思 생각 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おも-う, おぼ-しい
|
||||||
-
|
|||||||
표준 중국어
|
s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思는 '생각 사'라는 한자로, '생각하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생각하다 |
음 | 사 | |
중국어 | 표준어 | sī |
광동어 | si1 | |
객가어 | sṳ̂ / sî | |
민동어 | sṳ̆ | |
민남어 | su[文] / si[白] | |
오어 | sr (T1) | |
일본어 | 음독 | シ |
훈독 | おも-う, おぼ-しい | |
베트남어 | tư |
유니코드에는 U+601D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WP(田心)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ㄙ로 입력한다.
3. 뜻
생각한다는 뜻이다. 또는 '생각'이라는 명사로도 활용된다.마찬가지의 뜻을 가진 한자로 考(고찰할 고), 攷(생각할 고), 想(생각할 상) 등이 있다.
일본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한자이다.
4. 자원
설문해자 소전의 자형 |
고자(古字)는 恖으로 해서체의 田은 囟(정수리 신)이 변형된 것이다. 머리(囟)와 마음(心)이라는 뜻에서 회의자로 볼 수도 있으나, 설문해자에서는 心을 형부, 囟을 성부로 하는 형성자로 보았다. 현대어에서는 囟(신, xìn)과 思(사, sī)의 발음이 다르지만, 당시 반절은 囟이 息進切, 思가 息兹切로 성모에 해당되는 반절상자가 일치한다.
5. 용례
5.1. 단어
- 묵사( 默思)
- 문사( 文思)
- 사고(思 考)
- 사념(思 念)
- 사려(思 慮)
- 사료(思 料)
- 사모(思 慕)
- 사변(思 辨)
- 사상(思 想)
- 사색(思 索)
- 사서(思 緖)
- 사유(思 惟)
- 사조(思 潮)
- 사춘기(思 春 期)
- 삼사( 三思)
- 상사( 相思)
- 숙사( 熟思)
- 심사( 深思)
- 의사( 意思)
- 재사( 才思)
- 정사( 情思)
5.2. 고사성어/ 숙어
5.3. 인명
- 고재사( 高 再思)
- 극재사( 克 再思)
- 김사율( 金思 律)
- 김사훈( 金思 勳)
- 남사추( 蓝思 追)
- 낙사계( 諾思 計)
- 노사신( 盧思 愼)
- 마스한( 马思 涵)
- 맹사성( 孟思 誠)
- 박사임( 朴思 荏)
- 왕사례( 王思 禮)
- 응 씨 카이( 吳思 佳)
- 이사문( 李思 文)
- 이사배( 李思 杯)
- 이사철( 李思 哲)
- 자사( 子思)
- 장사익( 張思 翼)
- 조로사( 赵 露思)
- 좌사( 左思)
- 최사위( 崔思 威)
- 최사전( 崔思 全)
- 푸쓰차오( 付思 超)
- 학사문(郝思 文)
- 홍사덕( 洪思 德)
5.4. 지명
5.5. 창작물
- 근사재일고( 近思 齋 逸藁)
- 부용상사곡( 芙 蓉 相思 曲)
- 상사별곡( 相思 別 曲)
- 해동칠자근사록( 海 東 七 子 近思 錄)
- 不思議ね…
- Behind love~片思い
- じゃあ君の思想が死ねばいい( 그럼 너의 사상이 죽으면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