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 땅 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チ, ジ
|
||||||
일본어 훈독
|
つち, ところ
|
||||||
-
|
|||||||
표준 중국어
|
de, d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地의 필순
[clearfix]
1. 개요
地는 '땅 지'라는 한자로, ' 땅', '대지(大地)'를 뜻한다. '따 지'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땅 |
음 | 지 | |
중국어 | 표준어 | dì |
광동어 | dei6 | |
객가어 | thi | |
민북어 | dī | |
민동어 | dê[文] / diê[白] | |
민남어 | tē[文] / tī, tōe[白] | |
오어 | di3 | |
일본어 | 음독 | チ, ジ |
훈독 | つち, ところ | |
베트남어 | địa |
유니코드에는 U+573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PD(土心木)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ㄉˊ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也(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국어에서는 단어 뒤에 的(과녁 적)이 붙어 부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와 동일한 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 모순적으로→矛盾地) 이때는 발음도 的과 동일하게 de(더)로 변한다.
서예에 있어서 나름 중요한 글자 취급받는데, 왜냐하면 地의 4번째 획이 극소수의 한자에만 사용되는 필획[5]이기 때문이다. 이 필획을 사용하는 한자는 也(어조사 야)와 그것이 구성요소인 한자(地를 포함한 他(다를 타), 池(연못 지), 馳(달릴 치), 弛(늦출 이), 拖(끌 타), 施(베풀 시) 등) 및 乜(사팔뜨기 먀)가 전부이다.[6]
경기도 광주시, 여주시, 이천시에서 개최된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의 공식 마스코트는 '토야'라는 캐릭터인데, 이 토야의 이름은 地를 土(흙 토)와 也(어조사 야)로 나누어 붙인 것이다.
천자문에서는 '따 지'라고도 읽으며, 하늘 천에 이어 두 번째로 나오는 걸로 유명한 글자다.
일본어에서는 じ, ち 2가지 음독이 존재하는데, じ로 읽는 경우는 地面(じめん, 지면), 地震(じしん, 지진) 등이 있고, ち로 읽는 경우는 地図(ちず, 지도), 地球(ちきゅう, 지구), 地下鉄(ちかてつ, 지하철), 地方(ちほう, 지방)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간석지( 干 潟地)
- 관광지( 觀 光地)
- 궁지( 窮地)
- 기지( 基地)
- 농경지( 農 耕地)
- 단지( 團地)
- 대지( 垈地/ 大地/ 臺地)
- 도읍지( 都 邑地)
- 도회지( 都 會地)
- 등지( 等地)
- 매립지( 埋 立地)
- 명승지( 名 勝地)
- 묘지( 墓地)
- 백사지( 白 沙地)
- 번지( 番地)
- 부지( 敷地)
- 분지( 盆地)
- 사지( 死地)
- 산지( 山地)
- 생지( 生地)
- 소재지( 所 在地)
- 소지( 素地)
- 숙지( 熟地)
- 습지( 濕地)
- 식민지( 植 民地)
- 양지( 陽地)
- 여지( 餘地)
- 오지( 奧地)
- 온상지( 溫 床地)
- 외지( 外地)
- 유원지( 遊 園地)
- 육지( 陸地)
- 입지( 立地)
- 주둔지( 駐 屯地)
- 지각(地 角)
- 지각(地 殼)
- 지경(地 境)
- 지구(地 球)
- 지구(地 區)
- 경지지구( 耕地地 區)
- 계엄지구( 戒 嚴地 區)
- 고도지구( 高 度地 區)
- 공관지구( 公 館地 區)
- 공업지구( 工 業地 區)
- 미관지구( 美 觀地 區)
- 수복지구( 收 復地 區)
- 아지구( 亞地 區)
- 자유지구( 自 由地 區)
- 지구당(地 區 黨)
- 지구대(地 區 隊)
- 풍치지구( 風 致地 區)
- 지대(地 帶)
- 지도(地 圖)
- 지뢰(地 雷)
- 지리(地 理)
- 고지리( 古地 理)
- 지리구(地 理 區)
- 지리국(地 理 局)
- 지리적(地 理 的)
- 지리학(地 理 學)
- 경관지리학( 景 觀地 理 學)
- 경제지리학( 經 濟地 理 學)
- 고지리학( 古地 理 學)
- 공업지리학( 工 業地 理 學)
- 공중지리학( 空 中地 理 學)
- 광업지리학( 鑛 業地 理 學)
- 교통지리학( 交 通地 理 學)
- 군사지리학( 軍 事地 理 學)
- 농업지리학( 農 業地 理 學)
- 동물지리학( 動 物地 理 學)
- 문화지리학( 文 化地 理 學)
- 민족지리학( 民 族地 理 學)
- 방언지리학( 方 言地 理 學)
- 사회지리학( 社 會地 理 學)
- 산업지리학( 産 業地 理 學)
- 생물지리학( 生 物地 理 學)
- 생산지리학( 生 産地 理 學)
- 생태지리학( 生 態地 理 學)
- 수리지리학( 數 理地 理 學)
- 식물지리학( 植 物地 理 學)
- 언어지리학( 言 語地 理 學)
- 역사지리학( 歷 史地 理 學)
- 예술지리학( 藝 術地 理 學)
- 인류지리학( 人 類地 理 學)
- 인문지리학( 人 文地 理 學)
- 인종지리학( 人 種地 理 學)
- 일반지리학( 一 般地 理 學)
- 자연지리학( 自 然地 理 學)
- 정치지리학( 政 治地 理 學)
- 지리학겸교수(地 理 學 兼 敎 授)
- 지리학과(地 理 學 科)
- 지리학교수(地 理 學 敎 授)
- 지리학교정(地 理 學 敎 程)
- 지리학사(地 理 學 史)
- 지리학자(地 理 學 者)
- 지리학적(地 理 學 的)
- 지리학훈도(地 理 學 訓 導)
- 토양지리학( 土 壤地 理 學)
- 향토지리학( 鄕 土地 理 學)
- 화성지리학( 火 星地 理 學)
- 지명(地 名)
- 지반(地 盤)
- 지방(地 方)
- 지선(地 選)
- 지상(地 上)
- 지역(地 域)
- 건조지역( 乾 燥地 域)
- 계엄지역( 戒 嚴地 域)
- 공용지역( 公 用地 域)
- 보세지역( 保 稅地 域)
- 비행지역( 非 行地 域)
- 상업지역( 商 業地 域)
- 유보지역( 留 保地 域)
- 지역구(地 域 區)
- 지역급(地 域 給)
- 지역별(地 域 別)
- 지역상(地 域 相)
- 지역성(地 域 性)
- 지역어(地 域 語)
- 지역제(地 域 制)
- 지역학(地 域 學)
- 항공지역( 航 空地 域)
- 지옥(地 獄)
- 규환지옥( 叫 喚地 獄)
- 열지옥( 熱地 獄)
- 지옥계(地 獄 界)
- 지옥도(地 獄 道)
- 지옥문(地 獄 門)
- 지옥세계(地 獄 世 界)
- 지옥편(地 獄 編)
- 팔만지옥( 八 萬地 獄)
- 팔열지옥( 八 熱地 獄)
- 지위(地 位)
- 지자체(地 自 體)
- 지저(地 底)
- 지지(地 支)
- 지진(地 震)
- 지평(地 平)
- 지하(地 下)
- 지형(地 形)
- 지황(地 黃)
- 진지( 陣地)
- 처지( 處地)
- 천지( 天地)
- 축지법( 縮地 法)
- 타지( 他地)
- 택지( 宅地)
- 토지( 土地)
- 험지( 險地)
- 현지( 現地)
- 황무지( 荒 蕪地)
- 후보지( 候 補地)
-
운지( 隕 地)[7]
3.2. 고사성어/ 숙어
- 간뇌도지( 肝 腦 塗地)
- 검림지옥( 劍 林地 獄)
- 경천동지( 驚 天 動地)
- 구천구지( 九 天 九地)
- 무간지옥( 無 間地 獄)
- 발설지옥( 拔 舌地 獄)
- 병사지야( 兵 死地 也)
- 사지동고( 死地 同 苦)
- 아비지옥( 阿 鼻地 獄)
- 역지사지( 易地 思 之)
- 음지전양지변( 陰地 轉 陽地 變)
- 복지부동( 伏地 不 動)
- 지각천애(地 角 天 涯)
- 지추덕제(地 醜 德 齊)
- 진천동지( 震 天 動地)
- 천방지방( 天 方地 方)
- 천방지축( 天 方地 軸)
- 천지간( 天地 間)
- 천지신명( 天地 神 明)
- 함지사지( 陷 之 死地)
3.3. 인명
한국 작명소에서는 地를 쓰는 것을 권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인명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 한자이다. 대자연의 기에 눌려 험난한 인생을 살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곤치인 스덴( 金地 院 崇 伝)
- 김지수( 金地 粹) - 조선의 문신
- 김지웅( 金地 雄)
- 다이치 아키타로( 大地 丙 太 郎)
- 몬치 카오리( 門地 かおり)
- 무카이치 미온( 向 井地 美 音)
- 미나고로시 지장( 鏖 地 藏)
- 바지 케이스케( 場地 圭 介)
- 아마치 시로( 天地 志 狼)
- 아마치 히츠기( 天地 ひつぎ)
- 와타나베 다이치( 渡 辺 大地)
- 이지용( 李地 鎔) - 흥인군의 양자손
- 정은지( 鄭 恩地)
- 정지( 鄭地)
- 지장보살(地 藏 菩 薩)
- 카마다 다이치( 鎌 田 大地)
- 카바지 무네히로( 樺地 崇 弘)
- 칸바라 다이치( 神 原 大地)
- 코메이지 사토리( 古 明地 さとり)
- 코메이지 코이시( 古 明地 こいし)
- 토치 히로키( 東地 宏 樹)
- 키쿠치 미카( 菊地 美 香)
3.4. 지명
- '지구(地區)', 단지(團地)', '택지(宅地)' 등의 접미사를 사용하는 지역들
- 금호지구( 琴 湖地 區)
- 노오지동( 老 梧地 洞)
- 바리어붕따우성( 婆地 淎 艚 省)
- 지곡동(地 谷 洞)
- 양지동( 陽地 洞)
- 지정면(地 正 面)
- 삼각지역
- 지식정보단지역
- 가산디지털단지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국제업무지구역
3.5. 창작물
- 동국여지승람( 東 國 輿地 勝 覽)
- 育成スキルはもういらないと勇者パーティを解雇されたので、退職金がわりにもらった【領地】を強くしてみる( 육성 스킬은 이제 필요 없다고 용사 파티에서 해고당했기 때문에, 퇴직금 대신 받은 [영지]를 강하게 만들어본다)
- 지구오락실(地 球 娛 樂 室)
- 地球の裏( 지구의 뒷면)
- 地球儀
3.6. 기타
- 긴급지진속보( 緊 急地 震 速 報): 일본의 방송
- 문천지( 文 天地)
- 물화생지( 物 化 生地)
- 배송대행지( 配 送 代 行地)
- 세지( 世地)
- 쌍지( 雙地)
- 월경지( 越 境地)
- 지거국(地 據 國)
- 지균(地 均)
- 지뢰녀(地 雷 女)
- 지민비조(地 民 比 祖)
- 지방충(地 方 蟲)
- 지잡대(地 雜 大)
- 지옥철(地 獄 鐵)
- 지옥탈출(地 獄 脫 出), 지탈(地 脫)
- 천방지축마골피( 天 方地 丑 馬 骨 皮)
- 한지( 韓地)
- 한국토지주택공사( 韓 國 土地 住 宅 公 社)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 -真天地開闢集団-ジグザグ: 일본의 록밴드
4. 유의자
5. 상대자
- 乾(하늘 건)
- 穹(하늘 궁)
- 𡫃[⿱⿱宀心⿱罒天]/ 𥦏[⿱穴旲](하늘 녕)
- 𩆚[⿱霝𠕁](하늘 령)
- 㝫(하늘 륭)
- 旻/ 旼(하늘 민)
- 霄(하늘 소)
- 天/ 靝(하늘 천)
- 祆(하늘 천/현)
- 昊(하늘 호)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𥝀[⿰禹也](뱀 사)
- 灺(불똥 사/타)
- 虵(긴뱀 사)[8]
- 𤜣[⿰犭也](이리 시, 뱀 사)
- 釶(짧은창 시)
- 吔(음역자 야)
- 祂(흙탕물 야)
- 貤/ 𥃸(거듭할 이)
- 𤖪[⿰片也](국 이)
- 酏(기장술 이)
- 杝(나무이름 이, 쪼갤 치)
- 弛/ 𧿇[⿰𧾷也](늦출 이)
- 衪(옷선 이)
- 䄬(옮길 이)[9]
- 訑(자랑할 이, 방탕할 탄)
- 肔(찢을 이/치)[10]
- 𤕮[⿰爿也](횃대 이)[11]
- 毑(어머니 자/저)
- 她(아가씨 저)
- 池(못 지)
- 𩚉[⿰𩙿也](엿 지)
- 𦧇(핥을 지)[12]
- 䪧(함지 지)
- 䊶(쇠고삐 진)[13]
- 馳(달릴 치)
- 䶔(드러날 치)
- 阤(비탈 치, 허물어질 타/시, 경사질 이)
- 𦏸(제비나는모양 치)
- 扡(끌 타)[14]
- 他(다를 타)
- 𩵔[⿰魚也](문절망둑 타)
- 牠(뿔없는소 타)
- 彵(편안하게걸을 타)
- 忚(속일 혜/나)
- 𡖐[⿰多也](다)
- 𬺼[⿰丁也]
- 𬼨[⿰名也]
- 𬼭[⿰亨也]
- 𬼩[⿰幷也]
- 𬼮[⿰⿱田廾也]
- 𬼰[⿰底也]
- 𬾍[⿰企也]
- 𭆰[⿰⿳⺕冖又也]
- 𭅤[⿰卑也]
- 𬽓[⿰亭也]
- 𭀍[⿰儞也]
- 𪨥[⿰山也]
- 𭕗[⿰尼也]
- 𭇠[⿰吉也]
- 𭕟[⿰尾也]
- 𭔳[⿰㝵也]
- 𭘬[⿰帝也]
- 𭔞[⿰寧也]
- 𭰿[⿰波也]
- 𭞱[⿰惹也]
- 𭢽[⿰摩也]
- 𮏡[⿰苾也]
- 𮟉[⿰達也]
- 𥐨[⿰石也]
- 𤱡[⿰⿱龴田也]
- 𭻠[⿰畢也]
- 𦍔[⿰羊也]
- 𫂴[⿰米也]
- 𮋭[⿰耳也]
- 𮌊[⿰肉也]
- 𨤤[⿰里也]
- 𮜮[⿰身也]
- 𮮶[⿰鼻也]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𤱲[⿱田地](귀신 귀)[15]
- 逇(거역할 돈, 구덩이 지)
- 哋(주문에쓰는말 지)
- 𫧜[⿱區地]
- 𢓧[⿰彳地]
- 𡜤[⿰女地]
- 𫭩[⿱地土]
- 𭔭[⿱地寸]
- 𭕚[⿸尸地]
- 𪵸[⿰氵地]
- 𭤵[⿱地方]
- 𱼆[⿰⺼地]
- 𥒦[⿰石地]
- 𱶶[⿱穴地]
- 𬵍[⿰魚地]
[文]
문독
[白]
백독
[文]
[白]
[5]
한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작은 단위. 쉽게 말해 획의 종류를 말한다.
[6]
다만 해당 필획은 CJK 공통한자에서 합의 하에 분류한 36개의 필획 중 'HZG'(㇆)에 속해 있고 특별히 따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다. HZG 필획에는 완전 직각 필획, 세로 부분이 약간 기운 필획, 그리고 본문에서 언급했던 필획이 전부 포함된다.
[7]
고인드립이다. 문서 참조
[8]
蛇(긴뱀 사)의
속자
[9]
移(옮길 이)의
속자
[10]
胣(찢을 이/치)의
동자
[11]
椸(횃대 이)의
동자
[12]
舐(핥을 지)의
본자
[13]
紖(쇠고삐 진)의
동자
[14]
拖(끌 타)의
동자
[15]
鬼(귀신 귀)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