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06:09:20

괴산댐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999> 파일:댐 일러스트.png 한강 수계의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 font-size:0.9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한강 임진강 군남댐 | 황강댐( 북한)
한탄강 한탄강댐
팔당댐 북한강 청평댐 | 의암댐 춘천댐 | 화천댐 | 평화의 댐 | 임남댐( 북한)
소양강 소양강댐
남한강 섬강 원주천 원주천댐
대관대천 계천 횡성댐
충주댐 | 광동댐 | 괴산댐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한국수력원자력 심볼.svg 한국수력원자력
수력본부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팔당댐 화천댐 춘천댐 청평댐 의암댐
괴산댐 보성강댐 도암댐
(강릉수력)
안흥댐 섬진강댐
(칠보수력)
}}}}}} ||
<colbgcolor=#29ACFF><colcolor=#fff> 괴산댐
槐山댐|Goesan Dam
파일:괴산댐.jp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착공 1952년 11월
완공 1957년 2월
관리기관 한국수력원자력
유형 수력 발전
하천 남한강
위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1. 개요2. 사건 사고3. 기타

[clearfix]

1. 개요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에 위치한 발전전용댐.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達川)의 물을 가로막아 건설되었다. 1952년 11월 착공하여 1957년 2월 완공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최초로 순수한 자력 기술로서 설계 및 시공된 댐이다.

중력식 콘크리트 댐으로 댐의 높이 28m, 길이 171m, 부피 4만9555㎥ 이며, 상시 만수위는 135.65m, 계획 홍수위는 136.92m, 월류 수위[A]는 137.65m이다. 댐의 유역 면적은 671㎢, 저수용량은 15,329,000㎥이다. 댐 좌안 직하부에 설비용량 1,300㎾의 카플란 수차발전기 2대가 설치되어 있어서 총 발전용량은 2,600㎾이다.

2. 사건 사고

괴산댐은 1950년대에 건설된 댐으로, 달천의 유역 면적에 비해 댐의 저수용량이 작아 홍수 피해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있다. 한국 최대의 댐인 소양강댐과 비교하였을 때, 유역 면적은 4분의 1인 반면, 저수용량은 19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 여기에 한국의 하천은 하상계수(유량변동계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극단적인 수위 변화로 인한 수재가 빈번하며, 이로 인해 아래와 같이 다음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
  • 1980년 7월 22일, 충북 지역에 내린 폭우로 댐의 수위가 만수위를 넘어서 월류[A]가 발생하였으며, 발전설비 및 시설이 파괴되었다. 이 폭우는 괴산댐의 월류 외에도 보은군 지역에 대홍수를 발생시켜 장속저수지의 둑이 무너지는 사고가 있었다. #
  • 2017년 7월 16일 충북 지역에 200mm 이상의 폭우가 내릴 당시, 한국수력원자력이 괴산댐의 홍수위 제한 수위를 0.35 m 초과 운영하던 중 7개 수문을 동시에 개방하는 바람에 괴산군 일대에 홍수가 발생, 주민 2명이 숨지고 113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 2018년 6월에는 반대로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댐의 수위를 낮췄으나, 이후 한동안 비가 내리지 않는 바람에 댐이 말라 펄이 드러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저수율이 51.4%에서 30%대로 줄어들어 수력 발전이 중지되었으며, 일대 유람관광선 운행 등도 모두 중단되었다.
  • 2023년 7월 15일,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하여 댐의 수위가 만수위를 넘어섰다. 이날 오전 6시 30분부터 9시 22분까지 월류[A]가 발생했다. # 이로 인해 붕괴사고[4] 및 대규모 침수가 우려되어 괴산군은 하류 일대 주민 1,168명을 대피시켰다. 충주시 역시 6개 읍면동 주민 6,400명을 대피시켰다. 또한, KBS의 송국회 기자가 주변에서 산사태 징후를 목격하였다고 증언하였다. #1 #2 #3 #4 #5 #6 #7 자세한 건 항목 참조.


사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달천의 상류에 댐을 건설하거나 저류지 조성, 발전용으로 건설되었던 괴산댐을 다목적댐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오래 전부터 제기되었지만, 마땅한 저류지 후보가 없을 뿐더러 조성 과정에서의 반발 등이 많아 쉽지 않다.[5]

3. 기타

인근에 산막이옛길이 있다.


[A] 월류(越流, overflow)는 물이 둑 위로 넘쳐 흐르는 것을 가리킨다. 월류한다고 당장 댐이 붕괴되는 건 아니나 물이 넘치는 상황 자체가 이미 댐이 버틸 수 있도록 상정하고 설계한 무게를 넘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고 그만큼 물의 무게로 인해 댐에 부담을 주게 되기 때문에 붕괴 위험이 커진다. [A] [A] [4] 한국수력원자력 괴산댐 관리사무소는 월류가 발생해도 8m 높이까지는 댐이 안전하다며 그 이상 수위가 높아지진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붕괴 우려는 없을 것이라 말했다. [5] 무엇보다 현 괴산댐을 높게 짓던가 달천 상류에 댐을 설치한다면, 댐의 높이에 따라 상류에 자리한 괴산군 칠성면과 청천면,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보은군 산외면의 달천 유역 지역들이 모두 수몰될 수 있다. 특히 청천면은 면소재지는 물론 조선 후기의 대학자 중 한 명인 송시열이 말년을 보냈던 화양구곡과 만동묘(각각 명승과 사적으로 지정)까지 수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