등이 발생하면 해당 부서에서 문제 해결까지 책임지고 근무하므로 업무 강도가 높은 편이다. 현장 정비 업무는 협력업체( 한전KPS, 수산이앤에스/ 수산인더스트리, 이성/영진계전, (주)우진엔텍 등)에서 정비한다.
  • 건설 업무는 신규 원전의 건설을 위해 현장 건설소나 본사 건설관련 부서에서 근무한다. 현장 공사 관리, 공정관리, 자재 구매, 계약 관리 등을 수행한다. 건설은 프로젝트성 업무이고 공사가 끝나면 타 사업소로 옮겨야 하므로, 발전소 근무자보다는 이동이 잦은 편이다.
  • 그외 산업안전, 화재 및 재해 방지, 방사선 안전, 화학 약품 처리, 폐기물 처리 등의 발전소 내 다양한 기술 분야 업무를 수행하며, 발전팀과 정비 관련 부서들이 원활히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 역할도 수행한다.

6.3.2. 일반(사무) 직군

기획, 재무, 회계, 예산, 조직 및 인사 관리, 감사, 방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업무 특성상 원전본부 및 본사에 많이 배치되어 근무하며그밖의 사택관리, 피복지급 등 잡무 등도 담당한다.

최근에는 규모 확대에 따른 예산 증가, 각종 대관 업무 수행, 기타 이벤트성 업무 증가로 업무 강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다.

6.3.3. 통신 직군

발전소와 회사의 통신 장비와 각종 정보시스템 업무를 수행한다. 원전 제어와 직접 관련된 계통은 원자력직군의 계측제어 담당 부서에서 수행하며, 이 쪽은 발전소 운전용 통신 설비를 포함한 그외 모든 통신 계통을 관리한다. 최근에는 발전소 내 업무 시스템의 보안이 강화되면서 전문성이 점점 강화되고 있다.

6.3.4. 토건 직군

발전소와 회사의 건축 및 토목 관련 구조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발전소 사무용 건물부터 원자로건물까지 내구력을 평가하고 건물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최근에는 재해와 화재 방호에 대비한 규제 요건이 강화되면서 토건 직군의 전문성도 강화되고 있다.

이 외에도 원자력을 제외한 수력 등의 발전 설비를 관리하며 운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발전직군, 중앙연구원 등에서 연구와 기술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연구직 등이 있다.

6.4. 모성 보호 정책

대한민국 정부가 권장하는 모성보호 정책이 시행 중이다.
  • 배우자 출산시 10일의 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3년간 육아 휴직을 할 수 있다.
  • 사택과 본사 사옥에 어린이집이 있어 출근시 자녀를 맡기고 근무할 수 있다.
  • 승진, 보상, 인사 이동에 대해 출산 및 육아휴직 등의 이유로 제도적인 불이익을 받지 않으며 기타 여성에 대한 공식적 차별이 없다.

6.5. 학력 수준

직원들은 전원이 최소 고졸 이상 학력이며 평균적으로 대졸 수준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 때부터 수도전기공고 등을 중심으로 고졸 신입사원을 선발해 왔으며, 승격 및 인사에 학력에 따른 차별은 없다. 단, 고졸로 입사하게 되면 주임이 아닌 사원이 되며 통상 4~5년이 지나면 주임으로 승진한다.

발전소 현장 업무 특성상 학력 수준보다는 업무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노하우를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제 업무에서는 인재개발원, 훈련센터, OJT 실습 등으로 직원들을 지속적으로 훈련하므로 이를 따라갈 배경 지식을 갖추는 게 학력보다 우선시된다. 업무 관련 교육 훈련과 별도로 학위 취득이 가능한 대학 및 대학원 위탁 교육 등의 제도가 갖추어져 있다. 단, 위탁 교육을 통해 학위를 취득하면 통상 교육 기간의 두배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퇴사가 불가능하다.[32]

6.6. 결혼

원자력발전소의 대규모 증설로 2011년 이후 신입사원 비중이 전체인원 중 40%에 달할만큼 치솟았다. 그와 더불어 외지 근무로인한 연애, 결혼의 어려움이 사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듯 하나, 사실 연애를 시작하기 어려운 거지 연애를 이어나간다거나 결혼은 잘들 하는 편이다.

6.6.1. 배우자

의외로 같은 곳에 근무하는 한수원 남녀 직원간의 매칭은 드문편이다. 그 이유로는 우선 여직원 수가 워낙 적기도하고 어떤 이유에서인지 연수원에서 눈맞지 않은 이상 발령 후에는 지역이나 인근도시 교사, 공무원 혹은 타기관 등 배우자를 밖에서 찾으려는 분위기가 강하다. 실제로도 남직원의 배우자 분포를 보면 지역이나 지역도시 교사[33] 나 공무원과 결혼한 케이스와 다른 공기업 직원과 결혼한 케이스가 많다.

그러나 남직원을 기준으로 현재 누가 결혼을 가장 잘했는 가에 대한 부분에 있어 내부의 대세론은 지역주민의 딸과 결혼한 케이스. 도시 사람들은 농촌 하면 사실 지나가다 경운기 몰고 다니는 사람들의 이미지만 생각하지만 알고보면 지역주민중 상상을 초월하는 재력가들이 많기 때문이다. 또 이 경우 이상하리만큼 딸만 둔 경우가 대부분. 이러한 경우 거의 남자판 신데렐라 확정.

결혼에 있어 한수원 여직원의 경우 다른 직업도 그러하듯 직업보다 더 중요한 요인이 있는 것 같다. 사내커플을 제외하고 결혼 배우자는 대개 대기업 직원 등이며 공기업 여직원이라면 가히 1등 신부감이라 할만도 하지만 주거가 일정한 공무원과는 달리 순환근무가 잦고 오지근무라는 특성상 전문직과 결혼하는 경우는 매우 적다.

남직원과 비교를 하였을 때 싱글라이프로 빠지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6.7. 여가

각 원자력본부와 사택 주변에는 지역 주민들을 위해 설치된 수영장을 포함한 상당한 규모의 스포츠센터 뿐만 아니라, 사택 내에도 헬스장이 설치가 되어있기 때문에 운동을 많이 즐기는 편이다.

자세한 것은 고원아파트에서 알아보자.[34]

또한, 타지 출신 미혼 직원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주말이면 고향에 들려 여가를 보내고 오는 경우가 많다.

7. 해외 근무

7.1. 해외 지사 및 파견

해외계약관리, 원전수출, 연구개발 및 대외협력, 경영정보 수집 등을 목적으로 다수의 해외사무소를 운영중이다.
1) 유럽지사 : Main Office 는 파리 소재. 유럽의 원자력 관련 기관과의 협력과 정보 취득
* 오스트리아 비엔나 IAEA를 포함하여 체코, 루마니아 등지에 수출을 위한 별도의 파견직을 운영 중
2) 미국지사 : Main Office는 뉴욕(실제는 뉴저지) 소재.
* 미국 규제기관 NRC 소재 워싱턴 DC,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가 있는아틀란타 등지에 별도의 파견직을 운영 중
* 세계적 전력연구소 EPRI(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에 상주연구원 다수 파견 운영 중
3) 바라카원자력본부 : 해외지사 중 파견 인력이 가장 많으며 UAE 수출원전 4개호기를 건설 및 운영 지원한다.
* 아부다비 시내 사무소와 바라카 원전 건설 현장에 대규모 인력 파견하여 사업 수행 중

그 밖에 일본 도쿄의 WANO 도쿄센터, OECD NEA 파리사무소, 런던 WANO 사무소 등의 파견 기회도 있다. 석박사급 이상 연구직이나 전문원 직원들은 미국 국립연구소, 유럽 국제연구소 등에 파견되기도 한다. 거의 모든 해외 파견직은 차장(3직급) 또는 부장(2직급) 등의 경력직들을 대상으로 하며, 대졸초임 직원들에게는 기회가 없다.

해외 파견으로 가장 좋은 기회는 해외석박사 학위 취득과정이다. 사내 파견선발 절차를 거쳐 선발된 직원은 본인이 원하는 세계 100위내 우수 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파견기간의 3배에 달하는 재직의무와 제반 사규만 잘 지킨다면 매우 좋은 파견기회가 될 것이다.

7.2. 바라카 원전 (BNPP)

현재는 한국수력원자력 바라카 원자력본부를 별도에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본부장은 이상욱 본부장이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바라카 원전(BNPP)에 건설, 시운전, 발전소 운영지원을 위한 인력을 파견 중이다. 바라카 원전은 아랍에미리트 원자력 공사(ENEC)가 사업을 발주하였고 2009년에 한국전력공사 컨소시움이 건설 주계약자로 선정되었고, 현대건설-삼성건설 합작회사(Hyundai-Samsung Joint Venture, HSJV)가 주공사 계약을, 한수원이 운영지원 용역을 각각 한전과 체결하였다. 이와 별도로 한수원은 2016년 7월에 아부다비 정부 및 ENEC과 바라카 원전 4호기 완공 후 약 10년간의 운영기간에 대해 발전 교대근무팀을 포함한 운영지원 인력을 파견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 운영지원계약을 체결하였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한수원 직원이 바라카 원전에 파견되어 근무할 경우 다음 세가지의 근무 형태 중 하나로 가게 된다.
  • 건설: 한수원 직원 신분을 유지하면서 한전에 파견되어 근무한다. 국내 원전건설은 한수원이 발주자로 수행하지만 바라카는 한전이 건설 주계약자이므로 건설 업무 직원들은 모두 한전에서 근무한다.
  • 운영지원용역(OSS): 건설 각 단계마다 발전소의 기기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는지 시험을 수행하며, 이 업무는 건설 계약에 포함된 것으로 한전이 한수원을 시운전 계약자로 선정하여 수행중이다. 따라서 시운전 직원들은 한전으로 파견되지 않고 한수원 소속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 운영지원계약(OSSA): 건설과 시운전이 끝난 발전소 기기들을 인수하며, 상업운전도 수행하는 인력이다. UAE에는 원전 운영 경험인력이 없으므로 한수원의 인력을 파견을 위해 별도 계약을 체결했다. 운영지원 인력들은 ENEC(Nawah)에 파견되어 근무한다.

해외파견근로자들에 대한 대우도 파견 형태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건설 및 시운전은 주계약자인 한전이 정한 바에 따라 근무시간, 급여, 휴가 등이 결정되며, OSSA는 발주자인 ENEC(Nawah)에 파견되므로 ENEC(Nawah)과 한수원이 계약한 파견직원 처우에 따라 급여, 근무형태 등이 결정되어 있다. 해외근무자들의 장기 근속과 경험 직원들의 해외근무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가족동반 지원 및 해외근무수당 등이 지급된다.

7.3. 이집트 엘다바 원전

  • 러시아와 합작 사업으로 2022년 8월 25일 이집트 엘다바 원전 수주를 통해 약 3조원 규모의 해외원전 수출을 성공시켰다. 다만 이번 이집트 엘다바 원전의 경우 원자력발전소 2차측(터빈 등)과 관련 기자재를 납품하는 것으로 UAE 바라카 원전 처럼 원자력발전소의 핵심인 1차측은 아니다. 다만 UAE 원전 수주 이후 13년동안 여러가지 이유로 원전 수출을 하지 못했기때문에 해외원전 수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8. 사건·사고

2011년까지 우수한 원전 이용률을 보였으나, 2012년 2월 고리 1호기 정전 사고[35]가 발생했고, 그 해 12월에는 한빛 원자력 본부(당시 영광 원자력 발전소)에서 과장급 직원들이 가담한 납품비리가 밝혀져 두어달 동안 가동이 중단되기까지 했다.

위 사고가 수습되고 비리 쪽도 검찰 수사가 마무리되어가던 2013년에는 시험 성적서가 위조된 부품이 수년동안 납품된 사실마저 밝혀졌다. 원전에 사용되는 제어케이블을 납품하던 JS전선[36]과 민간 검증업체인 새한티이피가 짜고 시험성적서를 위조하여 한수원에 제출했으며, 여기에 한수원 부장급 간부와 한국전력기술의 처장급 간부까지 가담해 원전 관련 업체들이 여럿 관련된 비리로 사회적으로 큰 지탄을 받았다. 성적서 조작에 가담한 두 간부는 징역 5년의 처벌을 받았다.

2013년 7월에는 2007년부터 2012년까지 한수원 사장을 지낸 김종신 전 사장이 원전 용수관리 업체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어 징역 5년에 벌금 2억1천만원의 처벌을 받았다. 김 전 사장은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한수원의 원전 사업을 잘 봐달라면서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게 수백만원의 뇌물을 전달했었고, 이에 따라 박영준 전 차관도 구속되었다.[37] 이 때의 원전 비리에는 JS전선 등의 납품업체, 새한티이피 등의 민간 검증업체, 한수원 발전소 직원, 한수원 본사 간부, 설계회사인 한국전력기술 고위 간부, 한수원 전 사장, 정부 고위 공무원까지 연루되어 원전 산업계 전체가 총체적으로 부패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원전마피아" 라는 비난을 받았다.

2013년 9월 조석 사장이 취임하면서 경영혁신과 청렴운동을 통해 회사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노력했으며, 연달아 벌어진 비리의 책임을 지고 부장급 이상 간부 전원이 사표를 제출하였다.

2014년 12월에는 협력회사를 통해 원전 도면와 문서 일부가 유출되는 사고가 터졌다. 범인은 이후 성명을 발표하였으며, 크리스마스까지 원전 가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원전을 폭파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다만 이후의 여러 번의 크래킹 시도는 모두 미수에 그쳤다. 원전의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관련 컴퓨터들은 외부와 물리적으로 차단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발전소 내에서 직접 조작하지 않는 한 해킹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범인들의 뻥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8]

2018년 1월 효성과 한수원 간의 변압기 비리가 내부고발자에 의해 폭로되었다. 이 후 발주처 한수원은 비리 관련자에 대해 철저히 조사 후 엄중 처벌하였다.

2023년 6월 한수원-UAE 해외 파견직 통상임금 소송 1심에서 한수원이 패소했다. 1심 법원은 직원들의 300억 원대 청구 금액을 모두 인용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260855

2024년 8월 29일 오후 3시께 경북 울진군 북면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 사택에서 20대 직원 A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기사 블라인드에는 직원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내용이 올라왔으나 아직 사실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

9. 노동조합 현황

참고

10. 여담

국가중요시설 '가'급에 해당하는 최고 보안시설이다. 따라서 타 기관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철저한 보안을 자랑한다. 청원경찰법에 따른 청원경찰[39]이 보안을 담당하며 이들은 평소에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하며, 총기를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은 권총과 소총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한수원 소속 청원경찰인 주재훈선수가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양궁 국가대표가 되어 은메달을 따기도하며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40]


2023년 10월, 직장 내 어린이집을 여직원 자녀 우선 배정이 옳은가에 관해서 논란이 됐다. 기사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공기업 ]
<colbgcolor=#003764> 시장형 공기업 (14개)
산업통상
자원부
강원랜드, 한국가스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 한국지역난방공사
국토교통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준시장형 공기업 (18개)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문화체육
관광부
그랜드코리아레저
농림축산
식품부
한국마사회
산업통상
자원부
대한석탄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KPS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국토교통부 에스알,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
방송통신
위원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 준정부기관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12개) ||
문화체육
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산업통상
자원부
한국무역보험공사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중소벤처
기업부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금융위원회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인사혁신처 공무원연금공단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43개)
교육부 한국장학재단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
행정안전부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국가보훈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문화체육
관광부
한국관광공사
농림축산
식품부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산업통상
자원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력거래소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국토안전관리원,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해양수산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공정거래
위원회
한국소비자원
경찰청 한국도로교통공단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

[ 기타공공기관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타공공기관 (240개) ||
국무조정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기획재정부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재정정보원, 한국투자공사
교육부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우체국시설관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한국원자력의학원
외교부 한국국제교류재단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법무부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국방부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가보훈부 88관광개발, 독립기념관
문화체육
관광부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악방송, 국제방송교류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진흥위원회,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보호원,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농림축산
식품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한식진흥원
산업통상
자원부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제품안전관리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한국LPG사업관리원, 한전원자력연료, 한전MCS
보건복지부 국가생명윤리정책원,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아동권리보장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공공조직은행,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한의약진흥원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한국환경보전원
고용노동부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한국고용노동교육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폴리텍대학
여성가족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국토교통부 건설기술교육원, 공간정보품질관리원, 국립항공박물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새만금개발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한국도로공사서비스,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해양조사협회, 한국해양진흥공사,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중소벤처
기업부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금융위원회 서민금융진흥원,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방송통신
위원회
시청자미디어재단
공정거래
위원회
한국공정거래조정원
원자력안전
위원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식품의약품
안전처
식품안전정보원,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관세청 한국원산지정보원
재외동포청 재외동포협력센터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소방청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농림진흥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산림청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치산기술협회
통계청 한국통계정보원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한국특허기술진흥원
기상청 APEC기후센터, 차세대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한국기상산업기술원
}}} ||



[1] 야간 및 공휴일 전용 번호. [2] 대한민국의 댐은 발전용 댐과 다목적 댐으로 구분되며 발전용 댐은 한수원이, 다목적 댐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고 있다. [3] 대한민국 전체 전력의 33%를 한수원이 생산한다. [4] 과거 1975년 상공부 산하에 한국원자력발전공사가 설립되어 1980년까지 운영된 사례가 있는데, 이 사업도 전부 한전이 인수해 자회사로 만들었다. 그래서 한전과 엄밀히는 다른 회사지만 한전의 로고와 폰트를 공유하고있는 것이다. [5] 해양수산부 산하에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이라는 곳도 있는데 여기에 전화해서 수자원공사 아니냐고 하는 사람도 있다. [6] 농담 아니라 공기업·공공기관이나 발전회사 취업준비 카페에 가면 "한수원 민영화되는 건가요?" - "그건 수자원공사입니다" 라는 질문과 답변이 빠짐없이 올라온다. 한국수자원공사는 보통 '수자원'이나 '한수공'으로 부른다. [7] 2003년 정부가 공사화를 검토한 적이 있는데 2009년 한수원 노조에서 공사화를 요구하기도 했다. 한전과의 통합 논란을 아예 원천봉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8]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지상파 방송국 중 주식시장에 상장된 지상파 방송국은 SBS, KNN, TBC등이 있는데, 지상파 방송국은 방송법에 의해 외국인의 투자(재산상의 출자 또는 출연)가 금지되어 있어 이들 기업에는 외국인이 투자하지 못한다. 한수원도 상장하지 못할 것은 없지만 원자력발전소의 특수성 탓으로 보인다. [9] 이를 위해 063320이라는 종목코드도 받아두었다. 하지만 통신업체처럼 일정 한도내 취득이 가능하게 법률 개정이 이루어지거나, 지상파 방송국처럼 외국인 한도를 없애는 방법으로 조치하지 않는 한 이 종목코드가 주식시장에 내걸릴 일은 없을 것이다. [10] 에너지 수출사업에 한전과 발전자회사들의 역할이 중복되어 과당경쟁으로 효율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한전은 대형사업과 신사업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발전자회사들은 각 분야별로 특화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자세한 것은 링크 참조 [11] 현재 한수원 노조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링크 [12] 산업통상자원부의 원자력발전백서 참조. 링크 [13] 출처 링크 [14] 파일:한수원_본사_산2.png [한전] 한전 출신 [내부] 내부 승진 [내부] [한전] [산업부] 산업부 공무원 출신 [산업부] [산업부] [산업부] [외부] 외부 출신 [24] 2022.10.28부로 기존 신고리 3,4,5,6호기에서 새울 1,2,3,4호기로 명칭변경 [25] 영덕 신규 원전. [A] 최근 신규원전 건설계획이 취소되었다. [27] 삼척 신규 원전. [A] [29] 사무, 화학의 여성비율이 높은 것은 할당제 때문이 아니라 문과와 화학 특성상 여성 지원자가 많기 때문이다. 한 성별의 합격자를 무조건 일정비율 이상 뽑는 할당제 제도가 아니라 한 성별의 합격자가 25% 미만일 경우 -3점 이내에서 추가 채용하는 양성평등 채용목표제이다. [30] 이전에는 인턴 생활 중에 혹은 인턴이 끝나고 정규직으로 전환된 중에 군대를 가는 방식이었다. [31] 산업부, 각종 규통제위원회, 국정원, 시민단체, 지역단체, 언론 등이 있다. [32] 예를 들어 석사 학위 2년의 외부 대학 위탁교육을 수료하면 4년동안 한수원에 의무적으로 재직해야 한다. 이를 어기고 이직시 교육비 환수조치 및 별도 소송 등의 제재 조치가 따를 수 있다. [33] 보통 한명이 엮이면 여초집단인 교사와 남초집단인 한수원이 서로 이해가 맞아 줄줄이 사탕으로 엮이기 때문이다. [34] 고리원자력 전용 사택이다. [35] 원자력안전위원회 사고보고서 [36] LS그룹의 계열사인 LS전선의 자회사. 이와 관련해 LS그룹 구자열 회장이 2013년 11월 공식 사과를 했다. [37] 박영준 전 차관은 이와 별도로 원전 수처리 설비 계약에 대한 청탁의 댓가로 뇌물을 받은 혐의도 포함되었다. [38] 기사 [39] 시중은행이나 우체국 등에서 근무하는 일반 경비원이 아니다. [40] 휴직을 내고 출전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