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인문 지리학의 한 분야로 민족, 종교, 언어 따위의 지역적 분포나 특성을 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2. 이론
2.1. 구문화지리학
2.1.1. 문화지역
2.1.2. 문화경관
2.1.3. 문화전파
2.1.4. 문화생태학
2.1.5. 사우어의 문화경관론
2.2. 신문화지리학
2.2.1. 경관 연구
경관 해석의 주안점이 구문화지리학은 관찰 가능한 물질적인 형태만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물리적인 경관들의 외적(형태) 변화에만 연구가 국한되었다.반면, 신문화지리학은 경관을 다양한 의미체계로 인식하고, 문화 형성 주체가 창조해 낸 다양한 상징이나 기호,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내재적인 의미를 규명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경관 개념에는 관점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관찰자의 물리적·사회적 위치가 영향을 미쳤고, 같은 시대 또는 같은 공간 안에서도 다양한 계급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다양한 시선에서의 경관 읽기가 가능하다. 재현된 경관을 통해서 특정 시대의 특정 사람들이 외부 세계를 어떻게 보고 이해했는지 알 수 있다.-
텍스트로서의 경관 연구(경관의 다의성 O)
경관을 다양한 의미체계로 구성된 텍스트로 인식하는 연구방식이다. 경관의 의미는 소비자(해석자)의 다양한 맥락이나 담론에 의해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경관 건설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해석하면 경관이 형성되던 사회의 역사적 맥락에 둔감할 수 있다. -
보는 방식으로서의 경관 연구(경관의 다의성 X)
제작자의 입장에서 경관 연구방식을 말하며, 경관은 특정시기에 형성된 사회와 환경을 ‘보는 방식’일 뿐이다. 회화적인 요소를 통한 경관 연구를 하므로 당시의 상징성과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다. 따라서 문화경관은 재현된 이미지이자 생산자(권력자)의 의식 세계를 반영하는 표상이다.
2.2.2. 르페브르의 공간 개념
- 공간적 실천: 구체적인 물질 공간 → 반복된 활동을 통해 공간을 물리적으로 생산하고 전유하는 과정
- 공간의 재현: 생산자에 의해 기획된 공간 → 추상적 개념이 현실로 구체화된 공간
- 재현의 공간: 소비자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는 공간 → 거주자가 재현의 주체가 됨
2.2.3. 경관과 장소의 해체적 읽기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하면서 차이와 다양성을 강조됐고, 공간에 대비되는 장소 개념이 등장하였다. 공간은 지역 유사성을 토대로 모델이나 법칙을 세움으로써 지표를 설명할 수 있다는 생각이고, 장소는 지역적 차이에 초점을 두고 휴먼 모자이크로서 읽거나 이해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비롯된 용어이다.세계에 대한 이해는 특정한 시각을 통해서 진행되며, 지배집단은 타자에게 자신의 이해방식을 강요된다.'해체적 읽기'는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에 기반한 현상 이해의 방법으로서 기존의 고정관념을 해체하여 새롭게 조명하는 방식이다. 경관이나 장소를 통해 읽어내는 의미는 시대마다, 읽는 주체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선의 한양 천도는 당시의 이념을 이용해 조선왕조 정당화하려는 시도였고, 문화기호학(상징성)과 문화정치학이 반영되었다.
2.2.4. 렐프의 무장소성
3. 경관
3.1. 촌락 경관
3.1.1. 집촌
3.1.2. 열촌
3.1.3. 산촌
3.1.4. 대한민국의 촌락
3.2. 도시 경관
3.2.1. 고대의 도시
3.2.2. 중세의 도시
3.2.3. 산업화 시대의 도시
3.2.4. 포디즘 도시
3.2.5. 포스트모던 도시
3.2.6. 읍성
자세한 내용은 읍성 문서 참고하십시오.4. 지역 갈등
4.1. 지역 구분
4.1.1. 국경과 영토
국경에 대한 내용은 국경 문서
, 영토에 대한 내용은
영토
문서
참고하십시오.